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청주시(통합 이전)| 청주 ]] | 충주 | 청원 갑 | 청원 을 |
이민우 | 김기철 | 신정호 | 김창수 | |
보은 | 옥천 | 영동 | 진천 | |
박기종 | 신각휴 | 민장식 | 이충환 | |
음성 | [[제천군| 제천 ]] | 단양 | ||
정인소 | 김사만 | 이태용 | 조종호 | |
중원군 | ||||
정상희 | ||||
* 괴산 안동준 자격 상실 (1961.3.8.) * 음성 이정석 자격 상실 (1961.3.8.) | ||||
◀ 제4대 제6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김석원 | 류광렬 | 백두진 | 김갑수 | 박상묵 |
서태원 | 이재형 | 박제환 | 윤재근 | 장익현 | |
이찬우 | 이교선 | 장춘근 | 황학성 | 김응조 | |
최준길 | 정인소 | 정상희 | 박병배 | 김영환 | |
전휴상 | 김성환 | 서민호 | 홍광표 | 김세영 | |
김시현 | 김종해 | 장택상 | 우돈규 | 신준원 | |
김기령 | 최영두 | 전석봉 | 이재현 | 임기태 | |
정해영 | 서정원 | 김봉재 | 김기용 | 윤종수 | }}} }}}}}} |
鄭寅笑
1907년[1] 11월 11일 ~ 1977년 8월 21일 (향년 69세)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종교인, 정치인. 본관은 동래(東萊)[2].2. 생애
1907년 11월 11일 충청북도 음성군 군내면(현 음성군 음성읍)에서 태어났다. 일본 오사카부립중학교, 일본 규슈제국대학 법문학부 정치경제학과, 왕징웨이 정권 치하 북경세계어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 피플스 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이후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특별고등요시찰인으로 선정되어 128차례에 걸쳐 예비검속으로 투옥되었다. 그리고 목사로 활동하면서 세계어 보급, 금주, 금연 및 아편·공창제·축첩 금지 등의 활동에 종사하였다. 또한 사재를 투자하여 애지세계사, 국제금주동맹, 한국세계어총연맹을 창립하여 총재에 취임하였고, 만국세계어학사원에서 근무하기도 하였다.
8.15 광복 후 국학대학 교수, 국민대학교 교수, 신생활일보사 이사장 등을 지냈다. 1949년 3월 25일 친일 목사라는 이유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기도 하였다.[3]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북도 음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이학림 후보에 밀려 6위로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북도 음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이학림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재단법인 신생활공사 총재, 신생활일보사 이사장, 청주대학교 법과대학 상법학부 학부장 및 대학원장을 지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북도 음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김주묵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 이정석의 부정선거로 치러진 1961년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북도 음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당 구철회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당선된 지 3일 만에 5.16 군사정변으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민관식 후보에 밀려 5위로 낙선하였다. 1965년 재보궐선거에서 추풍회 후보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중당 김상현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중당 후보로 충청북도 음성군·진천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오원선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중당 후보로 충청북도 음성군·진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정석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세계연방한국협회 회장을 지냈다.
1977년 8월 21일 오전에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당뇨병성 혼수로 사망했다.[4]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충북 음성[5]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12 (6.21%) | 낙선 (6위)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6,245 (15.92%) | 낙선 (2위)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충북 음성[6] | 3,646 (8.40%) | 낙선 (4위) | ||
1961 | 재보궐선거 | | |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동대문 갑[8] | | 2,401 (3.45%) | 낙선 (5위) | |
1965 | 재보궐선거 | 서울 서대문 갑[9] | | 4,095 (13.37%) | 낙선 (3위)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충북 음성·진천[10] | [[민중당(1967년)|]] | 1,628 (2.18%)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충북 음성·진천[11] | | 706 (0.99%) | 낙선 (4위) |
[1] 1977년 간행된 역대국회의원총람에는 1908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2] 1950년 간행된 대한민국인사록[3] 1949년 3월 27일 동아일보 기사[4] 1977년 8월 22일 경향신문 부고 기사[5] 제9선거구[6] 제10선거구[7] 5.16 군사정변으로 의원직 상실[8] 제3지역구[9] 제9선거구[10] 제7지역구[11] 제7선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