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 에노모토 키하치(榎本喜八) |
출신 | 도쿄도 나카노구 |
생년월일 | 1936년 12월 5일 |
사망 | 2012년 3월 14일 (향년 75세) |
신체조건 | 172cm, 71kg |
투타 | 좌투좌타 |
포지션 | 1루수 |
출신학교 | 와세다 실업 고등학교 |
소속팀 | 마이니치/다이마이/롯데 오리온즈(1955~1971) 니시테츠 라이온즈(1972) |
일본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 | 2016년 |
1. 개요
일본프로야구에서 활약한 좌타 강타자.오 사다하루 같은 당대의 거포 1루수들에 밀려 베일에 가려진 면도 있었지만, 현역 시절에는 오리온즈에서 프랜차이즈 1루수로써 정교한 타격을 앞세워 긴 세월 동안 활약했으며, 장훈에 앞서 '안타 제조기'라는 별명을 처음 가진 선수다. 고등학교 졸업 후 데뷔했고 수많은 고졸 신인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최연소 1,000안타 및 2,000안타 달성 기록도 가지고 있다.
2. 유년기
그가 5세이던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고 어머니는 병으로 사망, 아버지는 포로로 수감되면서 할머니, 동생과 함께 셋이서 힘들게 살아가게 된다. 비가 오면 집은 물이 새고, 기차를 타고 싶었지만 돈이 없어 집 옆을 지나가는 기차도 탈 수 없었다. 어린 시절 이웃이 고라쿠엔 구장으로 데려가 프로야구를 구경시켜 주면서 에노모토는 깊은 인상을 받았다. 배고프고 추운 날들의 연속이었지만 프로야구선수는 에노모토의 유일한 희망이었고 "할머니를 따뜻한 집에 살게 해주고 싶다"는 강한 열망을 가지고 연습에 열중하였다.3. 고교 시절
1952년 와세다 실업학교에 입학했으며 고시엔 대회에 총 3회 출전했다. 드래프트를 시행하지 않았던 시기라 각 팀에서는 자유롭게 선수를 획득할 수 있었는데, 평가가 그리 좋지는 않았다. 프로 입단을 꿈꾸던 에노모토는 고교 선배 아라카와 히로시[1]에 입단을 부탁했고, 아라카와는 "앞으로 3년동안 매일 아침 5시에 일어나 등교 전 스윙 500개씩 연습하면 해주겠다"고 가볍게 이야기했지만, 에노모토는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3년동안 실천했다. 고3 가을에 아라카와의 집을 방문해 "매일 연습했습니다. 입단시켜 주세요"라고 무릎꿇고 애원했고, 아라카와는 이를 거절하지 못하고 입단테스트를 주선했다. 아라카와는 "에노모토는 우직하고 등교전 500개를 하라고 하면 1개도 빼먹지 않고 연습했다. 1,000개를 하라고 했으면 1,000개를 하곤 했다. 보통 1,000개라고 하면 그만큼 많이하라는 뜻인데 정말 1개도 빼먹지 않았다."라고 술회했다.아라카와의 적극적인 후원에 힘입어 테스트 기회를 얻었고 벳토 카오루 감독과 1루수 니시모토 유키오가 이를 지켜봤다.고교생임에도 불구하고 완성된 타격폼과 뛰어난 선구안을 높이 삼아 입단에 성공했다.
