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8 17:40:14

짜빈동 전투

짜빈동 전투
Trận Quang Thạnh
Battle of Trà Bình
베트남 전쟁의 일부
1967년 2월 14일 ~ 15일
장소
베트남 공화국 꽝응아이성 쭈라이 짜빈동
(現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꽝응아이성 쭈라이 짜빈동)
교전 국가 및 세력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한민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정경진
]][[틀:깃발|
깃발 명칭
정경진
]][[정경진(군인)|]][1]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응우옌 쩐
병력
대한민국 해병대 294명
미합중국 해병대 2명
보병 2,000명 ~ 3,000명[2]
피해규모
전사 15명
부상 33명
전사 243명
포로 2명
결과
대한민국 국군의 승리
영향
대한민국 국군이 쭈라이 지역 평정

1. 개요2. 배경3. 전개
3.1. 제1차 공격3.2. 제2차 공격
3.2.1. 적의 강력한 기습3.2.2. 결사항전3.2.3. 상황의 반전
4. 결과5. 전후6. 전사자들7. 기타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짜빈동 전투(Trận Quang Thạnh, Battle of Trà Bình)는 1967년 2월 14일부터 2월 15일까지 짜빈동(Trà Bình Ðông; 茶平東) 일대에서 베트남 민주 공화국 정규군,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대한민국 해병대 제2여단(청룡부대)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2. 배경

<colbgcolor=#003300,#010101><colcolor=#ffffff,#dddddd>
파일:짜빈동 기지.jpg
청룡부대 3대대 11중대 기지
1966년 9월 23일 제2해병여단은 베트남 중부 꽝응아이성 북부 지역 쭈라이로 이동해 지역 평정 작전을 시작했다. 그러나 해당 지역은 베트콩의 활동이 상당히 왕성한 지역으로, 북베트남 정규군의 침투가 용이한 지역이었다.

제11중대가 주둔하고 있던 짜빈동 마을은 꽝응아이성 북쪽 12km 지점에 위치했다. 기지는 둘레가 800m, 높이가 30m 정도 되는 구릉 지대에 타원형으로 설치되었다.[3]

당시 짜빈동 기지 내에는 3개 소총 소대, 1개 화기 소대, 그리고 배속 부대로 1중대 1소대, 4.2인치 박격포 1개소대, 81mm 박격포 1개소대, 81mm 박격포 1개반, 106mm 무반동총 1개 분대 등으로 총병력 294명이었고 간부들의 지휘를 받았다.[4]

이 병력은 북쪽에 3소대, 남서쪽 1소대, 남동쪽 2소대가 배치됐고 주요 화기를 중앙에 배치하여 전 지역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증원된 1중대 3소대가 예비로 각 소대 후방에 1개 분대씩 배치됐다가 적의 예상 침투로였던 3소대 후방에 다시 배치됐다.

불과 1달 전, 베트민 제2사단이 청룡부대를 상대로 짜빈박 전투에서 승리를 거머쥐어 북베트남은 자신감이 충만한 상태였다. 이에 북베트남은 다음 목표로 청룡부대 3대대 11중대 기지를 정하였다. 11중대 기지가 근방의 중요한 거점인 쭈라이 비행장과 청룡부대 포병대대 포진지로 가는 길목에 위치했기 때문이었다. 북베트남은 11중대 기지를 1시간 만에 돌파하고 이 두 거점을 공격할 계획이었다.

북베트남군의 기습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해병 여단은 예하부대에 경계를 강화할 것을 지시했다. 11중대는 여단의 지시에 따라 주변 지역의 수색 및 정찰을 강화하면서 기지 보강 공사에 착수했다. 주요 화기의 진지를 유개화[5]하며, 기존에 구축했던 교통호와 개인호를 보강했다. 또한 외곽에 2중 단선 철조망, 내부에 5중 원형 철조망을 설치하고, 적들의 예상 침투로에 지뢰 140발, 크레모아 63발, 조명지뢰 38발을 매설하는 등 기지 방어에 만전을 기했다.

