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9:45:07

이대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대호(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955> 파일:롯데 자이언츠 영구결번_이대호.svg 관련 문서
이대호
Lee Dae-ho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선수 경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96~2002).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3~2008).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롯데 자이언츠 1기
Lotte Giants
2001년 · 2002년 · 2001년 · 2001년 · 2003년 · 2004년
2005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오릭스 버팔로즈
ORIX Buffaloes
2012년 · 2013년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Fukuoka SoftBank Hawks
2014년 · 2015년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시애틀 매리너스
Seattle Mariners
2016년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
롯데 자이언츠 2기
Lotte Giants
은퇴 투어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3년 · 2015년 · 2017년
}}}}}}}}} ||
기록
연도별 주요 성적 · 수상 경력 · 통산 홈런 일지
평가
플레이 스타일 · 헌사 · vs 김태균 · 추강대엽
논란 및 사건사고
치킨박스 피투척 · 판공비 인상 논란
기타
방송 및 기타 활동 · 홍대갈 · 여담 · 턱거돼 · 사진
파일:idaeho_icon.png
}}}}}}}}} ||
이대호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롯데 자이언츠 영구 결번
(선수명 하단 일자: 영구 결번식 진행일)
파일:롯데 자이언츠 영구결번_최동원.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영구결번_이대호.svg
최동원
(2011.09.30.)
이대호
(2022.10.08.)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9번
마해영
(1995~2000)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이대호
(2001~2004)
권민성
(2005~2006)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0번
권오현
(2003~2004)
이대호
(2005~2011)
리치먼드
(2013)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25번
하세가와 마사유키
(2010~2011)
이대호
(2012)
타케하라 나오타카
(2014~2015)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10번
오비키 케이지
(2007~2012)
이대호
(2013)
타니 요시토모
(2014~2015)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10번
나카하라 케이지
(2010~2013)
이대호
(2014~2015)
오타케 고타로
(2018~2022)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10번
스티븐 바론
(2015)
이대호
(2016)
욘더 알론소
(2017)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0번
황재균
(2016)
이대호
(2017~2022)
영구 결번
}}} ||
파일:이대호 공식 프로필.jpg
<colbgcolor=#041e42> 롯데 자이언츠 No.10
<colcolor=#ffffff> 이대호
李大浩|Lee Dae-ho
출생 1982년 6월 21일 ([age(1982-06-21)]세)
부산광역시 수영구
거주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 아라트리움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수영초 - 대동중 - 경남고 - (영남사이버대[1])
신체 194cm|130kg[2]|305mm|A형
포지션 1루수[3], 3루수[4], 지명타자[5]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1년 2차 1라운드 (전체 4번, 롯데)[6]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01~2011)
오릭스 버팔로즈 (2012~2013)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4~2015)
시애틀 매리너스 (2016)
롯데 자이언츠 (2017~2022)
해설위원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해설위원 (SBS)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해설위원 (SBS)
병역 예술체육요원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부문)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본관 <colcolor=#373a3c,#ddd>전주 이씨
가족 할머니[7], 어머니[8]
형 이시맥(1979년생)[9]
배우자 신혜정(1982년생, 2009년 12월 26일 결혼 ~ 현재)[10]
딸 이예서(2012년 1월 3일생)[11]
아들 이예승(2016년 3월 21일생)
장인어른 신학철[12]
등장곡 Cherry Filter - 〈오리 날다[13]
바비문 - 〈가즈아〉[14]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응원가 {{{-2 {{{#!folding [ 롯데 자이언츠 시절 응원가 보기 ]
{{{-2 {{{#!folding [ 오릭스 버팔로즈 시절 응원가 보기 ]
{{{-2 {{{#!folding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 응원가 보기 ]
종교 불교(조계종)[15]
MBTI ESFP[16]
소속사 유에이컴퍼니 }}}}}}}}}

1. 개요2. 선수 경력3. 해설자 경력4. 방송 및 기타 활동5. 플레이 스타일6. 평가
6.1. VS 김태균6.2. 추강대엽6.3. 이대호에 대한 헌사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치킨 박스 투척으로 인한 피해7.2.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판공비 셀프 인상 관련
8. 여담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야구 선수 출신 방송인.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서 경남고를 졸업한 뒤 2001년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아[17] 투수로 고향팀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했다.[18]

자타가 공인하는 롯데 자이언츠의 프랜차이즈 스타 중 한 명이자 롯데 자이언츠가 배출한 최고의 타자다. 암울할 정도로 허약하고 불균형적이던 팀 전력 탓에[19] KBO 리그 영구 결번 선수 중 유일하게 한국시리즈 무대를 밟지는 못했으나[20] 팀의 연고지인 부산에서 태어나고 자라서 롯데 역대 타자 중에서 가장 혁혁한 성과를 올린 선수[21]로 KBO 리그에서 오직 롯데 유니폼만 입고서 수많은 팬의 사랑을 받았기에 프랜차이즈 스타로서 추앙받을 자격은 충분하다.

롯데에서는 2004년 풀타임 출전을 시작으로 2010년 KBO 리그 유일의 타격 7관왕, 두 번의 타자 트리플 크라운, 두 번의 홈런왕과 타점왕, 세 번의 타격왕, 최다 연속 경기 홈런 세계 신기록(9경기 연속 홈런) 등을 달성하며 소속팀 롯데의 타선을 이끄는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아울러 2017년 고향팀 롯데로 다시 돌아와 은퇴 시즌이었던 2022년까지 맹활약했다. 특히 은퇴 시즌에도 녹슬지 않은 기량을 뽐내며 KBO 리그 역사상 최초로 은퇴 시즌에 KBO 골든글러브(지명타자 부문)를 수상하기도 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일본프로야구에서, 2016년에는 메이저 리그에서 뛰면서 한국-미국-일본의 1군 리그에서 모두 활약해본 한국 야구 최초의 타자이자 각 리그에서 두 자릿수 홈런을 쏘아올린 최초의 타자가 됐다. 일본에서는 해외 진출 첫 해인 2012년 타점왕 타이틀을 거머쥔 것을 시작으로 두 번에 걸쳐 베스트 9에 선정되고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일본시리즈 MVP를 수상했으며[22] 미국에서는 시애틀 매리너스 선수로 한 시즌간 활약하며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

이대호는 22년의 프로 생활 동안 2,895안타[23]를 기록했는데, 이는 KBO 리그에서 뛴 한국인 선수 중 최다 안타 개수이며[24] NPB에서 뛴 한국인 중 2위 기록이다.[25] 국가대표에서의 활약을 요약해 보면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타점 1위, OPS 1위, 홈런 2위, 안타 3위를 기록하였다. 이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 이승엽의 뒤를 이어 KBO 리그 두 번째 은퇴 투어를 진행한 이후 롯데 자이언츠의 두 번째 영구 결번 선수[26]가 되었다.

여러 가지 별명이 있으나, 그중에서도 국제 대회마다 좋은 모습을 보이며 붙게 된 '조선의 4번 타자'라는 별명이 가장 유명하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대호/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파일:NPB 로고.svg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파일:MLB 로고.svg
2016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3년 2015년 2017년
아마추어 시절

2.1. 수상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

이대호의 KBO 리그 수상 경력
2004 프로야구 올해의 상 성취상
2005 KBO 리그 월간 MVP 4월 타자 부문 MVP
KBO 올스타전 MVP
2006 KBO 시상식 타율상
홈런상
타점상
장타율상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시상식 올해의 선수상
KBO 골든글러브 페어플레이상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일구상 최우수선수상
스포츠토토 올해의 상 올해의 타자상
제일화재 프로야구대상 대상
2007 KBO 올스타전 인기상
선구회상
KBO 시상식 장타율상
제일화재 프로야구대상 최고타자상
스포츠토토 올해의 상 선행상
KBO 골든글러브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2008 KBO 올스타전 MVP
2009 KBO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KBO 골든글러브 사랑의 골든글러브상
2010 KBO 리그 월간 MVP 6월 MVP
8월 MVP
2010 KBO 준플레이오프 2차전 데일리 MVP
KBO 시상식 MVP
타율상
안타상
홈런상
타점상
득점상
출루율상
장타율상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대상
스포츠토토 올해의 상 올해의 선수상
올해의 기록상
일구상 최고타자상
KBO 골든글러브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2011 KBO 올스타전 최고인기상
KBO 시상식 타율상
안타상
출루율상
카스포인트 어워즈 타자 부문 2위
KBO 골든글러브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2012 일구상 특별공로상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특별상
2014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특별상
프로야구 올해의 상 올해의 특별상
2015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특별상
2017 KBO 골든글러브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2018 KBO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KBO 골든글러브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2022 KBO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한국프로야구 은퇴선수의 날 레전드 특별상
일구상 일구대상
KBO 골든글러브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파일:NPB 로고.svg

이대호의 NPB 수상 경력
2012 NPB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NPB 퍼시픽리그 타점 1위
NPB 베스트나인 퍼시픽리그 베스트나인 1루수 부문
2014 2014 일본시리즈 우승
2015 2015 일본시리즈 우승
MVP
NPB 베스트나인 퍼시픽리그 베스트나인 지명타자 부문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이대호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2006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동메달
2007 2007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08 2008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2009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은메달
2010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5 2015 WBSC 프리미어 12 금메달
이대호의 기타 수상 경력
2010 동아스포츠대상 프로야구 부문 올해의 선수상
2011 대한민국 국회대상 올해의 스포츠 부문
2013 제50회 저축의 날 기념식 국무총리 표창
2019 제12회 교육메세나탑 시상식 교육감 표창

2.2. 통산 홈런 일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대호/통산 홈런 일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은퇴 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대호/은퇴 투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해설자 경력

은퇴 후 여러 방송에 출연하다가 SBS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해설위원으로 합류하게 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해설위원 배정 첫 경기인 2023 WBC 호주전부터 썩 좋은 소리는 듣지 못하고 있다. 마치 야구 팬들이 경기를 시청하는 것 마냥 눈쌀을 찌푸릴 정도의 감탄사를 남발했다. 이러한 평가를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줄이고 조금 더 전문적인 분석을 해줄 필요가 있어보인다. 어쨌든 한국의 네 경기를 모두 중계하며 해설위원 데뷔를 마무리했다. 이후 SBS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특별해설위원으로도 합류했다.

