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화폐 변천사 | ||||||||||||
조선 문 | ▶ | 조선 양 | ▶ | 대한제국 원 | ▶ | 조선 엔 | ▶ | 북한 원 | ||||
▶ | 조선은행 원 | ▶ | 대한민국 환 | ▶ | 대한민국 원 |
1. 개요
1946년의 군정법령 제57호부터 1953년의 화폐개혁까지 유통한 남한의 통화. 원래 엔(円)계 통화였기 때문에 일본 본토의 환율 시세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었다.
2. 상세
1946년에 일본 본토에서 식민지 상실과 화폐개혁(1:1)으로 일본은행이 주도하는 금엔 블록을 해체했다. 그래서 GHQ가 일본은행의 본점에서 이사들을 데려와 조선은행과 대만은행의 본점과 지점에 있는 금엔 지폐(일본은행권, 대만은행권, 만주중앙은행권)들을 모조리 소각했으며, 군정법령 제57호를 포고하여 예금동결 조치를 취하면서 자연인들과 법인들이 보유한 금엔 지폐(일본은행권, 대만은행권, 만주중앙은행권)들을 무조건 강제입금시켰다.반면 조선에서는 미군정이 시작되었지만, 1945년 11월 2일 군정법령 21호에 의해 조선은행법 효력이 존속되어 미군 군표(일명 'A엔')와 함께 조선은행권이 계속 통용되었다. 이후 도안이 동일한 상태로 조선은행 원을 발행하게 된다.
북한에서는 1947년부터 북한 원으로 교환했지만, 남한에서는 조선은행이 미군정청의 지시로 도안을 고쳐 새로 찍었다. 1950년 봄에 한국은행을 개업하고 '한국은행권 원'이 발행된 이후에도 1953년까지 통용했다. 일본 도안에 새겨져 있었던 일명 '수노인'은 독립문으로 교체되었고 일본의 오동문양(키리몬:桐紋)은 무궁화로 교체되었다. 게다가 일본 제국의 인쇄국을 대신하여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에서 인쇄했다.
"유엔"의 이름으로 새나라가 세워지기는 하였으나 혼란과 무질서 속에서 나이 어린 이 신생정부는 소꼽장난 같은 살림살이로 선후 없이 주먹구구로 그 명맥을 이끌어오고 보니 종이조각과 다를 게 없는 지폐가 마치 거미 똥구멍에서 실 나오듯 마구 쏟아져나오게 되었다.
"1959년의 불연속성 ··· ⑪ 주화발행",
1959년 12월 29일 조간 1면, 《동아일보》, 그동안의 발권정책 역사를 되짚어보며.[1]
...그래서인지 상당히 저퀄이다."1959년의 불연속성 ··· ⑪ 주화발행",
1959년 12월 29일 조간 1면, 《동아일보》, 그동안의 발권정책 역사를 되짚어보며.[1]
3. 종류
3.1. 을(乙)권 시리즈
해방 이후 처음 발행된 시리즈이다. 조선서적 인쇄주식회사에서 발행되었다.을 십원과 을 백원은 기호가 1~2번으로, 이후에 나온 조선은행권과 구분한다.
앞면 | 뒷면 | ||
을(乙) 일원 (1945.10.20) | 수노인상 | 당초 무늬 | |
을(乙) 십원 (1945.12.10) | 조선은행 본관 | ||
을(乙) 백원 (1945.09.01) | 벚꽃가지 |
위조지폐로 많이 발행되었던 만큼 가짜가 많다. 따라서 을 십원과 백원은 잔존량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거래 가격이 좀 비싸다. 특히 을 백원권은 진품 수량이 거의 없고, 가끔 경매에 출몰하는데 거의 천만원에 가까운 가격에 거래되곤 한다. 수집을 할거면 참조품이나 모조품으로 만족하자.
3.2. 병(丙)권 시리즈
을권 다음으로 발행된 시리즈이다. 기존의 일원은 계속 사용하고, 십원과 백원만 새로 발행하였다.병 십원은 기호 3~4번으로, 병 백원은 기호 3~7번으로 이전, 이후의 조선은행권과 구분한다.
앞면 | 뒷면 | ||
병(丙) 십원 (1946.05.06) | 수노인상 | 조선은행 본관 | |
병(丙) 백원 (1945.12.10) | 벚꽃가지 |
보면 알겠지만 을 십원과 병 십원은 판번호만 다르고 사실상 똑같은 지폐이다.
