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21:08:38

강정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강정호(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강정호 배번.svg관련 문서
강정호
Kang Jung-ho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아마추어 경력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 현대 유니콘스
Hyundai Unicorns
2006년 · 2007년
파일:우리 히어로즈 엠블럼.svg 파일:서울 히어로즈 엠블럼.svg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 우리-서울-넥센 히어로즈
Woori-Seoul-Nexen Heroes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2012년 · 2013년 · 2014년
파일:MLB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로고.svg 피츠버그 파이리츠
Pittsburgh Pirates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10 아시안 게임 ·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14 아시안 게임
평가
플레이 스타일 · 추강대엽
기타
2020년 · 2021년 · 2022년 · 논란 · 여담
}}}}}}}}} ||
강정호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25번
이정호
(2005)
<colbgcolor=#000f24><colcolor=#fab93d> 강정호
(2006)
송지만
(2007)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17번
송지만
(2004~2006)
강정호
(2007)
해체
{{{#fff [[우리 히어로즈|우리]] / [[서울 히어로즈|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17번}}}
팀 창단 강정호
(2008)
이상열
(2009)
{{{#fff [[서울 히어로즈|서울]] / [[넥센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16번}}}
정성훈
(2008)
강정호
(2009~2014)
임시 결번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27번
제이슨 닉스
(2014)
강정호
(2015~2016)
케빈 뉴먼
(2018~2022)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16번
닉 라이바
(2015~2016)
강정호
(2018~2019)
타릭 브록
(2020~)
}}} ||
파일:강정호 프로필.jpg
키움 히어로즈 No.16
<colcolor=#ffffff> 강정호
姜正浩 | Kang Jung-Ho
<colbgcolor=#570514> 출생 1987년 5월 2일[1] ([age(1987-05-02)]세)
광주직할시
(現 광주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광주화정초 - 무등중 - 광주제일고 - (남부대)
신체 183cm | 95kg | A형
포지션 유격수[2], 3루수[3]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6년 2차 1라운드 (전체 8번, 현대)
소속팀 현대 유니콘스 (2006~2007)
우리-서울-넥센 히어로즈 (2008~2014)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5~2019)
키움 히어로즈 (2022)[4]
아길라스 시바에냐스 (2017/18)
소속 킹캉베이스볼아카데미(원장)[위치]
병역 예술체육요원[6]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가족 아내(1992년생)[7]
본관 진주 강씨
종교 불교개신교[8]
등장곡 넥센 히어로즈 시절
T.O.P - Turn It Up
응원가 에드워드 엘가 - 사랑의 인사[9][10][11]
자우림 - 매직 카펫 라이드[12]
구단 자작곡[13]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14]
}}}}}}}}} ||
파일:MLB 로고.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킹캉 아카데미

1. 개요2. 선수 경력3. 주요 기록4. 은퇴 후
4.1. 은퇴 이후 활동
5. 플레이 스타일6. 논란7. 여담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현역 시절 포지션은 내야수. 아마추어 시절에는 포수로 뛰기도 했으나 KBO 리그 시절 주 포지션은 유격수였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진출 이후에는 3루수로 많은 경기를 출전했다.

박진만삼성 라이온즈 FA 이적 이후 빈 자리가 되었던 현대 유니콘스의 주전 유격수 자리를 차지한 주인공이자 현대 유니콘스가 남긴 마지막 유산[15]넥센 히어로즈프랜차이즈 스타이다.

또한 KBO에서 MLB에 진출, 직행한 최초의 한국인 타자로, 2015년과 2016년 피츠버그 파이리츠 소속으로 유의미한 활약을 펼쳤다.[16]

하지만 무려 3회의 음주운전 적발과 자기범인도피교사를 저지른 게 드러나 프로 경력이 일시 중단되었다. 2018년 말에서야 메이저리그 복귀가 이뤄졌지만 부진하여 시즌 중 방출되었다. 2020년 4월 29일 KBO 리그 복귀를 선언했지만 포스팅 제도로 해외에 진출했기 때문에 오직 키움 히어로즈 소속으로만 뛸 수 있는데, 여론의 악화로 6월 29일 결국 본인 스스로 국내 복귀 신청을 철회했다.

