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26:13

제이든 오제다


파일:GTWC asia-aws.png
2025 GTWC 아시아 참가 팀 및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0px -11px"
{{{#!wiki style="margin: 0 0px 0px"
{{{#!folding [Pro/Am]
Pro/Am
No. 소속 차량 드라이버 클래스
2 파일:중국 국기.svg 클라이맥스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비황 Pro/Am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랄프 아론
4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덴마크 국기.svg 바스티안 부스
파일:중국 국기.svg 웨이 루
파일:벨기에 국기.svg 알레시오 피카리엘로
5 파일:일본 국기.svg 플러스 with BMW M 팀 스터디 BMW M4 GT3 EVO 파일:일본 국기.svg 아라 세이지
파일:일본 국기.svg 야먀구치 토모히데
10 파일:국기.svg GTO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대만 국기.svg 브라이언 리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멘젤
13 파일:중국 국기.svg 팬텀 글로벌 레이싱 아우디 R8 LMS EVO II 파일:중국 국기.svg 애덜리 퐁
파일:국기.svg 미정
18 파일:일본 국기.svg 포르쉐 센터 오카자키 나인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일본 국기.svg 코타카 카즈토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이 히로아키
파일:일본 국기.svg 시노하라 타쿠로
19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코르사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EVO2 I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리스 스피넬리
파일:국기.svg 미정
31 파일:홍콩 국기.svg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든 오제다
파일:중국 국기.svg 치 챠오
37 파일:중국 국기.svg 팬텀 글로벌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앤서니 리우 수
파일:프랑스 국기.svg 도리안 보콜라치
46 파일:중국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아시아 팀 팬텀 아우디 R8 LMS GT3 EVO II 파일:중국 국기.svg 바오 진룽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쿠스 빈켈호크
6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얼 밤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아드리안 실바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딜런 페레이라
66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모터스포츠 레이싱 팀 콜벳 Z06 GT3.R (C8)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툰쿠 이스칸다르 압둘 잘릴 아부 바카르 이브라힘
파일:호주 국기.svg 조던 러브
99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툰쿠 압둘 라만 하사날 제프리
파일:영국 국기.svg 알렉산더 심즈
87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레오 예 홍리
파일:중국 국기.svg 위안 보
98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코르사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안데르손 타노토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바티스타 지메나우어
321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리 쑤안 유
파일:중국 국기.svg 우 웬룽
911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왕 중 웨이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필레
}}}}}}
[SILVER]
||<-8><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silver> Silver ||
No. 소속 차량 드라이버 클래스
16 파일:홍콩 국기.svg UNO 레이싱 아우디 R8 LMS GT3 Evo II 파일:홍콩 국기.svg 숀 통 Silver
파일:홍콩 국기.svg 리오 마
44 파일:중국 국기.svg 클라이맥스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링 캉
파일:중국 국기.svg 야치 장
45 파일:중국 국기.svg FAW 아우디 스포트 아시아 팀 팬텀 아우디 R8 LMS GT3 EVO II 파일:중국 국기.svg 프랭키 쳉 콩푸
파일:중국 국기.svg 제임스 우 콰이
77 파일:홍콩 국기.svg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량지야퉁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다니알 프로스트
96 파일:중국 국기.svg 윈히어 하모니 레이싱 페라리 296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데이비드 첸 웨안
파일:중국 국기.svg 앤디 뎅 이

[SILVER/Am]
||<-8><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66ff> SILVER/Am ||
No. 소속 차량 드라이버 클래스
13 파일:중국 국기.svg 팬텀 글로벌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쑨 징쭈 Silver/Am
파일:홍콩 국기.svg 애덜리 퐁
25 파일:일본 국기.svg 포르쉐 센터 오카자키 - NK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일본 국기.svg 우치야마 키요시
파일:일본 국기.svg 콘도 츠바사
파일:일본 국기.svg 카미무라 유타
29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레이싱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EVO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아카시 닐 낸디
파일:중국 국기.svg 황뤄한
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볼가스 모터스포츠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찬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민관
55 파일:중국 국기.svg 윈히어 하모니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류항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렌초 파트레제
86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덴마크 국기.svg 안더스 요르드바흐
파일:중국 국기.svg 이 케룽
89 파일:중국 국기.svg 팀 KRC BMW M4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토니 롼춘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맥심 오스텐
500 파일:일본 국기.svg 팀 5ZIGEN 닛산 GT-R GT3 파일:일본 국기.svg 카나마루 유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미 모토키

