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3 12:19:49

팔선

파일:음양.svg
도교의 신(神)
{{{#!wiki style="margin: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삼청사어 원시천존 | 영보천존 | 도덕천존(노자 | 태상노군) | 황천후사 | 자미제군 | 천황대제(구진) | 남극장생대제 | 태을구고천존
선천존신 서왕모 | 동왕공 | 두사원군 | 삼관대제 | 오방오로 | 현천상제 | 뇌성보화천존
천지산천백신 구황대제 | 태양성군 | 태음성군 | 귀두성군 | 아아랑랑 | 중악대제 | 동악대제 | 서악대제 | 남악대제 | 북악대제 | 수선존왕 | 사해용왕 | 금광성모 | 뇌공
명부 옥황상제 | 송성조 | 원천대성후 | 풍도대제 | 십전염군 | 오방귀제 | 흑백무상 | 음양사 | 판관 | 일야유신
성현선진 반고 | 여와 | 복희 | 신농 | 황제
민간 천상성모(태만마조신어) | 태산랑랑 | 조군 | 복록수 | 재신 | 문신 | 성황 | 경주 | 복덕정신
}}}}}}}}}}}} ||

八仙
1. 개요2. 팔선의 구성원3. 암팔선4. 또다른 팔선5. 대중문화 속의 팔선6. 과거 일본 하치노헤시센다이시를 잇는 여객선 이름7.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도교 전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신선 중에서도 대표적인 여덟 명의 선인. 그 구성원은 시대 및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현대에는 상동팔선전에 나온 인물들로 고정되었다.

2. 팔선의 구성원

파일:external/img3.artron.net/art5072490085.jpg

이 팔선의 구성원은 본디 일관되지 않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달랐지만 명나라경극 《팔선과해》(八仙過海)를 기초로 고전 소설 《상동팔선전[1]이 쓰여지기 전인 원나라대에 이미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정립되었다.
현대에 익히 알려진 팔선은 이들 여덟 명이다. 이들 중 여선(女仙)은 보통 하선고뿐이라고 하지만 남채화 또한 여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들 외에 장사랑(張四郞), 서신옹(徐神翁), 풍승수(風僧壽), 원호자(元壺子) 등이 팔선중(八仙衆)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렇게 본래 팔선의 구성원이 지리멸렬했던 것에도 알 수 있듯이 종리권과 여동빈을 비롯해 익히 알려진 이들 여덟 선인도 시대순이 제각각이고 설화 또한 별개였으나 후대에 합쳐진 것이다.

3. 암팔선

팔선들 각각이 소유한 법보(보패)를 두고 암팔선(暗八仙)이라 이르며 이 암팔선들은 팔선을 가리키는 상징이다.

이철괴는 표주박, 종리권은 파초선, 여동빈은 도검, 한상자는 피리, 하선고는 연꽃, 장과로는 어고(魚鼓),[3] 그리고 조국구는 옥판(玉板)을 들고 있다.

팔선이 조복한 괴물 탐(괴물)의 그림에는 암팔선이 함께 그려져있는 경우가 많다.

4. 또다른 팔선

5. 대중문화 속의 팔선

6. 과거 일본 하치노헤시센다이시를 잇는 여객선 이름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戸市)와 미야기현 센다이시(台市)를 잇는 여객선 루트에 사용됐던 이름이자, 배의 이름이다.
정확한 이름은 핫센마루(八仙丸).

또한 두 항구도시를 일컬어 핫센(八仙)이라고도 한다.

7. 관련 문서



[1] 달리 《동유기》라고도 불리운다.[2] 그러나 정작 실제 한유는 유교의 신봉자로서 불교와 도교는 믿을 게 못 된다며 비판하였다.[3] 악기의 일종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