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6:37:05

크리스티안 라미레스

파일:2_Cristian Leonel Ramírez Zambrano 26.png
<colbgcolor=#094422><colcolor=#fff>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No. 2
크리스티안 라미레스
Cristian Ramírez
본명 크리스티안 레오넬 라미레스 삼브라노
Cristian Leonel Ramírez Zambrano
출생 1994년 8월 12일 ([age(1994-08-12)]세)
에콰도르 산토도밍고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에콰도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에콰도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신체 172cm / 체중 78kg
포지션 레프트백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094422><colcolor=#fff> 유스 CSCyD 브라질리아 ( ~2009)
인디펜디엔테 DV (2009~2011)
선수 인디펜디엔테 DV (2011~2013)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2013~2015)
1. FC 뉘른베르크 (2014~2015/ 임대)
페렌츠바로시 TC (2015/ 임대)
페렌츠바로시 TC (2015~2016)
FC 크라스노다르 (2017~2023)
페렌츠바로시 TC (2023~2025)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25~ )
국가대표 22경기 1골 (에콰도르 / 2013~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인디펜디엔테 DV 시절2.2. 유럽 생활2.3. 국가대표 커리어
3. 수상 경력4. 같이 보기

1. 개요

에콰도르 국적의 축구선수.

2. 선수 경력

2.1. 인디펜디엔테 DV 시절

CSCyD 브라질리아에서의 좋은 성적을 바탕으로 인디펜티엔테 주제 테란과 2009년에 계약하였다. 호베르투 카를루스와 비견당할 정도로 핫한 레프트백 유망주라는 소리를 유스 시절부터 들었으며, 2011년 8월 28일 프로 데뷔에 성공하였다. 이후 2011시즌 브라질 세리 A에서 주전자리를 차지하였다. 수비뿐만아니라 공격 능력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2년에도 주전 자리를 꽤찼다.

이후 해외에서도 그에 대한 관심이 많이 쏟아졌는데 특히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입단 테스트 제의를 하였다. 이후 해리 래드냅 감독이 토트넘 핫스퍼에 있었을 때 10일짜리 입단테스트를 보기도 하였다.

2.2. 유럽 생활

이후 2013년 1월 25일에 50만 유로의 이적료에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로 이적하였다. 뒤셀도르프에서는 17경기에 출장하였다.

이후 2014-15시즌에 뉘른베르크로 반 시즌 임대를 가게 되었다. 그 후에 페렌츠바로시로 다시 반 시즌 임대를 가게 되었고, 좋은 활약을 선보인 이후에 35만 유로의 이적료로 완전이적에 성공하였다. 이후, 2016년에는 페렌츠바로시에서 헝가리 리그 우승을 하게 되었다.

2017년 1월 25일, 150만 유로의 이적료로 러시아의 크라스노다르로 이적하게 되었다. 계약기간은 4.5년.
이후 주전으로 도약하여 크라스노다르의 왼쪽 수비를 책임지고 있다.

2021년 현재 AS 모나코가 그에게 관심이 있다. 2021년 2월 겨울 휴식기에 갑자기 장기 부상을 끊으면서 크라스노다르가 그의 대체자를 급하게 구하고 있다. 무사예프 감독은 유로파리그 디나모 자그레브와의 32강 1차전 이후, 큰 부상이 아닌 것 같다는 얘기를 하였지만, 이후 라미레스를 프리미어 리그 선수명단에서 제외하면서 이 말은 블러핑인 것으로 보인다.

부상당한 동안 러시아 시민권을 취득했다. 이미 에콰도르 국가대표로 많은 경기를 뛰어서 용병 제한에 도움을 주지도 않는데 무슨 이유로 취득한 것인진 불명.

2023년 여름 페렌츠바로시로 복귀하였다.

2.3. 국가대표 커리어

2011년부터 에콰도르 U-17에 소집되어 2011 피파 U-17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후 독일, 파나마, 부르키나파소를 상대로 본인의 실력을 뽑내었다. 이후, 해외 유수의 클럽들의 과심을 받았다.

2012년 4월에는 U-20 대표팀 소집을 받아 2013년 U-20 토너먼트에도 참가할 수 있었다. 2013년 11월에는 아르헨티나와 온두라스를 상대로 한 친선경기 명단에 소집되었다. 온두라스를 상대로 교체출전하면서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다.

3. 수상 경력

페렌츠바로시 TC 소속

4.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키릴문자 성명 비고
1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톤 미트류시킨 Anton Mitryushkin Антон Митрюшкин
3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파송 Lucas Fasson Лукас Фассон
5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제르지노 니암시 Gerzino Nyamsi Жерзино Ньямси
6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바리노프 Dmitri Barinov Дмитри Баринов 주장
7 FW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에드가르 세비캰 Edgar Sevikyan Эдгар Севикян [2]
8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슬라프 사르벨리 Vladislav Sarveli Владислав Сарвели
9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피냐예프 Sergey Pinyaev Сергей Пиняев
10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보로비요프 Dmitriy Vorobyov Дмитрий Воробьёв
14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키타 살티코프 Nikita Saltykov Никита Салтыков
16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니일 베셀로프 Daniil Veselov Даниил Веселов
22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란트라토프 Ilya Lantratov Илья Лантратов
23 DF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사르 몬테스 Cesar Montes Сесар Монтес
24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네나호프 Maksim Nenakhov Максим Ненахов
27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바딤 라코프 Vadim Rakov Вадим Раков
37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라디콥스키 Dmitriy Radikovskiy Дмитрий Радиковский
4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실리야노프 Aleksandr Silyanov Александр Сильянов
59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고르 포고스트노프 Yegor Pogostnov Егор Погостнов
71 MF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나이르 티크니쟌 Nair Tiknizyan Наир Тикнизян
77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사모시니코프 Ilya Samoshnikov Илья Самошников
83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바트라코프 Aleksey Batrakov Алексей Батраков
8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모로조프 Yevgeniy Morozov Евгений Морозов
93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르툠 카르푸카스 Artyom Karpukas Артём Карпукас
94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르툠 티모페예프 Artyom Timofeyev Артём Тимофеев
99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티무르 술레이마노프 Timur Suleymanov Тимур Сулейманов
<colbgcolor=#094422> 구단 정보
감독: 미하일 갈락티오노프 / 홈 구장: RZD 아레나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9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페렌츠바로시 TC에서 임대

}}}}}}}}} ||

[1] 2021년 러시아 시민권 취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