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7 00:13:34

종합환경연구단지



1. 개요2. 설립 배경3. 입주 기관4. 교통5. 사건·사고·논란
5.1. 입주기관 2차 혁신도시로 이전 논란
6. 기타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에 위치한 환경전문 연구단지. 수도권 매립지 부지에 각종 환경연구기관을 집중시켜 효율적인 연구개발을 위한 종합환경연구의 본산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1992년 계획을 수립하여 총 1,264억원을 투입하여 약 15만평(49만여m2) 규모로 건설되었다.

2. 설립 배경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서 배출되는 대규모쓰레기의 처리를 두고 고민하던 환경당국은 인천과 김포 사이의 해안간척지를 활용키로 했는데, 악취 등 주변 주민들의 건강에 대한 우려와 민원 등을 달래기 위해 1992년 정부가 계획 수립 후 5년만인 1997년 단지 건설 후 정부부처 소속기관과 공공법인들이 속속 입주하게 되었다. 일종의 피해보상성격

매립지 조성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수도권 매립지 참조.

3. 입주 기관

3.1.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

죄다 환경부 소속기관이나 산하 기관이다. 주로 2000년~2001년 해당 기관들이 들어섰고, 2007년 국립생물자원관이 신설되었다.

3.1.1. 국립환경과학원

2000년 7월 19일 종합환경연구단지로 이전했다. 국립환경과학원장이 고공단 가급이라 단지 내 공무원들 중 최고위직이라 할 수 있다.에헴
3.1.1.1. 국가환경시료은행
1979년부터 운영한 독일, 미국, 일본 등 국외 환경시료은행 사례를 검토하여 구축한 연구기반시설이며 국립환경과학원이 운영한다. 2010년 즈음 구축되었다.

영상 참조
3.1.1.2. 교통환경연구소
국립환경과학원 소속기관이다.[1] 1980년 1월 국립환경연구원(현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연구부에 자동차공해연구담당관이 신설되고, 1990년 1월 자동차공해연구소, 2005년 2월 교통환경연구소로 독립하였다. 2005년 7월 다시 국립환경과학원 소속기관으로 개편되었다.

3.1.2. 국립생물자원관

단지 조성 초기에 입주한 기관이 아니라 신설되면서 소재지가 여기로 결정된 곳으로 관장은 고공단 나급이다. 2002년 7월 건립 기본계획이 세워지고, 2004년 6월 착공에 들어가 2007년 1월 완공되었으며 2007년 2월 국립생물자원관이 발족했다.[2]

3.1.3.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원장은 고공단 나급이다. 1980년 1월 국립환경연구소(현 국립환경과학원)에 교학과가 설치되고, 1990년 1월 훈련부로 개편된 후, 1991년 12월 독립하여 환경처 소속 환경공무원교육원이 되었다. 1999년 1월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연수부로 다시 흡수되었다가 2006년 2월 국립환경인력개발원으로 독립하였다.

3.1.4. 한국환경공단

입주 당시에는 환경관리공단과 한국자원재생공사라는 별개의 법인들이라 각각 입주했으나 이명박 정부 들어 공공기관 선진화라는 이름으로 통폐합 바람이 불면서 2008년 8월 양 기관 통합이 결정되고, 2009년 2월 한국환경공단법이 제정된 후, 2010년 1월 한국환경공단으로 일원화되었다.

구체적으로

* 1980년 9월 한국자원재생공사로 출범하였다가 2004년 7월 한국환경자원공사로 개편되었다.
* 1983년 5월 제정된 환경오염방지사업단법에 근거하여 환경오염방지사업단이라는 법인으로 출범했고, 1987년 11월 환경관리공단으로 개편되었다. 공업단지가 늘어나면서 폐수가 늘고 폐수처리장과 이를 관리할 기관이 필요하게 되었던 것이다.

인근에 물환경관, 기후대기관도 있다.

4. 교통

5. 사건·사고·논란

5.1. 입주기관 2차 혁신도시로 이전 논란

2017년 전국혁신도시협의회 등 여러 곳에서 공공기관을 추가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곤 했는데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공공기관을 추가 이전하지 않겠느냐는 기대치도 올라오기 시작했다. 2018년 9월 이해찬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대표로 선출되고 얼마 되지 않아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으로 지방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히면서 새로운 떡밥으로 올라오기 시작했다.[3] 이해찬 대표가 언급한 공공기관은 120여 개 기관에 인원 수 약 6만여명이라고 하며, 이 중에는 종합환경연구단지 내 기관들도 후보로 올라왔다. 이어 2018년 9월 초 정부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기관별 분류·검토를 시작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2018년 10월 29일 인천 서구의회송춘규 의장과 15명 의원들은 “서울, 경기보다 상대적으로 공공기관의 수가 적은 인천, 특히 서구 소재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옮기려는 의도를 알 수 없다”며 강력하게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인천이 지난 2007년 옛 해양경찰학교를 시작으로 경찰종합학교(현 경찰인재개발원), 국립해양조사원,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선박안전기술공단(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등 총 5개 인천 소재 공공기관들이 줄줄이 지방으로 이전을 완료, 수도권 지역 내에서도 공공기관의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 주장했다.#

2020년 8월 미래통합당 인천광역시당은 인천에 공공기관이 매우 적은 편(부산 23개, 대구 16개, 대전 42개, 인천 8개 등)[4]이라며 오히려 해양환경공단(서울 송파구 소재)을 인천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6. 기타


[1] 소장은 공업연구관·보건연구관 또는 환경연구관으로 보하는데 고공단급은 아니다.[2] 타 지역에서도 국립생물자원관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해왔기 때문에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상주 소재. 2015년 설립),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목포 소재. 2020년 설립)이 들어섰다. 단, 이곳들은 인천의 국립생물자원관과는 달리 공무원조직이 아닌 법인들이다.[3] 이해찬 대표는 2019년 1월에도 “공공기관들이 지난번에 혁신도시로 이전했는데, 그 후에 생긴 공공기관들이 굉장히 많다”며 “혁신도시를 평가해 제2의 공공기관 이전을 검토하도록 당정이 협의하겠다”고 밝혔다.[4] 혁신도시 버프로 비수도권은 공공기관 상당수가 이전했으며 혁신도시 이전 대상이 아니었던 대전은 훨씬 이전부터 정부대전청사 및 대덕연구단지 조성 등으로 공공기관이 압도적으로 많았었다.[5] 장항국가산업단지는 1986년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이 수립될 때 충남 서남권역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89년 전북 군산과 충남 장항지역을 함께 개발하는 '군장국가산업단지'로 지정(장항지구 면적 9천9만㎡)됐다. 당시 어업권 보상 등 3천230억원이 소요됐으나 2005년 교통및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시작되면서 갯벌의 보존 논란으로 당시 환경부와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현 한국토지주택공사) 간에 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좌절되면서 표류하게 되었으며 2007년 환경단체와 지역주민의 갯벌매립 반대운동으로 대안사업으로 바뀌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