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1:18

핀란드어/문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핀란드어

1. 개요2. 음운3. 명사
3.1. 격조사 3.2. 수사
4. 형용사 및 부사5. 동사 활용
5.1. 유형 구분5.2. 부정 동사 ei5.3. 시제
5.3.1. 현재 (Preesens)5.3.2. 과거 (Imperfekti)5.3.3. 현재완료 (Perfekti)5.3.4. 과거완료 (Plusvamperfekti)
5.4. 수동태 (Passiivi)5.5. 서법
5.5.1. 평서법 (Indikatiivi)5.5.2. 조건서법 (Konditionaali)5.5.3. 명령서법 (Imperatiivi)5.5.4. 가능서법 (Potentiaali)
5.6. 부정 어간 (Infinitiivi)
5.6.1. 1부정 어간5.6.2. 2부정 어간5.6.3. 3부정 어간5.6.4. 4부정 어간5.6.5. 5부정 어간
5.7. 분사 (partisiippi)5.8. 전치사 (prepositio)/후치사 (pospositio)5.9. 접어 (liitepartikkeli)

[clearfix]

1. 개요

핀란드어의 문법적인 난이도는 낮지도 높지도 않다. 상당히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언어이며, 문법적 성이 없고 불규칙 변화도 거의 없는 점은 외국인이 학습하기에 유리하다. 그렇지만 규칙 자체가 많아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익숙해질 때까지는 노력이 요구된다. 문법이 단순하기로 유명한 영어와 비교해보자. '큰 검은 개들에게서'는 영어로 'from the big black dogs'로 전치사 from이 따로 붙고 복수형으로 변하는 단어는 dog뿐이다. 핀란드어로는 'isoista mustista koirista'인데 'iso musta koira' (큰 검은 개) 세 단어가 모두 복수형으로 변하면서 또한 다 같이 '~로부터'란 뜻인 탈내격 어미 -sta를 취한다.

명사성어 뒤에 격어미가 붙는 현상은 한국어의 조사와 유사하기에 한국어 화자들은 인도유럽어권 화자들보다 훨씬 수월하게 핀란드어를 배울 수 있다. 그러나 부분격 (partitive case)이라는 개념은 에스토니아어 등 핀란드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를 알고 있지 않은 이상 모든 학습자들에게 커다란 장애물이 된다. 부분격은 핀란드어 문법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특징으로 그 용법이 매우 다양하고 미묘하기 때문에 작문할 때 주격, 대격, 부분격 삼지선다의 늪에 빠지기 십상이다.

가장 기본적인 부분격의 용례를 보자. '나는 책을 읽었다.'라는 문장이 있다. 한국어에서는 단순하게 목적어에 '-을/를'을 붙여서 이야기하지만 핀란드어로는 표현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할 수밖에 없다. Luin kirjaa 혹은 Luin kirjan. Kirja (책)의 부분격[1] kirjaa와 대격[2] kirjan이 쓰였다. 부분격은 이때 전체의 일부분을 의미하므로 Luin kirjaa는 '나는 책을 읽고 있었다' 정도 뜻이다. 이와 대비를 이루어 Luin kirjan은 책 한 권을 완독했다는 의미가 된다.

2. 음운

2.1. 모음 조화

모음 조화가 무엇인지는 문단 링크 참고.

핀란드어의 모음 유형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사실상 트레마가 있고 없고 차이)
양성 모음: Aa, Oo, Uu
중성 모음: Ee, Ii
음성 모음: Ää, Öö, Yy

3. 명사

3.1. 격조사

핀란드어는 우랄어족답게 격이 매우 많다.[3] 격변화가 무려 15개로 굉장히 많다. 격변화 때문에 배우기 힘들다는 독일어(4격)나 러시아어(6격)보다 많다.

하지만 독일어나 러시아어에는 핀란드어에는 없는 문법성(grammatical gender)이 있기 때문에 각 격별로 독일어(4x4=16 형태), 러시아어(6x4=24 형태)를 외워야 한다. 사실 한국어의 격조사를 하나하나 격으로 치면 한국어는 격이 수십 개 있는 언어가 되기 때문에 개수는 큰 의미가 없다. 핀란드어의 전반적인 특성과 마찬가지로 핀란드어의 격 체계에도 예외는 거의 없고 성을 따질 필요가 없으며 규칙에 한번 익숙해진 이후에는 활용이 수월해진다. 게다가 굴절어라 명사형태 자체가 변하는 독일어, 러시아어와 달리 조사만 뒤에 딱 붙여주면 된다.

