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3:17:35

크라스키노 토성

염주성에서 넘어옴

파일:발해_용머리-기단장식.png
발해
관련 문서 · 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531a2>관련 문서역사 · 계승 · 왕사 · 인물 · 우성망족 · 지리 · 경제 · 행정구역 · 문화 · 종교 · 유민 · 부흥운동
유적과 유물개심사 · 니콜라예프카 성터 · 상경용천부 · 인계리토성 · 정효공주묘 · 정혜공주묘 · 크라스키노 토성 · 발해왕릉 · 영안 흥륭사 발해석등
관련 틀발해 · 역대 국왕 · 역대 태자 · 역대 재상 · 대외관계 · 대외전쟁 · 무기 · 행정구역 · 교역로 · 고구려 유민 지도자 겸 말갈족 추장 · 부흥운동 · 부흥운동 군주 · 발해/디자인}}}}}}}}}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531a2><colbgcolor=#2531a2><colcolor=#ffd700> 크라스키노 토성
Краскинское городище | Kraskino castle
소재지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크라이 하산 크라스키노
분류 토성 / 성터
시대 삼국시대 고구려
남북국시대 발해
}}}
파일:크라스키노성.png
<colbgcolor=#2531a2> 크라스키노 토성

1. 개설2. 조사와 발굴3. 상세4. 크라스키노성과 발굴의 역사
4.1. 성이 훼손되다4.2. 1960년대 본격적으로 발굴이 시작되다4.3. 1980년대부터 2007년 이후까지
5. 여담

[clearfix]

1. 개설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크라이(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연해주) 하산지구 크라스키노 마을에 있는 고구려발해 성곽터이다. 발해 때엔 염주성(鹽州城)으로 불렀다.

성은 크라스키노 마을로부터 남동쪽으로 2∼3㎞ 떨어진 곳에 있다. 이 성은 엑스페이지치야 만의 북쪽에 위치하며, 동해 해안선과는 약 100~400m 떨어져 있다.[1]

성터는 발해 동경용원부 아래에 있는 염주(鹽州)의 중심 유적지로 인정되고 있다.[2]

크라스키노성이 있는 지역은 두만강에서 북으로 60㎞ 떨어져 있고, 중국 훈춘시[琿春]에서는 동으로 40㎞ 거리에 있다.

2. 조사와 발굴

중국에 있는 발해 유적은 중국이 허가하지 않아 한국 측의 참여가 거의 어렵지만 이 성은 다행히 현재 러시아 영토에 있다.

러시아는 한국 학자들의 유적 방문과 조사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본격적인 조사와 발굴이 1980년 러시아과학원 극동역사고고민족학연구소의 V.I.볼딘이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다.

1992년부터는 한국 발굴단이 참여하여 한러 공동발굴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기존에 크라스키노성의 연대는 8~10세기로 비정되었으나, 한러 공동발굴 이후 발해에 앞선 문화층과 고구려 시기의 유물 및 문화층이 발견되었다.

3. 상세

크라스키노성은 평면이 불규칙한 장방형이며, 성문은 북쪽과 동쪽, 남쪽에 각기 1개씩 있다. 성문에는 모두 장방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성벽의 전체 길이는 1,380m이며, 성 내부의 면적은 약 12.6ha이다. 성벽은 대부분 표토로 덮여 있으나, 성벽 능선을 따라 석축 골격이 보이는 곳도 있다. 성벽의 남아 있는 높이는 1.5~2m이다. 성벽의 정상부는 폭이 1m이며, 기저부는 10~12m이다.

4. 크라스키노성과 발굴의 역사

4.1. 성이 훼손되다

크라스키노성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서는 제정 러시아 시대인 1870년에 팔라디 카파로프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포시에트 지역의 얀치헤강 근처에 군항이 있을 가능성을 처음 제기하였다. 그러나 다음해 그는 이 성을 답사하고, 제염 저장소의 흔적이라고 잘못 판단하였다. 때문에 크라스키노성은 주목받지 못했고, 두 차례에 걸쳐 크게 훼손되기까지 했다.

