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23:15:27

17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래퍼 XXXTENTACION의 정규 음반}}}에 대한 내용은 [[17(음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17(음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17(음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가수 도영의 디지털 싱글}}}에 대한 내용은 [[17(도영)]]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17(도영)#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17(도영)#|]]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래퍼 XXXTENTACION의 정규 음반: }}}[[17(음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17(음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17(음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가수 도영의 디지털 싱글: }}}[[17(도영)]]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17(도영)#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17(도영)#|]]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십칠()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열일곱"
seventeen
·
· seventeenth(서수)
17
<colbgcolor=#F5F5F5,#2E3033> 종류 정수
,
약수 1\
제곱
· 제곱근
, ±
, ±
문화권별 숫자 표기
(해당 없음)
{{{#!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block;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ⅩⅦe; margin: -5px -2px -11px"
<nopad> 로마 숫자
ⅩⅦ
ⅩⅦ
ⅩⅦ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ΙΖ΄e;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그리스 숫자
[ruby(Μ, ruby=)]
ΙΖ΄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١٧;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동부 아라비아 숫자 ١٧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none;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갖은자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none;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이체자
}}}}}}}}}



1. 개요2. 수학3. 날짜4. 과학5. 스포츠6. 교통
6.1. 버스6.2. 지하철6.3. 도로
7. 문화재8. 기타


1. 개요


16보다 크고 18보다 작은 자연수, 7번째 소수로, 앞 소수는 13, 다음 소수는 19이다.

2. 수학

3. 날짜

4. 과학

5. 스포츠

6. 교통

6.1. 버스

6.2. 지하철

6.3. 도로

7. 문화재

8. 기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정성곤과 트레이드 이후에 받았다.[2] 아들의 생일(1월 7일)을 상징하고자 사용하고있다.[3] 김태훈과 트레이드 이후 물려받았으며, 삼성 시절에도 잠깐 사용한 적이 있다.[4] 이원석이 오래 사용한 16번은 히어로즈에서는 구단이 메이저리그 진출 선수(3, 7, 16, 51, 52)를 기리기 위해 결번 처리한 것이라고 한다.[5] 2006년에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트레이드된 직후엔 16번이었다.[6] 그 이후 올랭피크 리옹으로 이적하면서 27번을 달게 되었다.[7] 2020년 이후부터 국대 한정으로 10번으로 바꿔 달았다.[8] 컨페더레이션스컵 경기 도중 심장발작으로 사망했다. 사망 당시 소속 구단은 맨체스터 시티였지만 17번으로 영구결번된 구단은 전 소속팀이었던 RC 랑스다. 맨시티에서는 23번이 영구결번이다. 푀가 3년간 몸 담았었던 올랭피크 리옹에서도 푀의 사망 후 17번이 영구결번으로 같이 지정되었었지만 2008년에 같은 카메룬 출신 미드필더 장 마쿤이 이어받은 이후로 영구결번에서는 해제되었다.[9] 영구 차출 금지[10] 정확히는 현재완료형인데 라틴어는 현재완료시제가 과거시제의 의미를 상당히 포함한다.[11] 특히 이노우에 키쿠코타무라 유카리의 경우는 종종 본인들이 맡는 캐릭터들의 나이가 되기도 한다.[12] "내가 17대1루 다구리 붙다가 허리 좀 삐끗했지..." (영화대사) 사실 어찌보면 실제가 아니라 허풍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13] 아이러니하게도 뇌물 등의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 17년형이 확정되면서 탄핵당한 후임과 함께 경호를 제외한 전직 대통령 예우를 박탈당했다.[14] 옛날 만화 특유의 오류 때문에 등번호가 많이 오락가락한다. 17에서 1이나 7이 사라져서 7번이나 1번이 될 때가 있고 어느 때는 0번이 되기도 한다. 그래도 작중 가장 많이 보이는 등번호는 17번이다.[15] 정식판이 아닌 오리지널 버전에서는 최종보스도 있어서 총 18보스다.[16] 다만 팀명과 달리 멤버는 13명이다. 본래 17명으로 데뷔할 예정이긴 했다.[17] 하지만 실은 아일렛이 있던 시간선은 117회차였으며, 진짜 17회차에서는 아일렛이 없는 세계에서 테실리드가 아일렛을 찾아다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