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0622, #c9082a 20%, #c9082a 80%, #a1062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에스테 왕조 | ||
보르소 데스테 | 에르콜레 1세 | 알폰소 1세 | |
에르콜레 2세 | 알폰소 2세 | 체사레 데스테 | |
알폰소 3세 | 프란체스코 1세 | 알폰소 4세 | |
프란체스코 2세 | 리날도 데스테 | 프란체스코 3세 | |
<rowcolor=#fff> 에스테 왕조 | 오스트리아에스테 왕조 | ||
에르콜레 3세 | 프란체스코 4세 | 프란체스코 5세 | }}}}}}}}} |
<colbgcolor=#c9082a><colcolor=#fff> | |||
| |||
이름 | 프란체스코 마리아 (Francesco Maria) | ||
출생 | 1698년 7월 2일 | ||
모데나 레조 공국 모데나 | |||
사망 | 1780년 2월 22일 (향년 81세) | ||
바레세 | |||
재위기간 | 모데나 레조 공작 | ||
1737년 10월 26일 ~ 1780년 2월 22일 (42년 3개월 25일, 15,45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9082a><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모데나 공작 리날도 데스테 어머니 브라운 슈바이크 뤼네부르크 공국의 샤를로테 | |
배우자 | 샤를로트 아글레 도를레앙 (1721년 결혼 / 1761년 사망) | ||
자녀 | 알폰소, 프란체스코 콘스탄티노, 마리아 테레사, 에르콜레 3세, 마틸데, 베아트리체, 베아트리체, 마리아 포르투나타, 베네데토 필리포, 마리아 엘리자베타 | ||
가문 | 에스테 가문 | ||
종교 | 로마 가톨릭 | }}}}}}}}} |
1. 개요
모데나 레조 공국의 공작.2. 생애
1698년 그는 모데나에서 태어나, 1721년 샤를로트 아글레 도를레앙과 결혼을 하였으며, 1737년에 공작을 이어받았다.그는 왕위에 오른 후 스페인, 폴란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가하였으나, 파산을 초래하였다.
그 결과 프란체스코는 에스텐세 갤러리 의 가장 귀중한 작품들을 팔아야 했다 . 그는 신중한 행정관이었지만 공국의 재정 정책 대부분은 오스트리아 전권대사인 벨트라메 크리스티 아니의 손에 있었다.
프란체스코는 1754년부터 1771년까지 밀라노 공국의 임시 총독이기도 했다.
그는 1780년 바레세에 있는 자신의 별장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 에르콜레(Ercole) 왕자가 그를 계승했다.
3. 가계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프란체스코 3세 (Francesco III) | <colbgcolor=#fff3e4,#331c00> 리날도 데스테 (Rinaldo d'Este) | <colbgcolor=#ffffe4,#323300> 프란체스코 1세 데스테 (Francesco I d'Este) | |
알폰소 3세 데스테 (Alfonso III d'Este) | |||
사보이아의 이사벨라[1] (Isabella di Savoia) | |||
루크레치아 바르베리니 (Lucrezia Barberini) | |||
팔레스트리나 공작 타데오 바르베리니 (Taddeo Barberini, principe di Palestrina) | |||
팔리아노의 안나 콜로나 (Anna Colonna di Paliano) | |||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샤를로테 펠리치타스 (Charlotte Felicitas von Braunschweig-Lüneburg) | |||
브라운슈바이크칼렌부르크 공작 요한 프리드리히 (Johann Friedrich von Braunschweig-Calenberg) | |||
브라운슈바이크칼렌부르크 공작 게오르크 (Georg von Braunschweig-Calenberg) | |||
헤센다름슈타트의 안나 엘레오노레 (Anna Eleonore von Hessen-Darmstadt) | |||
팔츠의 베네딕타 헨리에타 (Benedicta Henrietta von der Pfalz) | |||
팔츠의 에두아르트 공자[2] (Eduard von der Pfalz) | |||
안나 곤차가 (Anna Gonzaga)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1남 | 알폰소 (Alfonso) | 1723년 11월 18일 | 1725년 6월 16일 | |
2남 | 프란체스코 콘스탄티노 (Francesco Constantino) | 1724년 11월 22일 | 1725년 6월 16일 | |
1녀 | 마리아 테레사 (Maria Teresa) | 1726년 10월 6일 | 1754년 4월 30일 | 펜티에브르 공작 루이 장마리 슬하 4남 2녀[3] |
3남 | 에르콜레 3세 (Ercole III) | 1727년 11월 22일 | 1803년 10월 14일 | 마사 여공작 마리아 테레사 치보말라스피나 슬하 2남 1녀 |
2녀 | 마틸데 (Mathilde) | 1729년 2월 7일 | 1803년 11월 14일 | |
3녀 | 베아트리체 (Beatrice) | 1730년 7월 14일 | 1731년 7월 12일 | |
4녀 | 베아트리체 (Beatrice) | 1731년 11월 24일 | 1736년 4월 3일 | |
5녀 | 마리아 포르투나타 (Maria Fortunata) | 1731년 11월 24일 | 1803년 9월 21일 | 부르봉콩티 공작 루이 프랑수아 2세 |
4남 | 베네데토 필리포 (Benedetto Filippo) | 1736년 9월 30일 | 1751년 9월 16일 | |
6녀 | 마리아 엘리자베타 (Maria Elisabetta) | 1741년 2월 12일 | 1774년 8월 4일 | 세라발레 백작 카를로 살로모네 슬하 2남 |
[1]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의 2녀.[2]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와 엘리자베스 스튜어트(영국 제임스 1세와 덴마크의 아나의 장녀)의 6남.[3] 랑발 부인의 남편 랑발 공 루이 알렉상드르가 이중 차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