이듬해부턴 미국에 거주하며 일반인으로서의 삶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들리며 본인이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하진 않았을 뿐, 프로야구 선수로서의 커리어는 사실상 끝을 맺을 것으로 보였다. 2022년 3월 18일 키움과 최저 연봉으로 계약하며 2023 시즌 복귀를 시도했지만, 결국 KBO가 계약 승인을 불허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음주운전에 대한 한국 사회 전반의 경각심과 비판적 여론이 거세지면서 KBO 복귀 재추진은 가능성이 무산됐고 사실상의 은퇴 수순에 접어들었다.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에 킹캉베이스볼아카데미를 설립해 운영하며 아마추어 야구 및 타격 지도자 생활을 하고있다.[17]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강정호/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파일:MLB 로고.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10년 2013년 2014년

3. 주요 기록

파일:KBO 로고(세로형).svg KBO 주요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기록 비고
2014년 타자 트리플100 달성 [18]

4. 은퇴 후


2022년, KBO의 키움 히어로즈와 선수 계약 승인 불허로 복귀가 무산되었다. 결국 선수생활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버리면서 사실상 은퇴 수순에 접어들게 되었다. 현재는 5살 연하의 재미교포 여성인 부인과 함께 미국에서 거주하고[19]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 야구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2023년 2월 9일 손아섭이 올 겨울 개인훈련을 강정호 아카데미의 도움으로 소화하면서 잊혀져가던 강정호도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는데, 언론 인터뷰에 따르면 손아섭과 롯데 출신 허일 코치가 강정호의 아카데미에서 1달간 훈련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손아섭이 부활하자 강정호도 유튜브에서 이를 언급했으며 부진하는 다른 선수들에게 러브콜을 보내기도 했다.

2023년 4월 21일, 그의 근황을 담은 인터뷰가 일요신문을 통해 기사로 공개되었다. 우연히 도미니카에서 만난 한국인 선교사를 통해 개신교로 개종했고 술도 끊었다는 모양.#

2023년 7월 25일, 김하성이 출전한 피츠버그 파이러츠샌디에이고 파드리스 경기 관람 도중 파울볼을 맨손으로 잡은 장면이[20] 현지 중계를 통해 송출됐다. 경기전 김하성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21] 경기 후 유튜브 방송으로 김하성, 최지만과 긴 얘기를 나누었다.[22]

4.1. 은퇴 이후 활동

2023년 3월 12일,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체코전 리뷰로 인스타그램, 유튜브 방송을 시작했다. 유튜브를 통해 WBC 중계를 했는데 볼카운트 상황에서의 수싸움과 타격 등에서 디테일하고 이해하기 쉬운 해설을 해 꽤 호평받았다. 더불어 중간중간에 채팅으로 팬들과 소통하며[23] 이런저런 썰을 풀기도 했다. 체코전까지는 구독자가 30명도 되지 않았으나 1000명이 되면 중국전에도 중계를 하겠다는 공약을 걸자마자 구독자 1000명을 달성해 이틀 만인 3월 14일 기준으로 무려 3000명까지 늘었다. 향후 메이저리그 중계를 주로 하되 가끔 KBO리그도 중계하겠다며 타격 기술 등에 대해서도 유튜브를 통해 자세히 설명해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더불어 이제까지 착하게 못 살아서 앞으로는 착해지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많이 도와달라고 덧붙이기도. 이후 꾸준히 영상을 올리고 있으며 한국인 메이저리거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기도 했다.