야구 관련 프로그램이나 유튜브 컨텐츠에 출연하면서 구시대 야구 상식과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주장을 여럿 한 바 있다. 고졸 신인 1년차 김택연이 불필요한 상황에도 다수 투입되며 혹사 논란이 일자 "어린 투수는 관리 받아야하고 나이 많은 투수는 던져야되는 건 아니라고 본다"는 논점일탈의 오류를 저질렀으며 상황의 본질을 전혀 보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ABS 스트라이크존 수정에 대해서도 "키 큰 사람은 존이 크고 키 작은 사람은 존이 작으면 이건 공정하지 않다"는 귀를 의심케하는 발언을 했다.[27] 이러한 발언은 했다는 것은 이대호 스스로가 야구의 가장 기초적인 규칙에 대해서 무지한 상태로 무작정 부정적 견해를 내비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4. 방송 및 기타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대호/활동 내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대호/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

KBO 리그 역사상 가장 위대한 타자를 꼽으라면, 이대호의 이름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타격 7관왕과 2회의 트리플 크라운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은 그의 타격 능력이 얼마나 압도적이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대호의 진가는 단순히 화려한 타이틀에만 있지 않다. 그의 진정한 가치는 타격, 컨택트, 파워, 선구안, 수비까지 모든 면에서 균형 잡힌 능력을 보여준 점에 있다. [28]

롯데 자이언츠의 40년 역사상 최동원 단 한 명만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던 팀에서, 이대호는 은퇴 전부터 일찌감치 영구 결번 후보로 손꼽혔다. 실제로 은퇴식도 치르기 전에 구단 측에서 영구 결번 발표를 확정 지었다는 점은 그의 업적이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대호의 수상 경력은 그 자체로 하나의 전설이다. 도루왕과 신인왕을 제외한 타자가 받을 수 있는 모든 상을 수상했으며, KBO 역사상 가장 다양한 종류의 상을 받은 선수로 기록되었다.

통산 기록을 살펴보면 이대호의 위대함이 더욱 두드러진다. 커리어 최전성기 5시즌을 해외에서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2022 은퇴 시즌 기준으로 KBO 2199안타로 통산 역대 5위, 374홈런으로 역대 3위, 3664루타로 역대 5위에 랭크되어 있다.

또한 한국인 출신 프로 야구 선수로서 장훈에 이어서 통산 두 번째로 많은 안타를 친 선수이기도 하다. [29]

이대호는 대한민국 타자 최초로 한국 - 일본 - 미국 세 나라의 1군 리그에서 뛰었고 세 리그에서 모두 두자리수 홈런을 기록한 유일한 한국인 타자다. [30]

커리어 누적 홈런 개수는 이승엽(KBO 467개, NPB 159개, 합계 626개), 장훈(NPB, 504개)에 이어 공식 기록으로 남는 한-미-일의 1군 정규리그서 총 486개(KBO 374개, NPB 98개, MLB 14개)의 아치를 그려 KBO를 넘어 역대 한국인 출신 프로 야구 선수 중 세 번째로 홈런을 많이 쳐낸, 한국 야구 사상 손꼽히는 장타자이기도 하다. [31]

이대호는 장종훈양준혁에 이어 KBO 야수 중 3개의 포지션에서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세 번째 선수다. [32] 또한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9경기 연속 홈런이라는 대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조선의 4번 타자'라는 별명에 걸맞게 국제무대에서도 빛나는 활약을 펼쳤다. 국제 대회에서 총 41경기 출전해 133타수 43안타 타율 0.323, 7홈런, 41타점을 기록하며 100타석 이상 출전한 선수 중 OPS 1위, 타점 1위, 홈런 2위를 마크하고 있다.

이대호의 전성기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로 볼 수 있다. 해당 기간 동안 쌓은 WAR만 무려 57.18로 2022년까지의 손아섭, 이범호보다 높고 임창용과 맞먹는 수치다.

이대호의 마지막 시즌이었던 2022년은 그의 커리어를 완벽하게 마무리 짓는 해였다. 에이징 커브를 무색케 하는 활약으로 지명타자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며, 은퇴 시즌 골든글러브 수상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또한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를 아우르는 홈런레이스 우승 [33] 이라는 대기록도 달성했다.

이대호는 단순히 뛰어난 선수를 넘어 KBO 리그의 역사 그 자체였다. 최동원과 함께 롯데 자이언츠 역사상 최고의 슈퍼스타이자 더 나아가 KBO의 역사에서 절대로 빼놓고 말할 수 없는 최상위권 타자 중 한 명으로, 그의 기록들은 앞으로도 오랫동안 깨지기 힘든 이정표로 남을 것이며, 그의 이름은 한국 야구의 전설로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6.1. VS 김태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대호 vs 김태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maxdyetgjklt-3.jpg

6.2. 추강대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추강대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추강대엽.jpg

6.3. 이대호에 대한 헌사

저 거구에 저 정도로 유연한 선수는 정말 보기 드물어요. 저 큰 몸으로도 3루 수비를 해 내잖아. 두고 봐요. 우리나라 최고 거포가 될 거야.
장효조 출처
이대호야말로 30년[34] 한국 프로 야구 역사에서 가장 뛰어난 타자.

몸쪽 공, 바깥쪽 공을 가리지 않고 칠 줄 아는 타자. 3할이 훌쩍 넘는 타율을 유지하면서 장타력까지 갖춘다는게 쉽지 않은데 이대호는 둘 다 겸비하니 대단한 것.
허구연 출처
아주 대단한 타자. 당기고 밀고 필드를 전체적으로 쓸 수 있다.
제리 로이스터 출처
대호는 결점이 거의 없어 보이는 스윙을 구사하고 기술적인 부분이 많이 성숙했다. 무엇보다 기본기가 탄탄해 좋은 스윙을 보여줄 수 있다.
김무관 출처
감독으로서는 꼭 다시 돌아와 줬으면 하는 선수다.
구도 기미야스 출처
50홈런을 친 박병호? 난 잘 알지 못한다. 한국 타선은 이대호 정도밖에 모른다.
오타니 쇼헤이 출처[35]
이대호는 몸쪽 공 대처가 뛰어난 타자다. 메이저 리그에서 30홈런은 충분히 칠 수 있다.
구리야마 히데키 출처
야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전체적인 기량이 매우 뛰어나다. 특히 타격 능력은 대단하다.
일본에서 가장 좋은 우타자라고 생각한다. 굉장히 훌륭한 선수.
이토이 요시오 출처
이대호 선수는 한국 프로 야구가 배출한 최고의 야구 선수죠.
만약 한국 프로 야구 사상 최고의 우타자를 꼽으라고 한다면 저는 이대호 선수 꼽고 싶어요.
박동희 출처
이대호는 나랑 클래스가 다르구나 싶다.
이승엽 출처
일본에서도 3할은 우습게 칠 것이다.[36]
김성근 출처
이대호는 아직 롯데 자이언츠의 4번 타자입니다!
- 권성욱 2022년 9월 20일 이대호가 한화 이글스 강재민을 상대로 역전 만루 홈런을 때린 후.
여러분의 청춘 또는 한 시절이 시대가 떨어집니다. 이 떨어진 조각이 시간이 흐를수록 추억이라는 이름으로 이대호 선수를 더 그립게만 만들 것 같습니다.
- 김민수 2022년 10월 8일 이대호의 은퇴식에서.
모든 선수가 각자 개성이 있다고 하지만 그는 개성이 넘치는 선수였다. 우리 모두 그를 사랑했다. 그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선수 중 한 명이다.
- 스캇 서비스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치킨 박스 투척으로 인한 피해

2018 시즌 개막 이후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가 연패가 지속되며 최하위에 머물자, 3월 31일 NC 다이노스와의 경기 종료 후 홈구장 퇴근길에서 어떤 팬이 이대호를 향해 치킨 박스를 던져 이대호의 등에 맞는 사건이 일어났다. # 공교롭게도 이 사건 이후 이대호는 부진에서 깨어났고 2018 시즌 타율 0.333, 37홈런, 125타점을 때리며 롯데의 든든한 기둥 역할을 해 주었다. 이후로 이대호가 부진할 때면 치킨 박스를 던지면 깨어난다는 농담이 나오기도 했다. 물론 선수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기에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이었다.

이후 이대호 본인이 이 사건을 언급하면서 밝히길, 본인은 그 또한 롯데 팬들의 관심이라고 생각해서 괜찮다고 밝혔으나 가족들이 너무 힘들어해서 마음이 아팠다고 한다. 유튜브 시작 이후에는 치킨 던지신 분 나오면 밥 한 끼 사드릴 테니 찔리는 마음 푸시라는 대인배적인 발언을 하기도 했고 실버 버튼을 받을 때도 이를 이용하여 등에 실버 버튼을 맞고 공개하는 등 별 부담 없이 토크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7.2.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판공비 셀프 인상 관련


2020년 12월 1일, SBS의 단독 뉴스로, 이대호가 선수협 회장에 취임한 후[37] 협회장 판공비(업무 추진비)가 2,400만 원에서 6,000만 원으로 2.5배 인상되었고 게다가 이 돈이 이대호의 개인 계좌에 현금으로 입금되었다는 내용이 보도되었다.

이에 이대호 측은 "공익을 위해서 썼다."라고만 밝히고 말을 아끼는 상황. 하지만 세간에는 도대체 어느 단체에서 판공비를 개인의 계좌로 받느냐는 것이 쟁점이 되고 있다.

이후 이대호의 에이전트를 맡고 있던 친형 이차호 씨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해명글을 올렸다. 판공비 두 배 인상은 '셀프 인상'이 아니라 공석이었던 협회장을 뽑기 위해 일종의 메리트로 함께 의결한 것이며 법인카드의 형태가 아닌 개인 계좌로 판공비를 지급한 것은 선수의 입장에서 법인카드 지출 사유를 매번 체크하는 것은 어려우니 편의상 협회장의 상여로 소득 처분 및 세금 공제 후 현금으로 지급한 것이고 이 역시 이사회에서 의결된 사항이라고 반박했다.