4. 프로 시절
1955년 입단해서 고졸신인으로 주전 자리를 차지했다. 타격 기술이 훌륭하고 선구안이 뛰어나 데뷔 1,2년차에 리그 최다 볼넷 숫자 1위를 기록했다. 1960년부터 3년연속 최다안타를 기록했고 1961년의 180안타는 경이로운 숫자였다. 1968년에는 사상 최연소인 31세 7개월에 2,000안타를 달성했는데 당시 2,000안타를 기록한 타자는 카와카미 테츠하루와 야마우치 카즈히로뿐이었다. 좌-중-우 방향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타구를 날렸던 장훈과 달리 공을 잡아당겨 때리는 스타일이었고, 라인 드라이브 타구를 많이 양산했다. 같은 팀원이며 에노모토와 클린업을 짜고 있던 야마우치 카즈히로는 완벽한 타격이라고 극찬하고 있다. 현재는 사라진 도쿄 스타디움에서 가장 많은 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최다안타 타이틀은 총 4회를 획득했으며, 이는 후쿠모토 유타카, 부머 웰즈와 함께 퍼시픽리그 역대 2위이다.[2]장훈은 "수위타자 타이틀을 놓고 다툰 건 에노모토뿐이다. 투수가 어떤 공을 던져도 결코 도망가지 않았으며 저런 타자는 다른 가와카미 데쓰하루뿐이었다. 대단한 타자였다"라고 말하고 있다. 토요다 야스미츠는 "타격의 능숙함은 사상 최고이고 칠 수 없는 코스나 높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라고 평하고 있으며, 팀 후배 아리토 미치요는 신인 시절 에노모토의 연습을 보고 프로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에노모토를 따라가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하고 있다.
노무라 카츠야는 현역 시절 가장 무서운 타자 중 한 명으로 꼽고 있다. 노무라는 상대 타자를 「속삭임 전술」로 교란하기로 유명했는데[3], 에노모토의 독특한 분위기에 휩쓸려 그런 속삭임 전술을 사용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노무라는 에노모토에 대해 "저 정도로 선구안이 좋은 선수를 나는 본 적이 없다. 내 속삭임도 통하지 않았다. 그토록 무서운 타자는 후에도 먼저도 마주친 적이 없다, 포수 노무라로 가장 상대하고 싶지 않은 타자"로 평가했다. 노무라 카츠야는 덧붙여서 "타석에서 처절하게 집중하는 사람이었다. 아슬아슬한 코스를 심판이 스트라이크를 잡아준 후, 에노모토가 손가락을 3센치정도 넓혀 "이만큼 빠져있다"라고 불쑥 말했다. 실은 나도 그 정도 벗어나 있다고 생각했는데 거기까지 똑똑히 보고 있는지 몰라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라이벌 팀 에이스 이나오 가즈히사가 에노모토를 상대하기 위해 포크볼을 마스터했으며, 팔꿈치에 부담이 가서 포크볼을 봉인했지만 에노모토에게만 사용했다. "기분 나쁜 정도의 집중력을 느꼈다. 슛도 슬라이더도 깨끗하게 쳐 버리므로, 에노모토에게만 포크를 던졌다. 단 한명의 타자를 줄이기 위해 새로운 공을 기억해야만 했다. 에노모토 씨와의 승부만이 야구를 하고있는 느낌이었다"고 했다. 니시모토 유키오는 "지금까지 본 타자 중 가장 정확한 타자가 누구인지 물으면 주저없이 에노모토를 꼽겠다"라고 했다.
에노모토와 오 사다하루를 지도한 아라카와 히로시는 "배트 컨트롤이 좋고, 타자로서의 완성도는 오보다 에노모토가 위"라고 말하고 있다. 둘을 비교한 코멘트로는, "둘 다 연습을 많이 하고 더욱 파고들려고 했지만 파고드는 방법은 서로 달랐다. (오)사다하루는 운이 좋아서 홈런이 되면 늘 좋아했으나, 에노모토는 홈런이 됐어도 '이렇게 쳤으면 더 좋았을텐데'하고 생각했다. 온 힘을 다해 파고들어서 여유과 놀이가 생긴 사다하루는 게으름을 적당하게 피우는 걸 잘했다. 이 점이 세계 최고의 홈런왕이 된 사다하루와 그렇지 못했던 에노모토의 차이가 아닐까"라고 했다.
에노모토가 명예의 전당 헌액 당시 "오, 나가시마, 에노모토는 모두 내 제자지만 그 중에서도 에노모토는 수제자니까 오나 나가시마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때와는 다르다. 고생했다"라고 축복했다.