2023 KBO 리그 개막 초기 10개 구단 분석을 올렸고, 전반기 진행 후에는 포스트시즌 진출 예상과 분석을 하였다.

개인 선수에 대해서, 한동희 분석을 해달라는 댓글이 이전부터 엄청 많아 결국 한동희 분석 영상을 올렸고 한동희 선수가 왜 부진하는지 잘 설명해줘 큰 호평을 받았다. 박흥식 코치 돌려까기는 덤[24]

2022 시즌을 거하게 말아먹은 손아섭의 레슨을 해줬다고 한다. 그 결과 타격왕과 안타왕을 동시에 수상하면서 손아섭은 반등에 성공했다.

또한 김재환의 타격 분석을 하면서 2023년 부진하지만 문제점을 고치면 내년에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을 남겼다. 히어로즈 시절 인연인 김하성이정후에 대해 코멘트 영상을 올렸다,

이후, 본인 언급으로 유튜브가 흥하면서 한국인 마이너리거들이 줄을 서는 등 아카데미가 잘 되고 있다고 한다. 사실 본인이 잘 하는 것과 잘 가르치는 것은 완벽하게 다른 영역인데, 선수들의 분석과 지도에도 큰 재능이 있는 듯 하다. 양의지에 따르면 김재환도 킹캉아카데미를 찾았으며, 한동희정훈이대호가 아카데미로 보낸다고 한다. 이대호에 따르면, 본인은 멘탈적인 조언을, 강정호는 기술적인 조언을 하기로 했다고 하며 경비 전액을 이대호가 부담한다고 한다. 또한 kt wiz 황재균도 1달 일정으로 아카데미를 찾았고 2023시즌에 큰 도움을 받은 손아섭과 같은 팀 동료인 박세혁도 함께 가서 레슨을 받기로 했다고 한다. 이에 해당 타자들의 반등 여부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25]

하지만 이렇게 강정호에게 코칭을 받은 선수들이 시즌 초 기대 이하의 성적을 기록하거나 심각하게 부진하면서[26] 강정호의 코칭 능력이 허상이 아니었나 하는 의견이 늘고 있다. 다만 김재환, 손아섭이 다시 부활했고 한동희는 활약하기도 전에 입대, 황재균은 꼰대 논란처럼 자신이 구설수를 만들고 다녀서 강정호는 다소 억울한 셈.

이후, 2할 2푼의 저조한 타율에 시달렸던 김재환이 2할 8푼 3리의 타율을 포함해 장타율 5할을 회복하고, 29홈런[27]을 기록하여 강정호의 타격 레슨이 재평가를 받고 있다.

2024 오프시즌에서는 성공을 거둔 김재환, 달라진 게 없던 박세혁이 다시 방문했고 두산팬들이 염원하던 김대한뿐만 아니라 삼성의 공민규, kt의 박민석이 방문했다.

5.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정호/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정호/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정호/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55><tablebg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현대 유니콘스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c8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82년~2007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신현석(1) 김대진 송영수(1) 미지명 김경갑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이상훈
최진영
신완근
곽권희
김진규
박준태
정명진
이용호 염경엽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장광호 손차훈 이숭용
곽병찬
김병철 허유신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최만호 홍민구 양용수(1) 이동학 장기영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배힘찬 지석훈 오재영 차화준 강정호
2007년 2008년
장효훈 김성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메이저 리그 진출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2015 2016 2021 2024 2025
파일:강정호 배번 버건디.svg파일:강정호 배번.svg 파일:박병호 배번 버건디.svg파일:박병호 배번.svg 파일:김하성 배번 버건디.svg파일:김하성 배번.svg 파일:이정후 배번 버건디.svg파일:이정후 배번.svg 파일:김혜성 배번 버건디.svg파일:김혜성 배번.svg
PIT MIN SD SF LAD
}}}}}}}}} ||
강정호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10