논란이 일자, 이대호측은 다음날인 12월 2일 기자 회견을 열겠다고 밝혔다. #

12월 2일 오후 3시, 서울 강남구 호텔리베라에서 이대호의 기자 회견이 진행되었다. 먼저 이대호는 3분 29초간 낭독한 입장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모두가 마다하는 회장직을 선임하기 위해서는 판공비를 증액하고자 하자는 건의가 나왔고, 과반 이상의 구단의 찬성으로 기존 연 판공비 2,400만 원에서 연 6,000만 원으로 증액하는 것이 가결되었습니다. 운동만 하던 선수들이다 보니 회장직을 맡는 것을 모두 꺼리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회장이라는 자리에 앉는 사람을 배려하고 또 존중하는 마음으로 자리에 모였던 선수들이 제안하여 가결된 일입니다. 만약 2019년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 회장 선거에서 제가 아닌 다른 선수가 당선되었더라면 그 선수가 회장으로 선출되어 판공비를 받았을 것입니다. 사실상 당시 선수협회 회장으로 누가 당선될지 전혀 모르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일부 언론에서 보도한 바와 같이 제가 저의 이익만을 위해 판공비를 스스로 인상한 것은 아니었다는 점을 이 자리를 빌어 말씀드립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이 부분에 대해서 반드시 어제 보도된 기사 내용을 정정해 주셨으면 합니다."
또한 "너무 많은 금액을 지급받은 것이 아니냐는 질타에 대해서는 당시 이사회 결의 과정에서 좀 더 깊게 생각했어야 했는데, 그 점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사과 말씀을 드립니다"고 입장을 밝혔다. # # # #

이어 이대호는 자신의 법률 대리인 주민 변호사와 함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여기서 SBS 이성훈 기자[38]의 '판공비 인상을 발의한 사람이 이대호 선수 본인이 맞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대호는 "정확하게 기억은 나지 않지만 저 또한 이야기를 했을 것이고 다른 선수들도 다 같이 이야기를 했습니다."라고 답변하며 두리뭉실하게 넘어갔는데, 나중에 다른 답변을 하던 도중에 판공비 인상 이야기를 본인이 꺼냈다고 말하고 말았다. 또한 이대호는 "회장에 대한 생각도 없었고", "당선이 될 줄 알았으면 저는 그런 말을 꺼내지도 않았을 겁니다. 그때 당시에는 제가 고사하던 자리였기 때문에 전혀 생각도 안 했습니다." 등의 반박을 했다.

그러나 이대호는 이사회 회의록 요구에 대해선 응하지 않으며 법률적으로 검토해 보겠다고 물러섰다. 또 회계 상으로 임원 월급으로 처리되는 만큼 증빙 내용을 하나 하나 기록할 이유 또한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다만 박재홍 회장 때까지 판공비는 법인카드로 처리되고 있었는데, 어째서 이대호 회장 및 김태현 사무총장 시기 현금 지급으로 바뀌었는지는 의문.[39]

하지만 해당 기자 회견 내용과 정면 반대되는, 12월 2일 새벽 4시에 보도된 스포츠경향의 기사가 있다. 이에 따르면, 이대호가 이사회에서 선수협 회장으로 사실상 확정되자 판공비로 1억을 달라고 했고 옆에서 같이 박자를 맞춰주는 다른 구단 고참 선수가 한 명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대호가 총회에서 회장으로 선출된 이후, 이사회 멤버들이 선수협 사무국에 "최대한 책정할 수 있는 회장 판공비가 얼마인가?”라고 물었고, “5, 6000만 원이 최대”라고 답하자 이들이 판공비를 곧바로 6천만 원을 책정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반박 기사를 작성한 김은진 기자는 선수협 회장의 판공비 인상에 대한 이야기를 2019년 여름에 들었지만, 선수협의 존재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기사화하지 않고 있었다고 한다. 이 발언이 사실이라면, 2020년 연말인 현 시점에서는 이미 상당수의 야구 관계자들과 스포츠 기자들이 이 사건에 대해 인지하고 있을 확률이 매우 높다.

12월 2일 저녁 SBS의 후속 보도도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이사회에 참석했던 선수들의 이야기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미 사실상 이대호를 추대하는 분위기였고, 이대호도 이런 분위기를 잘 알고 "너희들이 나 회장시키려는 거 안다"고 발언한 내용도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대호가 판공비를 1억 원으로 인상할 것을 제안했으나, 수도권 구단 일부 선수들과 선수협 사무국이 반대해 6천만 원으로 결정되었다는 것이다. #

한편 SBS의 취재에 응한 박재홍 전 선수협 회장은 '제가 회장이었을 때는 판공비를 사용할 때 증빙자료를 남겼다.'고 답했다. 즉, 어느 순간부터 보수로 변질된 판공비가 근본적인 문제이며, 이대호 본인이 회장이 될 걸 뻔히 알지만 정식 선출만 안 된 상황에서 '셀프 인상'했는지가 논란의 핵심이다. 그리고, 이 문제를 박동희 기자도 강하게 비판하였다.#

12월 7일, 체육시민단체 '사람과 운동'이 이대호, 김태현 전 사무총장, 선수협 이사들을 업무상 배임죄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고발했다.

12월 10일, 이대호 측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가 “이대호가 선수협에 1억 원을 기부했다”고 전했다는 내용이 보도되었다. # 구체적인 기부 내용이나 후속보도는 아직까지 없는 상태다.

12월 15일, 체육시민단체 '사람과 운동'은 이대호 선수협 전 회장과 김태현 전 사무총장, 오동현 고문변호사를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형사고발을 했다고 밝혔다. #

3월 31일, 서울서초경찰서는 이대호 선수협 전 회장에 대한 업무상 배임 등 형사고발에 대해 불송치를 결정하였다고 밝혔다. #

그리고 무혐의 처분이 났다.

8.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대호/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48a8ff><tablebgcolor=#48a8ff>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KBO 리그 선수
성구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rowcolor=#000> 순위 선수 및 가입 당시 구단 기록 달성 시즌 활동 기간 비고
1 송진우 한화 이글스 210승 2006년 1989~2009 창립멤버 겸 초대 회장
2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2318안타 2007년 1993~2010 창립멤버
KBO 최초 2000안타
3 전준호 히어로즈 2018안타 2008년 1991~2009 창립멤버
4 이종범 KIA 타이거즈 2083안타 2010년 1993~2011 韓1797, 日286
우타자 최초 가입
5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2842안타 2012년 1995~2017 韓2156, 日686
6 이병규 LG 트윈스 2296안타 2012년 1997~2016 韓2043, 日253
7 장성호 한화 이글스 2100안타 2012년 1996~2015
8 임창용 삼성 라이온즈 386세이브 2014년 1996~2018 韓258, 日128
세이브 조건으로 최초 가입
9 오승환 한신 타이거스 549세이브 2014년 2005~ 현역, 韓427, 日80, 美42
역대 최연소, 최소 시즌 가입
KBO 통산 세이브 1위
10 홍성흔 두산 베어스 2046안타 2015년 1999~2016 KBO 우타자 최초 2000안타
11 박용택 LG 트윈스 2504안타 2016년 2002~2020
12 정성훈 LG 트윈스 2159안타 2016년 1999~2018 내야수 최초 가입
13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2174안타 2016년 2001~2019
14 김태균 한화 이글스 2376안타 2017년 2001~2020 韓2209, 日167
15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2895안타 2017년 2001~2022 韓2199, 日622, 美74
KBO 출신 선수 중 역대 최다 안타
16 이진영 kt wiz 2125안타 2017년 1999~2018
17 최형우 KIA 타이거즈 2442안타 2021년 2002~2005,
2008~
현역
18 김현수 LG 트윈스 2529안타 2021년 2006~ 현역, 韓2388, 美141
19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2511안타 2021년 2007~ 현역
역대 타자 최연소, 최소 타수,최소 경기
KBO 통산 안타 1위
20 이용규 키움 히어로즈 2132안타 2022년 2004~ 현역
21 최정 SSG 랜더스 2269안타 2023년 2005~ 현역
22 황재균 kt wiz 2168안타 2023년 2006~ 현역, 韓2160, 美8
23 강민호 삼성 라이온즈 2111안타 2024년 2004~ 현역
}}}}}}}}}}}} ||

이대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1171> 파일:최강 몬스터즈 엠블럼.svg최강 몬스터즈
2024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171><colcolor=#fff> 투수 11 이대은 · 19 신재영 · 20 선성권 · 21 송승준
28 강민구 · 40 니퍼트 · 45 이용헌 · 47 유희관
포수 12 박재욱 · 27 이홍구 · 53 고대한
내야수 '''1 유태웅 · 4 서동욱 · 5 문교원 · 8 정근우
10 이대호 · 16 정성훈 · 52 임상우'''
외야수 2 최수현 · 15 국해성 · 24 김문호 · 29 이택근
33 박용택 · 35 윤상혁 · 37 정의윤
단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광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오세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2 김선우
}}}}}}}}} ||


파일:집사부일체2 로고.png
[ 시즌 1 ]
||<tablewidth=100%><-5><tablebgcolor=#fff,#191919><bgcolor=#6979BB> 멤버 ||
이승기 양세형 김동현 은지원 도영
하차 멤버
이상윤 육성재 신성록 차은우 유수빈
[ 시즌 2 ]
||<tablewidth=100%><-3><tablebgcolor=#fff,#191919><bgcolor=#6979BB> 멤버 ||
양세형 김동현 은지원
도영 이대호 뱀뱀

이대호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6.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7.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14 2015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
금메달
2008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은메달
2009

파일: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10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프리미어 12
우승반지
2015

