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06:22:11

기시 노부스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rowcolor=#C3C965>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토 히로부미 구로다 기요타카 야마가타 아리토모 마쓰카타 마사요시
<rowcolor=#c3c965>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토 히로부미 마쓰카타 마사요시 이토 히로부미 오쿠마 시게노부
<rowcolor=#C3C965>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토 히로부미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rowcolor=#C3C965> 제13대 제14대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rowcolor=#C3C965>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가쓰라 다로 야마모토 곤노효에 오쿠마 시게노부 데라우치 마사타케
<rowcolor=#C3C965>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하라 다카시 다카하시 고레키요 가토 도모사부로 야마모토 곤노효에
<rowcolor=#C3C965> 제23대 제24대 제25대
기요우라 게이고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 레이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전
]]
<rowcolor=#C3C965>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오사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이누카이 쓰요시
<rowcolor=#C3C965>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사이토 마코토 오카다 게이스케 히로타 고키 하야시 센주로
<rowcolor=#C3C965>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고노에 후미마로 히라누마 기이치로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미쓰마사
<rowcolor=#C3C965> 제38·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고노에 후미마로 도조 히데키 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후
]]
<rowcolor=#C3C965>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시데하라 기주로 요시다 시게루 가타야마 데쓰
<rowcolor=#C3C965> 제47대 제48-51대 제52-54대 제55대
아시다 히토시 요시다 시게루 하토야마 이치로 이시바시 단잔
<rowcolor=#C3C965> 제56·57대 제58-60대 제61-63대 제64·65대
기시 노부스케 이케다 하야토 사토 에이사쿠 다나카 가쿠에이
<rowcolor=#C3C965> 제66대 제67대 제68·69대 제70대
미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 스즈키 젠코
<rowcolor=#C3C965> 제71-73대 제74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다케시타 노보루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rowcolor=#C3C965> 제75대 제76·77대 제78대 제79대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미야자와 기이치 호소카와 모리히로
<rowcolor=#C3C965> 제80대 제81대 제82·83대 제84대
하타 쓰토무 무라야마 도미이치 하시모토 류타로 오부치 게이조
<rowcolor=#C3C965> 제85·86대 제87-89대 제90대 제91대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베 신조 후쿠다 야스오
<rowcolor=#C3C965>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노다 요시히코
<rowcolor=#C3C965> 제96-98대
아베 신조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rowcolor=#C3C965> 제99대 제100·101대 제102·103대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이시바 시게루
← 태정대신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기시 노부스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기시·사토·아베 가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7003A> 1대 <rowcolor=#D7003A> 아베가 기시·사토가
아베 간 기시 노부스케
동생 사토 에이사쿠
2대 <rowcolor=#D7003A> 장남 (아베가) 차남 (사토가)
아베 신타로 사토 신지
아베 요코
3대 <rowcolor=#D7003A> 차남 (아베가) 삼남 (기시가)
아베 신조 기시 노부오 (입적)
아베 아키에 기시 치카코
4대 <rowcolor=#D7003A> 손자
기시 노부치요
※둘러보기 : 일본의 정치 가문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1기 상공대신 (1925~1943)
초대
다카하시 고레키요
2대
노다 우타로
3대
카타오카 나오하루
