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52:08

카시마시(이바라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사가현에 있는 동명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카시마시(사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사가현에 있는 동명의 도시:
카시마시(사가)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23491>
파일:이바라키현 문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청
미토시
이시오카시 이나시키시 이타코시
우시쿠시 오미타마시 카사마시 카시마시
카미스시 코가시
시모츠마시 조소시 타카하기시
치쿠세이시 츠쿠바시 츠치우라시
토리데시 나카시 나메가타시 히타치시
호코타시
반도시 모리야시 유키시 류가사키시
⬛︎ : 시행시특례시, ⬛︎ : 중핵시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023491> ||
히가시이바라키군 이나시키군
사시마군
나카군 이나시키군
도카이무라 미호무라 }}}}}}}}}



파일:Kashima(IK)_logo.png
[ruby(鹿, ruby=か)][ruby(嶋, ruby=しま)][ruby(市, ruby=し)]
카시마시 / Kashima City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카시마시(이바라키) 시기.svg 파일:카시마시(이바라키) 시장.svg
시기(市旗) 문장(紋章) }}}
기본 정보
국가 일본
지방 간토
도도부현 이바라키현
면적 106.02km²
인구 66,865명[1]
시장(市長) 니시키오리 고이치(錦織孝一;
[[무소속(정치)|
무소속
]])
시의회 (20석)
의장(議長) 시노쓰카 요조(篠塚洋三;
[[무소속(정치)|
무소속
]])
회파 미래 카시마 (10석 / 50%)
간회(幹会) (3석 / 15%)
공명 카시마 (2석 / 10%)
일본 공산당 (2석 / 10%)
무소속 (3석 / 15%)
상징
시화 해당화(ハマナス)
시목 소나무(マツ)
시조 (キ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교통3.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 이바라키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

시명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1995년 카시마정(鹿島町)이 오노촌(大野村)을 편입하면서 시제를 시행하였는데 사가현카시마시(鹿島市)가 먼저 이 한자명을 쓰고 있어서 본래의 카시마(鹿島)라는 이름으로 시제를 시행할 수 없었다. 그래서 「엔기시키진묘쵸(延喜式神名帳)」에 기록되어 있는 이체자인 [2]를 사용하여 시제를 시행하였다.

2. 교통

3.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추계인구 2021년 8월 1일 기준.[2] 한국에서는 단양군에 있는 도담삼봉, 도담역이 이 한자를 쓰고 있다.[3] 가시마 스타디움 경기날에만 정차하는 임시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