KBO의 타격 트리플 크라운 달성자
(파일:KBO 로고(세로형).svg KBO Batter Triple Crown)
이만수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 삼성 라이온즈)
이대호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롯데 자이언츠)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용달
MBC 청룡
신경식
OB 베어스
김용철
롯데 자이언츠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김상훈
LG 트윈스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서용빈
LG 트윈스
장종훈
한화 이글스
김경기
현대 유니콘스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김태균
한화 이글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김태균
한화 이글스
최희섭
KIA 타이거즈
최준석
두산 베어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테임즈
NC 다이노스
테임즈
NC 다이노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강백호
kt wiz
강백호
kt wiz
<rowcolor=#d0ad67> 2022 2023 2024
박병호
kt wiz
오스틴
LG 트윈스
오스틴
LG 트윈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용희
롯데 자이언츠
김용희
롯데 자이언츠
이광은
MBC 청룡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송구홍
LG 트윈스
한대화
LG 트윈스
한대화
LG 트윈스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김동주
두산 베어스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이범호
한화 이글스
이범호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김동주
두산 베어스
김동주
두산 베어스
김상현
KIA 타이거즈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최정
SK 와이번스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최정
SK 와이번스
최정
SK 와이번스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박석민
NC 다이노스
최정
SK 와이번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최정
SK 와이번스
허경민
두산 베어스
최정
SK 와이번스
황재균
kt wiz
최정
SSG 랜더스
<rowcolor=#d0ad67> 2022 2023 2024
최정
SSG 랜더스
노시환
한화 이글스
김도영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신설 전 양세종
OB 베어스
김용희
롯데 자이언츠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김용철
롯데 자이언츠
박철우
해태 타이거즈
박승호
삼성 라이온즈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형석
OB 베어스
박재용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박재용
해태 타이거즈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로마이어
한화 이글스
우즈
두산 베어스
양준혁
LG 트윈스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김동주
두산 베어스
김기태
SK 와이번스
김재현
SK 와이번스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홍성흔
두산 베어스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병규
LG 트윈스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김태균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박용택
LG 트윈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양의지
NC 다이노스
<rowcolor=#d0ad67> 2022 2023 202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손아섭
NC 다이노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사랑의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

with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99 2000 2001 2002 2003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진필중
두산 베어스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병규
LG 트윈스
수상자 없음
<rowcolor=#d0ad67> 2004 2005 2006 2007 2008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송지만
현대 유니콘스
조웅천
SK 와이번스
선수 일동
롯데 자이언츠
이진영
SK 와이번스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박용택
LG 트윈스
선수 일동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09 2010 2011 2012 2013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봉중근
LG 트윈스
박용택
LG 트윈스
김태균
한화 이글스
조성환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2014 2015 2016 2017 2018
김광현
SK 와이번스
강민호
롯데 자이언츠
박정권
SK 와이번스
신본기
롯데 자이언츠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2019 2020 2021 2022 2023
박종훈
SK 와이번스
박석민
NC 다이노스
추신수
SSG 랜더스
수상자 없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페어플레이상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2001 2002 2003 2004 2005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최기문
롯데 자이언츠
김기태
SK 와이번스
김태균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06 2007 2008 2009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이숭용
현대 유니콘스
윤석민
KIA 타이거즈
강봉규
삼성 라이온즈
양현종
KIA 타이거즈
<rowcolor=#d0ad67> 2011 2012 2013 2014 2015
김선우
두산 베어스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박용택
LG 트윈스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16 2017 2018 2019 2020
김재호
두산 베어스
유한준
kt wiz
김광현
SK 와이번스
채은성
LG 트윈스
나성범
NC 다이노스
<rowcolor=#d0ad67> 2021 2022 2023 2024 2025
고영표
kt wiz
이지영
키움 히어로즈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원태인
삼성 라이온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시상식 로고.svgKBO 리그
역대 MVP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ba628>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베어스 / 투수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포수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투수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투수·내야수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rowcolor=#dba628> 1987 1988 1989 1990 1991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내야수
<rowcolor=#dba628>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내야수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상호
OB 베어스 / 외야수
구대성
빙그레 이글스 / 투수
<rowcolor=#dba628>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우즈
OB 베어스 / 내야수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 포수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rowcolor=#dba628>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투수
류현진
한화 이글스 / 투수
<rowcolor=#dba628>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 투수
김광현
SK 와이번스 / 투수
김상현
KIA 타이거즈 / 내야수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내야수
윤석민
KIA 타이거즈 / 투수
<rowcolor=#dba628>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테임즈
NC 다이노스 / 내야수
니퍼트
두산 베어스 / 투수
<rowcolor=#dba628>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김재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투수
로하스
kt wiz / 외야수
미란다
두산 베어스 / 투수
<rowcolor=#dba628>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페디
NC 다이노스 / 투수
김도영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2010~2015
월간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9월 10월
2010 시즌
카도쿠라
SK 와이번스
류현진
한화 이글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류현진
한화 이글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송승준
롯데 자이언츠
2011 시즌
박용택
LG 트윈스
이병규
LG 트윈스
가르시아
한화 이글스
윤석민
KIA 타이거즈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2012 시즌
정성훈
LG 트윈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이호준
SK 와이번스
서재응
KIA 타이거즈
2013 시즌
양현종
KIA 타이거즈
옥스프링
롯데 자이언츠
손민한
NC 다이노스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2014 시즌
유희관
두산 베어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찰리
NC 다이노스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a]
2015 시즌
안영명
한화 이글스
이호준
NC 다이노스
김태균
한화 이글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해커
NC 다이노스
정의윤
SK 와이번스
[a]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으로 인한 브레이크로 MVP 미선정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타율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0.412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69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0.340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73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29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87
김상훈
MBC 청룡 / 0.354
고원부
빙그레 이글스 / 0.327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0.334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0.348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0.360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0.393
김광림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6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2
마해영
롯데 자이언츠 / 0.372
박종호
현대 유니콘스 / 0.340
양준혁
LG 트윈스 / 0.355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장성호
KIA 타이거즈 / 0.343
김동주
두산 베어스 / 0.342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 0.343
이병규
LG 트윈스 / 0.337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36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현곤
KIA 타이거즈 / 0.337
김현수
두산 베어스 / 0.357
박용택
LG 트윈스 / 0.372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6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57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363
이병규
LG 트윈스 / 0.348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0.370
테임즈
NC 다이노스 / 0.381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0.376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김선빈
KIA 타이거즈 / 0.370
김현수
LG 트윈스 / 0.362
양의지
NC 다이노스 / 0.354
최형우
KIA 타이거즈 / 0.35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360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349
손아섭
NC 다이노스 / 0.339
에레디아
SSG 랜더스 / 0.3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최다안타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103개
박종훈
OB 베어스 / 117개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117개
홍문종
롯데 자이언츠 / 112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33개
이광은
MBC 청룡 / 124개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124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31개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137개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146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60개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152개
김형석
OB 베어스 / 147개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96개
최태원
쌍방울 레이더스 / 147개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151개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70개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156개
이병규
LG 트윈스 / 192개
이병규
LG 트윈스 / 170개
장원진
두산 베어스 / 170개
이병규
LG 트윈스 / 167개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172개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151개
홍성흔
두산 베어스 / 165개
이병규
LG 트윈스 / 157개
이용규
KIA 타이거즈 / 154개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현곤
KIA 타이거즈 / 154개
김현수
두산 베어스 / 168개
김현수
두산 베어스 / 172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74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74개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58개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72개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201개
유한준
넥센 히어로즈 / 188개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195개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93개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90개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197개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199개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92개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193개
손아섭
NC 다이노스 / 187개
레이예스
롯데 자이언츠 / 202개
* 최다안타왕은 199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홈런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22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7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3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22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2개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21개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22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30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26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28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35개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41개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28개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25개
김상호
OB 베어스 / 25개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30개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32개
우즈
OB 베어스 / 42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54개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 40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39개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47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56개
박경완
SK 와이번스 / 34개
서튼
현대 유니콘스 / 35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26개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 31개
김태균
한화 이글스 / 31개
김상현
KIA 타이거즈 / 36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44개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30개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31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37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52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53개
테임즈
NC 다이노스 / 40개
최정
SK 와이번스 / 40개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최정
SK 와이번스 / 46개
김재환
두산 베어스 / 44개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 33개
로하스
kt wiz / 47개
최정
SSG 랜더스 / 35개
<rowcolor=#fff> 2022 2023 2024
박병호
kt wiz / 35개
노시환
한화 이글스 / 31개
데이비슨
NC 다이노스 / 46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타점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69타점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74타점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80타점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 85타점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74타점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76타점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89타점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 85타점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91타점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14타점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19타점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91타점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87타점
김상호
OB 베어스 / 101타점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108타점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14타점
우즈
OB 베어스 / 103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3타점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115타점
우즈
두산 베어스 / 113타점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6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44타점
이호준
SK 와이번스 / 112타점
서튼
현대 유니콘스 / 102타점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88타점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 101타점
가르시아
롯데 자이언츠 / 111타점
김상현
KIA 타이거즈 / 127타점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33타점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118타점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105타점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117타점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124타점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146타점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144타점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러프
삼성 라이온즈 / 124타점
김재환
두산 베어스 / 133타점
샌즈
키움 히어로즈 / 113타점
로하스
kt wiz / 135타점
양의지
NC 다이노스 / 111타점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113타점
노시환
한화 이글스 / 101타점
오스틴
LG 트윈스 / 132타점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득점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55득점
백인천
MBC 청룡 / 55득점
이해창
MBC 청룡 / 65득점
이해창
MBC 청룡 / 62득점
홍문종
해태 타이거즈 / 62득점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67득점
김재박
MBC 청룡 / 67득점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광은
MBC 청룡 / 67득점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81득점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93득점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91득점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91득점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06득점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85개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13득점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 93득점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94득점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12득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00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8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09타점
이병규
LG 트윈스 / 107타점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3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15타점
이종범
KIA 타이거즈 / 100득점
박용택
LG 트윈스 / 90득점
데이비스
한화 이글스 / 90득점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89득점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고영민
두산 베어스 / 89득점
이종욱
두산 베어스 / 89득점
정근우
SK 와이번스 / 98득점
최희섭
KIA 타이거즈 / 98득점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99득점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97득점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용규
KIA 타이거즈 / 86득점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91득점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135득점
테임즈
NC 다이노스 / 130득점
정근우
한화 이글스 / 121득점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버나디나
KIA 타이거즈 / 118득점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18득점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 112득점
로하스
kt wiz / 116득점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 107득점
<rowcolor=#fff> 2022 2023 2024
피렐라
삼성 라이온즈 / 102득점
홍창기
LG 트윈스 / 109득점
김도영
KIA 타이거즈 / 143득점
* 득점왕은 200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장타율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0.740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618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0.633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0.575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0.514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0.579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0.575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0.577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0.545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0.640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0.659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598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590
장종훈
한화 이글스 / 0.562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624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63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0.624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0.733
송지만
한화 이글스 / 0.622
호세
롯데 자이언츠 / 0.685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0.689
심정수
현대 유니콘스 / 0.720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 0.608
서튼
현대 유니콘스 / 0.592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571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600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622
김상현
KIA 타이거즈 / 0.632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667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0.617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0.561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0.602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 0.739
테임즈
NC 다이노스 / 0.790
테임즈
NC 다이노스 / 0.679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최정
SK 와이번스 / 0.684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0.718
양의지
NC 다이노스 / 0.574
로하스
kt wiz / 0.680
양의지
NC 다이노스 / 0.581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575
최정
SSG 랜더스 / 0.548
김도영
KIA 타이거즈 / 0.647
* 장타왕은 1984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출루율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0.497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75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24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67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36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61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0.459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0.409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0.432
장효조
롯데 자이언츠 / 0.452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461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436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0.452
장종훈
한화 이글스 / 0.424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 0.453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453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450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0.458
장성호
해태 타이거즈 / 0.436
호세
롯데 자이언츠 / 0.503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장성호
KIA 타이거즈 / 0.445
심정수
현대 유니콘스 / 0.478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 0.468
김재현
SK 와이번스 / 0.445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445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김동주
두산 베어스 / 0.457
김현수
두산 베어스 / 0.454
페타지니
LG 트윈스 / 0.468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44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433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474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444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463
테임즈
NC 다이노스 / 0.497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475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최형우
KIA 타이거즈 / 0.450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0.457
양의지
NC 다이노스 / 0.438
박석민
NC 다이노스 / 0.436
홍창기
LG 트윈스 / 0.456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421
홍창기
LG 트윈스 / 0.444
홍창기
LG 트윈스 / 0.447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82c6b> 파일:2024 KBO 올스타전 엠블럼(유색배경).svgKBO 올스타전
역대 미스터 올스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용희
롯데 / 동군
신경식
OB / 동군
김용희
롯데 / 동군
김시진
삼성 / 동군
김무종
해태 / 서군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김종모
해태 / 서군
한대화
해태 / 서군
허규옥
롯데 / 동군
김민호
롯데 / 동군
김응국
롯데 / 동군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김성한
해태 / 서군
이강돈
빙그레 / 서군
정명원
태평양 / 서군
정경훈
한화 / 서군
김광림
쌍방울 / 동군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유지현
LG / 서군
박정태
롯데 / 동군
박정태
롯데 / 드림
송지만
한화 / 매직
우즈
두산 / 동군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박재홍
현대 / 서군
이종범
KIA / 서군
정수근
롯데 / 동군
이대호
롯데 / 동군
홍성흔
두산 / 동군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정수근
롯데 / 동군
이대호
롯데 / 동군
안치홍
KIA / 웨스턴
홍성흔
롯데 / 이스턴
이병규
LG / 웨스턴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황재균
롯데 / 이스턴
전준우
롯데 / 이스턴
박병호
넥센 / 웨스턴
강민호
롯데 / 드림
민병헌
두산 / 드림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최정
SK / 드림
김하성
넥센 / 나눔
한동민
SK / 드림
양의지
NC / 나눔
-[a]
2022년 2023년 2024년
정은원
한화 / 나눔
채은성
한화 / 나눔
최형우
KIA / 나눔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올스타전 취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82c6b> 파일:2024 KBO 올스타전 엠블럼(유색배경).svgKBO 올스타전
역대 홈런더비 우승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양준혁
삼성 / 동군
김기태
쌍방울 / 동군
마해영
롯데 / 동군
심재학
LG / 서군
박재홍
현대 / 서군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양준혁
삼성 / 동군
박재홍
현대 / 드림
우즈
두산 / 드림
양준혁
LG / 서군
브리또
삼성 / 동군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김동주
두산 / 동군
박용택
LG / 서군
김태균
한화 / 서군
이택근
현대 / 서군
김태균
한화 / 서군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박재홍
SK / 동군
이대호
롯데 / 이스턴
김현수
두산 / 이스턴
박정권
SK / 이스턴
김태균
한화 / 웨스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이승엽
삼성 / 이스턴
김현수
두산 / 이스턴
황재균
롯데 / 드림
히메네스
LG / 나눔
로사리오
한화 / 나눔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이대호
롯데 / 드림
로맥
SK / 드림
양의지[a]
NC / 나눔
-[b] 이대호
롯데 / 드림
2023년 2024년
채은성
한화 / 나눔
오스틴
LG / 나눔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올스타전 취소됨에 따라 언택트 올스타전으로 진행.
[b]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올스타전 취소.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c5abb 0%, #ffffff 20%, #ffffff 80%, #2c5abb); margin: 0 -11px -5px; padding: 0px 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김상현
,KIA 타이거즈 / 내야수,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내야수,
윤석민
,KIA 타이거즈 / 투수,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김재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최형우
,KIA 타이거즈 / 지명타자,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노시환
,한화 이글스 / 내야수,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김도영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