파일:2014 인천 아시안게임 로고.svg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1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오대석
삼성 라이온즈
김재박
MBC 청룡
김재박
MBC 청룡
김재박
MBC 청룡
김재박
MBC 청룡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김재박
MBC 청룡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박계원
롯데 자이언츠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김민호
OB 베어스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유지현
LG 트윈스
유지현
LG 트윈스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브리또
삼성 라이온즈
홍세완
KIA 타이거즈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손시헌
두산 베어스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박기혁
롯데 자이언츠
손시헌
두산 베어스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이대수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김재호
두산 베어스
김재호
두산 베어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김선빈
KIA 타이거즈
김하성
넥센 히어로즈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rowcolor=#d0ad67> 2022 2023 2024
오지환
LG 트윈스
오지환
LG 트윈스
박찬호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2024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svgKBO 플레이오프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5 1996 1997 1998 1999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최창호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신국환
LG 트윈스 / 내야수
유지현
LG 트윈스 / 내야수
송진우
한화 이글스 / 투수
1999 2000 2001 2002
박석진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심정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안경현
두산 베어스 / 내야수
박용택
LG 트윈스 / 외야수
2003 2004 2005 2006 2007
이진영
SK 와이번스 / 외야수
로페즈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전상렬
두산 베어스 / 외야수
김태균
한화 이글스 / 내야수
이종욱
두산 베어스 / 외야수
2008 2009 2010 2011 2012
이종욱
두산 베어스 / 외야수
박정권
SK 와이번스 / 내야수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박정권
SK 와이번스 / 내야수
정근우
SK 와이번스 / 내야수
2013 2014 2015 2016 2017
유희관
두산 베어스 / 투수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니퍼트
두산 베어스 / 투수
박석민
NC 다이노스 / 내야수
오재일
두산 베어스 / 내야수
2018 2019 2020 2021 2022
김강민
SK 와이번스 / 외야수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플렉센
두산 베어스 / 투수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지명타자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2023 2024
손동현
kt wiz / 투수
레예스
삼성 라이온즈 / 투수
* 플레이오프는 1985년에 시작했지만, MVP는 1995년부터 수상하기 시작했다. 1999년과 2020년은 양대리그제로 플레이오프가 2경기 개최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2010~2015
월간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9월 10월
2010 시즌
카도쿠라
SK 와이번스
류현진
한화 이글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류현진
한화 이글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송승준
롯데 자이언츠
2011 시즌
박용택
LG 트윈스
이병규
LG 트윈스
가르시아
한화 이글스
윤석민
KIA 타이거즈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2012 시즌
정성훈
LG 트윈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이호준
SK 와이번스
서재응
KIA 타이거즈
2013 시즌
양현종
KIA 타이거즈
옥스프링
롯데 자이언츠
손민한
NC 다이노스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2014 시즌
유희관
두산 베어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찰리
NC 다이노스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a]
2015 시즌
안영명
한화 이글스
이호준
NC 다이노스
김태균
한화 이글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해커
NC 다이노스
정의윤
SK 와이번스
[a]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으로 인한 브레이크로 MVP 미선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장타율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0.740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618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0.633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0.575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0.514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0.579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0.575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0.577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0.545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0.640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0.659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598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590
장종훈
한화 이글스 / 0.562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624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63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0.624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0.733
송지만
한화 이글스 / 0.622
호세
롯데 자이언츠 / 0.685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0.689
심정수
현대 유니콘스 / 0.720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 0.608
서튼
현대 유니콘스 / 0.592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571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600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622
김상현
KIA 타이거즈 / 0.632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667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0.617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0.561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0.602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 0.739
테임즈
NC 다이노스 / 0.790
테임즈
NC 다이노스 / 0.679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최정
SK 와이번스 / 0.684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0.718
양의지
NC 다이노스 / 0.574
로하스
kt wiz / 0.680
양의지
NC 다이노스 / 0.581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575
최정
SSG 랜더스 / 0.548
김도영
KIA 타이거즈 / 0.647
* 장타왕은 1984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파일:포브스(기업) 로고 화이트.svg
포브스 코리아 선정 파워 셀러브리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위 - 10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포브스 코리아는 2009년부터 매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명인의 직업적 성취, 미디어 노출, 소셜 미디어 인기도, TV 출연 및 지난해 수입에 따라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를 선정하고 있다.
202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BIGBANG 원더걸스 이효리 소녀시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지성 이승엽 유재석 김태희
201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소녀시대 박지성 이병헌 BIGBANG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고현정 이승기 이효리 유재석 강호동
201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박지성 김연아 이승기 2PM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유재석 이청용 2AM 추신수 강호동
201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아이유 카라 김연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박지성 김태희 비스트 박태환
201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싸이 소녀시대 손연재 김수현 BIGBANG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태환 송중기 아이유 김연아 SUPER JUNIOR
2014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수지 류현진 EXO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추신수 동방신기 SHINee 김연아 아이유
2015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김수현 김연아 전지현 손연재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류현진 손흥민 소녀시대 씨스타
2016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유아인 혜리 소녀시대 김수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BIGBANG 박인비 전지현 아이유 강정호
2017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박보검 송중기 TWICE EXO 방탄소년단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수지 송혜교 김유정 조정석 오승환
2018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Wanna One TWICE EXO 아이유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송혜교 송중기 박보검 김연아 류현진
2019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BLACKPINK 방탄소년단 Wanna One 강다니엘 Red Velvet
<rowcolor=#fff> 5위 7위 8위 9위 10위
박나래 홍진영 한지민 손흥민 EXO
}}}}}}}}} ||
2020년대 이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류현진 BLACKPINK 손흥민 봉준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전현무 박나래 이수근 TWICE 김희철
202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류현진 손흥민 임영웅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김광현 유재석 영탁 정동원 장윤정
202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손흥민 류현진 이찬원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임영웅 윤여정 유재석 장민호
202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손흥민 BLACKPINK 송중기 유재석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임영웅 손석구 장민호 장윤정 영탁
}}}}}}}}} ||
}}}}}}}}} ||