한번은 19세기 말에 조선에서 이주한 한인 농민들이 성의 북쪽 부분에 농가를 세우고, 경작지로 사용하면서이다. 두 번째는 1930~50년대에 구 소련의 국경수비대가 성에서 군사훈련을 하면서 파괴되었다.

4.2. 1960년대 본격적으로 발굴이 시작되다

이후 크라스키노성의 성격이 제대로 밝혀진 것은 1960년 샤프크노프가 이곳을 조사하고부터이다. 이때 발해시대의 형식을 보이고 있는 윤제 도기 조각, 십자 모양으로 된 청동제 수식, 황갈색을 띤 녹유자기 조각, 기와 조각 등이 수습되었다.

특히 기와를 토대로 샤프크노프는 크라스키노성을 8~9세기로 편년하고, 발해 염주의 중심지라고 단정하였다.

4.3. 1980년대부터 2007년 이후까지

크라스키노성의 본격적인 발굴은 세 단계로 구분되는데, 대체로 성의 북서 부분에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1980년부터 1992년 이전까지로, 러시아과학원 극동역사고고민족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발굴이다.

발해 사원지, 금당지, 탑기단, 기와가마터, 우물, 사원지 부근의 성벽 기초, 건축지 등을 발굴하였다. 유물로는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들이 주로 발견되었는데, 1983년에는 금동불좌상, 석불좌상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때까지 성의 연대는 8~10세기로 비정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1992년부터 2006년까지이다. 1990년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를 하면서 공동 발굴이 가능해지자, 대륙연구소를 시작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구려연구재단(현 동북아역사재단) 등이 러시아측의 주도하에 발굴에 참여하였다.

파일:5b14e7fd67c5c.jpg

세 번째 단계는 2007년 이후로, 한국측이 정식 발굴단을 구성하여 러시아측과 공동발굴을 거의 매해 실시하고 있다.

파일:200861885_700.jpg

세 번째 단계의 중요 성과 가운데 하나는 고구려 관련 유물과 문화층위의 발견과 함께 마이크로자기촬영과 전기측량으로 성내 우측에서 고구려 시대의 내성 흔적을 발견한 것이다.

파일:AKR20150821082100005_01_i_99_20150821113214.jpg

2015년에는 7세기부터 발해 멸망 시까지 쌓인 토층이 발굴되었다. 발굴을 총괄한 김은국 연구위원은 "성내 북서부 지역 중 사원지와 성벽 발굴 조사지역 표토층에서 시작해 더는 유물이 나오지 않는 생토층까지 21차례에 걸쳐 최장 2m 30cm 아래까지 다듬어 간 결과 이런 성과를 얻게 됐다"고 설명했다. 토층 최하층에서는 고구려식 토기가 발견되었다.

외곽 옹성 구조와 곳곳의 치, 흙으로 쌓고 돌로 마무리 하는 토석혼축(土石混築)은 전형적인 고구려식 평저성 축조법이며, 성내 우물 윗 부분은 단면으로 원형이고, 아랫부분은 방형인 고구려식 우물로 고구려식 전통 축조술이 발해로 계승된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크라스키노성의 연대가 고구려 시대까지 올라가는 것이 확실해 졌다. 또한 기존의 건축학적 구조나 유물 연구 외에도 어업, 곡물, 어류, 동물 등 경제 및 식생활 연구에도 상당한 성과를 얻었다.

5. 여담


[1] 동쪽 가까이에는 얀치헤강이 흐르며 주변은 습지화되어 있다.[2] 인근의 얀치헤강(Янчихе)이라는 명칭은 염주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염주는 발해에서 일본으로 가는 ‘일본도’가 시작되는 교통의 요지였다. 727년부터 922년까지 발해에서 일본으로 사신이 건너간 것은 35회에 달한다. 그 중 상당수는 바로 이 지역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