파일: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구 로고.png2006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선정 올해의 선수

파일:일구상 로고.jpg 2010 일구상 최고 타자상

파일:일구상 로고.jpg 2022 일구상 일구대상

파일:external/shop.npb.or.jp/pc1_l.jpg 2015년 일본시리즈 MVP
우치카와 세이이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이대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브랜든 레어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1루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후지타 타이라
한신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래리 패리쉬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짐 파쵸렉
한신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조지 아리아스
한신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타이론 우즈
주니치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토니 블랑코
주니치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크레이그 브라젤
한신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토니 블랑코
주니치
토니 블랑코
DeNA
마우로 고메즈
한신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호세 로페즈
DeNA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제프리 마르테
한신
호세 오수나
야쿠르트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카와이 코조
한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오카모토 켄이치로
한큐
스탠리 하시모토
토에이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타카키 타카시
킨테츠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카토 히데지
한큐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카토 히데지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레온 리
롯데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부머 웰즈
한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리처드 데이비스
킨테츠
부머 웰즈
한큐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부머 웰즈
오릭스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짐 트레버
킨테츠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훌리오 프랑코
롯데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필 클라크
킨테츠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훌리오 줄레타
소프트뱅크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이대호
오릭스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타 쇼
닛폰햄
긴지
라쿠텐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나카타 쇼
닛폰햄
브랜든 레어드
롯데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톤구 유마
오릭스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퍼시픽 리그
역대 베스트나인/지명타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오타 타쿠지
타이헤이요 클럽
타카이 야스히로
한큐
도이 마사히로
크라운라이터
찰리 매뉴얼
킨테츠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토니 솔라이타
닛폰햄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레론 리
롯데
이시미네 카즈히코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카도타 히로미츠
오릭스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트로이 닐
오릭스
도밍고 마르티네스
세이부
나이젤 윌슨
닛폰햄
필 클라크
킨테츠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이젤 윌슨
닛폰햄
프랭크 볼릭
롯데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터피 로즈
오릭스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호세 페르난데스
세이부
윌리 모 페냐
소프트뱅크
미첼 아브레유
닛폰햄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이대호
소프트뱅크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프란밀 레이예스
닛폰햄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타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3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4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7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1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8점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75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7점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5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0점
아오타 노보루
도쿄쿄진군 / 42점
노구치 아키라
세이테츠군 / 42점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5점
츠루오카 카즈토
그레이트링 / 95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71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0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42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161점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105점
니시자와 마치오
나고야 / 9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98점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 91점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 91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7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6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78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92점
모리 토오루
주니치 / 87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76점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9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8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2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9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2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5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05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1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0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9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3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8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3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2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03점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95점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103점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102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134점
랜디 바스
한신 / 109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98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102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16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02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9점
래리 시츠
타이요 / 100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4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94점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107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106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09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12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0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153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8점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127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7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4점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113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147점
타이론 우즈
주니치 / 144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2점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5점
토니 블랑코
주니치 / 110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9점
아라이 타카히로
한신 / 93점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104점
토니 블랑코
DeNA / 136점
마우로 고메스
한신 / 109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105점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110점
호세 로페스
DeNA / 105점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131점
네프탈리 소토
DeNA / 108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97점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11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134점
마키 슈고
DeNA / 10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86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105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7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6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86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7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9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95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100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85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95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03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12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4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35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5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97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0점
조지 알트만
도쿄 오리온즈 / 100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1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2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1점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01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9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96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97점
카토 히데지
한큐 / 82점
레론 리
롯데 / 109점
바비 마르카노
한큐 / 94점
카토 히데지
한큐 / 104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129점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108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99점
미즈타니 지츠오
한큐 / 114점
부머 웰즈
한큐 / 130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46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16점
부머 웰즈
한큐 / 11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5점
부머 웰즈
한큐 / 124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106점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 106점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92점
짐 트라버
킨테츠 / 92점
부머 웰즈
다이에 / 97점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107점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111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80점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 80점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 80점
트로이 닐
오릭스 / 111점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114점
나이젤 윌슨
닛폰햄 / 124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01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10점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32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17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3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0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121점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100점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100점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108점
터피 로즈
오릭스 / 118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2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109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16점
이대호
오릭스 / 91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10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00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4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10점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103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27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3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나카타 쇼
닛폰햄 / 108점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 96점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90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87점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99점
}}}}}}}}}}}}}}} ||
}}}}}}}}}}}} ||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WBSC Premier 12™ All-World Team
{{{#!wiki style="color:#0066B3;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WBSC 네덜란드 국기.png OF

파일:WBSC 미국 국기.png OF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OF

파일:WBSC 네덜란드 국기.png SS

파일:WBSC 미국 국기.png 2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3B

파일:WBSC 일본 국기.png SP

파일:WBSC 일본 국기.png 1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DH

파일:WBSC 멕시코 국기.png C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CP
}}}}}}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승엽 박찬호 안정환 박세리 홍명보
6위 7위 8위 공동 9위
허재 박지성 차범근 이종범 선동열
2009년
※ 200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박지성 김연아 이승엽 박태환 박찬호
6위 공동 7위 10위
김태균 이용대 이종범 박세리 안정환
2014년
※ 201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박지성 류현진 손연재 박태환
공동 6위 공동 8위 10위
손흥민 이승엽 추신수 박찬호 기성용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wiki style="margin: -16px -11px"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손흥민 류현진 김연아 박지성 추신수 이대호 }}}
7위 공동 8위 공동 10위
박찬호 기성용 차범근 이승엽 이동국
2024년
※ 202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이강인 류현진 김연아 김연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6위 공동 7위 9위 공동 10위
김민재 박지성 이정후 박세리 김하성 박찬호 }}}
같이 보기: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하는 탤런트, 좋아하는 영화배우, 좋아하는 가수, 좋아하는 노래, 좋아하는 예능인, 좋아하는 유튜버
}}}}}}}}} ||

파일:한국갤럽 CI.svg
좋아하는 국내외 활동 야구 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국갤럽은 매년 초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좋아하는 국내외 활동 야구 선수'를 선정하고 있다.