전투 당일인 1967년 2월 14일에 이미 다수의 적이 기지 가까이에 피난민으로 위장하여 매복하고 있었음[6]에도 국군에게 발각되지 않았다. 다만 피난민들이 중대 기지 근처를 떠도는 것을 수상하게 여긴 중대장의 판단으로 경계를 강화했다.

그리고 마침내, 2월 14일에서 2월 15일 밤 사이에 걸쳐 규모가 증강된 연대 규모의 북베트남군이 11중대의 전술 기지를 급습했다.[7]

3. 전개

<colbgcolor=#003300,#010101><colcolor=#ffffff,#dddddd>
파일:짜빈동 전투 전개1.jpg
전투 상황도

3.1. 제1차 공격

1967년 2월 14일 밤에는 초승달이 떴으나 오후 10시 무렵부터 짙은 안개와 가랑비가 내려 시야 확보가 어려워졌다. 오후 11시 20분경, 11중대 3소대 전방의 청음조[8] 박기장 일병이 북베트남군 침투 부대가 접근해오는 소리를 감지했다. 북베트남군은 철조망 파괴통으로 3소대 전방 기지 외곽 철조망을 폭파시켰다.

중대는 즉각 81mm 조명탄을 띄워 적정을 확인했고 1개 소대 규모의 적들이 숲으로 도주하는 것을 발견, 집중 사격을 가했다. 베트남군은 산발적으로 대응하였으나 중대의 화력을 견디지 못하고 퇴각했다.

그들이 도주한 후 중대장은 2차 공격에 대비해 50퍼센트의 병력을 전투 배치하고 경계를 강화했다. 이때를 이용해 11중대는 중대의 방어 태세와 상급 부대의 지원 화력을 재점검함으로써 예상되는 취약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다.

3.2. 제2차 공격

3.2.1. 적의 강력한 기습

11중대는 적의 제1차 공격이 감행된 후 전투 준비를 마쳤다. 11중대와 돌산 사이에는 마른 냇가가 있었는데, 김세창 중위는 군데군데 냇가에 낮은 둔덕들에 적의 은폐 가능성이 많다고 판단했다. 그는 그가 소속된 해포 7중대에게 포대 효력사로 서너 차례 위치를 이동하며 의심 지역에 대한 요란 사격을 실시하였다. 그곳엔 북베트남군의 선봉 대대가 있었고, 포병 대대의 카운터를 맞고 와해되었다. 이것 때문에 북베트남군은 후방 대대와 임무 교대를 하는 데 4시간이 걸렸다. 덕분에 자정에 총공격하려던 북베트남군은 4시간이나 시간을 미루게 되었다.

오전 4시 10분경 3소대 전방의 또다른 청음조 소속인 조정남 일병과 도성룡 일병이 수풀의 움직임을 발견하였다. 조일병은 은밀히 빠져나와 중대본부에 보고했다. 이에 따라 중대장은 즉시 전 병력을 완편 배치했고 예하부대에게 마구잡이로 사격하지 말고 적들을 최대한 끌어들여 기습적으로 사격을 가하도록 지시했다.

이어서 조명탄이 터지자 중대 전술 기지를 포위하던 베트남군은 기지를 향해 집중적인 포격을 가하고 기관총을 발사했다. 그러나 11중대는 적의 기습에 대비해 진지 보수 공사를 많이 해두었던 터라 포격을 버틸 수 있었다. 또한 적들이 예상 침투로인 3소대 전방으로 침투한 덕분에 관측장교 김세창 중위가 즉시 포격을 명령하여 신속히 대응 사격을 가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동안 포격전의 양상이 지속됐다.

3.2.2. 결사항전

포격전 도중 북베트남군의 특공조가 파괴통으로 3소대의 철조망지대를 폭파했다. 철조망지대가 뚫리자 북베트남군의 인해전술이 시작되었다.

이에 11중대 대원들에게 일제사격 명령이 떨어졌고, 중대원들은 M1 카빈, M1918 브라우닝, M1919 브라우닝, 박격포, 무반동총 등 모든 총기를 동원해서 사격을 가하였다. 북베트남군은 동료의 시체를 밟으면서 계속 진격하였고, 결국 3소대는 돌파당한다.

