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9 13:07:15

학대통

파일:attachment/gwangnyeongja.jpg
학대통을 그린 삽화

1. 개요2. 상세3. 매체에서
3.1. 사조영웅전의 학대통3.2. 신조협려의 학대통

1. 개요

郝大通 (1140 ~ 1212)

금나라 때의 도사. 전진교전진칠자 중 한 사람으로 본명은 학승(郝升)이었지만 이름을 린(璘)으로 개명하고 세상에는 법명인 대통(大通)으로 알려졌으며 자는 태고(太古), 도호는 염연자(恬然子), 광영자(廣寧子)이다.

2. 상세

그의 집안은 부유하여 그 지역에서 가장 부자였으며 일찍이 황제, 노자, 장자 등의 서적을 널리 공부하고 역학에 정통하였으며 왕중양의 제자가 되어 수도하였다.

1175년에 옥주(沃州) 지역에서 걸식하다가 조주(趙州)에서 6년간 수도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이 그를 불어선생(不語先生)이라 불렀다고 하며 그를 따르는 무리들은 화산파라고 불렸다. 화산파는 이후 섬서성 일대에 주요한 도교 일파로서 뛰어난 도사들을 많이 배출했다.

이후에는 북두평(北斗坪)에서 수도하기 위해 동굴을 파던 중 도우(道友)들의 요청으로 40여년 동안 70여개의 동굴을 파면서 여러 차례 양보하였고 절벽 중간에 동굴을 파서 수도하였다고 한다.

학대통이 사망하고 한참 지난 시기인 원나라 쿠빌라이 칸 시절 광영통현태고진인으로 봉해진다.

3. 매체에서

무협물에 단골로 등장하는 문파 화산파의 유력한 개창자로 여겨지다 보니, 무협물에선 소림의 달마대사, 무당의 장삼봉 비슷하게 종종 언급되는 편이다. 다만 저 둘에 비하면 인지도는 떨어지는 편.

3.1. 사조영웅전의 학대통

소매가 없는 옷을 입고 다니는데, 왕중양의 소매 잘린 옷을 받으며 "소매 없다고 걱정마라. 넌 걱정할 것 없다." 라고 말했다. 소매 수(袖)와 줄 수(授)는 음이 같아서 이는 '가르침은 도를 이루는 것 다음 문제니 스스로 깨달아라'는 뜻. 때문에 학대통의 옷은 스승의 뜻을 기리기 위함이다.

3.2. 신조협려의 학대통

사조영웅전에서는 전진칠자의 한 명으로만 등장하며 단독으로는 출연하지 않는다. 상당히 괄괄하면서도 시원한 성격으로 불의를 못 참는 호걸 기질이 있다. 여러모로 구처기와 닮았다.

신조협려에서는 초반부 중양궁 소동 때 구처기 마옥과 함께 몽고군에 포위당하는 낭패를 겪으며 등장했다. 이때 곽도에게 일장을 얻어맞고 패배하여 감금되어 있었다. 이후 양과가 탈주할 때 손노파가 옥봉을 풀어서 양과를 추적하는 전진교 제자들을 공격하자 연기를 피워 옥봉들을 퇴치하였다. 하지만 숲에 들어가지 말라는 왕중양의 규정 때문에 더이상 둘을 추격하지는 못하고 돌아선다. 그날 밤 손노파가 옥봉독의 해독제를 주기 위해 중양궁으로 왔으나 학대통의 제자 장지광이 갑자기 무슨 꿍꿍이냐며 의심하자 강직한 성품을 가진 손노파가 분노하여 싸움이 붙게 된다. 학대통은 고묘파와 전진교 선배들의 관계를 생각해서 적당하게 제압해 해독제를 챙길 겸 양과를 다시 데려오려 했으나, 자신의 무공이 학대통에게 못 미친다는 것을 직감한 손노파가 기습 공격을 날리자 급하게 응수하다가 힘조절을 못해서 손노파에게 치명상을 입히게 된다. 학대통은 이를 후회하며 손노파의 상처를 치료해보려 했으나 이러한 속셈을 모르는 양과가 막아나서는 바람에 실랑이를 벌이다가 때마침 나타난 소용녀에게 어린애와 노인을 괴롭히냐며 비난을 듣는다. 손노파가 사망한 후 정중하게 사과를 올리지만 소용녀는 사람을 죽였으니 목숨으로 갚아야 한다며[1] 싸움을 걸어오자 응수하다가 패배한다. 이에 패배를 시인하고 양과를 데려가라고 하지만, 소용녀가 다시 '사람 죽여놓고 패배를 인정하다는 한마디로 퉁칠거냐'며 다시 상기시켜주자 자결하려다가 구처기의 제지로 살았다.

성격이 다소 괄괄하기는 하지만, 심지가 정의롭고 선량한 인물인지라 손노파의 일 때문에 항상 죄책감을 갖고 살았다. 양과가 영웅대연 때 손노파를 거론하자 양과한테 칼을 넘기며 자신을 죽여달라고 한다. 하지만 양과가 어차피 곽백부(곽정)가 나를 제지할 걸 알고 연기하는게 아니냐며 돌직구를 날리자 말문이 막혀버린다.

역사에서는 화산파를 창시하였으나 김용월드에서는 딱히 화산파와의 연관성에 대한 언급이 없다. 내공을 운기할 때 얼굴이 보라색으로 변한다는 언급이 있어서 소오강호자하신공과 묘사가 일치하는 부분이 있긴 한데, 일단 중간 시간대인 의천도룡기에서 자하신공이 전승되었다는 언급이 없기도 하고, 학대통은 도가의 인물인데 소오강호 시대의 화산파는 유교 성향의 문파로 묘사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1] 원문 표현은 상당히 과격하고 직설적인데, 대충 '지금 자결할 마음이 없는 거냐? 내 손에 죽을래?'정도의 어감이다. '지금 네가 자결한다면 여기 다른 도사들의 목숨은 살려주겠다'고 덧붙인 건 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