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9 15:23:49

트리케라(메카브레이크)

파일:mechabreak_logo.png
Mecha BREAK
기체 열람
<colbgcolor=#5b3ced> 공격기 알리네스 | 인페르노 | 팔콘 | 스카이레이더 | 스테고
저격기 아퀼라 | 나루카미
방어기 허리케인 | 트리케라
지원기 루미네 | 피나카
격투기 팬서 | 웰킨
트리케라
Tricera
파일:Mechabreak_Tricera.png
<colbgcolor=#2c0069,#010101><colcolor=#ffffff,#dddddd> 역할군 초대형 방어기
전투 유형 요새 | 전장 리페어
실탄 디펜스 A Rank
EN 디펜스 C Rank
폭발 디펜스 A Rank
물리 디펜스 A Rank
주 무장 개틀링 건 및 대형 개틀링 건
부가 무장 리페어 드론 | 요새 형태 | 곡사포
1. 개요2. 기본 정보
2.1. 상급 도전
3. 성능
3.1. 장점3.2. 단점
4. 여담

1. 개요

3인칭 메카 슈팅 게임 Mecha BREAK의 등장 기체.

2. 기본 정보

유형은 초대형 방어기. 모티브는 메탈레이지의 렘파트[1] 로 보인다. 거치한 후 마치 하나의 기관총 진지처럼 4정의 기관총과 야포를 이용한 쉴 새 없는 화력 투사가 특징이다. 좌우클을 번갈아가며 쏘며 화력이 비지 않게 하거나, 4정의 개틀링 건을 일제히 소사해 오는 적들을 갈아버릴 수 있다. 테스트 버전 기준으로 전용 도색과 전용 파일럿 "찰스 벨"[2]이 존재한다. 패키지 형태로 판매되며 가격은 게임 머니로 7만 코인.

2.1. 상급 도전

강철 프레임
Bone of Steel
파일:Mechabreak_title_tricera.png
<colbgcolor=#2c0069,#010101><colcolor=#ffffff,#dddddd> 획득 조건 트리케라로 상급 도전 완수
첫 번째 임무 제한 시간 내에 모든 적기 격추하기
두 번째 임무 제한 시간동안 목표물을 보호하기
세 번째 임무 적기 팬서 격추하기
네 번째 임무 제한 시간 내에 목표물을 수리하고 보호하기
마지막 임무 제한 시간 내에 화물을 운반해 목표 지점 도달하기

전용 칭호 강철 프레임이 존재한다. 영문으로는 강철의 뼈라고 되어 있지만 한국어 번역명은 강철 프레임이라고 되어 있다. 로봇의 뼈대 부분이 프레임이기 때문인 듯. 공룡 이름인 만큼 화석을 의식한 중의적인 작명으로 보인다. 즉 강철로 된 화석이라는 뜻.

난이도는 낮은 편으로 상급 도전에 처음 도전하는 초심자도 무난하게 클리어 할 수 있다. 트리케라 자체가 원체 단순하면서 화력과 맷집이 좋다 보니 딱 목적만 달성하면 모든 스테이지를 쉽게 클리어 할 수 있다. 그나마 세 번째 임무 정도는 난이도가 있는 편인데, 팬서의 모션을 보면 창날이 회전하고, 창을 치켜세우는 동작을 취하는데 이 때 거치를 누르면 팬서의 돌진을 방패로 무력화 시킬 수 있고 이 패리를 수행하는 것이 포인트. 팬서가 방패로 인해 체력이 많으니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침착하게 패리하고 팬서가 주저 앉았을 때 기관총으로 실드를 부수고 곡사포를 십분 활용하여 체력을 빠르게 깎는 것이 좋다.

3. 성능

기관총을 양 팔에 2정, 양 어깨에 2정, 총 4정을 보유하며 이것도 모자라 곡사포까지 들고 있는 화력덕후 기체. 거치하면 적에게 무방비로 노출되지만 초대형 답게 기본 체급이 높아 오래 버틸 수 있고 이를 돕기 위해 실드와 자신 및 주변 아군을 소소하게 회복시켜 주는 리페어 드론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거치 시엔 방어막이 전개되면서 공격이 차단되어 맷집이 꽤 높고, 이 방패 때문에 거치하는 순간 패리가 지원되며 이후부터 거치를 풀기 전까진 이동 불가 판정과 경직에 면역되는 터라 실질적인 방어력이 보기보다도 훨씬 높다.[3] 이걸 이용해서 상대 근접기가 붙으러 오면 바로 거치하여 패리를 하는 동시에 곡사포로 경직을 먹이며 개틀링으로 갈아버리고 자기는 리페어 드론으로 자힐까지 하는 맞딜 플레이도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시원시원한 캐릭.

