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우리별 위성 | 1호('92)† · 2호('93)† · 3호('99)† |
무궁화 위성 | 1호('95)† · 2호('96) · 3호('99) · 5호('06) · 5A호('17) · 6호올레 1호('10) · 7호('17) · 6A호('24) | |
아리랑 위성 | 1호('99)† · 2호('06) · 3호('12) · 3A호('15) · 5호('13) · 6호('24)* · 7호('23)* · 7A호('24)* · 8호('27)* · 9호('28)* | |
천리안 위성 | 1호('10) · 2A호('18) · 2B호('20) · 3호('27)* · 5호('31)* | |
과학기술위성 | 1호('03)† · | |
차세대소형위성 | 1호('18) · 2호('23) · 3호('27)* | |
차세대중형위성 | 1호('21) · 2호('25)* · 3호('25)* · 4호('25)* · 5호('25)* · 6호('25)* | |
군사통신위성 | ANASIS-I무궁화 5호('06) · ANASIS-II('20) | |
정찰위성 | 1호('23) · 2호, 3호('24)* · 4호, 5호('25)* | |
초소형군집위성 | 1호('24)* · 2호~6호('26)* · 7호~11호('27)* | |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 1호(28)* · 2호(29)* · 3호(30)* | |
6G저궤도통신위성 | 1호(27)* · 2호(29)* |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 1호(25)* · 2호(26)* · 3호(27)* | |
달 궤도선 | 다누리('22) ·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30)* | |
화성 궤도선 | 한국형 화성 궤도선(35)* | |
큐브위성 | 도요샛('23) | |
KPS위성 | 1호(27)* · 2~8호(~35)* | |
차세대대형정찰위성 | 1~12호(425정찰위성사업 이후)* | |
기타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22) | |
※ | ||
관련 틀 : 대한민국의 로켓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404040,#ffffff><colcolor=#ffffff,#000000> 2023년 | 한빛-TLV 시험발사 · 차세대소형위성 2호 · 도요샛 누리호 3차 · 고체연료 로켓 시험 발사3차 · 425 정찰위성 1호 |
2024년 | 아리랑 6, 7호 · 425 정찰위성 2호 · 425 정찰위성 3호 | |
2025년 | 차세대중형위성 2,4호 · 차세대중형위성 3호누리호 4차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1호누리호 4차 · 425 정찰위성 4, 5호 · 스페이스아이-티 | |
2026년 | 초소형군집위성 2~6호누리호 5차 · 6G저궤도통신위성1기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2호누리호 5차 | |
2027년 | 천리안 3호 · 자료중계위성 · 차세대소형위성 3호(우리별 1호 수거) 누리호 6차 · 초소형군집위성 7~11호누리호 6차 · 차세대중형위성 5호 · KPS위성 1호기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3호누리호 6차 | |
2028년 |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1호누리호 | |
2029년 |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2호누리호 · 천리안 4호 · 6G저궤도통신위성3기누리호 | |
2030년 | KSLV-III 시험발사 · 항법(경사)위성 1호기 · KSLV-s · 1m급 우주망원경 · 우주환경탐사선 ·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3호누리호 · 달 궤도 투입 성능검증위성KSLV-III | |
2031년 | 달 연착륙 검증선KSLV-III | |
2032년 | 한국형 달 착륙선KSLV-III | |
2035년 | 한국형 화성 궤도선KSLV-III · KPS 구축 완료 · L4 탐사선 · ISRU기반 달기지 건설 시작 · KPS 위성 2~8호기 | |
2040년 | 우주망원경 · 정지궤도/유인 발사장 | |
2045년 | 한국형 화성 착륙선 | |
2050년 | 한국형 유인 수송 발사체 | |
관련 틀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대한민국의 로켓 관련 문서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 | }}}}}}}}} |
1. 개요
차세대중형위성 |
2. 차세대중형위성 1단계 사업
1단계 개발사업(1호 및 2호)은 2015년부터 2021년까지 2기의 지상정밀 관측을 위한 광학위성을 개발하며 소유즈 발사체를 이용하여,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발사장에서 발사된다.대한민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차세대중형위성 1·2호(1단계)는 고해상도(흑백 0.5m급, 컬러 2.0m급)의 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한 국산 중형위성의 표준 모델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2호는 고도 497.8km의 태양동기원궤도가 임무궤도이고, 중량 500kg내외, 임무수명은 4년이다. 탑재체는 관측폭 12km, 1Tbits 영상저장용량 및 640Mbps 전송속도를 가진다. 2호는 1호와 같은 궤도에서 1호 대비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운영될 예정이다.
