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05:39:45

조준영(1903)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정현모
제2대
조재천
제3대
신현돈
제4대
이근직
제5대
송관수
제6대
오림근
제7대
조준영
제8대
이호근
제9대
박경원
제10대
김인
제11대
양택식
제12대
김덕엽
제13대
구자춘
제14대
김수학
제15대
김무연
제16대
김성배
제17대
정채진
제18대
이상희
제19대
이상배
제20대
김상조
제21대
김우현
제22대
이판석
제23대
이의근
제24대
우명규
제25대
심우영
제26-28대
이의근
제29-31대
김관용
제32·33대
이철우
파일:경상북도 민선8기 슬로건.svg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상북도지사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허억
제2대
이호석
제3대
김종환
제4대
허흡
제5대
조준영
제6대
이종왕
제7대
박기서
제8대
김종환
제9대
강원채
제10대
강계원
제11대
태종학
제12대
김수학
제13대
이규이
제14대
김무연
제15대
정채진
제16대
박창규
제17대
장병구
제18대
정채진
제19대
이상희
제20대
이상연
제21대
박배근
제22대
박성달
제23대
이해봉
제24대
한명환
제25대
이의익
제26대
조해녕
제27대
이종주
제28·29대
문희갑
제30대
조해녕
제31·32대
김범일
제33·34대
권영진
제35대
홍준표
일제치하·미군정 경상북도 대구부윤
파일:대구광역시 시정슬로건.svg
}}}}}}}}} ||

제5대 경상북도 대구시장
제7대 경상북도지사
조준영
趙俊泳 | Cho Jun-yeong
파일:조준영(1903).jpg
<colbgcolor=#0071bb><colcolor=#fff> 출생 1903년 1월 11일
경상북도 영양군 북이면 주곡동
(현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
사망 1960년 12월 14일 (향년 57세)
경상북도 대구시 대봉동 196번지 자택
(現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본관 한양 조씨[1]
재임기간 제7대 경상북도경찰국장
1950년 1월 24일 ~ 1950년 4월 16일
제9대 경상북도경찰국장
1950년 8월 11일 ~ 1951년 7월 26일
제5대 경상북도 대구시장
1958년 10월 5일 ~ 1959년 5월 29일
제7대 경상북도지사
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1bb><colcolor=#ffffff> 부모 아버지 조인석, 어머니 이호정
형제 형 조근영, 조헌영
누이
친척 조부 조승기
며느리 김위남(金渭男)[2]
조카 조지훈
삼손 조태열
학력 보성고등보통학교 (졸업)
경력 대한민국임시정부 환영준비위원회 시행위원
제2대 문경경찰서장
제2대 상주경찰서장
제4대 대구경찰서장
제7대 경상북도경찰국장
제9대 경상북도경찰국장
제5대 경상북도 대구시장
제7대 경상북도지사
}}}}}}}}}
1. 개요2. 생애3. 여담4.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2. 생애

1903년 1월 11일 경상북도 영양군 북이면 주곡동(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에서 아버지 조인석(趙寅錫, 1879 ~ 1950)[3]과 어머니 진성 이씨 이호정(李鎬貞)[4] 사이에서 3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8.15 광복경찰공무원으로 입직하였다. 경감 진급 후 1945년 11월 30일부터 1946년 12월 1일까지 제2대 문경경찰서장, 1946년 11월 20일부터 1947년 3월 16일까지 제2대 상주경찰서장을 거쳐 대구경찰서장을 지냈으며, 경무관 진급 후에는 1950년 1월 24일부터 1950년 4월 16일까지 제7대 경상북도경찰국장을 맡았으나 사임하였다. 그러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당시 조병옥 내무부장관의 권유로 1950년 8월 11일부터 1951년 7월 26일까지 제9대 경상북도경찰국장으로 재차 역임하였다.

1956년에는 민주당 경북도당 부위원장에 당선되었다. 1958년 10월 2일 치러진 경상북도 대구시장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입후보하여 무소속 김종환 후보를 30%p 이상의 압도적인 표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반년 만인 1959년 5월 4일 경상북도 대구시의회에서 조준영 시장 불신임안이 가결되면서 직무가 정지되었고, 이어 오임근 경상북도지사에게 제출한 대구시의회 해산 요구[5]대구고등법원에 제기한 대구시의회의 대구시장 불신임안 가결 가처분 신청이 모두 5월 29일 기각되면서[6] 이튿날인 5월 30일 짧은 재임기간을 뒤로한 채 시장직에서 물러났다.[7]

1960년 5월 2일 허정 내각으로부터 경상북도지사에 임명되어[8] 직을 수행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건강 악화로 대구시 동산동 동산기독병원에 입원한 뒤 9월 3일에 퇴원하였다. 그리고 9월 5일 건강상의 이유로 홍익표 내무부장관에게 사표를 제출했고[9], 10월 8일 면직되었다.[10]

이후 1960년 지방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려고 준비하기도 했으나[11], 1960년 12월 14일 새벽 4시에 대구시 대봉동 196번지 자택에서 지병간경화 악화로 사망했다.[12]

3. 여담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58 지방선거 경북 대구시장

파일:민주당 1955년 글자.png
98,780 (58.99%) 당선 (1위) 초선[13]

[1] 양경공파-병참공파 26세손 ○영(○泳), ○수(○洙), ○해(○海) 항렬.(족보)[2] 선성 김씨(宣城 金氏). 독립유공자 김성규(金性奎)의 딸이다. 필명은 김난희(金蘭姬).[3] 1909년(순종 3) 2월 25일 영양군 향교 직원에 임명되었다.#[4] 이중봉(李中鳳)의 딸이다.[5] 1959년 5월 25일 조선일보 기사[6] 1959년 5월 30일 조선일보 기사[7] 1959년 5월 30일 조선일보 기사[8] 1960년 5월 3일 조선일보 기사[9] 1960년 9월 6일 조선일보 기사[10] 1960년 10월 8일 경향신문 기사[11] 1960년 11월 13일 경향신문 기사[12] 1960년 12월 15일 경향신문 부고 기사[13] 1959.5.30. 시장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