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08:37:56

조선인민군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ed1c27,#c00000><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jp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조선인민군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화성 미사일의 한 종류
파일:KN-23 대형화 개량형의 모습.png
2021년 열병식에서 공개되는 모습
<colcolor=#024fa2> 국방백서 표기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
최대사거리 600km[1]
제식 명칭 《화성-11▨》형,《화성포-11▨》형
길이 9.27m[F]
직경 1.1m[F]
1. 개요2. 정보
2.1. 첫 공개2.2. 제식 명칭 모자이크 공개
3. 제원
3.1. KN-23과의 비교
4. 평가5. 시험발사
5.1. 2021년 3월 25일5.2. 2022년 9월 28일
6. 발사 직후의 '발사체' 규정

[clearfix]

1. 개요

조선인민군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은 KN-23을 대형화한 미사일로, 2021년 공개되었다. 영문으로는 보이는 그대로 KN-23 Larger Variant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외에 KN-23A, KN-23B[4], KN-23 Mod. X와 같은 다양한 표현이 난립하고 있다. 이후 2022년 국방백서에서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이라고 명명되었다. 한미측에서 KN 코드를 숨기고 있어 KN 코드가 나오지는 않았다.

2. 정보

2.1. 첫 공개

2021년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기념 열병식에서 크기가 더 커진 신형 미사일이 등장했다. 탑재 차량도 바퀴가 1개 더 늘었다.

2.2. 제식 명칭 모자이크 공개

파일:북한미사일전시회.jpg
KN-23 화성-11나 KN-23 대형화 개량형 KN-23 철도발사형
파일:안내판 속 KN-23 대형화 개량형 제식명칭.png
안내판 속 KN-23 대형화 개량형의 추정 제식명칭

2021년 10월 11일 북한 무기 박람회 《자위-2021》에 다른 미사일들과 함께 전시되었는데 기존 KN-23의 거의 2배 크기로 보인다. 이 박람회에서는 아래에서 언급할 열차 발사대 형, 대형화 개량형, SLBM 개량형이 모두 선보였다. 총 4종으로 그만큼 북한과 김정은이 이 미사일 개발에 야욕을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안내판에 북한에서 사용하는 제식명칭이 적힌 것으로 보인다. '-1' 표시가 중간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아 《(제식명)-(숫자)》의 구조로 보인다. 자간을 고려하면 《▨▨▨-1▨》 정도로 보인다. 일단 대외적으로는 '신형 전술유도탄'이라고 표기했다. #

2023년 3월 28일 북한이 전술핵탄두 '《화산-31》'을 공개할때 이 미사일의 명칭으로 위 모자이크 처리와 비슷하게 '《화성포-11▨》형'이 식별되었다. '-11다' 아니면 '-11마'로 보인다. 위 자위-2021 안내판도 '《화성포-11▨》형'에 대응되는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2023년 7월 27일 무장장비전시회-2023에서 원본인 KN-23의 제식명이 화성-11가임이 공개되어, 이 추측의 신빙성이 더 높아졌다.

3. 제원

3.1. KN-23과의 비교

우선 두 미사일의 TEL이 다르다. 본 미사일이 더 길기 때문에 다른 TEL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KN-23은 풀색 내지는 올리브색 계열의 도색을 채택한 반면 본 미사일은 체커보드 도색을 채택하고 있어 도색이 다르다.[5]
파일:KN-23과 KN-23 개량형의 형태 비교.png
제인스에서 제작한 KN-23과 고중량탄두형 간의 형태 비교
파일:KN-23과 KN-23 개량형의 제원 비교.png
FRS 연구진들이 추정한 KN-23과 고중량탄두형 간의 제원 비교
KN-23 및 본 미사일은 직선형태로 뻗어나가는 부분과 곡선형태로 꺾이는 탄두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미사일은 1m 가량 연장된 동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선부와 곡선부의 비율이 다르다. KN-23은 직선부보다 곡선부의 비율이 더 크다. 반면 본 미사일은 직선부와 곡선부가 거의 1:1이다.
파일:KN23 개량형 비교.png
KN-23 개량형과 기존 KN-23의 비교 한국어 원본
두 번째 형태상의 특징은 KN-23은 곡선부가 탄두부로 가면서 한 번 더 꺾이는 반면,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은 매끈하게 한 번에 이어진다는 점이다.
파일:2023.3.19. 사일로 발사 KN-23.png
지하에서 솟구치는 미사일
파일:KN-23 구덩이 사일로 발사.png
구덩이 발사 미사일의 직선부-곡선부 비교
2023년 북한 미사일 도발의 일환으로 3월 19일 오전 11시 5분경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기지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본 미사일인지 아니면 원본인 KN-23인지 의견이 엇갈렸다. TEL에서 쏜 것이 아니었기에 TEL로 구분할 수는 없다. 도색은 KN-23의 도색과 같았다. 공개된 이미지 상으로는 직선부(노란색)보다 곡선부(연두색)이 더 긴 KN-23으로 보인다.

4. 평가

전술핵 탑재 가능성도 추측되고 있다. 국가정보원에서는 KN-23의 직경과 동체길이를 연장한 개량형이라고 분석했다. #

5. 시험발사

공개된 시험발사는 2회이다. 단, 북한이 공표하지 않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 시험이 여러 차례 있었으므로 아래 회차보다 더 많았었을수도 있다.

5.1. 2021년 3월 25일

파일:KN-23 대형화 개량형.jpg
시험발사되는 KN-23 대형화 개량형

2021년 3월 25일 함주군 련포비행장에서 시험발사가 이루어젔다. 북한 발표에 따르면 탄두중량 2.5톤, 사거리는 600km에 달한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당초 한국의 현무-4를 능가하는 수준이라는 반응이 있었으나, 조선일보가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밝힌 바에 따르면# 현무-IV 탄도 미사일의 탄두중량이 훨씬 더 무겁고 훨씬 더강력하다고 한다.

5.2. 2022년 9월 28일

파일:2022년 9월 28일 고중량탄두형 시험발사.jpg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 2차 시험 발사
2022년 북한 연쇄 도발 국면에서 발사되었다.

6. 발사 직후의 '발사체' 규정

문재인 정부 시기였던 2021년 3월 25일, 대한민국 국방부 대변인 부승찬은 본 미사일을 발사체로 호칭했다. 기자의 '탄도미사일 판단을 보류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재원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탄도미사일이다', '재원이 어떻게 된다, 종류가 어떻게 된다' 등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평가하였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강원도 평강군에서 쏜다고 가정할 경우 제주도를 포함한 대한민국 전역, 일본(후쿠오카, 나가사키, 시마네, 히로시마), 중국 북동부(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산둥), 러시아 연해주 일부가 사정권에 들어간다.[F] 프랑스의 싱크탱크 FRS(전략연구재단)의 추정치[F] [4] 가지번호를 1-1로 시작할지 1-2로 할지의 문제와 같다. 두 명칭 모두 KN-23의 파생형임을 지칭하는 단어이다.[5] 물론 북한이 기만을 위해 도색을 섞어 쓰게 될 수도 있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