영어에서 from, to, in 등의 전치사로 한국어에서 -로부터, -으로, -에서 등의 조사로 표현하는 것을 핀란드어에선 명사의 격변화가 많은 부분 대신한다. 단어의 뒤에 띄어쓰기 없이 붙는다는 점에서 한국어의 조사와 상당히 유사하다.
집 talo 어미 [4] 단수 복수
형태통사론적 정렬 (Kieliopilliset sijat)
주격 (Nonimatiivi) -∅ talo talot
대격 (Akkusatiivi) 집을 [5] talo
talon
속격 (Genitiivi) 집의 -n talon talojen
부분격 (Partitiivi) [6] -(t)A taloa taloja
장소 - 내부 (Sisäpaikallissijat)
재내격 (Inessiivi) 집 안에 -ssA talossa taloissa
향외격 (Elatiivi) 집 안으로부터 -stA talosta taloista
향내격 (Illatiivi) 집 안으로 -Vn taloon taloihin
장소 - 외부 (Ulkopaikallissijat)
재상격 (Adessiivi) 집 위에 -llA talolla taloilla
탈격 (Ablatiivi) 집으로부터 -ltA talolta taloilta
향격 (Allatiivi) 집으로 -lle talolle taloille
기타 (Marginaaliset sijat)
상황격 (Essiivi) 집으로서 -nA talona taloina
전환격 (Translatiivi) 집으로 -ksi taloksi taloiksi
부재격 (Abessiivi) 집 없이 -ttA talotta taloitta
공동격 (Komitatiivi) 집과 -ne-[7] taloineen
시사격 (Instruktiivi) 집으로 -n taloin

위 격들 중 부재격·공동격·시사격은 사용빈도가 적다. 그나마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은 별개의 표현으로 인식된다. 복수형의 경우 위의 talo처럼 주격과 대격은 -t, 나머지 경우는 -i-(모음 사이에서 -j-)가 덧붙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랄어족의 공통된 특징으로 장소와 관련된 격이 무려 6개나 되는데[8], 위치 및 이동 여부(정지, 이동[다가오는, 멀어지는]) 두 가지 기준으로 세부 분류할 수 있다.
위치 이동 여부
다가오는
→○
정지
멀어지는
○→
내부 향내격 ('안으로')
-Vn
재내격 ('안에')
-ssA
향외격 ('안으로부터')
-stA
표면 향격 ('-으로')
-lle
재상격 ('위에')
-llA
탈격 ('-으로부터')
-ltA

핀란드어 명사의 경우 뒤에 소유접미사가 붙을 수 있는데, 가령 talo에 1인칭 단수 소유접미사 -ni를 붙이면 '나의 집'이란 뜻의 'taloni'가 된다. 이런 소유접미사는 헝가리어나 튀르크어 등에서도 볼 수 있지만, 핀란드어 소유접미사는 앞의 둘과 다르게 격변화 형태 뒤에 온다. 소유접미사가 붙을 시 앞의 형태가 약간 바뀌는 경우도 있다.
집 talo 단수 복수
1인칭 taloni talomme
2인칭 talosi talonne
3인칭 talonsa

영어 have 동사에 해당하는 표현이 많이 다르다. 우리말로 '나는 펜을 갖고 있다'라고 할 수도 있지만 '나한테 펜이 있다'라고도 하듯이, 핀란드어로는 Minulla on kynä (at-me is a-pen)라고 표현한다. 허나 근방의 동슬라브어 모두 이런 형태가 나타난다. 러시아어를 보면 У меня есть ручка (at me is[9] pen) 게다가 라틴어에도 비슷한 표현이 있다. 라틴어로는 penna mihi est라고, 소유자를 여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영어에는 이런 어법이 없기 때문에 영어 화자들에겐 이상하게 느껴질 뿐이다.

