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금강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C 다이노스 등번호 66번 | ||||
팀 창단 | → | <colbgcolor=#af917b> 최금강 (2012~2018) | → | 김시훈 (2019) | |
전사민 (2020~2020.6.7.) | → | 최금강 (2020.8.29.~2021) | → | 한건희 (2022~2023) |
| |
최금강 崔今康 | Choi Keum-Kang | |
출생 | 1989년 4월 26일 ([age(1989-04-26)]세) |
인천광역시 동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서흥초 - 동산중 - 인천고 - 인하대 |
신체 | 195cm, 95kg, O형[1]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2년 신고선수 (NC)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12~2021) 파주 챌린저스 (2021) |
지도자 | 물금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2~)[2] |
해설위원 | MBC경남 야구 해설위원 (2024~) |
병역 |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 (2018년 10월 22일 ~ 2020년 8월 28일) |
가족 | 아내, 자녀 2명 |
[clearfix]
1. 개요
前 NC 다이노스, 파주 챌린저스 소속의 우완 투수. 육성선수 출신 신화를 쓰며 창단 초기 NC 필승조의 한 축을 담당했다. 이후에도 불펜과 선발을 오가며 맹활약한 사실상 NC 다이노스의 원클럽맨이다.2. 선수 경력
최금강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 최금강/선수 경력 | ||||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군 복무 | 2020년 | 2021년 |
아마추어 시절 |
3. 지도자 경력
2022년 경남도민일보 신문 기사에서 물금고등학교 야구부의 코치로 합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2023년에 물금고가 청룡기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오랜만에 그의 이름이 스포츠 지면에 올라왔다.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에 정식으로 등록된 것은 2024년이 되어서였다.4. 해설자 경력
위에 적혀 있는 야구 코치와 더불어, 2024년부터는 NC 다이노스 홈 경기를 중계하는 MBC경남 야구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5. 피칭 스타일
|
슬라이더-슬라이더-커브로 전준우를 잡아내는 최금강[3] |
2016 시즌 한화와의 벤치클리어링 후 정근우에 던진 사구나 2017년 플레이오프에서 김재호가 대놓고 화를 냈던 사구 등 연이어 빈볼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물론 벤치에서 시킨 것이 아니라면 사구가 고의였는지 실수였는지는 본인 만이 알 일. 애초에 제구가 뛰어난 투수가 아니며, 투심 패스트볼을 자주 구사하다보니 손에서 빠진다 싶으면 몸에 맞는 공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6. 별명
- NC 팬들 사이에서 가장 유명한 애칭은 낑깡. 2015년 LA 스프링캠프때 미국 대학야구팀과 경기 중 현지 중계를 하던 캐스터가 금강(keum kang)을 발음하지 못하여 끼..낑깡 초이! 라고 말하면서 붙여졌다.[4]
- 이름에서 딴 금강불괴라는 별명도 있다. 2015-2017 세 시즌동안 팀을 위해 엄청나게 많은 투구를 하면서 NC 마운드를 지켰던 최금강에게 붙여진 닉네임. 2017년 인터뷰에서 최금강은 "금강불괴, 노예 등등 별명이 많았는데 금강불괴는 굉장히 좋은 뜻이잖아요." 라며 "누군지 몰라도 처음 그 별명 지어주신 분께 감사해요. 그 별명처럼 무너지지 말고 잘 버텨야죠. 계속 실패하고 얻어맞고 하면 금강불괴가 안 되잖아요? 별명처럼 될 수 있게 온 힘을 다하겠습니다. 진정한 금강불괴의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라 말했다.
- 그의 많은 등판 경기와 이닝 소화[5]를 빗대어 2015 시즌쯤 붙여진 노예라는 별명도 있었다.[6] 당시 최금강은 "팀도 잘 하고 있으니 좋게 들린다, 솔직히 말하면 계속해서 더 던지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라디오볼 인터뷰[7]에서도 그만큼 많이 시합에 나가고, 팀을 위해 궂은 일을 한다는 의미인거 같아서 좋은 것 같다고 긍정적으로 대답했다.
7. 여담
- 앞서 언급되었듯 NC 다이노스의 초석을 다졌던 창단 멤버이다. 나성범, 박민우, 노진혁, 강진성, 김진성, 원종현 등과 함께 이른바 '강진 캠프' 시절부터 함께 구슬땀을 흘렸다. 하지만 2020년 8월 사회복무요원 소집 해제 후 몸상태를 끌어올리다 부상을 입으며 아쉽게 2020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는 들지 못했다. 이 역시 구속과 페이스가 생각보다 빨리 올라오지 않아 답답합에 혼자 훈련을 하다가 무리를 하면서 부상당한 것.#
- 키가 커서(195cm)[8] 왠지 파이어볼러의 이미지가 있지만 실제 패스트볼 구속은 138~142km/h에 그친다. 사실 과거에는 완전히 오버스로우로 던지며 구속이 149km/h까지도 찍었었지만# 제구가 흩날리자 이를 바로잡기 위해 최일언 당시 투수코치가 팔각도를 쓰리쿼터로 수정하고 구속이 내려갔다.#
- 2015년 스프링캠프 당시 기사에 따르면 야간에 따로 추가로 훈련하면서 최일언에게 원포인트 레슨을 꾸준히 받았다고 한다. 이 때 기사에 함께 언급된 선수들에는 임정호와 강장산이 있다.
