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법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fff,#000> 태양력 | 국제고정력 · 그레고리력 · 다리우스력 · 루미력 · 마야력 · 베르베르력 · 벵골력 · 사카력 · 세계력 · 소비에트력 · 에티오피아력 · 율리우스력 · 이집트력 · 인류력 · 전례력 · 자바력 · 콥트력 · 페르시아력 · 프랑스 공화력 |
태음태양력 | 견행력 · 대연력 · 대통력 · 대한융희사년력 · 둔갑력 · 만세력 · 명시력 · 무인력 · 바빌로니아력 · 백중력 · 사분력 · 선명력 · 수시력 · 숭정력 · 시헌력 · 십정력 · 아시리아력 · 오기력 · 움마력 · 원가력 · 은력 · 인덕력 · 천세력 · 칠요력 · 칠정산 · 태일력 · 태초력 · 회회력 · 히브리력 | |
태음력 | 이슬람력 | |
관련 개념: 공전 · 메톤 주기 · 아벨 범주 | }}}}}}}}} |
1. 개요
고려 문종 6년에 왕명을 받들어 김정(金正)이 펴낸 역서.2. 상세
태일력은 오는 해의 재앙을 막기 위해 썼다고 하며, 당시 고려는 당나라의 선명력을 쓰고 있었다. 하지만 고려가 건국된지 100년이 지나고 오차가 발생하는 일이 많아지자, 대표적으로 현종 21년의 일식(日蝕)의 계산이 틀린 것. 그래서 우리만의 독자적인 역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원래 제후국은 역법 제작을 할 수 없었으나 고려는 내왕내제 국가였기 때문에 가능했다.역서의 이름을 보면 다소 미신적인 내용이 들어가 있는것으로 추측되며 우리의 고유의 독자적인 것이다. 하지만 고려는 계속 선명력을 사용하여서 이 역서가 실재로 사용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십정력(十精曆), 칠요력(七曜曆), 견행력(見行曆), 둔갑력(遁甲曆)도 같은 시기에 편찬되었다.
아쉽지만 체계는 전해지지 않으며 체계가 전해지는 최초의 역법은 세종대왕 시절에 제작된 칠정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