파일:한국갤럽 CI.svg
좋아하는 국내외 활동 야구 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국갤럽은 매년 초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좋아하는 국내외 활동 야구 선수'를 선정하고 있다.

2000년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05년
※ 2010년 이후의 공식 발표 자료만 남아 있어 5위까지만 확인 가능.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박찬호 최희섭 이승엽 김병현 이종범
2008년
※ 2010년 이후의 공식 발표 자료만 남아 있어 5위까지만 확인 가능.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이승엽 박찬호 양준혁 이대호 김병현 / 이종범
}}}}}}}}} ||
2010년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종범 이대호 양준혁 김현수 최희섭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류현진 김상현 봉중근 강민호 이용규
201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용규 류현진 이종범 홍성흔 김광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강민호 김현수 김상현 이용규 최희섭
201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박찬호 이승엽 이대호 추신수 류현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종범 김태균 김병현 윤석민 홍성흔
201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류현진 이승엽 이대호 추신수 강민호
<rowcolor=#fff> 6위 7위 8위 공동 9위
이용규 윤석민 홍성흔 김태균 / 오승환
2014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류현진 추신수 이대호 이승엽 강민호 / 윤석민
<rowcolor=#fff> 7위 8위 9위 10위
오승환 이병규 김태균 김현수
2015년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류현진 추신수 이대호 오승환 강정호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공동 2위 공동 4위
이승엽 강민호 / 윤석민 박병호 / 김태균 / 홍성흔
<rowcolor=#fff> 7위 8위 공동 9위
손아섭 김현수 양현종 / 김광현
2016년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3위 공동 4위
류현진 추신수 이대호 박병호 / 강정호
<rowcolor=#fff> 6위 7위
김현수 오승환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3위 공동 4위
이승엽 강민호 이용규 양현종 / 김태균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공동 10위
김광현 윤석민 이병규 손아섭 구자욱 / 정근우 / 나성범
2017년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공동 3위
류현진 추신수 김현수 / 박병호 / 오승환
<rowcolor=#fff> 6위 7위
강정호 황재균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이대호 이승엽 강민호 이용규 김태균
<rowcolor=#fff> 6위 공동 7위 9위 10위
정근우 김광현 / 양현종 서건창 손아섭
2018년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 2018년은 해외파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만 선정. 2019년은 좋아하는 선수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았다. #
<rowcolor=#fff>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5위
이대호 양현종 김선빈 / 김태균 김광현 / 김현수
<rowcolor=#fff> 7위 공동 8위 10위
강민호 박병호 손아섭 나성범
}}}}}}}}} ||
2020년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20년
<rowcolor=#fff>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5위
류현진 추신수 이대호 / 이정후 김광현 / 양현종
<rowcolor=#fff> 공동 7위 9위 10위
최지만 / 박병호 김태균 양의지
202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공동 4위
추신수 류현진 이대호 김광현 / 양현종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정후 양의지 김하성 최지만 손아섭
202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류현진 추신수 이정후 김광현 이대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양현종 구자욱 나성범 양의지 강백호
202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정후 류현진 김하성 추신수 김광현
<rowcolor=#fff> 공동 6위 8위 공동 9위
양현종 / 양의지 최지만 김현수 / 최정
2024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류현진 이정후 김하성 추신수 문동주 / 양현종
<rowcolor=#fff> 7위 8위 공동 9위
오지환 손아섭 전준우 / 구자욱
}}}}}}}}} ||
같이 보기: 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 }}}}}}}}}

