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03:08:35

파커 태양 탐사선

파커 태양 탐사선
Parker Solar Probe, PSP
파일:Parker_Solar_Probe_transparent.png
<colbgcolor=#e3ab57><colcolor=#ffffff> 이름 태양 탐사선(2002년 이전)
태양탐사선 플러스(2010~2017)
파커 태양 탐사선(2017년 이후)
임무 유형 태양 물리학 연구 임무
운영자 NASA /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연구소
COSPAR ID 2018-065A
SATCAT no 43592
웹사이트 NASA의 미션 홈페이지
미션 기간 7년(예정)
경과 시간: 5년 5개월 10일
우주선 속성
제조사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연구소
발사 질량 685 kg (1,510 lb)
건조 질량 555 kg (1,224 lb)
페이로드 질량 50 kg (110 lb)
치수 1.0 m × 3.0 m × 2.3 m (3.3 ft × 9.8 ft × 7.5 ft)
전력 343 W (가장 가까운 거리)
임무 시작
발사 날짜 2018.8.12, 07:31 UTC
로켓 Delta IV Heavy / Star-48BV
발사 위치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SLC-37
계약자 ULA
궤도 매개변수
참조 시스템 태양 주회 궤도
긴반지름 0.388 AU(58.0만 km; 36.1만 마일)
근일점 0.046 AU (6.9만 km, 4.3만 마일; 9.86 R☉)
원일점 0.73 AU (1억 9천만 km, 68만 마일)
궤도경사 3.4°
궤도 공전주기 88일
면적 1.0 m × 3.0 m × 2.3 m
출력 343 KW (태양 근접시 출력)
트랜스폰더 Ka band, X band
파일:Parker_Solar_Probe_insignia.png
미션 패치
1. 개요2. 개발3. 기술적 특징4. 임무5. 발사 과정6. 탐사 장비7. 시스템 사양8. 타임라인

[clearfix]

1. 개요

SciNews | Parker Solar Probe - orbit and timeline (4K)
우주아저씨 | 태양 탐사선 파커호 근황 / 태양으로부터 600만km 접근 / 파커호가 보내온 금성 대기의 실제 소리 (12:50)
Parker Solar Probe는 태양의 외부 코로나를 조사하기 위해 계획된 NASA무인 탐사선이다.

태양의 '표면' 즉 광구에 대해 8.5 태양 반경 (약 590만 킬로미터[1] 또는 367만 마일) 내로 접근할 것이다. 이는 태양과 지구와의 거리가 약 1억 5천만 킬로미터이므로 태양과 지구의 거리를 100미터로 가정한다면 약 4미터의 거리까지 가까이 접근하는 것이다.

또한, 3번째 태양 탐사선이다. 1974년1976년에 발사된 기존의 헬리오스 태양 탐사선 2대의 후계 탐사선이라 할 수 있다.

프로젝트는 2009 회계 연도에서 발표되었으며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는 원래 2015년에 발사될 예정인 우주선을 설계하고 제작했었고, 프로젝트 비용으로 15억 달러가 소요되었다. 또한 발사 날짜가 2018년 8월 12일로 재조정되었으며, NASA 우주선이 현재 생존 중인 사람[2]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3] 8월 12일에 쏘아올려졌고 같은 해 10월 3일에 처음으로 금성에 다다를 예정이다.

주목할 사항으로는 2018년 5월 18일, 11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의 이름이 적힌 메모리 카드가 명판에 올려져 우주선의 고성능 안테나 아래에 설치되었다는 것이다. 메모리 카드의 수록될 주요 내용으로는 파커의 태양 관측 사진이며, 또한 태양 물리학의 중요한 측면을 예측하는 1958년 과학 논문 사본을 포함하고 있다.

7차례에 이르는 스윙바이를 거쳐서 2025년 12월에는 시속 69.2만km(초속 192km)[4]에 도달하여 인간이 만든 가장 빠른 물체가 될 예정이다. 또한 스윙바이 최다기록이 된다.

2. 개발

Parker Solar Probe의 개념은 1990년대에 구상된 Solar Orbiter 프로젝트에서 비롯되었고, 당시의 탐사선은 설계와 목적에서 현재와 비슷했으며, NASA의 외부 행성/태양 탐사(OPSP, Outer Planet/Solar Probe) 프로그램의 주요한 탐사선이었다.