한편 1소대 지역도 일부 철조망이 파괴되어 북베트남군의 진격이 시작되었다. 1소대는 적들이 크레모아 설치 지역까지 들어오기까지 침착하게 대기하고 크레모아를 격발하였다. 그 결과 반경 100m 내의 적들이 모두 섬멸되었다. 또한 북베트남군이 후방에서 RPG-2로 공격하는 것을 포착하고 4명의 특공조를 급파해 이들을 섬멸하고 발사기까지 노획하는 성과를 거둔다.

이어서 4.2인치 박격포 소대가 위치한 포진지가 적의 공격을 받아 박격포 사격을 중지해야 했다. 이에 중포 중대 제2소대장의 지휘로 박격포를 숨기고 박격포 소대를 2개 분대로 나누어 포진지와 포를 보호했다.

3소대가 무너질 위기에 처하자 2소대와 본부중대에서 지원 병력을 파견했다. 처절한 결사항전으로 진지 내에 약 500여 발의 포탄이 떨어졌고,[9] 교통호는 피바다가 되었다.

그 사이 2여단 본부에서는 11중대의 방어선이 완전히 무너진 것으로 판단하고 진내 사격, 즉 브로큰 애로우 상황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었다.

3.2.3. 상황의 반전

새벽 6시 30분경, 북베트남군의 공세가 한풀 꺾였다. 이에 중대장은 1, 2소대에서 각각 1개 분대씩을 차출해 기동타격대를 편성했다. 이들은 기지 내에 침투한 적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았다. 적의 허리를 끊어내는데 성공하자 김세창 중위가 포격을 가해 기지 바깥의 적을 섬멸했다. 그리고 기지 내에 고립된 적들마저 모두 사살하였다.[10]

상황이 반전되자 기지 외곽에서 저항하던 1개 중대 규모의 베트남군도 북서쪽으로 도주했다. 여단은 그쪽으로 지원 화력을 집중했고, 타중대에서 UH-1으로 퇴로 차단 작전을 벌였다.[11]

마침내 오전 7시 20분경, 진지를 돌파했던 적들을 완전히 섬멸하였다.

4. 결과

<colbgcolor=#003300,#010101><colcolor=#ffffff,#dddddd>
파일:짜빈동 전투 결과.jpg
전투가 끝난 뒤 적군의 주검을 살펴보고 있는 해병대원들
확인된 11중대의 전과는 적 사살 243명, 포로 2명[12]이었으며, 확인된 전과 이외에도 다수의 적들이 포격 등으로 인해 사망 혹은 부상한 것으로 추정된다. 확인된 베트남군의 시신 중에는 1연대 90대대장을 비롯한 다수의 장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동시에 대전차 유탄포 6문과 화염방사기 3문, 기관총 2정, 소총 실탄 6000발 등을 노획했다.

이로써 11중대는 증강된 연대 규모의 북베트남 정규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했고 중대전술기지 방어에 성공함으로써 국군의 전투력을 과시했다. 앞선 두코 전투에서 대두된 중대전술기지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는 전투였고, 대한민국 해병대의 '신화를 남긴 해병대' 애칭이 씨앗을 부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에 호찌민이 짜빈동 전투의 결과를 보고받은 후, 대한민국 국군을 만나면 일단 후퇴하고 인민의 재산과 병력을 보호하도록 하고, 100% 확신이 없는 한 한국군과 싸우지 말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하지만 이 설은 출처 불명으로 불명확한 설이다.

5. 전후

<colbgcolor=#003300,#010101><colcolor=#fff,#dddddd>
파일:짜빈동 전투 훈장.jpg
채명신 주월 한국군 총사령관으로부터 태극무공훈장을 받고 있는 정경진 대위
11중대 지휘관 정경진 대위와 1소대장 신원배 소위[13]에게는 태극무공훈장이 수여되었다. 배장춘 하사와 김용길 중사에게는 을지무공훈장이 수여되었고 김기홍 중위[14], 김세창 중위[15], 김성부 소위, 김준관 하사, 오승환 하사, 이영환 하사, 이진 병장, 이영복 일병 등에게는 충무무공훈장이 수여되었다. 또한 간부를 제외한 191명의 사병 전원은 각 1계급 특진을 받았다.

