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2:51:09
유희왕 의 하급 일반 몬스터 카드. 한글판 명칭 플라잉 피시 일어판 명칭 フライング・フィッシュ 영어판 명칭 Flying Fish 일반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바람 어류족 800 500
원작 배틀 시티 편 에서 카지키 료타 가 죠노우치 카츠야 와의 듀얼 중 사용. 죠노우치의 필드는 료타가 사용한 함정 카드 격류장 로 인해서 몬스터가 없는 상황이었고, 이에 죠노우치는 뒤집어 놓은 가혹한 함정 속으로 를 발동해서 료타의 필드위에 있는 한장의 몬스터 '플라잉 피시'의 공격을 막고 플라잉 피시를 파괴할 계획이었다. 료타가 공격을 선언하자 작전대로 되는가 싶었지만, 플라잉 피시는 비행 능력이 있었기 때문에 '함정'에 빠지지 않고 그대로 죠노우치를 직접 공격했다. 이후 다음 턴에는 인어 괴물 피셔 비스트 의 소환 제물이 되었다.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에서는 죠노우치가 세트한 기생충 파라사이드 를 파괴하여 리버스 효과를 못 쓰게 하는 것으로 나왔다. 공격명은 '돌격어뢰(突撃魚雷)'. 한글판 명칭 플라잉 피시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フライング・フィッシュ 영어판 명칭 Flying Fish 일반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바람마족 어류족 800 500 하늘을 날으는 모습을 보면, 세 가지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전해진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에서부터 등장.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플라잉 피시, 일어판 명칭=フライング・フィッシュ, 영어판 명칭=Flying Fish, 레벨=4, 속성=바람, 종족=어류족, 공격력=800, 수비력=500, 효과외1=하늘을 날으는 모습을 보면\, 세 가지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전해진다.)]악몽의 미궁 에서 발매된 하급 일반 몬스터 . 전용 서포트 카드도 없으면서 능력치가 레벨 4 치고는 터무니없이 낮다. 레벨 1이나 2라도 쓸 데를 찾기 어려울텐데, 레벨 4. 세 가지는 고사하고 한 가지라도 소원을 들어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원작에서도 레벨 4였으니 이를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레벨 4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공격력이 높은 레인보우 휘시 가 존재한다. 따라서 굳이 채용하겠다면 바람 속성 / 어류족이라는 특성을 살릴 필요가 있다. 물 속성이 아닌 어류족은 이 카드가 최초이며, 10년 동안 유일한 바람 속성 / 어류족이었다. 그 후 제네레이션 포스 에서 바람 속성 / 어류족인 플라이 팽 이 등장했지만 레벨 4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아직까지도 이 카드가 유일하다. 카드명인 플라잉 피시는 영어로 날치 라는 뜻이다. 놀랍게도 이 카드의 플레이버 텍스트를 이용한 선턴킬 드립이 존재한다.# 플라잉 피시를 필드에 띄운 상태에서 강제 탈출 장치 를 발동하면 하늘을 나는 모습을 보는 것이 되니 소원 3개로 매치에서 승리한다(...)라는 가히 DM시즌스러운 전략. 수록 시리즈 2001-04-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M-06 | Spell Of Mask - 仮面の呪縛 - 2011-04-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7-JP006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1 Vol.1 2003-03-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ON-007 | LABYRINTH OF NIGHTMARE 2004-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ON-KR007 | 악몽의 미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