2000년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05년
※ 2010년 이후의 공식 발표 자료만 남아 있어 5위까지만 확인 가능.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박찬호 최희섭 이승엽 김병현 이종범
2008년
※ 2010년 이후의 공식 발표 자료만 남아 있어 5위까지만 확인 가능.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이승엽 박찬호 양준혁 이대호 김병현 / 이종범
}}}}}}}}} ||
2010년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종범 이대호 양준혁 김현수 최희섭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류현진 김상현 봉중근 강민호 이용규
201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용규 류현진 이종범 홍성흔 김광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강민호 김현수 김상현 이용규 최희섭
201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박찬호 이승엽 이대호 추신수 류현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종범 김태균 김병현 윤석민 홍성흔
201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류현진 이승엽 이대호 추신수 강민호
<rowcolor=#fff> 6위 7위 8위 공동 9위
이용규 윤석민 홍성흔 김태균 / 오승환
2014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류현진 추신수 이대호 이승엽 강민호 / 윤석민
<rowcolor=#fff> 7위 8위 9위 10위
오승환 이병규 김태균 김현수
2015년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류현진 추신수 이대호 오승환 강정호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공동 2위 공동 4위
이승엽 강민호 / 윤석민 박병호 / 김태균 / 홍성흔
<rowcolor=#fff> 7위 8위 공동 9위
손아섭 김현수 양현종 / 김광현
2016년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3위 공동 4위
류현진 추신수 이대호 박병호 / 강정호
<rowcolor=#fff> 6위 7위
김현수 오승환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3위 공동 4위
이승엽 강민호 이용규 양현종 / 김태균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공동 10위
김광현 윤석민 이병규 손아섭 구자욱 / 정근우 / 나성범
2017년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공동 3위
류현진 추신수 김현수 / 박병호 / 오승환
<rowcolor=#fff> 6위 7위
강정호 황재균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이대호 이승엽 강민호 이용규 김태균
<rowcolor=#fff> 6위 공동 7위 9위 10위
정근우 김광현 / 양현종 서건창 손아섭
2018년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 2018년은 해외파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만 선정. 2019년은 좋아하는 선수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았다. #
<rowcolor=#fff>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5위
이대호 양현종 김선빈 / 김태균 김광현 / 김현수
<rowcolor=#fff> 7위 공동 8위 10위
강민호 박병호 손아섭 나성범
}}}}}}}}} ||
2020년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20년
<rowcolor=#fff>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5위
류현진 추신수 이대호 / 이정후 김광현 / 양현종
<rowcolor=#fff> 공동 7위 9위 10위
최지만 / 박병호 김태균 양의지
202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공동 4위
추신수 류현진 이대호 김광현 / 양현종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정후 양의지 김하성 최지만 손아섭
202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류현진 추신수 이정후 김광현 이대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양현종 구자욱 나성범 양의지 강백호
202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정후 류현진 김하성 추신수 김광현
<rowcolor=#fff> 공동 6위 8위 공동 9위
양현종 / 양의지 최지만 김현수 / 최정
2024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류현진 이정후 김하성 추신수 문동주 / 양현종
<rowcolor=#fff> 7위 8위 공동 9위
오지환 손아섭 전준우 / 구자욱
}}}}}}}}} ||
같이 보기: 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타자 마일스톤 기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0px"<tablewidth=100%> 2000안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양준혁
(1993~2010)
2007년 / 2318안타
전준호
(1991~2009)
2008년 / 2018안타
장성호
(1996~2015)
2012년 / 2100안타
이병규
(1997~2016)
2014년 / 2043안타
홍성흔
(1999~2016)
2015년 / 2046안타
박용택
(2002~2020)
2016년 / 2504안타
정성훈
(1999~2018)
2016년 / 2159안타
이승엽
(1995~2017)
2016년 / 2156안타
박한이
(2001~2019)
2016년 / 2174안타
이진영
(1999~2018)
2017년 / 2125안타
김태균
(2001~2020)
2018년 / 2209안타
최형우
(2002~)
2021년 / 2323안타
손아섭
(2007~)
2021년 / 2416안타
이대호
(2001~2022)
2021년 / 2199안타
이용규
(2004~)
2022년 / 2076안타
김현수
(2006~)
2022년 / 2236안타
최정
(2005~)
2023년 / 2133안타
황재균
(2006~)
2023년 / 2040안타
강민호
(2004~)
2024년 / 2000안타
}}}}}}}}}

300홈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장종훈
(1986~2005)
2000년 / 340홈런
이승엽
(1995~2017)
2003년 / 467홈런
양준혁
(1993~2010)
2006년 / 351홈런
심정수
(1994~2008)
2007년 / 328홈런
박경완
(1991~2013)
2010년 / 314홈런
송지만
(1996~2014)
2010년 / 311홈런
박재홍
(1996~2012)
2012년 / 300홈런
이호준
(1994~2017)
2015년 / 337홈런
이범호
(2000~2019)
2017년 / 329홈런
김태균
(2001~2020)
2018년 / 311홈런
최정
(2005~)
2018년 / 495홈런
이대호
(2001~2022)
2019년 / 374홈런
최형우
(2002~)
2019년 / 373홈런
박병호
(2005~)
2020년 / 380홈런
강민호
(2004~)
2022년 / 319홈런
}}}}}}}}} ||
500도루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준호
(1991~2009)
2005년 / 549도루
이종범
(1993~2011)
2009년 / 510도루
이대형
(2003~2019)
2017년 / 505도루
}}}}}}}}} }}}
같이 보기: KBO 리그 투수 마일스톤 기록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연봉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 2400만원
장명부
삼미 / 1억 8000만원(1)
장명부
삼미 / 2500만엔
장명부
삼미 / 1억 400만원
최동원
롯데 / 5800만원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최동원
롯데 / 8910만원
최동원
롯데 / 8910만원(2)
최동원
삼성 / 9000만원(3)
선동열
해태 / 9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 500만원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선동열
해태 / 1억 2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원
선동열
해태 / 1억 3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 3000만원
김용수
LG / 1억 1000만원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용수
LG / 1억 2200만원
양준혁
삼성 / 1억 4000만원
정명원
현대 / 1억 5400만원
이승엽
삼성 / 3억원
이승엽
삼성 / 3억원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종범
KIA / 4억 3000만원
이승엽
삼성 / 6억 3000만원
정민태
현대 / 7억 4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6억원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추신수
SSG / 27억원
<rowcolor=#fff> 2022 2023 2024
김광현
SSG / 81억원
구자욱
삼성 / 20억원
류현진·박동원
한화·LG / 25억원
(1) 당시 언론에 발표된 금액은 계약금 4000만원, 연봉 4000만원을 합쳐 총 8000만원이었다.
실제로는 계약금 1500만엔(약 4500만원), 연봉 2500만엔(약 7500만원), 부대 비용 6000만원을 합쳐 총 1억 8000만원이었다.
(2) 실제 연봉 계약은 시즌 중이었던 6월 29일에 이루어져서 실수령액은 35,862,750원이다. 최동원 90만원 사건 참조.
(3) 실제 연봉 계약은 시즌 중이었던 6월 23일에 이루어져서 실수령액은 47,400,000원이다. 항목 참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최고액 계약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99 1999.11.26. 1999.11.29. 1999.12.03. 2000.12.04.
FA 제도 신설 송진우
한화 / FA / 3년 7억원
이강철
삼성 / FA / 3년 8억원
김동수
삼성 / FA / 3년 8억원
김상진
삼성 / FA / 3년 8.5억원
<rowcolor=#fff> 2000.12.06. 2000.12.07. 2001.12.21. 2003.11.24. 2003.11.25.
김기태
삼성 / FA / 4년 18억원
홍현우
LG / FA / 4년 18억원
양준혁
삼성 / FA / 4년 27.2억원(1)
마해영
KIA / FA / 4년 28억원(2)
정수근
롯데 / FA / 6년 40.6억원(3)
<rowcolor=#fff> 2004.11.23. 2013.11.13. 2014.11.26. 2015.03.06. 2015.11.30.
심정수
삼성 / FA / 4년 60억원(4)
강민호
롯데 / FA / 4년 75억원
최정
SK / FA / 4년 86억원
윤석민
KIA / FA / 4년 90억원
박석민
NC / FA / 4년 96억원(5)
<rowcolor=#fff> 2016.11.24. 2017.01.24. 2021.12.23. 2022.03.08. 2022.11.22.
최형우
KIA / FA / 4년 100억원
이대호
롯데 / FA / 4년 150억원
나성범
KIA / FA / 6년 150억원(6)
김광현
SSG / 다년 / 4년 151억원(7)
양의지
두산 / FA / 4+2년 152억원(8)
<rowcolor=#fff> 2024.02.22.
류현진
한화 / 다년 / 8년 170억원(9)
(1) 보장금액 23.2억원. 플러스 옵션 최대 4억원, 마이너스 옵션 최대 6억원.
(2) 보장금액 27억원. 플러스, 마이너스 옵션 각 1억원.
(3) 보장금액 31.6억원, 옵션 6억원, 4년 후 FA 포기 보상금(구단 옵션) 3억원.
(4) 계약금 25억원, 연봉 총액 30억원. 플러스, 마이너스 옵션 각 10억원.
(5) 보장금액 86억원, 옵션 10억원. 기부금 8억원을 제외한 실수령액은 최대 88억원.
(6) 계약금 60억원, 연봉 총액 60억원, 옵션 30억원.
(7) 연봉 총액 131억원, 옵션 20억원.
(8) 첫 4년 계약금 44억원, 연봉 66억원. 2026시즌 종료 후 선수 옵션 2년 42억원(인센티브 포함).
(9) 계약 기간 내 옵트아웃 포함. 연봉 및 옵션 등 세부 조항 비공개.
}}}}}}}}} ||