3.2. 수사

핀란드어 수사는 헝가리어처럼 10진법 기반으로, 여타 유럽제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특이하게 11부터 19는 일의 자리 숫자 앞에 "두 번 째"를 뜻하는 -toista를 붙여 표기한다. [10]
<colbgcolor=#f5deb3,#4c3509> 0 nolla 놀라 <colbgcolor=#f5deb3,#4c3509> 10 kymmenen 큄메넨
1 yksi 윅씨 11 yksitoista 윅씨또이스따
2 kaksi 깍씨 12 kaksitoista 깍시또이스따
3 kolme 콜메 13 kolmetoista 콜메또이스따
4 neljä 넬야 14 neljätoista 넬야또이스따
5 viisi 비이씨 15 viisitoista 비이씨또이스따
6 kuusi 꾸우씨 16 kuusitoista 꾸우씨또이스따
7 seitsemän 세잇체만 17 seitsemäntoista 세잇체만또이스따
8 kahdeksan 까흐덱산 18 kahdeksantoista 카흐덱산또이스따
9 yhdeksän 위흐덱산 19 yhdeksäntoista 위흐덱산또이스따

20부터는 20+1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한다.
<colbgcolor=#f5deb3,#4c3509> 20 kaksikymmentä 깍씨큄멘따 <colbgcolor=#f5deb3,#4c3509> 66 kuusikymmentäkuusi 꾸우씨큄멘따꾸우씨
30 kolmekymmentä 꼴메큄멘따 75 seitsemänkymmentäviisi 세잇체만큄멘따비이씨
40 neljäkymmentä 넬야큄멘따 81 kahdeksankymmentäyksi 카흐덱산큄멘따윅씨
50 viisikymmentä 비이씨큄멘따 90 yhdeksänkymmentä 위흐덱산큄멘따

100 이상의 큰 숫자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colbgcolor=#f5deb3,#4c3509> 백(100) sata 싸따
천(1000) tuhat 뚜핫
만(10000) kymmenentuhatta 큄메넨뚜핫따
백만(106) miljoona 밀요오나
십억(109) miljardi 밀야르디
(1012) biljoona 빌요오나

대명사와 마찬가지로 핀란드어 수사에도 격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toista 이외의 모든 부분이 격 변화를 하므로 참고할 것.
yksi talo한 집
kaksi taloa두 집[11]
kolmelle hengelle 세 명에게
kolmelletoista hengelle 열세 명에게
kolmellesadallekuudellekymmenelleviidelle hengelle삼백육십오 명에게

4. 형용사 및 부사

형용사도 명사와 마찬가지로 격변화를 거친다. 한국어는 형용사가 동사의 특징을 띄는 반면, 핀란드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의 특징을 더 띈다.

형용사의 비교급(komparatiivi)은 기본적으로 -mpi, 최상급(superlatiivi)은 -in을 붙여서 표현한다. 마찬가지로 명사의 성격을 띄고 있어서 격 변화를 거치는데, 비교급 단수 격은 -mpA[12]를 대신 붙이고, 복수 격은 변형되지 않으나 자음 변화 mp-mm은 적용된다. 최상급 단수 격은 -impA(걍형)/-immA(약형), 복수 격은 -impi(강형)/-immi-(약형)를 대신 붙인다.
iso 크다, talo 집 pieni 작다, lapsi 아이
isossa talossa 큰 집 안에서 pienille lapsille 작은 아이들에게
isommassa talossa 더 큰 집 안에서 pienemmille lapsille 더 작은 아이들에게
isoimmassa talossa 가장 큰 집 안에서 pienimmille lapsille 가장 작은 아이들에게

부사의 대부분은 형용사에 접미사 -sti를 붙여서 생성된다.
형용사 (adjektiivi) 부사 (adverbi)
nopea 빠르다 nopeasti 빠르게
helppo 쉽다 helposti 쉽게

부사는 형용사와 달리 동사를 수식하므로 격 변화를 거치지 않는다. 단 비교급 및 최상급은 각각 어미 -mmin 및 -immin을 붙인다.
nopeasti 빠르게 nopeammin 더 빠르게 nopeimmin 가장 빠르게

5. 동사 활용

5.1. 유형 구분

동사는 인칭에 맞춰 활용된다. 인칭대명사는 생략 시 의미가 모호해질 수 있는 3인칭을 제외하고는 생략 가능하다. 문어에서는 생략 가능한 주어는 생략해야 자연스럽기도 하고 격식을 갖춘 글이 된다. 단, 구어에서는 생략을 잘 안 하는 편이므로 참고할 것.

