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7:29:22

팔선


파일:음양.svg
도교의 신(神)
{{{#!wiki style="margin: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삼청사어 원시천존 | 영보천존 | 도덕천존(노자 | 태상노군) | 황천후사 | 자미제군 | 천황대제(구진) | 남극장생대제 | 태을구고천존
선천존신 서왕모 | 동왕공 | 두사원군 | 삼관대제 | 오방오로 | 현천상제 | 뇌성보화천존
천지산천백신 구황대제 | 태양성군 | 태음성군 | 귀두성군 | 아아랑랑 | 중악대제 | 동악대제 | 서악대제 | 남악대제 | 북악대제 | 수선존왕 | 사해용왕 | 금광성모 | 뇌공
명부 옥황상제 | 송성조 | 원천대성후 | 풍도대제 | 십전염군 | 오방귀제 | 흑백무상 | 음양사 | 판관 | 일야유신
성현선진 반고 | 여와 | 복희 | 신농 | 황제
민간 구천현녀 | 천상성모(태만마조신어) | 태산랑랑 | 조군 | 복록수 | 재신 | 문신 | 성황 | 경주 | 복덕정신
}}}}}}}}}}}} ||

八仙
1. 개요2. 팔선의 구성원3. 암팔선4. 또 다른 팔선5. 대중문화 속의 팔선6. 과거 일본 하치노헤시센다이시를 잇는 여객선 이름7.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도교 전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신선 중에서도 대표적인 여덟 명의 선인. 그 구성원은 시대 및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현대에는 상동팔선전에 나온 인물들로 고정되었다.

2. 팔선의 구성원

파일:external/img3.artron.net/art5072490085.jpg

이 팔선의 구성원은 본디 일관되지 않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달랐지만 명나라경극 《팔선과해》(八仙過海)를 기초로 고전 소설 《상동팔선전[1]이 쓰여지기 전인 원나라대에 이미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정립되었다.
현대에 익히 알려진 팔선은 이들 여덟 명이다. 이들 중 여선(女仙)은 보통 하선고뿐이라고 하지만 남채화 또한 여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들 외에 장사랑(張四郞), 서신옹(徐神翁), 풍승수(風僧壽), 원호자(元壺子) 등이 팔선중(八仙衆)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렇게 본래 팔선의 구성원이 지리멸렬했던 것에도 알 수 있듯이 종리권과 여동빈을 비롯해 익히 알려진 이들 여덟 선인도 시대순이 제각각이고 설화 또한 별개였으나 후대에 합쳐진 것이다.

3. 암팔선

팔선들 각각이 소유한 법보(보패)를 두고 암팔선(暗八仙)이라 이르며 이 암팔선들은 팔선을 가리키는 상징이다.

이철괴는 표주박, 종리권은 파초선, 여동빈은 도검, 한상자는 피리, 하선고는 연꽃, 장과로는 어고(魚鼓),[3] 그리고 조국구는 옥판(玉板)을 들고 있다.

팔선이 조복한 괴물 탐(괴물)의 그림에는 암팔선이 함께 그려져있는 경우가 많다.

4. 또 다른 팔선

5. 대중문화 속의 팔선

6. 과거 일본 하치노헤시센다이시를 잇는 여객선 이름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戸市)와 미야기현 센다이시(台市)를 잇는 여객선 루트에 사용됐던 이름이자, 배의 이름이다.
정확한 이름은 핫센마루(八仙丸).

또한 두 항구도시를 일컬어 핫센(八仙)이라고도 한다.

7. 관련 문서



[1] 달리 《동유기》라고도 불리운다.[2] 그러나 정작 실제 한유는 유교의 신봉자로서 불교와 도교는 믿을 게 못 된다며 비판하였다.[3] 악기의 일종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