보유 기록 (KBO)
최다 연속 경기 홈런[40] 9경기[41]
한 시즌 최다 타이틀 수상 7개[42]
최다 타격 트리플 크라운[43] 2회[44]
최다 포지션 골든글러브 수상[45] 3개[46]
최다 연속 경기 득점[47] 16경기[48]
11년 연속 200루타[49] 2005~2011, 2017[50]~2020
통산 최다 병살타 239개[51]
최고령 시즌 100타점 40세 3개월 14일
최고령 골든글러브 수상[52] 40세 5개월 18일[53]
}}} ||
이대호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파일:KPBPA_LOGO_N.png (사)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역대 회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2대 3대 4대 5대
송진우
2000.01~2001.06
이호성
2001.07~2001.12
김동수
2005.01~2005.11
이종범
2005.12~2007.11
손민한
2007.12~2009.11
6대 7대 8대 9대 10대
손민한
2009.12~2011.11
박재홍
2011.12~2012.12
서재응
2013.01~2015.12
이호준
2016.01~2017.03
이대호
2019.03~2020.12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양의지
2020.12~2022.12
김현수
2022.12~2024.12
양현종
2024.12~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c2340>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1982~1983 1984 1985 1986 1987
권두조 김성관
김용희
유두열 정학수
1988 <rowcolor=#ed1c24> 1989~1991 1992 1993~1994 1995
김용철 ?? 한영준
조성옥 한영준
<rowcolor=#000> 1996 1997 1998 1999 2000
김응국 이종운 공필성 박정태
강성우
2001 2002 <rowcolor=#fff> 2003 2004 2005
강상수 조경환 박현승 김대익 염종석
<rowcolor=#fff> 2006 2007 2008 2009~2010 2011
손인호 손민한 정수근조성환 조성환 홍성흔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사율 조성환 박준서 최준석 강민호
2017~2018
<rowcolor=#fff> 2019 2020 2021~2022 2023
이대호 손아섭민병헌 민병헌 전준우 안치홍
<rowcolor=#fff> 2024
전준우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6 아시안 게임
김재박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6 정민혁 · 20 윤석민 · 21 오승환
23 신철인 · 51 류현진 · 55 장원삼
59 이혜천 · 61 손민한 · 67 우규민
포수 44 조인성 · 47 강민호
내야수 1 장성호 · 7 박진만 · 8 정근우
10 이대호 · 16 박기혁 · 66 조동찬
외야수 9 이병규 · 15 이용규 · 31 이택근
35 이진영 · 62 박재홍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김재박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양상문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무관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정진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7 야구선수권 대회
김경문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3 장원삼 · 14 류택현 · 17 전병호
19 정대현 · 22 한기주 · 47 권혁
51 류제국 · 61 박찬호 · 99 류현진
포수 26 박경완 · 44 조인성
내야수 2 김민재 · 3 고영민 · 7 박진만 · 8 정근우
10 이대호 · 18 김동주 · 31 이현곤
외야수 1 장성호 · 9 이병규 · 29 이택근
39 이종욱 · 53 이대형 · 69 민병헌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기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8 베이징 올림픽 최종예선
김경문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 우규민 · 17 김광현 · 21 정대현 · 22 한기주
32 김선우 · 41 황두성 · 47 권혁
55 장원삼 · 61 손민한 · 99 류현진
포수 20 진갑용 · 44 조인성
내야수 7 박진만 · 10 이대호 · 13 손시헌 · 14 고영민
16 정성훈 · 18 김동주 · 25 이승엽
외야수 12 김주찬 · 15 이용규 · 29 이택근
35 이진영 · 39 이종욱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수석·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기태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조계현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태형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김민호
벤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유승안
트레이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용일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8 베이징 올림픽
김경문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1 오승환 · 13 장원삼 · 17 김광현 · 21 정대현
22 한기주 · 28 윤석민 · 47 권혁
51 봉중근 · 91 송승준 · 99 류현진
포수 20 진갑용 · 37 강민호
내야수 3 고영민 · 7 박진만 · 8 정근우 · 10 이대호
14 김민재 · 18 김동주 · 25 이승엽
외야수 15 이용규 · 29 이택근 · 35 이진영
39 이종욱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수석·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기태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조계현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태형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김민호
벤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유승안
트레이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용일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김인식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 손민한 · 11 이재우 · 12 임창용 · 13 장원삼 · 17 오승환
19 정현욱 · 20 이승호 · 21 정대현 · 28 윤석민
31 김광현 · 32 임태훈 · 51 봉중근 · 99 류현진
포수 26 박경완 · 47 강민호
내야수 2 최정 · 6 이범호 · 8 정근우 · 10 이대호
14 고영민 · 16 박기혁 · 52 김태균
외야수 5 추신수 · 15 이용규 · 29 이택근
35 이진영 · 39 이종욱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1''' 김인식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성한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양상문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이순철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류중일
배터리·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강성우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김민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0 아시안 게임
조범현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 안지만 · 21 정대현 · 27 김명성 · 28 윤석민
32 임태훈 · 37 고창성 · 46 송은범
51 봉중근 · 54 양현종 · 99 류현진
포수 26 박경완 · 47 강민호
내야수 7 조동찬 · 8 정근우 · 10 이대호 · 13 손시헌
14 최정 · 16 강정호 · 52 김태균
외야수 9 김강민 · 15 이용규 · 17 추신수
39 이종욱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조범현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김시진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윤영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손승락 · 11 박희수 · 17 유원상 · 18 노경은
21 오승환 · 23 차우찬 · 26 서재응 · 28 윤석민
38 정대현 · 48 장원삼 · 57 장원준 · 66 윤희상
포수 20 진갑용 · 47 강민호
내야수 7 김상수 · 8 정근우 · 13 손시헌 · 25 이대호
14 최정 · 16 강정호 · 36 이승엽 · 52 김태균
외야수 9 전준우 · 15 이용규 · 31 손아섭
35 이진영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양상문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한용덕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박정태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한수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수비·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5 프리미어 12
김인식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1 이대은 · 19 이태양 · 22 우규민 · 23 차우찬
28 장원준 · 29 김광현 · 38 정대현
42 조상우 · 45 임창민 · 48 이현승
55 심창민 · 57 정우람 · 67 조무근
포수 25 양의지 · 47 강민호
내야수 3 박병호 · 7 김상수 · 8 정근우 · 10 이대호
14 허경민 · 16 황재균 · 24 오재원 · 52 김재호
외야수 15 이용규 · 17 나성범 · 31 손아섭
49 민병헌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인식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동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이순철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김평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4 송진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김인식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우규민 · 11 이대은 · 12 임창용 · 19 심창민
21 박희수 · 23 차우찬 · 26 오승환
28 장원준 · 29 장시환 · 45 임창민
46 원종현 · 48 이현승 · 54 양현종
포수 25 양의지 · 42 김태군
내야수 3 김재호 · 7 김하성 · 10 이대호 · 13 허경민
14 서건창 · 18 박석민 · 24 오재원 · 52 김태균
외야수 15 이용규 · 31 손아섭 · 34 최형우
37 박건우 · 49 민병헌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인식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동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이순철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김평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4 송진우
}}}}}}}}} ||



