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20:03:34

창두 전투

창두 전투
Battle of Chamdo
昌都戰役
昌都战役
중국의 티베트 침공의 일부
파일:창두 전투.png
메콩강을 건너는 중국 인민해방군 병사들의 모습
날짜
1950년 10월 6일 ~ 1950년 10월 24일
장소
티베트 창두시
교전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류보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장궈화|]]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판밍|]]
아푀 아왕 직메
키춘 다로니
전력
병사 약 4만 명병사 약 8천 명
결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승리
피해규모
114명 사상
3,000명 이상 전사
180명 사상
5,000명 포로

1. 개요2. 배경3. 진행4. 결과5.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창두 전투(昌都战役)는 1950년 10월 6일부터 10월 24일까지 중국 인민해방군이 티베트의 창두(현재 티베트 자치구의 일부)를 점령함으로서 티베트군의 상당수가 포로로 잡히거나 궤멸되었고, 티베트는 더 이상 유의미한 군사적 저항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최종적으로 이는 티베트의 17개조 협의 수용으로 귀결되었다.

2. 배경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새로 구성된 중국 정부는 티베트를 중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며 통합 정책을 추진했다. 당시 티베트는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국제적으로는 독립국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중국은 티베트를 재통합하려는 야망을 드러냈고, 티베트 지도부는 국제사회의 도움을 요청했지만 실질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다. 1950년 6월, 중국은 티베트에 "평화적 협상"을 제안했지만, 티베트 지도부가 이를 거부하면서 중국은 전쟁으로 티베트를 합병하기로 결정한다.

3. 진행

수개월에 걸친 협상 끝에, 티베트는 외국의 지원과 보호를 시도했다. 그러나 라싸 측이 여전히 논의 중일 때, 1950년 10월 7일, 중국 인민해방군은 강주 서부와 서강성 관할 동부를 가로지르는 경계선인 진사강을 넘어서 강주 서부로 진입했다. 이번 작전의 목표는 티베트 전역을 점령하는 것이 아니라, 창두를 점령하고, 티베트의 협상 여건을 강제적으로 조성하는 것이었다.

10월 6일부터 7일까지 해방군은 진사강을 건너 강주 서부로 진입했다. 인민군은 원거리 대우회 작전으로 북쪽 부대를 이끌어, 덩커에서 진사강을 건넌 후 북쪽으로 유수 근처에서 청해 기병 부대와 접촉했다. 이 부대는 고원에서 세 개의 성과 지역을 가로지르며, 14일 동안 약 750킬로미터를 행군했다. 험난한 산지와 여러 강을 넘으며,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고, 목표 시간 내에 강주 서쪽의 '오로구' 지역에 도달하여 대우회 포위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북선 중로 주요 공격 부대는 덩커에서 강을 건널 때 티베트 군의 저항 없이 직접 창두를 향해 돌진했다. 그러나 북쪽 부대는 덱, 강토에서 강을 건너던 중 티베트 군의 저지와 추격을 받았다. 해방군은 이를 추격하며 대규모 티베트 군을 격파하고, 이후 창두를 향해 계속 진격했다.

남쪽 부대는 바탕 북서쪽 송와, 카메이 지역에서 강을 건너던 중 강한 저항을 받았고, 많은 인명 피해가 있었지만 빠르게 강을 건넌 후 진군을 이어갔다. 남선의 제53사단 제157연대는 티베트 군의 거의 전부 섬멸하며 성공적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12일 남방군이 망강을 점령하자 티베트군 9대 벵게상왕퇴(Benge Sang Wangdui)가 봉기를 주도했다. 16일에는 남북의 두 공격군이 1단계 작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남부 전선의 티베트군 주력군을 괴멸시켰다.

티베트 군의 대신 본무차, 풀롱바 자바츠린 등은 험난한 지형과 방어진지를 이용해 결사적으로 저항했으며, 해방군은 이들과 20여 차례 전투를 벌였다. 결국 해방군은 티베트 군의 저항을 무너뜨리고, 정치적 압박을 통해 10월 11일 티베트 군 제9대 본 그샹왕두이가 가모응굴추 강에서 항복을 선언하게 만들었다. 운남의 126연대가 출동해 민병과 승병, 일부 티베트 군을 처치하고 염정 등 지역을 점령했다.

창두를 점령한 후, 해방군은 목표를 달성했다고 판단하여 공격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투항한 창두 총관 아페이에게 라싸로 가서 중앙인민정부의 요구 사항을 수용하라고 요구했다. 티베트 군의 전투 포로들은 좋은 대우를 받았다. 해방군은 그들의 무기를 압수한 후, 공산주의 사상에 대한 강의를 하고, 소액의 돈을 지급한 뒤 모두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4. 결과

창두 전투 이후 티베트 지도부는 중국과 협상에 나섰고, 1951년 5월 "17개조 협의"를 체결했다. 이 협의는 티베트의 자치를 보장하는 조건으로 중국의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티베트 망명정부에서는 협의가 강압적으로 이루어진것으로 본다. 티베트 내부에서는 중국의 통치에 대한 저항과 불만이 계속 이어졌고, 이는 1959년 티베트 봉기로 이어졌다.

5. 관련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