5. 인물
고지식한 남자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그만의 독특한 타격폼 조정 방법으로 '배트를 손이나 몸으로 휘두르지마라. 마음으로 휘둘러라'라는 이미지를 충실하고 실행했다. 또한 프리배팅 자체가 적었고 그 때문인지 시합에 들어가기 전까지 배트를 한 번도 휘두르지 않은 적도 자주 있었다.어린 시절의 빈곤으로 고통받았던 경험으로 인해 에노모토는 "타율이 3할 미만으로 떨어지면 급여가 상승하지 않을 것이므로 할머니를 더 편하게 모실 수 없을 것"이라고 믿었다. 어깨의 불필요한 힘이 너무 들어가 타격폼이 무너지고 더욱이 팬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행동을 받아 우울해졌다. 악순환의 반복으로 인해 슬럼프에 빠졌다. 기숙사에서 아라카와 히로시 등 와세다 동문들의 배팅 토론에서 그는 다양한 조언을 받았지만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일본도로 지푸라기를 베는 교육을 오 사다하루에게 부과했던 아라카와 히로시의 훈련법을 실은 에노모토가 먼저 공부하고 무술과 합기도를 타격이론에 가져온 것으로 알려졌다. 현역 시절, 에노모토의 초등학생 아들은 아버지가 집에서 일본도를 흔들며 연습하는 무서운 분위기의 훈련을 보고 겁을 먹은 건 이상한 게 아니었다.
안타나 홈런을 쳤어도 '제대로 된 타격이 아니다'라고 고민하고 범타로 물러날 때도 고민을 거듭했다. 무안타로 경기를 끝내는 날에는 배트를 쥐고 좌절하는 일도 많았다. 아라카와는 "에노모토는 너무 성실해서 그런지 긴장을 푸는 법을 몰랐다", 오리온스 시절 코치였던 요나미네 카나메는 "그(에노모토)는 야구에 대해 너무 진지했다. 좀 더 야구를 즐겼어야 했는데...:"라고 평한바 있다.
1958년 릿쿄대학을 졸업하고 1958년에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한 나가시마 시게오의 타격을 시범경기에서 목격하고 "이것은 자신보다 위"라고 통감하고 야구에서 이길 수 없다고 생각했다. 에노모토는 억울한 나머지 나가시마가 1루에 출루하면 "스모에서 승부다"라고 말했다고 한다.1959년 게임 전 타구가 팀 동료 야나기 토시오의 얼굴을 직격해 아래턱 골절상을 입고 병원으로 급히 옮겨졌을 때 에노모토는 얼굴은 창백해지고 떨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누가 에노모토를 불러도 대답도 하지 않았다. 당시의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은 부상당한 야나기보다 에노모토의 풀이 죽어 버리지 않을까 걱정했다고 한다.
통산 2,314안타는 역대 15 위, 통산 타율 .298은 4,000 타수 이상으로 역대 24위이다. 1,000안타를 날린 것은 무려 24세 9개월 때의 일이며, 이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 스즈키 이치로도 넘지 못한 대기록이다. 가와카미 데쓰하루, 야마우치 가즈히로에 이어 사상 3번째로 일본프로야구 2,000안타를 기록했다.
생전에 존경하는 선배와 라이벌로 3명을 꼽았는데 야마우치, 이나오 가즈히사, 그리고 장훈이었다. 에노모토의 타계 후 명예의 전당 헌액식에서 초청 연사로 초대된 것은 장훈이었다. 장훈은 "에노모토는 존경하는 선배이자 라이벌로서 야구는 움직이는 공을 치는 것이기 때문에 몸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그러면 공의 속도를 이겨낼 수 없기에 보통은 반동을 쓰면서 레그킥도 방법 중 하나. 하지만 에노모토 씨는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 테이크백도 없었다"라고 술회했다. 끄떡하지 않는 정밀 타격 폼에 정확한 미트 힘. 그리고 밀리 단위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하는 그 선구안이다.