이 프로그램의 첫 세 가지 임무는 태양 탐사 임무 the Solar Orbiter, 명왕성카이퍼 벨트 탐색 임무인 Pluto Kuiper Express, 유로파 천문 생물학 탐사 임무 Europa Orbiter로 구성되었고 핵 전지를 탑재하여 자체동력으로 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탐사를 위한 궤도 또한 지금의 금성에서 스윙바이를 하는 것이 아닌 수성에서 스윙바이하여 곧장 태양으로 향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2003년 조지 W. 부시 행정부 당시 탐사 프로그램 예산이 삭감되어 OPSP는 취소되었고 동시에 뉴호라이즌스 프로그램의 지연이 이루어졌다. 이로서 완전히 OPSP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으나...

2010년 초, 위 3개의 임무 중 첫번째 임무인 Solar Probe 임무가 다시 부활하여 더 저렴한 Solar Probe Plus로 개편되었으며 탐사선 궤도[5] 및 동력계통[6]도 완전히 수정되었다. 그리고 2018년 8월 12일에 태양을 향해 쏘아 올려졌으며 2025년까지 제 임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이다.

3. 기술적 특징

파커 솔라의 시스템은 육각형 모양의 11.4cm 두께의 CFRC 방열판[7]에 의해 태양 복사열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고[8] 이로서 탑재된 탐사장비는 로부터 완벽하게 격리되어 온전히 태양 탐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괄목할 만한 기술적 특징이라면 우주선의 자율적 위치 수정 능력인데 광센서 4기에서 상시적으로 태양열을 측정함으로서 방열판이 한계온도에 가까워 지면 위치를 즉각적으로 수정할 수 있게끔 리액션휠과 연동되어있다. 동력원으로는 2기의 태양전지판이 있으며 태양과의 거리에 따라서 각기 작동하며 0.25AU이상일 때는 1차 전지만 작동하며 거리가 가까워 질 때에는 2차 전지만 작동한다.[9] 당연히 태양에 가까워지면 태양전지판이 손상을 입기에 배터리가 필요한 것이다.

4. 임무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5. 발사 과정

<rowcolor=#ffffff> 미션경과시간 시간(EDT) 이벤트
-00:00:07.0 03:30:53.0 우현 부스터 점화
-00:00:05.0 03:30:55.0 중앙 및 좌현 부스터 점화
+00:00:00.0 03:31:00.0 발사(무게 대비 추력 > 1)
+00:03:57.6 03:34:57.6 좌현 및 우현 부스터 분리
+00:05:35.9 03:36:35.9 부스터 엔진 종료 (BECO)
+00:05:42.4 03:36:42.4 1단 분리
+00:05:55.4 03:36:55.4 첫 번째 주 엔진 시작 (MES-1)
+00:06:05.4 03:37:05.4 페이로드 페어링 분리
+00:10:37.1 03:41:37.1 첫 번째 주 엔진 종료 (MECO-1)
+00:22:25.4 03:53:25.4 두 번째 주 엔진 시작 (MES-2)
+00:36:38.9 04:07:38.9 두 번째 주 엔진 종료 (MECO-2)
+00:37:09.0 04:08:09.0 2단 분리
+00:37:29.0 04:08:29.0 3단 점화
+00:38:58.0 04:09:58.0 3단 점화 종료
+00:43:18.0 04:14:18.0 파커 태양 탐사선 분리

6. 탐사 장비

파일:Parker-Solar-Probe-FIELDS.png
탐사 장비 구성

파일:Parker-Solar-Probe-Ram-Facing-View.png

7. 시스템 사양

<colbgcolor=#e3ab57> BAE Systems RAD750 32비트 프로세서
코어클럭 133MHz
L1 캐시 32KB 인스트럭션
32KB 데이터
L2 캐시 1MB
코어수 1
명령어 셋 PowerPC v1.1
버스 인터페이스 PCI 2.2
메모리 256MB SDRAM
16MB SRAM 4MB EEPROM 64KB PROM
저장장치 32GB SSR[11]
부가기능 Space Wire IEEE-1553
전송속도 1AU 거리에서 초당 163KB
운영체제 윈드리버 Vx Works
<colbgcolor=#e3ab57> ATMEL LEON 3 SoC 32비트 프로세서
코어클럭 125 ~ 400MHz
L1 캐시 512KB 인스트럭션 + 데이터
L2 캐시 2MB
코어수 4
명령어 셋 SPARC V8
버스 인터페이스 AMBA-2.0 AHB
메모리 128MB DDR SDRAM
부가기능 Space Wire IEEE-754 FPU