파일:일구상 로고.jpg 2015 일구상 특별공로상

파일:스포츠서울.png 2014 프로야구 올해의 상 올해의 타자상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0 아시안 게임
조범현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 안지만 · 21 정대현 · 27 김명성 · 28 윤석민
32 임태훈 · 37 고창성 · 46 송은범
51 봉중근 · 54 양현종 · 99 류현진
포수 26 박경완 · 47 강민호
내야수 7 조동찬 · 8 정근우 · 10 이대호 · 13 손시헌
14 최정 · 16 강정호 · 52 김태균
외야수 9 김강민 · 15 이용규 · 17 추신수
39 이종욱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조범현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김시진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윤영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손승락 · 11 박희수 · 17 유원상 · 18 노경은
21 오승환 · 23 차우찬 · 26 서재응 · 28 윤석민
38 정대현 · 48 장원삼 · 57 장원준 · 66 윤희상
포수 20 진갑용 · 47 강민호
내야수 7 김상수 · 8 정근우 · 13 손시헌 · 25 이대호
14 최정 · 16 강정호 · 36 이승엽 · 52 김태균
외야수 9 전준우 · 15 이용규 · 31 손아섭
35 이진영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양상문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한용덕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박정태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한수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수비·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4 아시안 게임
류중일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안지만 · 11 이재학 · 12 임창용 · 21 유원상
22 이태양 · 23 차우찬 · 29 김광현 · 42 홍성무
51 봉중근 · 54 양현종 · 63 한현희
포수 20 이재원 · 47 강민호
내야수 3 김민성 · 7 김상수 · 13 황재균
16 강정호 · 17 오재원 · 52 박병호
외야수 25 나지완 · 31 손아섭 · 48 나성범
49 민병헌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조계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윤영환
수비 ·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1] 음력 1987년 4월 5일.[2] KBO 리그 시절 주 포지션[3]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절 주 포지션[4] 한국야구위원회 측의 계약 승인 불허로 정식 계약을 하지 못하였다. 다만, 임의 해지 복귀는 허가됐다.[위치] 3950 Valley Blvd, Walnut, CA 91789[6] 이후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연금 수령 대상이 되었지만 음주운전 사건으로 박탈 후 이미 받은 연금도 몰수당했다.[7] 2019년 11월 말, 매체를 통해 강정호가 5살 연하의 재미교포 여성과 결혼식을 올린다고 보도되었다. 