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8:46:40

차징 탑스피너/등장 탑스피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차징 탑스피너
1. 개요2. 목록
2.1. 탑스피너
2.1.1. 울프스톰2.1.2. 라이그리스2.1.3. 블래스트드래곤2.1.4. 루미엘호크2.1.5. 블룸페가수스2.1.6. 페루바이슨2.1.7. 아쿠아리아2.1.8. 로탄2.1.9. 그리즐리아
2.2. BX 탑스피너
2.2.1. 카이젤 울프스톰2.2.2. 플레임 더블레이더2.2.3. 네그라 스노우2.2.4. 크리스탈 앤틀러2.2.5. 마이티 거스타이탄2.2.6. 섀도우 크로퍼2.2.7. 마그마 블래스트드래곤2.2.8. 닉스 그리즐리아2.2.9. 마린 아쿠아리아2.2.10. 레이징 페루바이슨2.2.11. 다크 타이런2.2.12. 드라이브 라이그리스2.2.13. 퀘이사 루미엘호크2.2.14. 피오레 블룸페가수스2.2.15. 바르사 로탄2.2.16. 플라즈마 버스터
2.3. 기타 탑스피너
2.3.1. 헤비로봇2.3.2. 바이올라이트2.3.3. 블랙 라이그리스

1. 개요

차징 탑스피너에 등장하는 팽이, 탑스피너를 소개하는 문서.

탑스피너를 플레이하는 스타일은 크게 스피너 스타일[1]슈터 스타일[2][3]으로 나뉜다. 스피너 스타일은 스피너처럼 탑스피너를 손으로 던져 슈팅하고, 런처 스타일은 특수한 런처로 탑스피너를 슈팅한다. 그 외에도 채찍으로 슈팅하는 채찍 스타일[4], 기의 힘으로 탑스피너를 회전시켜 슈팅하는 기공 스타일[5], 픽스툴의 줄로 슈팅하는 스트링 스타일[6] 등 플레이어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탑스피너마다 코어스킬이라는 궁극기를 사용하는데, 코어스킬이란 말그대로 탑스피너의 깃든 정령의 힘을 끌어내는 필살기다. 이 필살기를 사용하면 상대에게 큰 데미지를 넣을 수 있지만, 에너지 소모가 심해 플레이어의 판단에 따라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또한 각 탑스피너마다 코어스킬은 최소 1개는 존재하나, 플레이어의 역량에 따라 2개 이상[7]도 가질 수 있는 듯 하다.

각 탑스피너의 코어스킬은 (☆).

2. 목록

2.1. 탑스피너

2.1.1. 울프스톰

파일:드랜 소드 짭.png
형식번호 TSP-A-001
이름 울프스톰(Wolfstorm)
플레이어
타입 공격형(Assault)
속성 바람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늑대
[clearfix]
이름의 어원은 늑대(울프)와 폭풍(스톰)

2.1.2. 라이그리스

파일:화면 캡처 2023-06-12 210128.png
형식번호 TSP-A-002
이름 라이그리스(Ligris)
플레이어 도일
타입 공격형(Assault)
속성 번개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호랑이
[clearfix]
이름의 어원은 번개인 라이트닝 + 호랑이중 암호랑이를 뜻하는 타이그리스

2.1.3. 블래스트드래곤

파일:X랑 너무 유사한데.png
형식번호 TSP-A-003
이름 블래스트드래곤(Blastdragon)
플레이어 로건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화염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드래곤
[clearfix]

2.1.4. 루미엘호크

파일:화면 캡처 2023-06-12 210215.png
형식번호 TSP-A-004
이름 루미엘호크(Lumierehawk)[12]
플레이어 재이
타입 특수형(Hybrid)
속성
회전방향 좌회전
성수
[clearfix]

2.1.5. 블룸페가수스

파일:아수라 짭.png
형식번호 TSP-A-005
이름 블룸페가수스(Bloompegasus)
플레이어 프랑소와즈
타입 공격형(Assault)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페가수스
[clearfix]

2.1.6. 페루바이슨

파일:화면 캡처 2023-06-12 210231.png
형식번호 TSP-A-006
이름 페루바이슨(Ferobison)[15]
플레이어 빌리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버팔로
[clearfix]

2.1.7. 아쿠아리아

파일:화면 캡처 2023-06-12 210200.png
형식번호 TSP-A-007
이름 아쿠아리아(Aquaria)
플레이어 선아
타입 특수형(Hybrid)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인어
[clearfix]

2.1.8. 로탄

파일:화면 캡처 2023-06-12 210245.png
형식번호 TSP-A-008
이름 로탄(Lotan)[16]
플레이어
타입 특수형(Hybrid)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clearfix]

2.1.9. 그리즐리아

파일:화면 캡처 2023-06-12 210303.png
형식번호 TSP-A-009
이름 그리즐리아(Grizzlia)
플레이어 제냐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그리즐리
[clearfix]

2.2. BX 탑스피너

BX 탑스피너부터는 배틀에서 한 탑스피너가 익스트림 KO를 당하면 승리한 플레이어가 패배한 플레이어의 코어락을 가져가서 패배한 탑스피너의 스킬[17] 중 한가지를 가질 수 있게 되며, 패배한 플레이어의 탑스피너는 새로운 코어락을 만들지 않는 한 잠겨서 탑스피너 배틀을 할 수 없게 되며, 빼앗긴 스킬은 다시 배틀해서 이기지 않는 한 사용할 수 없다.