핀란드어의 동사는 굴절 어간의 형태에 따라 여섯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유형 1은 Puhua(이야기하다) 등 -A[13]로 끝나며 바로 앞에 모음이 하나 더 오는 경우,
유형 2는 Juoda(마시다) 등 끝이 -dA로 끝나는 경우,
유형 3은 Men(가다) 등 끝이 -nA, -lA, -rA, s + -tA로 끝나는 경우,
유형 4는 Haluta(원하다) 등 끝이 i, e를 제외한 모음 + -tA로 끝나는 경우,
유형 5는 Tarvitä(필요하다) 등 끝이 i + -tA로 끝나는 경우.
유형 6은 Vanheta(늙다) 등 끝이 e + -tA로 끝나는 경우.

동사의 기본형[14]을 보고 어간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어간을 따로 외워야 한다. 상술된 자음변화 규칙에 따라 활용되므로 어간을 알고있는 상태에서는 더이상 예외적이지 않다. 어간은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유형 생성 규칙 (예시)
1 -A 삭제 (puhua 말하다 : puhu-)
2 -dA 삭제 (syö 먹다 : syö-)
3 -lA, -nA, -rA, -tA 삭제 후 -e- 추가 (menna 가다 : mene-)
4 -t- 삭제 (haluta 원하다 : halua-)
5 -A 삭제, -se- 추가 (tarvita 필요하다 : tarvitse-)
6 -tA 삭제, -ne- 추가 (vanheta 늙어가다 : vanhene-)

어간 뒤에 붙는 인칭 어미는 minä는 -n, sinä는 -t, hän은 어간의 마지막 모음[15], Me는 -mme, te는 -tte, he는 -vAt 식으로 1대1로 대응이 된다.

5.2. 부정 동사 ei

부정부사 not을 사용하는 영어나, 한국어의 ‘안’과는 달리 핀란드어는 한국어의 ‘않다’와 비슷하게 부정 동사 'ei'를 사용한다.[16] 이것 또한 동사이므로 주어에 맞춰 활용이 된다.
minä en me emme
sinä et te ette
hän ei he eivät

5.3. 시제

핀란드어 시제는 현재(preesens), 과거 (imperfekti), 현재완료 (perfekti) 및 과거완료 (plusvamperfekti) 네 가지로 분류하는 것이 중론이다. 한국어와 같이 미래 시제는 따로 없으며, 현재 시제로 표현되는 대신 다른 동사 또는 시간 표현을 통해서 표현한다.

현재 (preesens): 비과거(non-past) 시제라고도 한다. 영어[17]의 현재 시제와 미래 시제를 합친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굴절 어간에 인칭 어미만 붙여서 표현한다.

과거 (imperfekti): 영어의 단순과거 (simple past) 및 과거진행 (past progressive) 에 해당한다. 시제랑 굴절 어간과 인칭 어미 사이에 과거 시제 어간 -i-를 붙여서 표현한다.

현재완료 (perfekti): 완료형은 한국어로 다양하게 표현되는 까닭에 이해하기 어려운 시제이나, 영어의 동일한 시제(present perfect)와 거의 일치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연결동사[18] olla와 과거 분사 -nUt[19]을 붙여서 표현한다.

과거완료 (plusvamperfekti): 영어의 동일한 시제(past perfect)에 해당한다. 생성 방법은 연결동사 olla가 과거형 oli인 점을 제외하고 현재완료 시제와 동일하다.

부정(不正) 표현은 상기한 동사 ei를 사용해서 표현되는데, 바로 위의 긍정 표현과 생성 방법이 다르므로 따로 외워줘야 한다.