[Am]
||<-8><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cc0000> Am ||
No. 소속 차량 드라이버 클래스
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얼 밤버 모터스포트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호주 국기.svg 마틴 베리 Am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세티아완 산토소
30 파일:마카오 국기.svg 엘레강트 레이싱 팀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마카오 국기.svg 류 릭 카
파일:독일 국기.svg 라이놀드 렝거
5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AMAC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1.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앤드류 맥페르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윌리엄 벤 포터
60 파일:일본 국기.svg LM코르사 페라리 296 GT3 파일:일본 국기.svg 와키사카 시게카즈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니시 케이
7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개러지 75 페라리 296 GT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콜롬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데이비드 티집토비안토로


}}}}}}}}} ||
<nopad> 파일:제이든 오제다 AMG.jpg
GTWC 아시아 -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No.31
제이든 오제다
Jayden Gabriel Ojeda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트레일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레일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레일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생년월일 1999년 7월 31일 ([age(1999-07-31)]세)
출생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챔피언십
타이틀
호주 F4 챔피언십 (2018)
소속팀 GTWC 아시아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2025)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 메르세데스-AMG 팀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2024~ )
1. 개요2. 커리어
2.1. 초기 커리어2.2. 포뮬러 포드2.3. 호주 F4 챔피언십2.4. 슈퍼카즈 챔피언십2.5. GT3 커리어
3. 여담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의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2. 커리어

2.1. 초기 커리어

대부분의 드라이버와 마찬가지로 제이든도 7살 때 카트 레이싱을 시작했다.

제이든의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은 2010년 뉴사우스웨일스 주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서 이루어졌다. 그 후 2013년에는 2회, 2014년에는 2회 더 주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5세의 나이에 호주 최고의 카트 시리즈에서 최고의 성공을 거둔 제이든은 2014년 호주 CIK 챔피언에 등극하여 로탁스 프로 투어와 카팅 챔피언십(KF3)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제이든은 스페인에서 열린 로탁스 맥스 월드 챔피언십 그랜드 파이널에서 호주를 대표하여 출전했다.

2.2. 포뮬러 포드

2015년 제이든은 볼랜드 레이싱 디벨롭먼트 소속으로 포뮬러 포드에 출전했다. 빅토리아 주립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 출전하여 첫 레이스 우승과 여러 번의 폴 포지션 및 포디움 피니시를 기록했다.

2016년 제이든은 볼랜드 레이싱 디벨롭먼트 소속으로 다시 한 번 내셔널 포뮬러 포드 시리즈에 출전하여 여러번의 폴 포지션과 레이스 우승을 포함한 성공적인 레이스를 펼치며 4위로 우승을 차지했다. 제이든은 2017년 내셔널 포뮬러 포드 시리즈에 다시 출전하여 여러 차례 레이스 우승을 차지하며 내셔널 챔피언십에서 종합 3위를 차지했다.

2.3. 호주 F4 챔피언십

2018년 제이든은 AGI 스포츠 소속으로 호주 F4 챔피언십의 포뮬러 4에 출전했다.

제이든은 2018년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호주 포뮬러 4 챔피언십 역사상 가장 지배적인 드라이버가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여러 챔피언십 시리즈 기록을 세웠다.

2.4. 슈퍼카즈 챔피언십

2019년 제이든은 앤더슨 모터스포츠 소속으로 슈퍼카 슈퍼3 시리즈에 출전하였다. 슈퍼카즈 출전 팀인 브래드 존스 레이싱(BJR), 매트 스톤 레이싱(MSR), 2019 슈퍼2 챔피언인 매트 화이트 모터스포츠(MWM), 전 슈퍼카 팀인 폴 모리스 레이싱과 경쟁하였다.

제이든은 2019년 슈퍼3 챔피언십에서 4번의 레이스와 시즌 5라운드 중 3번의 라운드에서 우승하며 종합 2위에 근접했다. 슈퍼카 레이싱을 처음 접하는 드라이버이자 배서스트의 소규모 프라이빗 팀의 유일한 드라이버로서 제이든과 팀은 도전에 나섰다.

2020년, 제이든은 슈퍼2 챔피언십 팀 매트 화이트 모터스포츠(MWM)와 함께 슈퍼3에서 승격돠어 슈퍼2 시리즈에 출전했다.

