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3 20:40:55

주한로마교황대사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한 외교공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대표부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퀘벡 주기.svg
퀘벡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대표부
유럽
파일:바티칸 국기.svg
교황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대표부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아프리카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가나다순. 대표부는 가장 마지막에 기재.
명예 영사관은 기재하지 아니함.
}}}}}}}}} ||
<colbgcolor=#ffe000> 파일:바티칸 국장.svg
주한로마교황대사관
Nuntiatura Aipostolica Corea
파일:교황청 대사관.jpg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26길 19[공사중]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옴니버스파크 6층
상급기관 교황청 국무원 외무부
공관장
(현임)
조반니 가스파리 대주교
(Archbishop Giovanni Gaspari)

1. 개요2. 역사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교황청이 대한민국에 설치한 외교공관이다. 동시에 주 몽골 대사관을 겸임한다.[2]

정식 명칭은 주한 교황청 대사관[3], 주한로마교황대사관[4], 주한 교황 대사관[5]이며 통칭 주한 교황청 대사관으로 불린다. 왜 바티칸 시국이 아닌지는 바티칸/외교 참고. 대한민국 외교부는 수교한 국가의 명칭을 교황청으로 인지한다.

현존하는 대사관 중 청와대와 가장 가깝다.

2. 역사

1966년, 기존에 수립되었던 공사급 외교관계를 대사급으로 격상하여 기존 공사관 건물을 대사관으로 사용 중이다. 초대 대사는 안토니오 델 쥬디체 주교로 초대 공사였다.

현임 12대 주한 교황대사 조반니 가스파리 대주교는 이탈리아 출신이다.

1984년, 1989년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방한했을 때,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방한했을 때 교황의 숙소로 사용되었다.

3. 여담

외관은 투박하나 내부 인테리어는 준공 시기를 고려하면 화려한 편이다. 내부는 여기서 볼 수 있다.

대사는 별도의 대사관저를 두지 않고 대사관에서 숙식한다. 성당의 주임사제로 임직하는 신부들이 특이한 상황이 아니고서는[6] 성당 내부의 공간(사제관)에서 숙식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대사관 내부에 미사를 위한 경당이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2014년 방한 당시 개인 미사를 이곳에서 봉헌했는데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의 유족인 이호진 씨에게 세례를 베푼 장소가 바로 이 경당이다.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에 방한하는 교황 숙소로 사용될 예정이며, 이를 맞춰 재건축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현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 임시로 이전하였다.

4. 관련 문서


[공사중] [2] 몽골이랑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했지만 몽골의 가톨릭 인구는 제로에 가깝다.[3] 정문 명패 기준[4] 등기부 기준[5] 천주교회 기준[6] 본당의 신설이 결정되고 얼마 되지 않아 별도의 성당 건물이 없는 상황이거나 기존 성당이 낡아서 재건축하는 상황 등이 이에 속한다. 이 경우 해당 본당의 사제는 임시 성당 건물 근처의 주거공간을 거처로 삼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