5.3.1. 현재 (Preesens)


굴절어간에 인칭 어미를 붙여서 현재 시제를 표현한다. 핀란드어에서 현재 시제는 영어와 비슷해서 현재 일어나는 상황뿐만 아니라, 현재 상태/동작, 습관, 일반적인 사실, 미래 시제[20]도 표현할 수 있다
유형 1
puhua 말하다 어간: puhu-
minä puhun me puhumme
sinä puhut te puhutte
hän puhuu he puhuvat

ostaa 사다, 어간: osta-[21]
harrastaa 즐기다, 어간: harrasta-
taivuttaa 활용하다, 어간: taivutta- (tt-t 자음변화)
유형 2
syödä 먹다 어간: syö-
minä syön me syömme
sinä syöt te syötte
hän syö he syövät

luoda 창조하다, 어간: luo-
juoda 마시다, 어간: juo-
saada 얻다, 어간: saa-
유형 3
mennä 가다 어간: mene-
minä menen me menemme
sinä menet te menette
hän menee he menevät

panna 놓다, 어간: pane-
purra 물다, 어간: pure-
ajatella 생각하다, 어간: ajattele- (tt-t 자음변화)
유형 4
haluta 원하다 어간: halua-
minä haluan me haluamme
sinä haluat te haluatte
hän haluaa he haluavat

selata 훑어보다, 어간: selaa-
erota 이혼하다, 어간: eroa-
meinata 의도하다, 어간: meinaa-
유형 5
tarvita 필요하다 어간: tarvitse-
minä tarvitsen me tarvitsemme
sinä tarvitset te tarvitsette
hän tarvitsee he tarvitsevat

valita 선택하다, 어간: valitse-
häiritä 괴롭히다, 어간: häiritse-
tulkita 해석하다, 어간: tulkitse-
유형 6
vanheta 늙어가다 어간: vanhene-
minä vanhenen me vanhenemme
sinä vanhenet te vanhenette
hän vanhenee he vanhenevat

lämmeta 따뜻해지다, 어간: lämmene-
nuoreta 젊어지다, 어간: nuorene-
valjeta 밝아지다, 어간: valkene- (k-j 자음 변화)

예외
tehdä 하다 어간: teke- (k-∅ 자음 변화)
minä teen me teemme
sinä teet te teette
hän tekee he tekevat
nähdä 보다 어간: näke- (k-∅ 자음 변화)
minä näen me näemme
sinä näet te näette
hän näkee he näkevat
olla 있다 (영어의 be 동사와 유사) 어간: ole- (불규칙 변화)
minä olen me olemme
sinä olet te olette
hän on he ovat

이 외에 유형 4,5,6 동사는 기본형과 굴절 어간의 유형이 따로 노는 경우도 있다. 몇 없지만 이런 단어들을 따로 외워야 한다.
ex) selvitä 알게 되다 (표면상으로는 유형 5 동사) : selviä-n (굴절 어간이 유형 4 동사의 형태를 띈다.)

5.3.2. 과거 (Imperfekti)

굴절어간과 인칭어미 이외에 과거 시제 어간 -i-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이미 일어난 것을 표현할 때 쓰이며, 과거에 한 번 또는 습관적으로 발생한 것을 표현할 때 쓰인다. 각 동사 유형마다 생성 방식이 다르고, 동사 유형 내에서도 예외 규칙이 있으므로 숙지할 때까지 꽤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굴절 어간은 동사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유형 생성 규칙 (예시)
1 -i- 추가 (puhu- 말하다 : puhui-)
2 첫 모음 삭제, -i- 추가 (syö- 먹다 : söi-)
3 -e- 삭제, -i- 추가 (mene- 가다 : meni-)
4 (기본형에서) -tA 삭제, -si (haluta 원하다 : halusi-)
5 -se- 삭제, -si- 추가 (tarvitse- 필요하다 : tarvitsi-)
6 -ne- 삭제, -ni- 추가 (vanhene- 늙어가다 : vanheni-)
참고로 모든 유형에서 3인칭 단수는 장음화 되지 않고 -i로 끝난다.
유형 1
puhua 말하다 어간: puhu-
minä puhuin me puhuimme
sinä puhuit te puhuitte
hän puhui he puhuivat
유형 2
syödä 먹다 어간: syö-
minä söin me söimme
sinä söit te söitte
hän i he söivät
유형 3
mennä 가다 어간: mene-
minä menin me menimme
sinä menit te menitte
hän meni he menivät
유형 4
haluta 원하다 어간: halua-
minä halusin me halusimme
sinä halusit te halusitte
hän halusi he halusivat
유형 5
tarvita 필요하다 어간: tarvitse-
minä tarvitsin me tarvitsimme
sinä tarvitsit te tarvitsitte
hän tarvitsi he tarvitsivat
유형 6
vanheta 늙어가다 어간: vanhene-
minä vanhenin me vanhenimme
sinä vanhenit te vanhenitte
hän vanheni he vanhenivat