2.1. 차세대중형위성 1호
<colbgcolor=#0047a0><colcolor=#ffffff> 차세대중형위성 1호 (CAS500-1) | |||||||||
관리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계약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발사일 | 2021년 3월 22일 | ||||||||
발사체 | 소유즈 2.1a/Fregat-M | ||||||||
발사 장소 |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31/6 | ||||||||
임무 기간 | 4년 | ||||||||
우주선 정보 | |||||||||
중량 | ~500 kg | ||||||||
궤도 정보 | |||||||||
궤도 | 태양동기궤도 | ||||||||
궤도 고도 | 498 km |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내 산업체의 연구인력과 공동설계팀을 구성하여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개발함으로써 국내 산업체에 위성 개발기술을 이전하고 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 위성체 총조립을 완료하고, 환경시험을 준비 중이며,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은 차세대중형위성 2호 위성체 조립을 진행 중이다. 1호는 2020년, 2호는 2021년에 발사될 계획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 열진공시험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임철호 항우연 원장은 2021년 신년사를 통해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2021년 3월 20일에 발사될 것을 밝혔다.#
- 2021년 3월 20일 러시아 우주 당국이 로켓발사 20분을 앞두고 상단 엔진에 문제를 발견하여 발사를 중단했다. 경미한 문제였는지 2021년 3월 22일 같은 시각에 발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탑재한 소유즈 2.1a 발사 생중계 |
- 3월 22일 오후 3시 7분 발사에 성공했다. 발사 초까지는 발사 장면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후 날씨 문제로 인해 영상 및 육안으로 관찰이 불가능했는지 영상은 그래픽으로 대체됐다.
- 3월 22일 발사 102분 후 노르웨이 스발바르(Svalbard)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 성공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차세대중형위성 1호의 본체 시스템 등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고, 발사체를 통해 도달하는 최초의 타원궤도 (근지점(484km), 원지점(508km)을 형성)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을 확인했다.
- '국토위성 1호'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듯하다. 2021년 12월 27일, 국토위성 1호가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이 국토정보플랫폼을 통해 일반에게 공개됐다.#
미션 경과 시간 | 초 | 이벤트 |
T+00:00:00 | 000.00 | Liftoff |
T+00:01:57.77 | 117.77 | The 1st stage separation |
T+00:04:47.77 | 287.53 | The 2nd stage separation |
T+00:04:49.09 | 289.09 | Tail section separation |
T+00:04:50.23 | 290.23 | Fairing jettision |
T+00:08:45.40 | 525.40 | The 3rd stage main engine cutoff |
T+00:08:48.70 | 528.70 | Orbital block separation |
2.2. 차세대중형위성 2호
- 차세대중형위성 2호는 1호의 복제위성으로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이 주관하여 2022년에 발사될 계획이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에서의 발사가 무산되었다. 2025년 스페이스X의 팰컨 9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3.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사업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사업은 1단계 사업을 통해 확보된 500㎏급 표준 플랫폼을 활용하여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우주과학연구·농산림·수자원 감시 등을 위한 3기의 위성을 국산화 개발하는 사업이다.3.1. 차세대중형위성 3호
- 차세대중형위성3호는 우주과학 및 기술검증을 목적으로 하며, 2025년 누리호를 통해 발사 예정이다.
3.2. 차세대중형위성 4호
- 차세대중형위성 4호는 광역농림상황관측용도로 사용되며, 고도 900km에서 활동하며, 5m급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임무수명은 5년 이상이다. 2025년 스페이스X의 팰컨 9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3.3. 차세대중형위성 5호
- 차세대중형위성 5호는 수자원 관측용도로 사용되며, 고도 505km에서 활동하며 10m급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임무수명은 4년 이상이다. 2025년 발사 예정
[1] 이들 위성은 주로 과학, 관측, 연구, 정찰 등 특수 목적의 관용이며, 초기에 발사된 모델들은 해외 공동개발을 통한 외국 기술에 의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