- 어릴 때부터 다르빗슈 유의 팬이었다. 던지는 메커니즘이 부드럽고 많은 변화구 구종을 던져서 좋아했고, 다르빗슈처럼 던져보는 게 꿈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NC 입단 후에는 손민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9] 2015 시즌 초반 부진에 빠져 힘들어할 때 격려의 말도 많이 해주고 훈련할 때도 다른 선수들보다 더 많이 본인에게 조언해주셨다며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
- 등번호는 데뷔한 이래 계속 66번을 사용 중으로, 최금강이 입대한 후 김시훈과 전사민이 잠시 사용했으나 전사민까지 입대함에 따라 결번이 되었다가 최금강이 전역하면서 다시 원래 주인에게로 돌아갔다.
- 유명 온라인 야구게임 마구마구 유저이다. 마구마구의 유명한 랭커 BJ인 조무사의 방송에 하이엔드 양키스 유저로 간간히 모습을 비췄으며, 수준급 실력을 지녔다고 평가받는 조무사[10]를 이기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실력 역시 상당하다. 최근에는 잡올[11]로 갈아탔는데, 선수덱 수준을 봐서는 몇백만원 정도는 가뿐히 과금했을거라 추정된다.
- 최강야구 2023시즌 트라이아웃에 참가했다.
8.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2013 | NC | 30 | 33⅔ | 0 | 2 | 0 | 4 | 0.000 | 4.28 | 32 | 0 | 24 | 33 | 17 | 16 | 1.55 |
2014 | 4 | 5 | 0 | 0 | 0 | 0 | 0.000 | 9.00 | 9 | 0 | 2 | 4 | 5 | 5 | 2.20 | |
2015 | 78 (2위) | 89⅔ | 6 | 5 | 1 | 14 | 0.545 | 3.71 | 77 | 11 | 48 | 61 | 40 | 37 | 1.27 | |
2016 | 52 | 108 | 11 | 4 | 2 | 4 | 0.733 | 5.00 | 123 | 13 | 44 | 84 | 65 | 60 | 1.47 | |
2017 | 39 | 89⅔ | 5 | 3 | 0 | 0 | 0.625 | 7.33 | 111 | 15 | 56 | 51 | 79 | 73 | 1.62 | |
2018 | 19 | 37⅓ | 0 | 1 | 0 | 1 | 0.000 | 8.44 | 51 | 8 | 24 | 18 | 36 | 35 | 1.96 | |
2019 | 군 복무(사회복무요원) | |||||||||||||||
2020 | ||||||||||||||||
2021 | 20 | 28 | 2 | 1 | 1 | 0 | 0.300 | 4.50 | 29 | 4 | 19 | 25 | 14 | 14 | 1.64 | |
KBO 통산 (7시즌) | 242 | 391⅓ | 24 | 16 | 4 | 23 | 0.459 | 5.52 | 432 | 51 | 207 | 276 | 256 | 240 | 1.53 |
9. 관련 문서
[1] 다음 프로필 기준[2] 정식 지도자 등록은 2024년[3] 2021년 5월 29일 DH1 사직 롯데전.[4] 엔갤에서 최초로 언급된 글 ###[5] 풀타임 첫해인 2015 시즌 리그에서 두 번째로 많은 78경기에 등판했고, 여기에 리그 불펜투수 중 4번째로 많은 89.2이닝을 던졌다. 2016 시즌에는 선발 11경기 포함 총 52경기에 등판해 데뷔 이후 최다인 108이닝을 던졌다. 선발등판이 15회 이하인 투수 중엔 장민재와 심수창 다음으로 많은 이닝을 던졌다. 2017 시즌 역시 89.2이닝을 던졌다.[6] '노예' 별명도 행복한 최금강, 그는 아직도 더 던지고 싶다[7] 클립 22:38초부터 해당 내용.[8] 중학교 2학년 때 이미 다 컸다고 한다. 어머니가 키가 큰 편이라 유전의 영향이 큰 것 같다고 말했다.[9] 많은 나이임에도 손민한이 공 던지는 것을 보면 부드러움과 투구 메커니즘에 깜짝깜짝 놀랄 때가 많았다고 말했다.[10] 마구마구에는 래더시스템이 존재하는데, 방송을 키고 래더 22연승을 하며, 최종 1위를 차지할 정도의 실력자다. 2018년 지역최강자전에 출전, 대전지역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11] 팀에 상관없이 포지션별로 최고의 선수들로 도배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