이것의 모티브가 되는 실존개념에 대한 내용은 전진칠자 문서 참고하십시오.
사조영웅전의 등장개념 | |
신조협려의 등장개념 전진칠자 全眞七子 / Quánzhēn Qīzi | |
▲ 드라마 〈사조영웅전 2017〉의 전진칠자 | |
<colbgcolor=#024083,#002A58><colcolor=white> 이명 | 전진육자(全眞六子)[1], 전진오자(全眞五子)[2] |
구성 | 마옥, 담처단, 유처현, 구처기, 왕처일, 학대통, 손불이 |
[clearfix]
1. 개요
全眞七子소설 《사조삼부곡》의 등장 개념.
전진교의 일곱 명의 도사로 모두 왕중양의 직계 제자이다. 실제 송말원초 도사 왕중양의 제자들인 전진칠자를 모티브로 한다.
2. 특징
《사조영웅전》 초반엔 천하오절을 제외한 다음의 무림 고수들로 이름을 떨쳤다. 그러나 굳이 비교하자면 천하오절의 실력은 전진칠자가 특정 진법없이는 힘을 합해봐야 못 당하는 넘사벽이다. 그리고 사통천, 영지상인, 팽련호 등의 작품 내에서 이름난 고수들 역시 전진파의 위명을 알고 있음에도 이들과의 대결을 굳이 꺼리지 않으며 실제 지지 않는다. 《신조협려》의 시대까지 넘어가면 이제 니마성, 소상자, 공손지를 비롯한 어지간한 강적들은 모두 전진칠자를 훌쩍 뛰어넘는 경지에 이르러 있을 정도다. 정확하게 천하오절들의 제자들인 어초경독, 구양극. 금륜법왕의 제자인 달이파, 곽도 등과 비슷한 수준.
현문 정종이라 일컫는 전진파 무공에 숙달된 이들인만큼, 세월이 흘러 나이가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실력을 자랑한다. 단 왕중양의 절기라고 하는 선천공은 아무도 전수받지 못한 듯하다.[3]
가장 강력한 기술은 전진칠자 전원이 합공을 펼칠 때 사용하는 천강북두진이라는 진법으로, 왕중양이 북두칠성의 운행을 보며 떠올린 합동 전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사람이 공격받으면 직접 손을 쓰지 않고 다른 이들이 구해주는 전법을 펼치며, 단순히 합공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음양조화의 원리로 서로의 빈틈을 메우고 공격의 위력을 상승시키는 특징이 있다. 전진칠자 전원이 이 천강북두진으로 나서자 천하오절 중 일인인 황약사와 하룻밤을 꼬박 싸워도 승패를 가리지 못할 만큼 위력이 강력했다. 이후 사망한 담처단 대신 곽정이 끼어든 천강북두진은 황약사조차 몰아붙여 승산을 확보할 정도였다.[4]
모두 모인 것은 임안부 우가촌에서의 일인데, 양강과 구천장의 거짓말에 속아넘어가 황약사가 주백통과 곽정을 죽였다고 생각하게 된다. 천강북두진의 위력으로 매초풍을 제압하고 황약사와 결사전을 벌이다가, 이틈을 타서 양쪽을 모두 죽이려 한 구양봉의 난입으로 담처단이 죽음을 맞게 된다.
이후 마옥이 자연사하여 전진오자가 되며 사실 역사적 기록으로 따지자면 전진칠자 전원이 <신조협려>의 시기에는 수명상 죽은 사람들이 되지만 계속 등장하게 되었다.
주인공인 양과와 소용녀를 비롯하여 금륜국사, 니마성,
3. 구성
[1] 담처단 사망 이후.[2] 마옥 사망 이후.[3] 애시당초 선천공이라는 무술 자체가 매우 애매한 위치에 있다보니 그런 듯하다. 원래 일양지가 왕중양의 절기였고 선천공은 대리공의 무공이었는데 천룡팔부에서 일양지가 대리국의 무공이라고 나오면서 일양지와 선천공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4] 사실 황약사는 이미 천강북두진과 하룻밤을 겨루고 그 원리를 깨달아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천강북두진으로 황약사를 꺾을 수 없었다. 단 대신 끼어든 곽정이 이미 구음진경을 익혀 실력이 칠자들보다 월등히 높아져 황약사를 상대로 혼자서도 얼마간은 겨룰 수 있을 경지에 이르렀고, 무공이 월등한 곽정을 중심으로 천강북두진의 핵심이 천선에서 천권으로 변화되었기에 황약사가 대응할 수 없었던 것이다.[5] 마광좌는 전진칠자보다 약하다. 전진칠자 중 학대통이 대략 곽도와 동급인데, 작중 사숙강이 야율제, 곽도 등과 동급인 것처럼 묘사되고 사숙강보다 약한 사백위가 번일옹과 호각으로 싸운다. 그런데 절정곡 파트에서 번일옹이 마광좌보다 무공이 위라고 언급된다. 물론 마광좌도 전진칠자 중 가장 약한 손불이보다는 강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