3.3. 정(丁)권 시리즈
병권과 마찬가지로 십원과 백원만 새로 발행했다. 정 백원은 기호 1A~9A로, 이전과 이후 조선은행권과 구분한다.앞면 | 뒷면 | ||
정(丁) 십원 (1946.10.10) | 수노인상 | 조선은행 본관 | |
정(丁) 백원 (1946.07.01) | 무궁화 |
3.4. 무(戊)권 시리즈
무 백원 한 권종만 발행되었다. 기호는 10A~48A로 구분한다.앞면 | 뒷면 | ||
무(戊) 백원 (1947.06.03) | 수노인상 | 무궁화 |
48A 번호는 북한이 불법으로 발행한 지폐도 있고
우리나라에서 발행한 지폐도 있다.
북한발행 버전은 질이 매우 떨어진다.
3.5. 신(新)권 시리즈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을 설립해야 했으나, 조선은행이 계속 화폐 발행을 담당하게 된다. 이후 1949년 일제강점기 조선 엔부터 이어져 내려오던앞면 | 뒷면 | ||
오전 (1949.11.15) | 조선은행 휘장 | 당초 무늬 | |
십전 (1949.11.15) | |||
오십전 (1949.11.15) | |||
신(新) 오원 (1949.09.15) | 독립문 | 조선은행 본관 | |
신(新) 십원 (1949.09.01) |
3.6. 미발행권
6.25 전쟁 당시 인민군이 서울을 함락한 직후 한국은행을 접수하고 나니 나머지 금괴 0.2톤과 은괴 16톤, 그리고 한국은행이 아직 미발행한 지폐 105억원어치가 있었던 것이다. 더구나 지폐를 발행하던 조선서적인쇄공사에서도 직원들이 장비를 다 방치하고 피란을 떠났기에 인민군은 105억원의 미발행권은 물론 앞으로도 무한히 조선은행권을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2]북한이 불법적으로 인쇄, 유통한 미발행 천원 |
4. 환율과 가치
- 명목 환율(1945년 가을~1948년 여름) : 일본은행권 1엔 = 조선은행권 2원 = 만주 중앙은행권 4위안
- 실질 가치(1940년대 후반기) : 일본 10000엔 = 영국 1금파운드 = USA 10금달러 = 나치 독일 10000마르크
한편, 한국은행의 경제통계시스템과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및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와 낙성대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남한의 자유시장에서 거래하는 최고급 품질의 쌀 1kg당 쌀값의 도매가격 및 도매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는 1910년부터 1953년까지 무려 10만 배만큼 올랐다.
㉠ 1905년부터 1945년까지 100배만큼 인상(0.1円→10円)
㉡ 1946년부터 1948년까지 10배만큼 인상(10円→100円)
㉢ 1949년부터 1953년까지 100배만큼 인상(100円→10000円)
㉡ 1946년부터 1948년까지 10배만큼 인상(10円→100円)
㉢ 1949년부터 1953년까지 100배만큼 인상(100円→10000円)
5. 한국은행 원(잠정화폐)
한국은행권 100원 (한국인쇄) |
한국은행권 1000원 (한국인쇄) |
1950년 6월 12일 한국은행이 설립되면서 처음 만들어낸 시리즈이다. 당시 환율은 1달러=1800원. 하지만 2주만에 희대의 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시작부터가 순탄치 않았다. 김일성이 남한 정부의 경제를 마비시킬 작정으로 판본(엄밀히는 조선은행권의 판본)을 득하여 위조지폐를 눈 뿌리듯 퍼부어댔고(북한군이 찍어낸 1000원권), 은행 본사마저 완전히 털려버리는 바람에 첫 시리즈는 제 기능을 상실하고 말았다.