[1] 생활체육학과.[2] 2023년 7월 9일 런닝맨에 출연해 밝힌 내용. 2010년엔 135kg, 2011년엔 140kg까지 찍었다고 한다. 시즌 전에는 항상 엄청난 다이어트로 115kg 근처까지 감량하지만 시즌 중에는 다시 살이 쪘다.[3] KBO 786경기, NPB 366경기, MLB 84경기[4] 해외 진출 전까지는 통산 1루수와 3루수 출장 비율이 비슷했다. 2004~2005 시즌, 2008~2010 시즌이 풀타임 3루수로 출장한 시즌이다. 2011 시즌부턴 3루수로는 거의 나오지 않고 주로 1루수나 지명타자로 나왔다. 복귀 후에는 2017년 1경기, 2018년 선발 3경기(6월 13일, 6월 23일, 6월 26일. 당시 절정이던 채태인, 이병규, 전준우, 민병헌, 손아섭, 이대호를 모두 기용하는 일명 닥공 라인업의 일환이다. 6월 10일도 3루수로 선발 출장하였으나 경기 도중 우천 취소되었다.) 포함 7경기가 전부로 3루수 선발 출장은 2018년 6월 26일이 마지막이다. (KBO 통산 557경기)[5] 큰 몸집으로 둔하고 수비를 못할 거라는 생각에 지명타자로 많이 나왔을 거라 생각하지만 특유의 유연함과 센스로 수비가 나쁘지 않은 편이라 대부분을 포지션 플레이어로 출전했다. 해외 진출 전까지 11시즌 동안 지명타자로 출전한 경기가 80경기 정도이며 해외 진출 후에도 오릭스 버팔로즈에서는 주전 1루수로 나왔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는 주전 지명타자로 나왔지만 1루수로 뛴 경기도 그에 못지 않다. 시애틀 매리너스 시절도 대부분 1루수로 나왔고 국내 복귀 후 첫해 주전 1루수로 나왔다. 2018 시즌부터 주전 지명타자로 출전 중인데, 2018, 2020 시즌은 1루수 출전도 못지 않아서 모든 커리어 통산 풀타임 지명타자로 뛴 건 2019 시즌이 유일하다. 2021 시즌부턴 사실상의 전업 지명타자가 되었다.[6] 이때 1차 지명 선수는 추신수. 그러나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거부하고 시애틀 매리너스에 입단하면서 이대호가 사실상의 1차 지명자 역할을 하게 된다. 2000년 신규 창단한 SK 와이번스가 신생팀 특별 지원 혜택으로 2차 지명 1라운드에서 3명을 지명하는 어드밴티지를 받았기 때문에 2번 순번을 가진 롯데의 1라운더지만 4번으로 지명. 이대호를 거르고 지명한 김희걸과 이제는 지도자인 김동건 등이 프로에서 성공했다고 보기엔 힘들기에 SK 와이번스 입장에선 속 쓰릴 만한 선택이었다.[7] 이름 오분이. 고교 시절이었던 1999년에 사망하였다.[8] 부친은 어릴 적인 1984년 10월 8일에 사망하였고 모친이 그 시기에 재가를 하면서 이대호에 대한 양육권을 포기했다. 이후 이대호가 프로에 입단하고 얼마 뒤 같이 살자고 찾아왔지만 이대호가 거절하며 사실상 의절했다. 그러나 가끔 연락은 하면서 지낸다고 한다.[9] 2021년 이차호에서 개명하였다. 이대호의 에이전트이기도 하다. 원래 장남 이름이 이대호, 차남 이름이 이차호로 지어질 예정이었으나, 이대호의 할머니가 호적 등록에 이름을 반대로 적어 버려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10] 2009년 6월 21일, 이대호는 자신의 28번째 생일에 롯데 자이언츠 홍보팀을 통해 2001년부터 9년간 교제해 온 일반인 여자친구와 결혼 계획을 공식 발표했고 이날 사직구장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 전 클리닝 타임 때 깜짝 프러포즈를 했다. 12월 26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렸다.[11] 개명 전 이름은 이효린으로, 이대호의 절친인 김태균의 딸과 이름이 같았다.[12] 배우자 신혜정의 아버지.[13] 날아올라 "HO~!" 밤하늘~ "HO~!"가 포인트. 이대호의 은퇴식에 원곡자 체리필터가 방문해 이대호를 위한 공연을 펼쳤다.[14] 리듬에 맞춰서 "대~호!" 반복. 〈Day-O〉 곡이 사용 중지된 이후 새로 사용했던 등장곡이다.[15] 법명은 삼소(三笑).[16] 출처[17] 지명 순번으로는 2차 1라운드지만 그보다 앞서 1차 지명을 받았던 추신수가 롯데 입단을 거부하는 바람에 2001년 롯데의 실질적인 1차 지명 선수는 이대호가 됐다.[18] 다만, 1군 무대에 데뷔한 것은 2001년 9월인데 투수가 아닌 타자로 데뷔했다.[19] '이대호와 여덟 난장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이대호를 빼면 밥값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는 타자들이 롯데에 수두룩했다. 제리 로이스터 감독 부임 이후에는 극강의 타선을 앞세워 암흑기를 끝냈으나 애석하게도 투수진이 허약한 탓에 타선이 벌어놓은 점수를 까먹기 일쑤였다.[20] 신인 시절의 롯데는 꼴찌 주변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던 약체팀이었고, 암흑기를 끝낸 뒤에는 투타의 균형이 맞지 않는 바람에 한국시리즈 진출 문턱에서 연거푸 좌절하고 말았다. 이대호가 NPB로 진출하고 나서 롯데는 다시 하위권으로 추락했고, 이대호가 복귀한 2017년에 반짝 3위를 기록한 뒤 은퇴할 때까지 5강에 들지 못했다. 참고로 롯데가 출전했던 마지막 한국시리즈는 1999년 한국시리즈다.[21] 롯데에서 뛰었던 타자 중에서 통산 최다 경기 출장, 최다 안타, 최다 홈런, 최다 타점 등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22] 2015년 일본시리즈 5경기 통산 16타수 8안타(2홈런) 타율 0.500에 8타점[23] 한미일 기록 통합 기준.[24] 2위는 이승엽의 2,842안타. 외국인 선수까지 따지면 KBO에서 한 시즌 뛴 훌리오 프랑코가 3,028안타로 1위이다.[25] 1위는 장훈의 3,085안타, 3위는 이승엽의 2,842안타.[26] 생존한 상태에서 롯데로부터 영구 결번의 영광을 받은 최초의 선수다. 롯데 1호 영구 결번인 최동원의 11번은 2011년 9월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야 지정됐다.[27] KBO 및 MLB의 규칙상 스트라이크 존은 적어도 이대호가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계속 타자의 신체크기와 연동되어 있었다.[28] 사실 그가 한 분야에서 최고로 특출한 것은 없다. 예를 들어 이승엽의 장타력이나 이종범의 주루 능력, 양준혁의 누적처럼 뭐 하나 압도적으로 상징한다는 부분이 없다. 그럼에도 이대호가 KBO 최고의 타자로 꼽히는 건 주력과 수비 범위를 제외하면 약점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타격, 컨택트, 파워, 선구안, 수비, 센스 뭐하나 뒤지는 게 없는 전천후의 타자이다. 최악으로 평가받는 주력과 큰 덩치로 인한 좁은 수비 범위를 가졌음에도 자신의 수비범위 내의 수비능력은 수준급이며 주루사도 거의 없다. 이러한 점이 바로 장효조, 양준혁, 박찬호 등의 많은 야구 레전드들이 이대호를 최고의 타자로 가장 먼저 꼽는 이유이다. 즉 육각형이 주루가 왕창 찌그러진 걸 빼면엄청나게 큰 유형의 선수다.[29] 이 다음으로는 현역 손아섭의 2416안타 (KBO)와 김현수의 2377안타 (KBO, MLB)가 있고 만약 미국 마이너 리그 안타 수를 포함해서 인정한다면 이대호는 2904안타로 2위에, 추신수가 2706안타로 이승엽에 이은 4위가 되고 김현수는 2234안타로 8위가 된다.[30] 외국인으로는 같은 팀 동료였던 카림 가르시아훌리오 프랑코가 있다.[31] 18시즌 동안 KBO에서만 총 429개의 홈런을 쳐낸 최정이 4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박병호가 15시즌 동안 총 374개의 홈런(KBO 362개, MLB 12개)을 날려 5위를 기록 중이다.[32] 1루수(06, 07, 11 , 17), 3루수(10), 지명타자(18, 22)[33] 2009년, 2018년, 2022년.[34] 발언 당시 2011년. 한국 프로 야구 출범 30주년을 맞이한 시즌이었다.[35] 오타니 본인이 맞진 않았지만 준결승전에서 역전 결승타를 쳐낸 선수도 역시 이대호였다. 이는 나중에 이영미 인터뷰에서 일본에서 상대해 봤던 이대호라서 공략법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박병호는 상대해 본 적이 없어서 상대하기가 껄끄러울 거 같다는 말을 하긴 했다. 실제로 1차전에서 박병호에게 장타를 맞기도 했고. 박병호에게는 메이저리그에서 성공할 거 같다며, 꼭 메이저리그에서 맞대결을 했으면 좋겠다고 응원했다.[36] 2011년 11월 일본 진출을 앞두고 했던 말. 다만 이대호가 일본에 있던 4년 중 3할 이상의 시즌 타율을 기록한 해는 2013년과 2014년뿐이었고 3할을 겨우 넘긴 수준이었다. 다만 당시 일본은 말도 안 되는 투고타저였고, 이대호의 일본 통산 타율은 3할에서 딱 7리가 모자란 0.293으로 준수했다.[37] 2019년 3월부터 선수협회장을 맡고 2020년 시즌 후 사임 의사를 표했다.[38] 이번 사건을 단독으로 보도한 기자로, SBS 스포츠 유튜브 라이브인 '야구에 산다'에 정우영 캐스터와 함께 출연하고 있다. 꽤나 많은 기사를 단독으로 보도했고 미디어 출연으로 인지도도 어느 정도 있지만 '고양 히어로즈 처우 논란'처럼 헛다리를 짚은 적도 있다. 해당 기자 회견에서 기자는 사실 관계에 착오가 있었음을 이대호에게 사과하며 판공비가 사실상 보수처럼 지급되고 있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인정했다.[39] 물론 그 사이에 전임 이호준 회장도 있긴 하다.[40] 2010년 8월 3일 ~ 8월 14일. 2010년 8월 14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2회초 김희걸을 상대로 비거리 125m짜리 홈런을 기록하면서 자신의 시즌 38호 홈런이자 9경기 연속 홈런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2023년까지도 KBO 리그 최고 기록이자 비공식 세계 기록이다.[41] 종전 기록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켄 그리피 주니어, 돈 매팅리, 대일 롱의 8경기 연속 홈런.[42] 안타, 홈런, 타율, 타점, 득점, 출루율, 장타율. 도루 부문을 차지하지 못했는데 도루 부문은 마지막까지 김주찬이대형이 경합을 하며 롯데 자이언츠의 타격 주요 부문 전관왕을 저지하며 타이틀을 가져갔다.[43] 2006, 2010[44] 2위는 이만수의 1회로, 총 세 번의 트리플 크라운 중 두 번을 이대호가 기록하였다.[45] 3루수, 1루수, 지명타자.[46] 양준혁, 장종훈과 타이 기록.[47] 2010년 7월 27일 ~ 2010년 8월 14일[48] 종전 기록은 박현승의 14경기 연속 득점.[49] 역대 1호. 종전 기록은 이승엽의 9년 연속 200루타.[50] 2012~2016 해외 진출.[51] 종전 기록은 230개의 홍성흔.[52] 여담으로 골든글러브를 받고 은퇴하는 선수 역시 이대호가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이다.[53] 종전 기록은 이승엽의 39세 3개월 20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