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8 08:08:14

조국찬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구 소련의 애국가요}}}에 대한 내용은 [[넓구나 나의 조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넓구나 나의 조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넓구나 나의 조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구 소련의 애국가요: }}}[[넓구나 나의 조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넓구나 나의 조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넓구나 나의 조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가사3. 동영상4. 새로운 국가로 채택?5. 여담

1. 개요

조국찬가 ( 祖國讚歌 / Ode to the Fatherland )

양명문 작사, 김동진[1] 작곡의 곡. 6.25 전쟁의 후유증이 채 가시지 않은 1955년에 작곡되었다. 이후 박정희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며 특히 새마을운동 당시에는 애국가에 이은 제2의 국가 수준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었던 곡이다. 당시 발매되던 각종 음반에 강제로 들어가던 건전가요로도 자주 들어갔다. 여타 건전가요들에 비해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하는 명곡이다. 10월 유신 이후에는 이 노래보다 박정희가 직접 만든 "나의 조국"이 더 많이 불렸으나 10.26 사건 이후에는 순식간에 사라졌다. 2008년 이후에는 아름다운 나라가 이 노래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은 국군의 날 열병식이나[2] 박정희 정부를 추억하는 사람들에게 주로 연주되고 있다.[3]

2. 가사

< 1절 >

동방의 아름다운 대한민국 나의 조국
반만년 역사 위에 찬란하다 우리 문화

오곡백과 풍성한 금수강산 옥토 낙원
완전 통일 이루어 영원한 자유 평화


< 2절 >

꽃피는 마을마다 고기 잡는 해변마다
공장에서 광산에서 생산 경쟁 높은 기세[4]

푸르른 저 거리엔 재건(경제) 부흥 노랫소리
늠름하게 나가는 새 세기의 젊은 세대


< 후렴 >

태극기 휘날리며 벅차게 노래 불러
자유 대한 나의 조국 길이 빛내리라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2절은 가사가 현재와 과리가 있기 때문에 현재 시대에 알맞도록 () 안의 가사로 개사해서 부르기도 한다.

후렴구의 태극기 휘날리며라는 가사는 동명의 영화 제목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

3. 동영상

계룡시 합창단이 부른 버전
고구려 밴드가 부른 버전[5]
공익광고협의회가 만든 버전[6]

4. 새로운 국가로 채택?

애국가 항목에도 나와 있듯 애국가의 작사자일 가능성이 높은 윤치호와 작곡가 안익태가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있으며, 애국가보다 비교적 국가주의적인 색채가 뚜렷하고 곡조도 박력이 있는 편이라 애국가 대신 조국찬가를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가로 제정하자는 주장이 가끔씩 등장한다. 하지만 이 곡의 작곡가 김동진 역시 민족문제연구소가 만든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친일파였던 사정 등으로 인하여 국민적으로는 크게 지지받진 못하고 있다.

만약 국가로 채택된다면 1절은 현대에도 거부감 없이 부를 수 있어서 그대로 쓰이겠지만 2절은 개발독재 시대의 흔적이 녹아 있기 때문에 개사하거나 쓰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5. 여담


[1] 1913년 출생의 작곡가로, 만주국에 있던 당시 가곡 '가고파', '수선화'를 작곡했고 해방 후 월남하여 경희대학교 음대 교수로 재직하며 '목련화'를 작곡하기도 했다.[2] 심지어 문재인 정부 시기에도 쓰였다.[3] 그래서 반전주의 진영이나 박정희 정부를 비판하는 민주당 및 진보 진영에서는 연주를 꺼리는 편이다. 마치 보수 진영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꺼리는 것과 비슷한 양상.[4] "거대한 공장에서 생산 증대 높은 기세" 아니면 "도시에서 시골에서 소득 증대 높은 기세"가 나오기도 한다.[5] 하필 조국 사태(...) 당시 올라온 동영상이라 영상의 의미와는 상관없이 '빨갱이를 물리치자', '이 대한민국은 자유민주공화국이 아니다' 등등의 비난성 댓글들이 많이 달렸다. 이쯤 되면 영상 업로더가 극우 성향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 유튜버는 극우 성향의 영상 업로더가 아니라 비정치적인 합성물 업로더다.[6] 마지막에 대형 공익광고협의회 로고가 등장한다.[7] 작곡가 김동진이 2009년에 별세했는데 저작권은 법에 따라 2079년까지 보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