하지만 아무리 자가수리나 뛰어난 방어력이 있다 한들, 방어막에 내구도는 존재해서 깨지면 거치를 풀고 재생을 기다려야 하며, 거치 도중에는 이동이 불가능해서 팔콘이나 스카이레이더처럼 기동력이 뛰어난 기체들에게는 일방적으로 얻어맞을 수도 있다. 활용에 따라서 거치는 매우 뼈아픈 패널티가 될 수 있으니 적재적소에 사용하자.

요새화 도중에는 드론을 전개하는데 이 드론은 주변 미사일을 요격해준다. 총 40스택이 제공되며, 이와 함께 트리케라의 기관총 자체로도 요격이 가능하다보니 요새화중인 트리케라를 미사일로 걷어 내려는 건 바보짓[4]이나 마찬가지.

느린 탄속과 넓디 넓은 탄착군 때문에 장거리 교전에 취약한데다 요새화시 대공 능력이 형편없기 때문에 탁 트인 평원에서의 교전에서는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 하지만 근접무기에 거의 면역이나 다름 없는 데다가, 모든 탄을 적에게 꽂아버릴 수 있는 실내에서 매우 강력하다. 실내전에선 저격이나 공대지 공격에 노출되지 않고, 유사시 지원을 받기도 쉽다보니 실내 쟁탈전에서 버티고 있는 트리케라는 적 입장에선 악몽이나 마찬가지다. 이 점을 가장 극렬하게 체험할 수 있는 맵은 팔름베이 항구. 화물이 실내 구간을 지날 때 아군과 거점 알박기를 하면 무적이나 마찬가지이나, 개활지로 나오고 진형이 와해되면 저격과 공습을 맞고 순식간에 당해버린다.

다만 기동성이 약점이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전장이나 매시마크 모드처럼 넓은 전장에서는 힘을 많이 쓰지 못 한다. 교전거리가 PVP보다 훨씬 길고 산맥과 언덕 투성이 지형 고저차 때문에 부앙각 문제가 단점으로 지목된 트리케라는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 적들인 테이아 전선 몹들은 알박기 후 쓸어버리듯이 많이 잡을 수 있긴 하지만, 작정하고 교전을 걸어오는 유저에게는 정작 대응하기 힘들어 대부분의 전리품을 헌납할 수도 있다. 혹여 노련한 실력으로 살아남는다 해도 고레벨의 글라이더가 없다면 아군 템포를 따라가지 못 해 고립되기 일쑤다.

3.1. 장점

3.2. 단점

4. 여담

메카닉 디자인 원안은 야나세 타카유키가 담당했다.#

스테고와 같이 초대형 조합에서 쓰이고 있다. 마치 오버워치 초기 시절의 바스티온이 생각나는 무빙을 보여주지만 유저들의 이해도가 크게 올라가 단점이 드러난 바스티온과 다르게 가변 속도도 빠르고 바스티온처럼 무방비로 하는 자가 수리가 아닌 드론을 통한 간접 회복 및 주포 등의 추가적인 공격권도 보유하여 차별점을 가졌다. 향후 전망을 지켜봐야 할 듯.

주포의 이름은 곡사포라고 부르지만 낙차가 없는, 곡사 사격이 아닌 직사 사격이다. 중국어 유탄포를 그냥 곡사포로 번역해버린 모양이다.
[1] 이동중일때는 취약하지만 이동을 포기하고 거치하면 장갑판이 전개되어 방어력이 급상승하고 4연장 개틀링건, 대구경 직사포, 중 곡사포등을 이용해 적을 갈아버리는 메카닉이다. 생김새로만 보면 노바2의 헤비시즈와도 빼닮았다.[2] 검은 군복을 입은 건장한 남성[3] 방패의 내구도도 좀 특이한데, 27000의 내구도를 가진 이 방패에는 숨겨진 특징이 있다. 각각 9000씩 3개 블록으로 구분되고 9000을 모두 소진하면 잠깐동안 다음 블록으로 넘어가는 순간이 존재하는데, 바로 이 순간에 들어오는 모든 피해를 상쇄하는 것. 이 오버딜의 존재도 내구도 폭증에 기여한다.[4] 스카이레이더조차 초근접에서 미사일을 투하해야 하며, 스테고의 경우 3번 전탄발사를 모조리 틀어막고도 남을 정도로 무식한 수준이다.[5] 보통 미러전[6] 물론 두 기체 입장에서도 드론때문에 미사일을 마구잡이로 맞추긴 힘들다. 미사일이 특기인 스카이레이더조차 근접해서 쏴야 할 정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