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7:35:3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7a0> 형식과학 | [[한국수학올림피아드| 한국수학올림피아드]] · [[한국정보올림피아드| 한국정보올림피아드]] · [[충북정보올림피아드| 충북정보올림피아드]](4) |
자연과학 | [[한국물리올림피아드| 한국물리올림피아드]] · [[한국화학올림피아드| 한국화학올림피아드]] ·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 (1) · [[한국생물올림피아드| 한국생물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
사회과학 | [[전국지리올림피아드| 전국지리올림피아드]] · [[한국경제올림피아드| 한국경제올림피아드]] |
인문학 | [[한국철학올림피아드| 한국철학올림피아드]] (2)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 (3) |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 대표단도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국제철학올림피아드 국내 예선과 주최는 같지만 별개의 대회임 (3)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4)대한민국 내 지역대회 |
}}}}}}}}} ||
1. 개요2. 대회 진행 과정3. 역대 순위3.1. 28회 정보올림피아드3.2. 35회 정보올림피아드3.3. 36회 정보올림피아드3.4. 37회 정보올림피아드3.5. 38회 정보올림피아드 4. 교육제공5. 여담 COI, 정확히는 충북학생정보올림피아드 라고 불리는 이 대회는 1986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24년 기준 38회이다.
충북교육정보연구원에서 개최하며,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로 나뉘어 경쟁한다. 각 학교의 규모에 따라 대표를 선발하여 약 150명 가량이 참가한다.2. 대회 진행 과정
학교 예선은 각 학교에서 진행되며, 별다른 일이 있지 않다면 15~17까지 2시간동안 진행된다. 문제는 5문제가 나오며, 부분점수가 있다.
도대회는 충북 교육정보연구원에서 진행되며, 문제는 5문제, 대회 진행시간은 38회 기준 9.30 ~ 12.30까지 총 30분간 진행된다.
11시부터 중도퇴실이 가능해지며, 대기실에서는 실시간으로 참가자들의 순위를 볼 수 있다. 심사 기준은 1. 푼 문제의 수 → 2.실행 횟수 → 실행 속도 순으로 순위가 매겨진다.3. 역대 순위
각 순위는 동상까지 기록된다.
하지만, 생각보다 역사가 있는 대회인만큼 결과가 많이 유실되어있다.3.1. 28회 정보올림피아드
3.2. 35회 정보올림피아드
3.3. 36회 정보올림피아드
3.4. 37회 정보올림피아드
3.5. 38회 정보올림피아드
4. 교육제공
최근 대회에선 상위 수상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마스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중등부 기준 1~3등 정도의 학생들은 카이스트에서 교사가 추천되어 18시간 동안 프로그래밍을 더 심화있게 알려준다. 4~6정도의 학생들은 충북과학고등학교에서 교사직을 하며 교육정보연구원영재교육원 알고리즘 B반을 담당하는 교사가 오게 된다.- 세광중의 학교예선이 빡세다고 알려져있지만, 막상 수상수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
- 초등부까지는 각 학교들이 고르게 수상하지만, 중등부만 가도 일부 학교에 수상이 몰리는 경향이 있다.
- 큰 이변이 없는 한, ITC 1실, ITC 2실, 또는 ITC 3실에서 진행된다.
- 35회 이후로 원평중학교가 유일하게 대상을 2회 수상했다.
- 28회 포함, 35회 이후로 충북과학고등학교와 충주고등학교가 대상을 포함한 4종류의 상을 모두 수상한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