애들레이드 스트리트 서킷에서 열린 1라운드에서 제이든은 첫 주말을 성공적으로 보내며 전체 5위와 루키상을 차지했다. 2020년과 마찬가지로 슈퍼2 시리즈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통제되면서 중단되었고 호주 모터스포츠 커뮤니티는 5개월 동안 레이스 트랙에서 제외되었다.

레이싱이 재개된 후 제이든은 1라운드부터 3개의 포디움을 차지하며 올해의 신인상과 함께 챔피언십 4위로 올라서며 남은 4번의 레이스에서 3개의 포디움을 차지하는 등 기세를 이어갔다. 제이든은 게리 로저스 모터스포츠 소속으로 첫 배서스트 1000에 출전하기 위해 막판에 콜업되기도 했다.

2021년에는 제이든이 매트 화이트 모터스포츠와 소속으로 슈퍼2 시리즈를 위해 레이스를 펼치며 최고점과 힘든 최저점으로 가득 찬 한 해를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이든은 배서스트에서 폴 포지션 2개를 획득하고 시드니 모터스포츠 파크에서 열린 슈퍼2 랩 기록을 10번의 레이스와 5번의 라운드에서 포디움 5개와 함께 경신했다. 제이든의 해에는 첫 번째 랩 사고가 발생하면 챔피언십에서 다시 3위로 밀려나는 올해의 마지막 레이스까지 우승에 도전하게 되었다.

제이든은 이번에는 제인 고더드와 함께 매트 스톤 레이싱 소속의 35번 차량을 타고 배서스트 1000의 두번째 출전을 하였다.

2022년, 제이든은 워킨쇼 안드레티 유나이티드와 함께 첫 번째 단독 슈퍼카 챔피언십 레이스에 출전했다. 17위라는 레이스 결과로 몇 번의 단독 경기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제이든은 매트 스톤 레이싱과 토드 헤이즐우드와 함께 다시 한 번 세 번째 배서스트 1000을 시작하여 레이스 후반에 톱 10에 진입한 후 20위 안에 들며 레이스를 마무리했다.

2023년, 제이든은 사이먼 호지스와 함께 배서스트 6시간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한 해를 시작했다. 제이든은 볼란테 로소 모터스포츠 소속으로 메르세데스-AMG GT3-EVO를 타고 파나텍 GT 월드 챌린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GT3 레이싱에 도전하며 레이스 우승과 2개의 폴 포지션을 획득하는 등 좋은 성적을 보였다.

제이든은 일회성 출전 드라이버로 도요타 가주 레이싱 86 시리즈에서 레이스 우승을 차지했다.

매트 스톤 레이싱 소속으로 잭 르 브록과 함께 슈퍼카 챔피언십에서 팀과 함께 세 번째 내구 시리즈를 펼친 두 선수는 배서스트 1000에서 9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2.5. GT3 커리어

제이든은 해외에서도 메르세데스-AMG의 선택을 받아 발렌시아에서 열리는 영 드라이버 테스트에 출전하고 아시아 르망 시리즈에서 AMG 퍼포먼스 팀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소속으로 출전했다.

2024년, 제이든은 권위 있는 배서스트 12시간 레이스에서 메르세데스 AMG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소속으로 출전하며 한 해를 시작했고, 몇 달 후 배서스트로 돌아와 배서스트 6시간의 첫 연속 우승자로 역사를 새로 썼다.

제이든은 1년 내내 빠듯한 일정을 소화하며 메르세데스-AMG GT3-EVO를 타고 여러 팀과 함께 다양한 테스트 프로그램에 참가했고, 시드니 모터스포츠 파크 3시간에서 우승을 차지한 티가니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GT 월드 챌린지 오스트레일리아에 출전했다.

또한 제이든은 인디애나폴리스 8시간에서 메르세데스-AMG를 타고ㅛ 출전하는 한편, 후지 스피드웨이 서킷에서 열린 첫 24시간 레이스에 참가하고 오카야마 3시간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시리즈와 일본 슈퍼 다이큐 시리즈 라운드에 참가하는 등 국제적인 경험을 넓혔다.

2024년 12월 15일, 맥심 마틴과 함께 메르세데스-AMG 팩토리 드라이버로 합류하였다!#

3. 여담

• 내년 1월부터 FIA 드라이버 등급이 골드로 승격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