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5 22:25:38

고라쿠엔 스타디움

고라쿠엔 구장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art5.photozou.jp/202434171_624.jpg
구장명 고라쿠엔 스타디움(後楽園スタヂアム)
소재지 도쿄도 분쿄구 고라쿠1초메 3-61[1]
東京都文京区後楽一丁目3-61
홈구단 도쿄 교진군-요미우리 자이언츠(1937~1987)
야마토 군(1937~1943)
다이에이 유니온스(1946~1957)
니폰햄 파이터즈(1948~1953, 1964~1987)
주니치 드래곤스(1948)
코쿠테츠 스왈로즈(1950~1963)
마이니치 오리온스(1950~1962)
개장일 1937년 9월 11일
폐장일 1987년 11월 9일
소유주 (주)고라쿠엔 스타디움
좌석수 38,000명(개장 당시), 42,337명(폐장 당시)
크기 좌우 91m[2]
중앙 120m
펜스 좌우 5m / 센터 2.1m

1. 개요2. 역사
2.1. 개장 초기2.2. 프로야구 지역 연고제 도입후2.3. 철거
3. 특징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 도쿄도에 위치했던 야구장으로 현재 도쿄돔이 건설된 자리에 위치해 있던 경기장이었다. 보통 고라쿠엔 구장, 고라쿠엔 야구장이라고 불리지만 정식 명칭은 고라쿠엔 스타디움이었다.

2. 역사

2.1. 개장 초기

파일:external/www15.plala.or.jp/kou1.jpg

1936년에 일본직업야구가 기지개를 폈지만, 도쿄 6대학 리그가 활용하고 있고, 이들의 반발로 인해 메이지진구 구장을 제때 사용하지 못하고 경기 일정에 차질이 빚기도 했다. 실제로 1936년 7월 1일에 열린 도쿄 교진군나고야 군간의 경기는 메이지진구 구장을 쓰지 못해서 와세다대학의 토츠카 구장을 빌려서 쓰기도 했다.

이에 요미우리 신문사와 한큐 전철의 공동 출자로 1936년 12월 (주)고라쿠엔 스타디움(株式会社後楽園スタヂアム)를 설립하고 과거 도쿄 포병 공창이 있던 국유지에 경기장 건설을 추진, 건설비 123만엔을 투입해 완성 시켰으며 이듬해인 1937년 9월 11일에 개장식을 가졌다. 구장 이름은 구장 인근에 위치한 다이묘정원인 코이시카와 고라쿠엔(小石川後楽園)[3]에서 따온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군이 구장을 접수해 경기장에는 감자와 옥수수를 심어서 재배했고 상단부에는 고사포를 설치했었다.(...) 종전 후인 1945년에 야구경기가 치러지며 다시 야구장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갔다.

1950년 마이니치 신문의 야구단 창단으로 촉발된 센트럴리그퍼시픽리그 분열 당시, 도쿄와 수도권 일대에 프로야구를 치를 수 있는 경기장이 고라쿠엔 경기장 뿐이었기에 센트럴 리그 주요 경기는 모두 고라쿠엔에서 열리며 센트럴리그 553경기중 31%인 171경기가 이곳에서 열렸고, 퍼시픽리그 420 경기중 28%인 117경기가 이곳에서 열렸다.

2.2. 프로야구 지역 연고제 도입후

일본프로야구는 1952년부터 지역연고제를 도입했는데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이곳을 홈구장으로 선점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구단들도 도쿄라는 지리적 위치와 더불어 a급 시설이라는 점때문에 제법 많이 거쳐갔는데 다이에이 유니온스의 경우에도[4] 1957년까지 이곳을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며 토에이 플라이어즈도 1948~1953년, 1964년부터 폐장될 때까지 이곳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5]

코쿠테츠 스왈로즈도 1950년부터 1963년까지 이곳을 홈구장으로 빌려 사용했으며, 롯데 오리온즈도 일명 "'집시 롯데'" 시절 미야기 구장을 홈으로 쓰면서 이곳에서 경기를 가진적이 있다[6]. 1974년 일본시리즈를 여기서 치른 게 그 예.[7]

1974년 10월 14일 나가시마 시게오의 시즌 마지막 경기이자 은퇴경기가 이곳에서 열렸으며 1977년 오 사다하루의 756호[8] 홈런도 바로 이 경기장에서 터졌다.
1977년 9월 3일, 스즈키 야스지로(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를 상대로 756호를 기록하는 오 사다하루.
1981년 4월 4일 일본 최초로[9] 전광판에 '오로라 비전'이라 하는 영상전광판도 추가됐다.