2.2.1. 카이젤 울프스톰

파일:o_1hkqemn16nvts81146017kb1g37a.png
형식번호 TSP-B-001
이름 카이젤 울프스톰(Kaizer Wolfstorm)
플레이어
타입 공격형(Assault)
속성 바람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늑대
[clearfix]
울프스톰의 진화형 탑스피너.

2.2.2. 플레임 더블레이더

파일:o_1hkqjqkmj1ph31hc51oge7fav1ea.png
형식번호 TSP-B-002
이름 플레임 더블레이더(Flame Doublader)
플레이어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어둠, 화염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소드워리어
[clearfix]
플레임의 진화형 탑스피너.

2.2.3. 네그라 스노우

파일:o_1hkqij6hch4r161124fb1r30ma.png
형식번호 TSP-B-003
이름 네그라 스노우(Negra Snow)
플레이어
타입 특수형(Hybrid)
속성 어둠,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설녀
[clearfix]
네그라의 진화형 탑스피너.

2.2.4. 크리스탈 앤틀러

파일:o_1hkqg75nugb01fpl111uldnck8a.png
형식번호 TSP-B-004
이름 크리스탈 앤틀러(Crystal Antler)
플레이어 비트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광물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숫사슴
[clearfix]
크리스탈의 진화형 탑스피너.

2.2.5. 마이티 거스타이탄

파일:화면 캡처 2024-06-06 235418.png
형식번호 TSP-B-005
이름 마이티 거스타이탄(Mighty Gustitan)
플레이어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어둠, 바람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마신
[clearfix]
헤비로봇의 진화형 탑스피너.

2.2.6. 섀도우 크로퍼

파일:화면 캡처 2024-06-06 235601.png
형식번호 TSP-B-006
이름 섀도우 크로퍼(Shadow Cropper)
플레이어 에이스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어둠,
회전방향 좌회전
성수 사신
[clearfix]
크로퍼의 진화형 탑스피너.

2.2.7. 마그마 블래스트드래곤

파일:화면 캡처 2024-06-06 235729.png
형식번호 TSP-B-007
이름 마그마 블래스트드래곤(Magma Blastdragon)
플레이어 로건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화염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서양용
[clearfix]
블래스트드래곤의 진화형 탑스피너.

2.2.8. 닉스 그리즐리아

파일:화면 캡처 2024-06-06 235916.png
형식번호 TSP-B-008
이름 닉스 그리즐리아(Nix Grizzlia)
플레이어 제냐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그리즐리
[clearfix]
그리즐리아의 진화형 탑스피너.

2.2.9. 마린 아쿠아리아

파일:화면 캡처 2024-06-07 001400.png
형식번호 TSP-B-009
이름 마린 아쿠아리아(Marine Aquaria)
플레이어 선아
타입 특수형(Hybrid)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인어
[clearfix]
아쿠아리아의 진화형 탑스피너.

2.2.10. 레이징 페루바이슨

파일:화면 캡처 2024-06-07 001248.png
형식번호 TSP-B-010
이름 레이징 페루바이슨(Raging Ferobison)
플레이어 빌리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버팔로
[clearfix]
페루바이슨의 진화형 탑스피너.

2.2.11. 다크 타이런

파일:화면 캡처 2024-06-07 001331.png
형식번호 TSP-B-011
이름 다크 타이런(Dark Tyrann)
플레이어 블랙포커 수령
타입 공격형(Assault)
속성 암흑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암흑 황제
블랙포커 수령의 탑스피너. 모든 것은 배일에 싸여있다.

2.2.12. 드라이브 라이그리스

파일:화면 캡처 2024-06-07 000036.png
형식번호 TSP-B-012
이름 드라이브 라이그리스(Drive Ligris)
플레이어 도일
타입 공격형(Assault)
속성 번개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호랑이
[clearfix]
라이그리스의 진화형 탑스피너.

2.2.13. 퀘이사 루미엘호크

파일:20240615_211303.png
형식번호 TSP-B-???
이름 퀘이사 루미엘호크(Quasar Lumierehawk)
플레이어 재이
타입 특수형(Hybrid)
속성
회전방향 좌회전
성수
[clearfix]
루미엘호크의 진화형 탑스피너.