4·6대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5대
나카하시 도쿠타로
6대
타와라 마고이치
7대
사쿠라우치 유키오
8대
마에다 요네조
9대
나카지마 쿠마키치
10대
마츠모토 조지
11대
마치다 추지
12대
카와사키 타쿠키치
13대
오가와 고타로
14·18대
고도 타쿠오
15대
요시노 신지
16대
이케다 시게아키
17대
핫타 요시아키
14·18대
고도 타쿠오
19대
후지와라 긴지로
20대
고바야시 이치조
임시대리
가와다 이사오
21대
도요다 데이지로
22대
사콘지 세이조
23대
기시 노부스케
24대
도조 히데키
군수대신 (1943~1945)
초대
도조 히데키
2대
후지와라 긴지로
3대
요시다 시게루
4대
토요다 테이지로
5대
나카지마 치쿠헤이
2기 상공대신 (1945~1949)
25대
나카지마 치쿠헤이
26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27대
호시시마 지로
28대
이시이 미쓰지로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29-30대
미즈타니 조사부로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31대
오야 신조
32대
시나가키 헤이타로
통상산업대신(1949년~2001년)
초대
시나가키 헤이타로
2·6·17대
이케다 하야토
3대
다카세 소타로
4대
요코오 시게루
5대
다카하시 류타로
7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8대
오카노 키요히데
9대
아이치 기이치
10·11·12대
이시바시 단잔
13·14대
미즈타 미키오
15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16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2·6·17대
이케다 하야토
18대
이시이 미쓰지로
19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20대
사토 에이사쿠
21·22대
후쿠다 하지메
23·24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25대
미키 다케오
26·27대
칸노 와타로
19·28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29대
오히라 마사요시
30대
미야자와 기이치
31대
다나카 가쿠에이
32·33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34·36대
고모토 토시오
35대
다나카 다쓰오
34·36대
고모토 토시오
37대
에사키 마스미
38대
사사키 요시타케
38대
다나카 로쿠스케
39대
아베 신타로
41대
야마나카 사다노리
42대
우노 소스케
43대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44대
무라타 케이지로
45대
와타나베 미치오
46·47대
타무라 하지메
48대
미쓰즈카 히로시
49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50대
마츠나가 히카루
51대
무토 가분
52대
나카오 에이치
53대
와타나베 고조
54대
모리 요시로
55대
구마가이 히로시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56대
하타 에이지로
57대
하시모토 류타로
58대
츠카하라 슌페이
59대
사토 신지
60대
호리우치 미쓰오
61대
요사노 가오루
62·63대
후카야 다카시
64대
히라누마 다케오
경제산업대신 (2001년~현재)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2대
히라누마 다케오
3-5대
나카가와 쇼이치
6대
니카이 도시히로
7·8대
아마리 아키라
{{{#!wiki style="margin: -16px -11px" }}}
7·8대
아마리 아키라
9·10대
니카이 도시히로
11·12대
나오시마 마사유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3대
오하타 아키히로
14대
가이에다 반리
15대
하치로 요시오
16대
에다노 유키오
17대
모테기 도시미쓰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8대
오부치 유코
19·20대
미야자와 요이치
21대
하야시 모토오
22·23대
세코 히로시게
24대
스가와라 잇슈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5·26대
가지야마 히로시
27·28대
하기우다 고이치
29대
니시무라 야스토시
30대
사이토 겐
31·32대
무토 요지
}}}}}}}}}}}}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근대 일본의 관위와 역직|
헌법 제정 전
]]
[[대일본제국 헌법|
제국 헌법
]]
<rowcolor=#C3C965> 구로다 내각(산조 잠정 내각) 제2차 이토 내각 제4차 이토 내각 하라 내각
내대신부 내대신 추밀원 의장 외무대신
산조 사네토미 구로다 기요타카 사이온지 긴모치 우치다 고사이
[[대일본제국 헌법|
제국 헌법
]]
<rowcolor=#C3C965>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 가토 다카아키 내각 하마구치 내각 이누카이 내각
외무대신 내무대신 외무대신 대장대신
우치다 고사이 와카쓰키 레이지로 시데하라 기주로 다카하시 고레키요
[[대일본제국 헌법|
제국 헌법
]]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
]]
<rowcolor=#C3C965> 오카다 내각 이시바시 내각 제2차 오히라 내각 오부치 내각
내무대신 외무대신 내각관방장관
고토 후미오 기시 노부스케 이토 마사요시 아오키 미키오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
]]
<rowcolor=#C3C965> 제2차 기시다 내각
내각관방장관