8. 타임라인

파일:640px-Velocity_of_Parker_Solar_Probe_wide.svg.png
파일:프로브타임라인.jpg
년도 날짜 사건 태양과의 거리
(100만 km)
속도
(초속)
공전 주기
(일)
2018 8월 12일 발사 151.6 - 174
10월 3일 금성 근접통과 #1 -
11월 6일 근일점 #1 24.8 95 150
2019 4월 4일 근일점 #2 24.8 95 150
9월 1일 근일점 #3 24.8 95 150
12월 26일 금성 근접통과 #2 -
2020 1월 29일 근일점 #4 19.4 109 130
6월 7일 근일점 #5 19.4 109 130
7월 11일 금성 근접통과 #3 -
9월 27일 근일점 #6 14.2 129 112.5
2021년 1월 17일 근일점 #7 14.2 129 112.5
2월 20일 금성 근접통과 #4 -
4월 29일 근일점 #8 11.1 147 102
8월 9일 근일점 #9 11.1 147 102
10월 16일 금성 근접통과 #5 -
11월 21일 근일점 #10 9.2 163 96
2022년 2월 25일 근일점 #11 9.2 163 96
6월 2일 근일점 #12 9.2 163 96
9월 6일 근일점 #13 9.2 163 96
12월 11일 근일점 #14 9.2 163 96
2023년 3월 17일 근일점 #15 9.2 163 96
6월 22일 근일점 #16 9.2 163 96
8월 21일 금성 근접통과 #6 -
9월 27일 근일점 #17 7.9 176 92
12월 29일 근일점 #18 7.9 176 92
2024년 3월 30일 근일점 #19 7.9 176 92
6월 30일 근일점 #20 7.9 176 92
9월 30일 근일점 #21 7.9 176 92
11월 6일 금성 근접통과 #7 -
12월 24일 근일점 #22 6.9 192 88
2025년 3월 22일 근일점 #23 6.9 192 88
6월 19일 근일점 #24 6.9 192 88
9월 15일 근일점 #25 6.9 192 88
12월 12일 근일점 #26 6.9 192 88


[1] 지구-달 거리의 약 15.4배[2] 1927년 6월 생이며, 시카고 대학교에 재직중이었던 천체물리학 교수로, 2022년 3월 15일 별세했다.[3] 원래는 솔라 프로브 플러스(Solar Probe Plus)라는 무색무취한 이름이었다.[4] 숫자로 체감이 안 된다면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가 약 38만km이므로 지구에서 달까지 대략 35분만에 날아가는 속도라 보면 된다. 더 쉽게 말하자면 대충 2초만에 서울에서 부산까지 도달하고도 남는 속도이다.[5] 현재 금성 스윙바이를 통해 태양까지 가는 궤도.[6] 원자력 전지 대신 태양전지로 변경. 원자력 전지의 주원료인 플루토늄-238의 남은 재고량이 전지 2개 반 정도 만들 수 있는 수준이고, 예전보다 태양전지의 기술발전으로 전력효율도 높아져 최근에 발사되는 탐사선들도 웬만하면 태양전지를 사용한다. 목성탐사선 주노도 원자력 전지 대신 태양전지판을 달았고 최근 화성에 착륙한 인사이트 역시 태양전지로 회귀한 케이스.[7] Carbon fibre reinforced carbon, 강화 탄소 섬유. 최대 1,370°C까지 견딜 수 있다. 또한 방열판 표면에 알루미나 반사층을 코팅하여 열의 흡수를 최소화시켰다.[8] 이때의 태양 복사열은 근일점을 기준으로 650 kW/m2이며 이는 지구 궤도에서 받는 복사열의 475배에 달한다.[9] 20Ah 용량의 리튬이온전지가 2개 탑재되어 있다.[10] 탐사선의 지구통신과 자세제어 및 모든장비를 제어하는 에비오닉스 시스템[11] 16GB 2개의 솔리드 스테이트 레코더(Solid State Recoder)로 구성[12] 탑재된 장비들의 관측 및 검출 데이터는 이곳에서 실시간 처리후 위에 메인 시스템을 통해 지구로 전송된다. 시스템 구성이 좀 특이한데 싱글보드 기반으로 똑같은 시스템을 3대 탑재했다 메인-보조-비상용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고 태양표면 최근접 대기층 접근 임무라서 플레어나 예상치 못한 컴퓨터 파괴나 고장에 대비한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