11중대는 박정희 대통령과 린든 B. 존슨 대통령으로부터 부대표창을 받았다.

미합중국 해병대 ANGLICO 무전병으로 참여한 짐 포르타 일병(Lance Corporal)과 데이브 롱 일병(Lance Corporal)[16]에게는 인헌무공훈장이 수여되었다. 이 둘은 미 해병 전우회에서 베트남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의 활약상을 알리는 데 큰 기여를 했다.

6. 전사자들

아래 목록의 전사자들은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7. 기타

8. 관련 문서


[1] 대한민국 해병대 제2여단 제3대대 제11중대장[2] 북베트남 정규군 제2사단 1연대와 21연대, 꽝응아이성 베트콩 1개 대대 등[3] 짜빈동 마을은 대한민국 국군우물을 이용하기 위해 자주 찾는 곳으로 주민들과 군인들이 친밀한 상태였다고 국군은 생각했다. 그러나 잦은 부비트랩 폭발 사고로 조사한 결과 주민들이 논밭에서 일하는 척 부비트랩을 매설하는것을 발견하고 주민들이 일하던 곳을 피해서 다니자 부비트랩 사고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즉, 우호적 관계라고 믿었던 주민들은 친베트콩 성향이었고 중대 기지는 사실상 적지에 있는 것과 다를 바가 없었다.[4] 중대장 정경진 대위, 부중대장 양백수 대위, 화기소대장 김기홍 중위, 1소대장 신원배 소위, 2소대장 김성부 소위, 3소대장 이수현 소위, 60mm 박격포 반장 김상열 중사, 1중대 3소대장 정정상 소위, 105mm 포병 관측장교 김세창 중위, 중포중대 1소대장 FDC 반장 김세기 대위, 중포중대 2소대장 이정국 중위.[5] 有蓋化; 상부에 덮개가 있게끔 한다는 군대용 언어.[6] 당시 중대장이었던 정경진 대위의 증언[7] 이날은 북베트남이 제의했던 7일 간의 임시 휴전이 끝나는 날이었다.[8] 현재와 같은 야간투시경이 없던 시절, 적이 접근하는 소리를 듣는 것을 담당하는 조를 말한다.[9] 이 중 한 발이 중대본부 탄약고 위에 떨어져 중대 전체가 무너질 위기에 처했으나, 다행히 모래주머니가 무너져 자연 진화되었다.[10] 이 과정에서 김세창 중위가 머리에 총상을 입었으나, 다행히 총탄이 철모 내피에서 걸려 목숨을 건졌다.[11] 2여단은 오전 5시 20분경부터 6중대를 비상 대기 시켰다. 그러나 비와 안개로 시야가 불량했기에 6중대는 오전 7시 30분이 되어서야 공중 기동으로 주변 수색 작전에 투입되었다.[12] 3명이라는 보고도 있다.[13] 이후 해병대 제2사단장을 역임했고, 소장으로 전역 후 해병대전우회 활동에 참여했다.[14] 이후 해병대 제1사단장을 역임했고, 소장으로 전역 후 해병대전우회 활동에 참여했다.[15] 2018년 사망.[16] 2019년 사망.[17] 그의 희생으로 청음조의 전원 전사는 막을 수 있었다.[18] 공격에 동원된 병력은 월맹 정규군은 없으며 베트콩 민병대 600명. 즉 대대급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근데 베트남이 '그거 사실 베트콩이었다!' 하는 전투가 한두 개가 아니라는 게 문제.[19] 전투 후 한국군이 노획한 북베트남군의 무기를 보면 화염방사기 3개가 있어 화염방사기 운용 자체는 사실로 보인다.[20] 물론 당시 11중대는 전력을 보강한 상태였기 때문에, 보통의 중대보다는 인원 수가 많이 있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총원 300명 안팎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