2.2.14. 피오레 블룸페가수스

파일:Polish_20240615_210914693.png
형식번호 TSP-B-???
이름 피오레 블룸페가수스(Fiore Bloompegasus)
플레이어 프랑소와즈
타입 공격형(Assault)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페가수스
[clearfix]
블룸페가수스의 진화형 탑스피너.
“숲의 악령들이여, 힘을 빌려줘! 다크 포레스트!”
* 다크 포레스트 - 딥 포레스트의 흑화 버전. 악령의 숲의 기운을 받아 상대를 공격한다.
“하늘을 달리는 불길한[18] 천마, 다크 플라잉 페가수스!”
* 다크 플라잉 페가수스(☆) - 플라잉 페가수스의 흑화 버전. 배틀스테이지의 벽을 타고 어둠의 페가수스의 성수가 나타나서 하늘로 날아가 상대를 공격한다.
“흩날려라! 불길한 죽음의 꽃, 플라워 데스 스톰!”
* 플라워 데스 스톰 - 플라워 스톰의 흑화 버전. 죽음의 꽃의 모양이 연상되는 형태로 상대를 가두어 공격한다.

2.2.15. 바르사 로탄

파일:화면 캡처 2024-06-07 001259.png
형식번호 TSP-B-???
이름 바르사 로탄(Barca Lotan)
플레이어
타입 특수형(Hybrid)
속성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clearfix]
로탄의 진화형 탑스피너.
“필살, 어둠의 대폭풍!”
* 어둠의 대폭풍 - 대폭풍의 흑화 버전. 몰아치는 어둠의 폭풍우와 함께 상대를 덮친다.
“각오해라! 어둠의 궁극 비기, 승룡의 돌진!”
* 승룡의 돌진(☆) - 승룡의 숨결의 흑화 버전. 검은 먹구름 속에서 번개를 치며 나타나는 흑룡의 성수와 함께 탑스피너가 낙하하여 상대를 공격한다.
“비전, 암승뇌격!”
* 암승뇌격 - 질풍뇌격의 흑화 버전. 기공술을 탑스피너에게 발사해 암흑의 기운을 만들어 상대를 향해 공격한다.

2.2.16. 플라즈마 버스터

파일:화면 캡처 2024-06-07 001317.png
형식번호 TSP-B-???
이름 플라즈마 버스터(Plasma Buster)
플레이어 조커
타입 특수형(Hybrid)
속성 어둠, 번개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캐논사이보그
[clearfix]
조커의 새로운 탑스피너.

2.3. 기타 탑스피너

2.3.1. 헤비로봇

파일:화면 캡처 2023-06-12 210343.png
이름 헤비로봇(Heavyrobot)
플레이어
타입 방어형(Guard)
속성 어둠, 바람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마신
의 탑스피너.

2.3.2. 바이올라이트

이름 바이올라이트
플레이어 주리
타입 ?(?)
속성 번개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
주리의 탑스피너.[19]

2.3.3. 블랙 라이그리스

이름 블랙 라이그리스(Black Ligris)
플레이어 조커
타입 공격형(Assault)
속성 번개
회전방향 우회전
성수 호랑이
도일의 몸에 있을때의 조커의 탑스피너.

[1] 신, 도일, 제냐의 스타일이며, 지금은 도일만 사용하는 스타일이었으나 30화(BX 4화)에서 신이 오랜만에 사용했다.[2] 완구에서는 런처 스타일.[3] 로건을 포함한 작중에 등장하는 플레이어 대부분의 스타일.[4] 빌리의 스타일. 슈팅한 후에도 탑스피너를 쳐서 회전을 더할 수 있다.[5] 첸의 스타일. 슈팅 후에도 기공으로 회전을 높이거나 방향을 바꿀 수 있다.[6] 로건을 제외한 잭, 조커 등 주역 플레이어들의 스타일.[7] 예: 신 - 화이트 팽, 울프 스매시, 더블 썬더 스톰[20]. 로건 - 드래곤 파이어, 피닉스 드래곤. 도일 - 타이거 스파크, 더블 썬더 스톰[21]. 빌리 - 바이슨 런지, 파이널 익스플로전. 프랑소와즈 - 플라잉 페가수스, 팬텀 블룸.[8] 처음 시전 시에는 “코어스킬, 화이트 팽!”[9] 처음 시전 시에는 “늑대여 날아라! 울프 스매시!”[10] 라이그리스의 레이어에 울프스톰의 코어를 조합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다.[11] 울프스톰의 코어를 라이그리스의 레이어에 조합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다.[12] 초이락 홈페이지에선 'Lumiel Hawk'로 나온다.[13] 처음 시전 시에는 “코어스킬, 샤이닝 버드!”[14] 이때 상대는 숲의 휘감긴 것처럼 환영을 보게 된다.[15] 초이락 홈페이지에선 'Peru bison'으로 나온다. 이후 완구 표기로 수정됐다.[16] 초이락 홈페이지에선 'Rotan'으로 나온다. 이후 완구 표기로 수정됐다.[17] 기본, 특수, 코어스킬 등[18] BX 12화에서는 '사악한'.[19] 사실 블룸페가수스 색놀이 한 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