이 때문에 제1차 긴급 통화 조치가 발동되었다. 제1차 긴급 통화 조치 발동 직전 문제가 되었던 것은 바로 대한민국 통제 지역과 북한 통제 지역의 통화량 차이였다. 당시 발행 후 유통 개시를 기다리던 화폐는 대부분 서울에 위치한 한국은행의 금고에 보관되어 있었고, 마찬가지로 예적금으로 민간 금융기관들에 위탁된 금액도 대부분 서울의 민간 금융 기관의 본사에서 관리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화폐 생산 설비도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있었다. 때문에 부산, 대구 등에 위치한 한국은행 지점들 및 민간 금융기관들이 보관하고 있던 화폐를 모두 끌어왔음에도 대한민국 정부가 통제하는 지역에서는 당장 쓸 화폐가 부족했다. 그리고 생산 설비도 모두 북한군의 손에 넘어간 상황이라 필요한 화폐를 생산할 방법도 없었다. 때문에 북한이 점령한 지역에는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화폐가 넘쳐나는데 정작 한국 정부가 통제하는 지역에는 대한민국 화폐가 부족해 한국 정부가 돈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거기다 북한이 점령지에 푼 화폐가 피난민들 및 북한 공작원들과 함께 낙동강 방어선을 넘어오며 한국 정부 통제 하의 지역들의 경제를 교란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당시 한국은행 총재였던 구용서 총재는 도쿄지점에 있는 김진형 부총재에게 연락해 보름 안으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일본 대장성을 통해 새 도안을 가진 100원권과 1000원권 지폐를 인쇄해오라는 거의 불가능해 보이는 임무를 내린다. 김진형 부총재는 당장 당시 일본을 다스리고 있던 GHQ로 달려가 상황의 급박함을 읍소했고, 상황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있던 GHQ는 대장성에 최대한 빨리 새 도안을 만들어서 내놓으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리하여 일본 대장성 인쇄청 소속 일본인 직원들과 일본으로 급파된 한국은행 직원들이 총동원돼 주말도 없이 일한 끝에 새 화폐 발행 작업을 겨우 열흘 만에 끝냈다. 7월 13일 1차 인쇄분이 대한민국에 도착했고 7월 22일 대구에서부터 일본에서 공수해 온 새로운 화폐의 유통을 시작했다. 그리고 8월 28일에는 ‘조선은행권 유통 및 교환에 관한 건(긴급명령 제10호)'를 발동하여 특히 북한군이 대규모로 유통시키고 있던 조선은행권 100원 지폐의 효력 정지 및 퇴출을 선포했다. 이에 따라 인천상륙작전이 개시된 9월 15일부터 일본에서 인쇄해온 지폐들이 한국 정부 통제 하의 경상도와 제주도에서부터 기존 100원권을 대체하였고,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의 북상을 따라 대한민국 전역에서 조선은행권을 한국은행권이 대체해나갔다. 그리고 이후 전쟁이 끝나고 정국이 안정화되자 모든 화폐를 한국은행권으로 대체 발행하며 한국은행에서 기획한 한국은행권이 조선은행권을 전량 대체했다.
공식적 첫 은행권 출범은 1950년 7월 22일 발행된 '이승만 한복 1000원권'과 '광화문 100원권'. 기존의 '조선은행 원'과 같이 사용이 가능한 통화였다. 당시 조폐공사의 기술력이 저조하여 천원권에 경우에는 지폐의 판 번호 1번부터 500번까지는 일본에서 인쇄했고 판 번호 501번 이후는 한국에서 인쇄했다. 그래서 일본인쇄권과 한국인쇄권은 품질이 다르다. 그리고 1950년 6월 25일부터 1950년 7월 20일까지 피난자금으로 조선은행권의 긴급인출(자연인 1명당 10만 원)을 실행하고, 1950년 9월 15일부터 1950년 9월 22일까지 한국은행권의 긴급교환(자연인 1명당 10만 원)을 실행했다.
한국은행권 500원 (한국인쇄) |
한국은행권 新 1000원 (한국인쇄) |
1952년 완전히 서울을 되찾았을 때 긴급히 조선은행권을 이승만&파고다공원 1000원권/500원권(국내생산인 두번째 시리즈)과 교체해주며 무마하려 했으나 이미 통화시스템이 망가질 대로 망가져버리는 바람에 유명무실했다. 결국 이승만 대통령은 1953년 2월 15일 긴급명령으로 화폐개혁을 시행하여 경제혼란을 수습하도록 지시하면서 막을 내렸다. 이때 자유시장에서 거래하는 환율은 1달러=6,000원(회계장부 환율)~10,000원(자유시장 환율)이었고, 대한민국 환과의 교환비율은 100원=1환이었다.
이 시기가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당대 생존인물을 화폐도안에 올린 사례다. 환 시절에는 한창 집권기였으니 당연히 올라갔다.
또한 해방 이후부터 환화로 바뀌기 전까지에 한해 '대한민국 원'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이 경우 현행 대한민국 원과 구분하기 위해 이쪽을 1기, 현행권을 2기라고 하는 식으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