에노모토의 아들은 아버지의 사후 "저는 집 밖에서 아버지의 행동을 알지 못합니다. 집에 계시는 아버지는 매우 좋은 사람이었습니다. 일본 위키피디아에는 다양하게 아버지에 대해 쓰여져 있습니다만, 전부가 사실은 아닙니다. 금욕하시고, 여러모로 서투른 분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갈등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네요"라고 술회했다. 덧붙여서 "인터넷에 아버지의 여러 일화가 실리고 나서 사인을 요구하는 팬들의 색종이 편지가 집에 오면 아버지는 "나는 은퇴 후가 더 인기가 있구나"라고 말하시고 정성스럽게 사인을 반환했습니다. 아버지의 손자가 지금 3명 있습니다. 할아버지가 굉장한 야구 선수 였다는 것을 손자들도 어딘지 모르게 알았습니다. 그들은 아버지의 뒤를 쫓아가는 선수가 될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했다.
6. 플레이 스타일
좌-중-우 전 방향으로 골고루 안타를 날리는 스프레이 히터였던 장훈과 다르게 잡아당기는 풀히터이였며 테이크백과 레그킥이 없는 타격폼에서 나온 간결한 스윙이지만 라이너성 타구를 양산하여 관중들이 홈런 타구를 피하지 못하고 졸도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내야 안타와 번트 안타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선구안도 상당했다.7. 기행
스스로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감정이 폭발하기도 했고, 자신의 타격에 만족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방망이로 물건을 깨부수는 등의 극단적인 행동도 하였다. 또한 계약 갱신으로 방문한 구단 사무소에서 의자에 앉은 채로 명상에 잠기거나, 게임 전까지 연습 대신 벤치에서 좌선을 하는 등의 행동으로 주위를 걱정하게 만들기도 했다. 때문에 일본프로야구의 선인(仙人)이라는 별명이 생기기도.현역 시절에는 술, 담배, 마작 등을 일체하지 않았으며 불결해진다는 이유로 카바레에 갔다가 금방 나오기도 했다.
8. 은퇴 후
OB모임에도 참석하지 않는 등 야구계와의 관계를 단절했고 기본적으로 언론사와의 인터뷰 요청을 고사하고 있었으나, 사실 타격코치를 하고 싶었다고 한다. 아무도 권유해 주지도 않고 본인도 사교에 서툴기도 해서 꿈을 이루지 못한듯.9. 사망
대장암이 발견되어 입원과 자택 요양 생활을 했지만 2012년 3월 14일 병세가 악화돼 도쿄 도내의 병원에서 향년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인 2016년 1월 18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신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투수 |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 내야수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내야수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투수 | |
<rowcolor=#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내야수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 키무라 타모츠 난카이 / 투수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 장훈 토에이 / 외야수 | |
<rowcolor=#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수상자 없음 | 토쿠히사 토시아키 킨테츠 / 투수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투수 | 수상자 없음 | 수상자 없음 | |
<rowcolor=#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이케나카 마사아키 니시테츠 / 투수 | 수상자 없음 | 타카하시 요시마사 토에이 / 투수 | 수상자 없음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외야수 | |
<rowcolor=#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투수 | 미나가와 야스오 토에이 / 투수 | 카토 하지메 니시테츠 / 투수 | 니이미 사토시 닛타쿠홈 / 투수 | 미츠이 마사하루 롯데 / 투수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투수 | 후지타 마나부 난카이 / 투수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투수 | 무라카미 유키히로 난카이 / 투수 | 마츠누마 히로히사 세이부 / 투수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내야수 | 후타무라 타다미 닛폰햄 / 외야수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포수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 외야수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투수 | 모리야마 료지 세이부 / 투수 | 사카이 츠토무 오릭스 / 투수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 하세가와 시게토시 오릭스 / 투수 | 타카무라 히로시 킨테츠 / 투수 | 스기야마 켄토 세이부 / 투수 | 와타나베 히데카즈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히라이 마사후미 오릭스 / 투수 |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 내야수 | 코사카 마코토 롯데 / 투수 |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 외야수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투수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수상자 없음 | 오쿠보 마사노부 오릭스 / 투수 | 쇼다 이츠키 닛폰햄 / 투수 | 와다 츠요시 다이에 / 투수 | 미세 코지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쿠보 야스토모 롯데 / 투수 | 야기 토모야 닛폰햄 / 투수 |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 코마츠 사토시 오릭스 / 투수 |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투수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사카키바라 료 닛폰햄 / 투수 | 마키타 카즈히사 세이부 / 투수 | 마스다 나오야 롯데 / 투수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투수 |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투수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투수 | 타카나시 히로토시 닛폰햄 / 투수 | 겐다 소스케 세이부 / 내야수 | 타나카 카즈키 라쿠텐 / 외야수 | 타카하시 레이 소프트뱅크 / 투수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타이라 카이마 세이부 / 투수 |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투수 | 야마시타 슌페이타 오릭스 / 투수 | 타케우치 나츠키 세이부 / 투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수위타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나카네 스스무 나고야군 / .376 |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338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33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45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61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38 |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321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10 |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286 |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300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오쿠무라 토시아키 킨키닛폰 / .369 |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 .347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15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06 |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 .36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362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77 |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353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47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61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38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38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43 |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 .320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53 | 모리나가 카츠야 히로시마 / .307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1 |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23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36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4 | 나카 토시오 주니치 / .343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6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45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5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20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29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55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32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19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55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58 |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 .348 | 펠릭스 미얀 타이요 / .346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69 | 후지타 타이라 한신 / .358 | 나가사키 케이이치 타이요 / .351 |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 .353 |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4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350 | 랜디 바스 한신 / .389 |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33 |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0 |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378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짐 파치오렉 타이요 / .326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340 | 잭 하웰 야쿠르트 / .331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329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24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55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40 |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5 |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7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369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346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33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43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340 |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 .337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4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51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6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378 |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322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58 |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316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340 | 토니 블랑코 DeNA / .333 | 맷 머튼 한신 / .338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336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344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3 |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34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35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사노 케이타 DeNA / .32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17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18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6 | 타일러 오스틴 DeNA / .316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39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83 |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 .336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318 | 래리 레인즈 한큐 / .337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32 |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325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331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4 |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323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344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74 |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35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66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20 |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351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3 나가부치 요조 킨테츠 / .333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83 | 에토 신이치 롯데 / .337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58 | 카토 히데지 한큐 / .337 | 하리모토 이사오 닛폰햄 / .340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백인천 타이헤이요클럽 / .319 |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클럽 / .309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329 |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54 | 카토 히데지 한큐 / .364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레론 리 롯데 / .358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6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5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32 | 부머 웰즈 한큐 / .355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7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0 |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366 |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 .327 | 부머 웰즈 한큐 / .322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38 |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 .314 |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322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19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5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2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6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5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8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3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7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346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40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60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358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322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324 |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334 | 릭 쇼트 라쿠텐 / .332 | 츠치야 텟페이 라쿠텐 / .327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46 |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338 |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12 |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 .341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331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63 |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39 |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322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52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329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50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39 | 마츠모토 고 닛폰햄 / .347 | 톤구 유마 오릭스 / .307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314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출루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6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5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63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6출루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9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80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94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36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57출루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7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20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40출루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43출루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32출루 타오 야스시 주니치 / 232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34출루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231출루 | 랜디 바스 한신 / .428 | 랜디 바스 한신 / .481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35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8 |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449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6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73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60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7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431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444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1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9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38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6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61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01 |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425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0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8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34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416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00 |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437 |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395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429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55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19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416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433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98 |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46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53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27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33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58 |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403 |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399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62 | 1963 | 1964 | 1965 | 1966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0 | 잭 블룸필드 킨테츠 / .39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6 | 대릴 스펜서 한큐 / .423 |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439 | |
<rowcolor=#ffffff>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9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7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1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67 | 에토 신이치 롯데 / .408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3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8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52 | 대릴 스펜서 킨테츠 / .394 | 카토 히데지 한큐 / .376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카토 히데지 한큐 / .401 |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98 | 카토 히데지 한큐 / .437 |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 .412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31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28 |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19 |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43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1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7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8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9 |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431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54 |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428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02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95 | 이치로 오릭스 / .445 | 이치로 오릭스 / .432 | 이치로 오릭스 / .422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스즈키 켄 세이부 / .431 |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435 | 이치로 오릭스 / .412 | 이치로 오릭스 / .460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434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467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473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64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12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53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터피 로즈 오릭스 / .403 |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410 |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398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428 |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11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04 | 에스테반 헤르만 세이부 / .418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424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69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46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26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31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22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65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29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57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1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9 |
1962년부터 퍼시픽리그에서 최고출루율 시상을 시작했으나 1984년까진 출루율이 공식 기록이 아닌 퍼시픽리그에서만 쓰이는 지표였으며 당시 계산법엔 희생플라이가 반영되지 않았다. 센트럴리그는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최고출루율이 아닌 안타+사사구 갯수를 합친 최다출루수 타이틀을 시상했다. 이후 1985년부터 출루율이 일본프로야구 공식 지표로 반영되며 계산법에 희생플라이가 분모로 들어감과 동시에 양대리그 모두 최고출루율 타이틀을 시상했다. 이 때문에 1984년까지의 출루율 기록은 현행 계산법보다 높게 나오며 시즌 출루율 기록도 1985년 이후부터의 기록만 반영한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1루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후지타 타이라 한신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래리 패리쉬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짐 파쵸렉 한신 |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조지 아리아스 한신 |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타이론 우즈 주니치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크레이그 브라젤 한신 |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토니 블랑코 DeNA | 마우로 고메즈 한신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호세 로페즈 DeNA |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제프리 마르테 한신 | 호세 오수나 야쿠르트 |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카와이 코조 한큐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오카모토 켄이치로 한큐 | 스탠리 하시모토 토에이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타카키 타카시 킨테츠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카토 히데지 한큐 |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카토 히데지 한큐 |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 카토 히데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레온 리 롯데 |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부머 웰즈 한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리처드 데이비스 킨테츠 | 부머 웰즈 한큐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부머 웰즈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짐 트레버 킨테츠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훌리오 프랑코 롯데 |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필 클라크 킨테츠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훌리오 줄레타 소프트뱅크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 이대호 오릭스 |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타 쇼 닛폰햄 | 긴지 라쿠텐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나카타 쇼 닛폰햄 | 브랜든 레어드 롯데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톤구 유마 오릭스 |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1] 荒川博. 1930~2016. 와세다 실업학교-와세다 대학을 졸업하고 마이니치 오리온스(1953~1961)에서 선수생활을 했으며 1962년부터 1970년까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코치로 재직하면서 와세다 실업학교 후배인 오 사다하루에게 외다리타법을 전수시켜 최고의 타자로 키워냈다. 오 사다하루와의 인연은 중학교 때 시작됐으며 자세한 일화는 오 사다하루 문서 참조.[2] 이치로가 경신하기 전까지는 리그 1위였다.[3] 타석에 들어선 타자에게 "다음 공은 머리", "맞으면 아플텐데", "폼이 그게 뭐냐!" 등 상대방의 속을 긁는 직접적인 말을 하며 타자의 신경을 흐뜨렸고 타자들이 보복하자 다음 구종을 알려준다거나 혼잣말을 계속 하는 식으로 타자들의 신경을 건드렸다고 한다. 속삭임 전술이 통하지 않는 사람으로 3명을 꼽았는데, 나가시마 시게오에게 "타격폼이 이상한데?"이 말을 하자 타격폼을 바꾸고 홈런을 때리며 홈플레이트를 밟으면서 "알려줘서 고마워"라고 하질 않나, 오 사다하루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고, 장훈은 헛스윙을 하는척하면서 노무라의 뒷통수를 갈겨버렸다고 한다. 노무라는 장훈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며 "그(장훈)는 너무 섬세해서 타석에서의 위치를 계속 조정하여 그래서 (트래쉬 토크) 관뒀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