5.3.3. 현재완료 (Perfekti)

5.3.4. 과거완료 (Plusvamperfekti)

5.4. 수동태 (Passiivi)

5.5. 서법

5.5.1. 평서법 (Indikatiivi)

5.5.2. 조건서법 (Konditionaali)

5.5.3. 명령서법 (Imperatiivi)

5.5.4. 가능서법 (Potentiaali)

5.6. 부정 어간 (Infinitiivi)

5.6.1. 1부정 어간

5.6.2. 2부정 어간

5.6.3. 3부정 어간

5.6.4. 4부정 어간

5.6.5. 5부정 어간

5.7. 분사 (partisiippi)

5.8. 전치사 (prepositio)/후치사 (pospositio)

5.9. 접어 (liitepartikkeli)



[1] partitive[2] accusative, 쉽게 말하면 -을/를, 목적격이라고도 한다.[3] 이웃한 에스토니아어는 14격[4] 대문자 A는 앞에 오는 모음에 따라 a 혹은 ä로 모음조화함을 의미하고, V는 앞에 오는 모음이 반복됨을 의미한다.[5] 단수일 때는 속격처럼 -n이, 복수일 땐 주격처럼 -t가 붙는다. 다만 일부 경우에는 단수일 때 격표지를 붙이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인칭대명사의 경우 minut, sinut...처럼 속격 형태에서 n 대신 t가 붙는 형태를 사용한다.[6] '~의 일부분'이라는 뜻이다. 핀란드어 외엔 에스토니아어처럼 핀란드어와 가까운 언어들에만 존재한다. 당연히 한국어에도 비슷한 게 없기 때문에 서술이 어렵다. 핀란드의 스웨덴어 화자들도 잘 이해하지 못한다고 한다. https://en.m.wikipedia.org/wiki/Partitive 참고. 하지만 프랑스어에는 부분 관사(l'article partitif)라고 비슷한 것이 존재한다. 우랄어족 외에서는 이것이 가장 비슷하나 프랑스어의 부분 관사는 셀 수 없는 명사 (물, 기름 등)에만 쓰이기 때문에 핀란드어의 부분격과는 차이가 있다.[7] 항상 소유접미사를 붙여서 표현한다. 여기서 나온 -i-ne-en은 -i-ne-nsa와 함께 3인칭 형태.[8] 재내격, 향외격, 향내격, 재상격, 탈격, 향격.[9] 현재시제에선 이 구문에서만 나타남.[10] 원래 99까지 이런 식으로 표현했다고 한다. 31 ~ 39는 -kolmatta, 41 ~ 49는 -neljättä 등.[11] yksi (1) 이외의 숫자가 수식어인 경우 명사는 부분격을 가진다.[12] mp-mm 자음 변화가 적용되므로 폐음절이 되는 경우 강형 mp에서 약형 mm으로 변형된다.[13] A, O, U는 각각 a/ä, o/ö, u/y를 묶는 표기이다.[14] 사전에서 쓰이는 동사 표기 (dictionary form). 핀란드어에서는 1부정 어간으로 표현된다.[15] 단, 이중모음은 아무 것도 안 붙음[16] 에스토니아어도 마찬가지다.[17] 한국어 시제 분류는 논란이 많으므로 그나마 대응되는 영어로 예를 드는 게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18] 영어의 be 동사와 성격이 매우 비슷하다. 원래 의미는 '있다'에 해당한다. 이것도 영어와 일맥상통.[19] 대문자 U 는 u와 y를 묶어 표기한 것이다.[20] 주로 수식 부사를 사용해서 표현한다.[21] 인칭 어미가 붙은 활용형을 확인하고 싶다면 https://en.wiktionary.org/wiki/Wiktionary:Main_Page에서 검색 후 conjugation을 펼쳐보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