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2:51:45

채은성/선수 경력/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채은성/선수 경력|채은성/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FC4E00> 파일:SILVER STAR.png 관련 문서
채은성
Chae Eun-se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순천효천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15~2016).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LG Twins
2009년 · 2010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23년 · 2024년 · 2025년
기타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노채안 · 분류
}}}}}}}}} ||
채은성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4년 2025년 2026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 개요2. 시즌 전
2.1. 스프링캠프2.2. 시범경기
3. 정규시즌
3.1. 전반기
3.1.1. 3월3.1.2. 4월3.1.3. 5월3.1.4. 6월3.1.5. 7월
3.2. 후반기
3.2.1. 7월3.2.2. 8월3.2.3. 9월
4. 포스트시즌5. 시즌 후 총평6. 시즌 후7. 관련 문서

1. 개요

2025년 한화 이글스 소속 외야수 채은성의 활약상을 담은 개별 문서.

2. 시즌 전

주장직을 계속 맡는다.

2.1. 스프링캠프

2.2. 시범경기

파일:채은성2025-시범.jpg
시범경기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8 20 5 3 0 0 4 1 4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결승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1 0 1 0 1 .250 .261 .400 .661

3월 11일 SSG 랜더스와의 연습경기 2차전에서 5번 1루수로 나와 2루타 포함 3타수 2안타를 기록하였다. 이로써 시범경기 0할 타율이 깨지게 되었다.
이후로 타격감이 점차 올라갔고 3월 14일 선취점을 내는 2루타를 때려냈다.

3. 정규시즌

3.1. 전반기

3.1.1. 3월

파일:채은성2025-3월.jpg
3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8 25 6 3 0 0 1 0 4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2 1 1 0 .240 .321 .360 .681 -0.05

3월 22일 kt wiz와의 시즌 개막전에서 5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3타수 1안타를 기록하였다.
3월 29일 KIA 타이거즈와의 시즌 2차전 경기에서 5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하여 3타수 2안타 1타점으로 시즌 첫 멀티히트를 신고했다.

3.1.2. 4월

파일:채은성2025-4월.jpg
4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00

타율이 1할대까지 추락할 정도로 타격감이 나쁘다.
4월 5일, 사인 미스로 인하여 문현빈으로 교체되었다.[1]
4월 8일, 잠실 두산전에서 타격감이 여전히 나쁜데도 4번타자로 나와 5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특이한 것은 그럼에도 공을 오래보지 않았다는 것인데 첫번째 타석 2구 땅볼, 2번째 타석 초구 플라이, 3번째 타석 2구 안타, 4번째 타석 주자 1사 2,3루의 역전 기회 2구 짧은 외야 플라이, 마지막 타석에선 초구 플라이를 쳤다. 5타석동안 총 8개 공을 던지게 하며 그의 연봉과 위치(주장)에 걸맞지 않는 처참한 플레이를 보여줬다. 덤으로, 11회말 1사 1루 상황 조수행의 드래그 번트때 충분히 아웃을 노려볼 수 있는 타구에 파울을 예상하며 공을 흘리는 실책성 수비를 보여주며, 팀의 끝내기 패배에 지대한 공을 세웠다.[2] 유튜브와 인스타 댓글에서 채은성에 대한 비판이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4월 9일 잠실 두산전에서 2회 송구 실책에 가담하며 또 욕을 먹었지만 마지막타석에서 중견수 앞 2루타를 때려냈다.
4월 10일도 2루타를 때려냈다.
4월 13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시즌 3차전에서 6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5타수 3안타 1타점을 기록하며 타격감이 살아나는 조짐을 보였다. 플로리얼과 함께 6경기 연속 안타를 완성했고, 시즌 타율은 0.242까지 끌어올렸다.
4월15일 SSG 랜더스와의 1차전에서 3타수 무안타로 침묵하였고 거기다 9회말에 평범하게 잡을 수 있는 타구를 놓치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4월 16일 SSG 랜더스와의 시즌 2차전에서 홈런 포함 4타수 3안타 2타점 2득점을 기록하며 타격감이 점점 올라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3.1.3. 5월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5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00

3.1.4. 6월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6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00

3.1.5. 7월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7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00

3.2. 후반기

3.2.1. 7월

3.2.2. 8월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8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00

3.2.3. 9월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9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00

4. 포스트시즌[필요시]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포스트시즌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결승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0 0 0 0 0 .000 .000 .000 .000

5. 시즌 후 총평

2025 시즌 최종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0 0 0 0 0
<rowcolor=#fff> 홈런 타점 득점 삼진 볼넷
0 0 0 0 0
<rowcolor=#fff> 사구 병살타 도루 wRC+ WPA
0 0 0 00.0 0.00
<rowcolor=#fff>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00 .000 .000 .000 0.00
시즌 5위 이상 기록 볼드체 표기

6. 시즌 후

7. 관련 문서


[1] 이후 문현빈이 프로 데뷔 후 첫 연타석 홈런을 날리며 역전승의 주역이 되었다.[2] 2아웃 상황에서 김기연이 끝내기를 친 것이기에 결과적으로 번트아웃만 잡았더라면 이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을 것이다. 주장의 허술한 수비가 괜히 1무를 1패로 바꾸고 만 것.[필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