미국 피츠버그의 한 대학원에서 약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인물로 알려졌다. #[8] 2018년 12월 미국의 한인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http://m.kmib.co.kr/view.asp?arcid=0012895081[9] (강!정!호!) 날려라 날려버려라~ (강!정!호!) 날려라 날려버려라~ (강!정!호!) 날려라 날려버려라~ (강!정!호!) 오오 오오오 오오오~ (강!정!호!)[10] 실제로는 마디의 끝 음 (날려버려)부터 강!정!호!를 외치기 때문에 겹침 현상이 일어나 날려라 날려버려 강정호! 라고 들린다.[11] 7공주 - Love Song의 원곡이기도 하다.[12] 날려라 홈런! 넥센의 강정호~ 날려라 홈런! 넥센의 강정호~ 날려라 홈런! 넥센의 강정호~ 날려라 홈런! 강정호~ ×2[13] 저 하늘 끝~까~지 날~려~라 강정호~ 저 하늘 끝~까~지 날려라 강정호~ 오늘도 내일도 저 하늘 끝~까지 날려라 히어~로즈 안타 강정호~[14] 미디어 담당.[15] 2023년 기준 현대 유니콘스에서 뛴 이력을 갖춘 현역 선수로는 장시환, 오재일, 황재균, 정훈이 남아있다. 흥미로운 점이 있다면 이 선수 중 현재 키움 히어로즈 소속 선수는 없다. 2020년과 2021년을 마지막으로 각각 선수 생활을 마감한 이택근오주원만이 현대 출신 선수로서 히어로즈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마무리하였다. 다만 이택근은 중간에 트레이드로 LG 트윈스에서 잠깐 있었던 반면 오주원은 이적 한번 없이 현대-히어로즈에서만 선수 생활을 한 원클럽맨이다. 과거로 올라간다 하여도 이숭용, 강병식, 권도영 정도가 전무할 만큼 히어로즈 원클럽맨 은퇴 선수가 많지 않다.[16] 강정호가 현역 메이저리거였던 시점에선 한국 리그를 경험한 적 있는 타자들 중에서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렸다고 봐도 무방하다. 당장 이대호의 경우 일본에서는 데뷔 첫 해부터 타점왕 타이틀을 먹더니 마지막 해에는 일본시리즈 MVP에 오를 정도로 맹활약했지만 메이저리그에서는 일본 시절에 비해 제한적인 수준으로 활약했다. 이승엽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홈런왕이라는 별칭을 달고 일본에 진출했지만 후반부에 부진한 성적을 남겼다. 비록 강정호는 풀타임으로 시즌을 소화한 적이 없는 게 흠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실적을 남겨 높이 평가 받는다.[17] 강정호와 친분이 두터운 손아섭2023년 초 강정호로부터 지도를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8] 149안타-117타점-103득점[19] 결혼은 2019년에 한듯.[20] 프로 선수 출신이기에 맨손으로 잡은 거지 일반인은 절대 따라하지 말자.[21] 참고 이때 김하성은 메이저 데뷔 첫 멀티홈런을 쳤다. 다만 팀은 김하성 외 전원이 삽을 푸며 8:4로 샌디에이고가 졌다.[22] 을 끊어서 그런지 모두 술 대신 콜라를 먹었다.[23] 채팅으로 어그로를 끌면 바로 아웃시키겠다고 선언했는데 한 시청자가 "형도 삼진아웃인데 바로 아웃은 너무하다"는 드립을 치기도 했다.[24] 넥센 타격코치 시절에는 박병호를 홈런왕으로, 강정호는 홈런 2위에 그쳤다.[25] 참고로 정훈, 황재균은 강정호와 현대 유니콘스 입단 동기이다. 다르게 말하면 정훈은 신고선수로 입단했고 강정호는 정식으로 지명 받은 선수라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26] 타율 2할을 겨우 턱걸이하고 있는 김재환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전년도에 화려하게 반등했던 손아섭조차 다시 부진의 늪에 빠졌다.[27] 킹캉스쿨 목표가 30홈런이었고, 잠실에서 정말 아깝게 못넘어간 볼이 많았던 것을 보면 장족의 발전이라 할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