2.3. 철거

바로 옆에 위치한 경륜장이 폐쇄되고 도쿄에 돔구장을 건설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고라쿠엔 경기장을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1987년 10월 13일, 닛폰햄 파이터즈긴테츠 버팔로즈 간의 경기를 끝으로 퍼시픽리그 경기는 열리지 않았으며 1987년 10월 18일에 요미우리 자이언츠히로시마 도요 카프간의 경기를 끝으로 센트럴리그 경기도 열리지 않게 되었다.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일본프로야구 마지막 공식 경기는 1987년 일본시리즈 요미우리 자이언츠세이부 라이온즈간의 5차전이 었으며 이날 경기의 마지막 타자는 시노즈카 토시오였고 승부는 세이부가 3-1로 승리했다.[10]


시즌이 종료되고 11월 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팬사인회 및 행사를 마지막으로 폐쇄했다.
파일:external/64b7de0163615070411fb73d4cb2833aa05f735c9abac4c51299829b4a6aef1e.jpg
바로 옆 고라쿠엔 경기장[11]이 철거되고 있다.[12]
파일:external/www.sanspo.com/npb14051314300006-p3.jpg
1987년. 바로 옆에 완공직전의 도쿄돔이 보인다.
파일:external/jpp-k.com/8d0a5aa6b04ec2e0cdf8635880bc4aa32.jpg
완공된 도쿄돔의 외관과 고라쿠엔 구장

철거 후 해당 부지에는 호텔과 쇼핑몰 등이 들어섰다.

3. 특징

파일:external/members.jcom.home.ne.jp/035-1004.jpg

4. 여담


파일:external/snow-reports.net/jp-2012-2-3253.jpg
파일:external/www.ski-japan.or.jp/s20080904_01_01.jpg

5. 관련 문서



[1]도쿄돔 주소와 동일하다.[2] 다만 실측한 거리는 이보다 더 짧았다(...)[3] 현재도 도쿄돔 뒷편에 위치해 있다. 에도 막부 초기에 건설된 정원으로 일본의 특별 사적 및 특별 명승지로 지정되어 있다.[4] 마이니치 오리온즈와 합병해 사라졌다.[5] 55~60 경기가 없었으며 61~63년 보조구장으로 사용[6] 1961년까지 홈구장으로 사용했고 다음 해 10경기를 치른 뒤 도쿄 스타디움으로 홈구장을 옮겼다[7] 이유는 미야기 구장의 관객수용량이 3만명 미만이어서 일본시리즈 개최 조건인 관객수용량 3만명 이상에 맞지 못했기 때문. 그 뒤 관객수용량을 늘리면서 지금은 일본시리즈를 개최할 수 있게 되었다.[8] 메이저리그 통산 홈런 1위인 행크 아론의 기록을 돌파한 것이었다.[9] 세계적으로는 1980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다저 스타디움에 이어 두 번째이다.[10] 그 뒤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에서 열린 6차전에서 세이부 라이온즈는 똑같은 스코어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게 승리.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11] 고라쿠엔 야구장과 함께 건설된 야외 구장으로 볼링 경기장, 경륜장 등으로 활용되었다. 경륜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세계대전 전후로 도시 재건 사업의 재정 확충을 위해 경기 추진을 적극 지원했으나 1972년 이후로는 금지시켜서 여름에는 수영장, 골프 연습장으로 활용되고 만다.[12] 고라쿠엔 경기장이 있던 자리가 지금의 도쿄돔 위치이다.[13] 1937년 개장 후 치른 82경기에서 84홈런이 나왔고, 다른 경기장들 총합이 113경기 24홈런이었다.[14] 한국프로야구에서 사용하는 구장의 경우 좌우펜스까지의 길이가 97~100 m 정도임을 감안하면 많이 작다. 탁구장 소리 듣던 목동 야구장이 좌우펜스 98m이고, 길이가 가장 짧은 문학 야구장사직 야구장도 95m이다.[15] 반면 후쿠모토 유타카의 도루 기록은 메이저리그에서도 인정받았다. 공을 칠 일 없으니 반발력 문제도 없고, 내야 길이는 어디라도 같으니. 지금은 인정받지 못하는데 이유는 기록이 깨져버려서.[16] 이외에도 김경홍의 기록도 MLB에서는 인정해준다,[17] 아무래도 제작사인 토에이가 한때 닛폰햄 파이터즈의 모기업(그 당시엔 토에이 플라이어즈)이었던 게 연관이 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