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19:05:20

천 갑옷


1. 개요2. 왜 천으로 갑옷을 만들었을까? 3. 역사적 천 갑옷들4. 창작물에서

1. 개요

으로 만들어진 갑옷.

말도 안되는 소리인 것처럼 보이지만 엄연히 실존했고, 흔히 생각하는 가죽 갑옷보다도 널리 쓰였던 갑옷이며 방호력도 무게에 비해서 어느정도 있던 물건이었다.

2. 왜 천으로 갑옷을 만들었을까?

천은 재질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금속제 도검 등에는 쉽게 절단당하고, 심지어는 날카로운 돌부리에도 쉽게 찢어져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물건으로, 도저히 창날과 도끼날이 번쩍이는 전장에서 쓰이기는 힘들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갑옷이 의복의 연장임을 고려할 때, 최초의 갑옷이 더 단단한 무엇으로 이곳저곳을 보강한 일반 의복이었음을 유추해내기는 어렵지 않다. 선사시대에 동물 가죽을 좀 더 둘러쓴 수준의 갑옷이 있었듯이, 천옷이 등장한 이후에도 같은 시도가 있었던 것이다.

건조시킨 풀에서 추출한 섬유질이나, 혹은 기르는 가축의 털을 모아 짠 모직 재질은 한 겹으로는 흐느적거리는 천조각에 지나지 않지만 그 천조각 하나로도 아주 약한 수준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것이 몇 번이고 접히고 겹쳐져 일정 이상의 두께가 되면 돌칼이나 무딘 청동검, 심지어 충분히 잘 만들어진 누비 갑옷펄션이나 메서도 막아내고 인장력이 강해 화살 방어에도 도움이 되는 유용한 방어구로 변하는데, 가죽과는 달리 생산 가격이나 유지/보수 비용이 상당히 저렴하다.

그러나 단점도 당연히 존재하는데, 금속갑옷(특히 체인메일)에 오염으로 인한 문제가 있다면 천 갑옷은 오염으로 인한 부패에 취약하다. 전장에서 땀과 피, 진흙, 분뇨(전장에 끌려간 각종 동물들의 것이나, 혹은 착용자 자신의 것)을 한껏 뒤집어쓴 천 갑옷은 오래지 않아 썩은내를 풍기며 부패하기 시작한다. 물론 여러 겹으로 되어 있으므로 약한 오염의 경우 외부를 털어내거나 최악의 경우 외피를 분리 및 교체할 수도 있겠지만 베어들기 시작하면 밑도 끝도 없다. 이쯤되면 해당 부분을 도려내고 새로 리넨을 붙이는게 나을 정도. 게다가 물을 먹으면 무거워지고, 가죽이나 금속 재질의 갑옷에 비해 불에도 훨씬 약하며, 다른 공격은 비교적 막아낼 수 있다하더라도, 철제 창이나 검으로 찌르는 공격에는 취약했다.

그렇다고 해서 시대에 따라 천 갑옷이 완전히 사라졌느냐 하면, 그렇지는 않다. 월등히 저렴한 가격과 화살에 대한 뛰어난 방호력으로 누비 갑옷이라는 형태로 천 갑옷은 화약무기 도래 이후 갑옷 자체가 몰락하는 시기까지 살아남았으며, 부유한 기사더라도 금속갑옷 특유의 단점[1]을 보완하기위해 필수적으로 누비 갑옷을 착용했고, 찰갑이나 두정갑의 경우 금속 갑옷의 단점을 보완하면서[2] 철편을 달기위한 재료로 대부분 천 갑옷을 사용했다. 금속과 천은 서로 부족한 부분을 훌륭히 보강해줄 수 있었다. 또한 경제적 문제도 있었는데, 우선 천을 구하는 것은 동물 가죽을 구해 무두질하는 것이나 땅 속의 광석을 캐내어 정련하고 단조하는데 비해 비교할 수 없이 쉬웠으며, 따라서 가격도 비교할 수 없이 쌌다. 전장에 참여하는, 혹은 끌려가는 사람들 중 돈이 없는 자들은 제대로 된 갑옷이 없으면 어쩔 수 없이 천 갑옷이라도 장만해 입어야만 했으며 수요가 존재하는 한, 항상 공급도 존재했다.

천 갑옷이라는 개념은 강철 갑옷마저도 손쉽게 뚫어버리는 근대식 의 등장 이후에도 한동안은 테르시오와 같은 편제의 존재로 인해, 그리고 16세기 경에 이르러선 방탄복 개념이 도입되며 명줄을 이어갔고, 천 갑옷의 후예인 방탄복21세기 전장에서 도자기플레이트 아머와 함께 어떻게든 살아남아있다. 튼튼한 합성 유리섬유로 된 천을 여러 겹 겹치고, 경화수지를 부어 굳힌 방탄모는 2021년 현재도 예비군 훈련에서 지겹도록 볼 수 있으며 이런 합성섬유와 세라믹 재질의 방탄판은 수많은 군인의 목숨을 구하고 있다.

3. 역사적 천 갑옷들

4. 창작물에서


[1] 판금갑 등장 이후 상당히 보완되긴 하였으나 화살에 의한 관통 공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사슬갑옷은 둔기 공격 시 사슬이 벌어지면서 착용자에게 2차 타격을 줄 수 있다.[2] 대표적으로 내한성이 나쁘고, 쇠독이 있을 수 있으며, 장기간 착용시 짓물림, 파손시 몸에 박힐 위험성 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