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2:20:23

초소형군집위성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04040,#ffffff><colcolor=#ffffff,#000000> 2025년 아리랑 6, 7호 · 차세대중형위성 2,4호 · 차세대중형위성 3호누리호 4차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1호누리호 4차 · 425 정찰위성 4, 5호 · 스페이스아이-티
2026년 초소형군집위성 2~6호누리호 5차 · 6G저궤도통신위성1기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2호누리호 5차
2027년 천리안 3호 · 자료중계위성 · 차세대소형위성 3호(우리별 1호 수거) 누리호 6차 · 초소형군집위성 7~11호누리호 6차 · 차세대중형위성 5호 · KPS위성 1호기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3호누리호 6차
2028년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1호누리호
2029년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2호누리호 · 천리안 4호 · 6G저궤도통신위성3기누리호
2030년 KSLV-III 시험발사 · 항법(경사)위성 1호기 · KSLV-s · 1m급 우주망원경 · 우주환경탐사선 ·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3호누리호 · 달 궤도 투입 성능검증위성KSLV-III
2031년 달 연착륙 검증선KSLV-III
2032년 한국형 달 착륙선KSLV-III
2035년 한국형 화성 궤도선KSLV-III · KPS 구축 완료 · L4 탐사선 · ISRU기반 달기지 건설 시작 · KPS 위성 2~8호기
2040년 우주망원경 · 정지궤도/유인 발사장
2045년 한국형 화성 착륙선
2050년 한국형 유인 수송 발사체
관련 틀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대한민국의 로켓
관련 문서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우리별 위성 1호('92) · 2호('93) · 3호('99)
무궁화 위성 1호('95) · 2호('96) · 3호('99) · 5호('06) · 5A호('17) · 6호올레 1호('10) · 7호('17) · 6A호('24)
아리랑 위성 1호('99) · 2호('06) · 3호('12) · 3A호('15) · 5호('13) · 6호('24)* · 7호('23)* · 7A호('24)* · 8호('27)* · 9호('28)*
천리안 위성 1호('10) · 2A호('18) · 2B호('20) · 3호('27)* · 5호('31)*
과학기술위성 1호('03) · 2A호('09) · 2B호('10) · 나로과학위성('13) · 3호('13)
차세대소형위성 1호('18) · 2호('23) · 3호('27)*
차세대중형위성 1호('21) · 2호('25)* · 3호('25)* · 4호('25)* · 5호('25)* · 6호('25)*
군사통신위성 ANASIS-I무궁화 5호('06) · ANASIS-II('20)
정찰위성 1호('23) · 2호, 3호('24)* · 4호, 5호('25)*
초소형군집위성 1호('24)* · 2호~6호('26)* · 7호~11호('27)*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1호(28)* · 2호(29)* · 3호(30)*
6G저궤도통신위성 1호(27)* · 2호(29)*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1호(25)* · 2호(26)* · 3호(27)*
달 궤도선 다누리('22) ·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30)*
화성 궤도선 한국형 화성 궤도선(35)*
큐브위성 도요샛('23)
KPS위성 1호(27)* · 2~8호(~35)*
차세대대형정찰위성 1~12호(425정찰위성사업 이후)*
기타 누리호 성능검증위성('22)
취소선: 발사 실패 / : 교신 두절 / *: 임무 예정
관련 틀 : 대한민국의 로켓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파일:초소형군집위성 그래픽 이미지1.png
초소형군집위성
New-space Earth Observation Satellite(NEONSAT)

1. 개요2. 개발 및 발사
2.1. 초소형군집위성 1호2.2. 초소형군집위성 2~6호2.3. 초소형군집위성 7~11호

[clearfix]

1. 개요

초소형군집위성(NEONSAT)은 국가안보 및 재난, 재해 대응을 위해 일일 3회 이상의 한반도 영상정보 확보를 목표로 하는 100kg 미만 급 초소형 위성이다.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가 개발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가정보원이 개발을 지원한다. 임무수명은 3년, 임무궤도는 고도 400~500km 태양동기궤도이며, 흑백 1m, 컬러 4m 해상도의 영상촬영이 가능한 전자광학카메라가 탑재된다. 2027년까지 총 11기를 발사예정이다.

2. 개발 및 발사

2.1. 초소형군집위성 1호

초소형군집위성(NEONSAT) 1호 임무 영상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초소형군집위성 시리즈의 시제기 개념으로 개발되었다. ITAR-Free 위성이다.

한국시간 2024년 4월 24일 07시 32분 경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로켓 랩일렉트론 발사체로 발사되었으며, 발사 후 6개월간 영상 검보정 등 초기운영 진행한 후 본격적인 임무를 시작했다.

2024년 11월 7일, 우주항공청은 초소형군집위성 1호로 촬영한 영상샘플을 공개했다.#

2.2. 초소형군집위성 2~6호

2026년 누리호 5차 발사를 통해 발사될 예정이다.

2.3. 초소형군집위성 7~11호

2027년 누리호 6차발사를 통해 발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