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5:56:01

주지사

1. 개요2. 연방의 주지사3. 단일국가의 주지사4. 주지사 일람

1. 개요

/ (State) Governor[1]

쥬지사()란 (州)라는 행정구역의 대표자를 뜻한다.

오늘날 주라는 행정구역이 없는 대한민국에서는 주지사라고 하면 대개 미국 주지사를 떠올리며 지방정부의 권한이 강한 연방국가에서만 볼 수 있는 형태라고 여겨지지만, 주지사직은 연방국가에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한국에서는 한자문화권을 제외한 국가들의 자국 내 광역자치단체를 대부분 주라고 칭한다. 연방이 아닌 단일국가 체제 하의 주/주지사는 한국의 /도지사에 상당한다.

2. 연방의 주지사

연방국가의 주지사 중에서도 미국 주지사(Governor)는 연방정부(중앙정부)를 제외한 최고 단위의 행정수반이다. 흔히 미국 주지사를 한국의 도지사(광역자치단체장)에 비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비유다. 미국 주지사는 사실상 주지사보다 주통령에 더 가까울만큼 권력이 강하며 실제로 주지삽니다 드립이 우스개가 되지 않는 존재다. 미국의 주지사는 모든 주 소속 경찰의 직속상관이자 주방위군의 통수권자이다. 영화 그린 북에서도 주지사가 한밤중에 지역 경찰서로 전화를 하자 분위기가 굳는데, 실제로 대사는 나오지 않지만 대화 내용을 추정해보면 주지사 왈 넌 내 목소리도 못알아보냐, 일처리를 도대체 어떻게 하길래 자다가 연방 법무부 장관한테 전화를 받게 만드냐, 너 부하들 관리 똑바로 안하냐, 내가 주방위군 출동시켜서 너네를 조져야되겠냐 등 경찰서장을 개같이 갈구는데 경찰서장이 쩔쩔 맨다.

이 때문에 대권을 노린다면 연방 상원의원과 함께 반필수로 거치는 교두보이기도 하다. 미국 주지사와 같은 형태의 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로는 브라질이 있다.

의원내각제를 실시하는 연방국가는 주정부도 의원내각제를 실시하고 있어 주지사도 주 자체 총선을 통해 선출한다. 이렇게 주의회에서 선출된 행정수반은 주지사보단 '주총리'라고 부른다. 주총리 직함은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의미는 같다.
다만 이런 주에도 Governor라는 직이 있는데, 이는 실권은 없지만 명목상 주의 대표자인 주총독을 뜻한다. 캐나다 총독, 호주 총독 등의 하위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나무위키에선 가급적 주총독이라고 번역하는 편이다.

3. 단일국가의 주지사

잉글랜드의 상위 행정구역(County) 대표자는 선거로 선출되지 않으며 영국 국왕이 임명한다. 그래서 직함도 Lord Lieutenant이다.

대한민국도지사를 비롯한 광역자치단체장, 일본도도부현지사 등도 명칭만 다를 뿐 단일국가의 주지사에 해당한다. 영문 직함은 한국의 특·광역시장(Mayor)을 제외하고 모두 Governor로 동일하다.

4. 주지사 일람



[1] 미국 주지사, 대한민국 도지사의 영문 직함. 해당 단어 자체는 특정한 행정구역의 대표자라는 의미는 없다. 그 외 직함은 하단 참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