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9 08:12:31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
,
,
,



1. 개요2. 선발전 및 예선(한국)
2.1. 선발전
3. 본선
3.1. 진출자3.2. 32강전
3.2.1. 1일차3.2.2. 2일차
3.3. 16강전
3.3.1. 1일차3.3.2. 2일차
3.4. 8강전
3.4.1. 1일차3.4.2. 2일차
3.5. 4강전3.6. 결승전
4. 여담

1. 개요

28번째로 열리는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관련 정보.

2. 선발전 및 예선(한국)

2.1. 선발전

아마선발(7월 26일 개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예선 #===

3. 본선

3.1. 진출자

구분 국가 출전 선수
시드
배정자
전기 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전기 우승), 최정(전기 준우승)
변상일(전기 4강), 김명훈(전기 4강)
국가 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우혁[1], 신민준[2], 박정환[랭킹], 안성준[랭킹]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5] , 구쯔하오[6]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쉬자위안
선발전
통과
일반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웅규, 강동윤, 안정기, 김승진
김누리, 김정현, 홍성지
파일:중국 국기.svg 롄샤오, 황윈쑹, 쉬자양,
왕싱하오, 셰얼하오, 탄샤오
파일:일본 국기.svg 모토키 가쓰야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여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홍위
시니어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
파일:일본 국기.svg 요다 노리모토
와일드 카드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안드리 크라벳[7]

3.2. 32강전

3.2.1. 1일차

||<:><rowbgcolor=#003cdc><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cdc><tablebgcolor=#fff,#1f2023><-5> 32강 1일차 (11월 16일 낮 12시 개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171수 흑 불계승 저우홍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 정 201수 흑 불계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웅규 271수 백 2집반승 요다 노리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180수 백 불계승 안드리 크라벳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누리 209수 흑 불계승 모토키 가쓰야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211수 흑 불계승 황윈쑹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진 251수 흑 불계승 쉬자위안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228수 백 불계승 이야마 유타 파일:일본 국기.svg

3.2.2. 2일차

||<:><rowbgcolor=#003cdc><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cdc><tablebgcolor=#fff,#1f2023><-5> 32강 2일차 (11월 17일 낮 12시 개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88수 백 불계승 왕싱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성준 217수 흑 불계승 탄샤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정기 127수 흑 불계승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현 169수 흑 불계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지 210수 백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72수 흑 반집승 구쯔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우혁 154수 백 불계승 롄샤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295수 흑 반집승 이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3. 16강전

3.3.1. 1일차

16강 1일차 (11월 19일 낮 12시 개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08수 백 불계승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130수 백 불계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240수 백 불계승 구쯔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진 196수 백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3.3.2. 2일차

16강 2일차 (11월 20일 낮 12시 개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315수 백 반집승 황윈쑹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누리 154수 백 불계승 롄샤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193수 흑 불계승 탄샤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웅규 258수 백 불계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3.4. 8강전

3.4.1. 1일차

8강 1일차 (11월 21일 낮 12시 개시)
파일:중국 국기.svg 롄샤오 107수 흑 시간승 박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 299수 백 불계승 구쯔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3.4.2. 2일차

8강 2일차 (11월 22일 낮 12시 개시)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243수 흑 불계승 김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158수 백 불계승 신진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4강전

4강 1국 (11월 23일 낮 12시 개시)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183수 흑 불계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4강 2국 (11월 24일 낮 12시 개시)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195수 흑 불계승 박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6. 결승전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결승 3번기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1 2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흑번
백번
중계
1국
(11/25)
딩하오 셰얼하오 바둑TV - 문도원, 박정상
187수 흑 불계승
2국
(11/27)
셰얼하오 딩하오 바둑TV - 최유진, 박정상
227수 흑 불계승
3국
(11/28)
딩하오 셰얼하오 바둑TV - 문도원, 박정상
300수 흑 불계승[17]
우승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九단 (삼성화재배 첫 우승, 두 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 }}}

4. 여담


[1] 제4회 안동시 백암배 우승자 자격으로 국가시드를 받았다.[2] 제45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우승자 자격으로 국가시드를 받았다.[랭킹] 박정환과 안성준은 8월랭킹 상위자로 국가시드를 받았다.[랭킹] [5] 제27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우승자 자격으로 중국 국가시드를 받았다.[6]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우승자 자격으로 중국 국가시드를 받았다.[7] 대진추첨식 대진표 내에서는 "안드리 크라베츠"로 적혀있다.[8] 이전 대회 문서에서도 그랬지만, 중계의 경우는 TV방송사 중계에 한한다. 인터넷중계까지 포함하고자 하면 타이젬/오로 뿐만 아니라 프로기사 개인방송까지 고려해야 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9] 바둑TV는 박정상 九단이 이번 대회기간 내내 해설을 맡는다.[10] K바둑은 한국기사 출전시 중계한다.[11] 변상일은 진것을 알았어도 계가를 잘 못하는 구쯔하오를 도와주는 매너를 보여주었다. 중국선수들은 계가가 매우 서투른 편이다. 이는 룰의 차이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은 대국자가 서로 사석을 메우고 하지만 중국은 한쪽의 입장에서 돌갯수와 집수를 계가를 보조하는 사람이 직접 세서 판정한다.[12] 이 때 박정환의 남은 시간은 32분 40초였다.[13] 시간패 발생 당시 박정환의 남은 시간은 20분 14초였다.[14] 중국의 두 기사가 한국룰로 하는 계가에 익숙하지 않아서 이런 상황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32강전에서 변상일이 구쯔하오의 계가를 도와주기도 했었다[15] 기보 바둑TV에서 해설을 했던 박정상 九단은 해당 정석의 모양의 경우 46수째 둔 자리에 흑이 붙이면 처음엔 형세는 거의 팽팽해지는데 백이 젖힐 때 인공지능의 형세 판단이 백에게 크게 기울어진 형세로 나온다고하며 이 수법이 인공지능이 못본 수법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마침 해당 상황이 발생했는데 딩하오가 47수째로 문제의 자리를 두자 이 정석에 대해 해설을 했던 박정상 九단이 당황했을 정도.[16] 여담으로 바둑TV에서 해설을 했던 박정상 九단은 국대 코치 시절 당시 에피소드를 이야기 했는데 어느 선수가 시합을 둔 후 국가대표실을 찾아와서 해당 정석에 대해 젖히는 수를 인공지능이 못본 수여서 이에 대해 하소연을 했었다고 한다.[17] 기록은 불계지만, 딩하오가 반집을 이긴 상황에서 다두고 계가를 하지않았다. 두 대국자가 공배까지 다 메우고 계가를 안한 상황. 한국이나 일본같으면 대국자끼리 사석을 들고 돌을 메우지만 중국 선수들끼리 하다보니 계가 안하고 복기했다.[18] 정확하진 않지만, 11월 15일로 추정[19] 선수층 차이가 매우 심각한 것이 그렇게 물량공세를 했는데도 중국 기사에게 승리를 거둔 한국 기사가 신진서, 박정환, 김명훈 외에 아무도 없다. 여류기사까지 포함해야 강동윤이 그나마 들어가는 정도.[20] 2라운드 첫 상대는 한국의 원성진이다.[21] 한국룰은 반집승부일 경우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마지막 공배를 메운 쪽이 반집을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