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09:18:43

지남력


1. 개요2. 특징3. 기타

1. 개요

지남력(, orientation)또는 요간(料簡)은 고등동물인 인간이 선천적으로 갖고 있는 시간, 공간 및 인간에 대한 인지력을 가리키는 의학심리학 용어이다.

2. 특징

어휘 '지남(指南)'은 '방향', '차원'을 뜻하며[1], 따라서 지남력은 곧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났는가? (시간에 대한 지남력)", "내가 어느 장소에 있는가? (공간에 대한 지남력)", "저 사람과 나는 어떤 관계인가? (인간에 대한 지남력)"라는 물음에 답할 수 있는,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인지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과 공간에 대한 지남력은 2세 미만의 영아기 시기에 이미 터득하며, 이를 자연스럽게 터득하지 못하거나 어려움이 생길 경우 심각한 발달 장애의 가능성이 고려된다. 인간에 대한 지남력은 길게는 유아기에 걸쳐 발달한다. 일반적으로 5세 이상이 되면 지남력을 완전히 터득한 것으로 여긴다. 지남력의 터득으로 아동은 자신이 경험하는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저장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고등적, 사회적인 능력인 사리분별 능력의 터득으로 이어진다.

외상이나 종양 등으로 대뇌의 우반구가 손상되거나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행 등 심각한 신경계 문제로 지남력이 떨어지면, 지금이 언제이고 자신이 어디에 있으며 누구를 마주하고 있는지를 제대로 가늠할 수 없게 된다. 이는 환자의 병증 악화를 판단하는 주요한 기준이 된다. 두정엽이 손상될 경우 공간에 대한 방향감각 상실(좌우지남력 상실)이 동반된다. 임종 직전에 이른 중환자에게는 대개 잦은 섬망과 함께 지남력을 상실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그 순서는 시간, 공간, 그리고 인간 순이 가장 잦다.

3. 기타


[1] 자석을 가리키는 옛 한자어 '지남철(指南)'에서 유래한 말이다. 항상 남쪽을 가리키는 쇠붙이라는 뜻.[2] 날짜와 시간, 장소 등을 물어보며, 주변의 몇 가지 물건들의 이름, 그리고 간단한 운동지시 등을 수행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