마쓰노 히로카즈 }}}}}}}}}

파일:1954년일본민주당.png 일본민주당 (1954년) 간사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86ae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기시 노부스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하토야마 이치로
2대
이시바시 단잔
3대
기시 노부스케
4대
이케다 하야토
5대
사토 에이사쿠
6대
다나카 가쿠에이
7대
미키 다케오
8대
후쿠다 다케오
9대
오히라 마사요시
권한대행
니시무라 에이이치
10대
스즈키 젠코
11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12대
다케시타 노보루
13대
우노 소스케
14대
가이후 도시키
15대
미야자와 기이치
16대
고노 요헤이
17대
하시모토 류타로
18대
오부치 게이조
19대
모리 요시로
20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21대
아베 신조
22대
후쿠다 야스오
23대
아소 다로
24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25대
아베 신조
26대
스가 요시히데
27대
기시다 후미오
28대
이시바 시게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기시 노부스케
2-3대
미키 다케오
4대
가와시마 쇼지로
5대
후쿠다 다케오
6대
가와시마 쇼지로
7대
마스타니 슈지
8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9-10대
미키 다케오
11대
다나카 가쿠에이
12대
후쿠다 다케오
13대
다나카 가쿠에이
14대
호리 시게루
15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16대
니카이도 스스무
17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18대
우치다 쓰네오
19대
오히라 마사요시
20대
사이토 쿠니키치
21-22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23-24대
니카이도 스스무
25대
다나카 로쿠스케
26대
가네마루 신
27대
타케시타 노보루
28대
아베 신타로
29대
하시모토 류타로
30대
오자와 이치로
31대
오부치 게이조
32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33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34대
모리 요시로
35대
미쓰즈카 히로시
36대
가토 고이치
37대
모리 요시로
38대
노나카 히로무
39대
고가 마코토
40대
야마사키 타쿠
41대
아베 신조
42대
타케베 쓰토무
43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44대
아소 다로
45대
이부키 분메이
46대
아소 다로
47대
호소다 히로유키
48대
오시마 다다모리
49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50대
이시바 시게루
51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52-53대
니카이 도시히로
54대
아마리 아키라
55대
모테기 도시미쓰
56대
모리야마 히로시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외무경 (1869년~1879년) · 외무사무총재 (1873년)
초대
사와 노부요시
2대
이와쿠라 도모미
3대
소에지마 다네오미
4대
데라시마 무네노리
5대
이노우에 가오루
전전 외무대신 (1885년~1945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5대
이노우에 가오루
6대
이토 히로부미
7대
오쿠마 시게노부
8대
아오키 슈조
9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0대
무쓰 무네미쓰
11대
사이온지 긴모치
12대
오쿠마 시게노부
13대
니시 토쿠지로
14대
오쿠마 시게노부
15대
아오키 슈조
16대
가토 다카아키
17대
소네 아라스케
18대
코무라 주타로
19대
가토 다카아키
20대
사이온지 긴모치
21대
하야시 타다스
22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23대
코무라 주타로
24대
우치다 고사이
25대
가쓰라 다로
26대
가토 다카아키
27대
마키노 노부아키
28대
가토 다카아키
29대
오쿠마 시게노부
30대
이시이 키쿠지로
3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32대
모토노 이치로
33대
고토 신페이
34대
우치다 고사이
{{{#!wiki style="margin: -16px -11px" }}}
34대
우치다 고사이
35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36대
이주인 히코키치
37대
마츠이 케이시로
38대
시데하라 기주로
{{{#!wiki style="margin: -16px -11px" }}}
39대
다나카 기이치
40대
시데하라 기주로
41대
이누카이 쓰요시
42대
요시자와 겐키치
43대
사이토 마코토
{{{#!wiki style="margin: -16px -11px" }}}
44대
우치다 고사이
45대
히로타 고키
46대
아리타 하치로
47대
하야시 센주로
48대
사토 나오타케
{{{#!wiki style="margin: -16px -11px" }}}
49대
히로타 고키
50대
우가키 가즈시게
51대
고노에 후미마로
52대
아리타 하치로
53대
아베 노부유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54대
노무라 기치사부로
55대
아리타 하치로
56대
마츠오카 요스케
57대
토요다 테이지로
58대
도고 시게노리
{{{#!wiki style="margin: -16px -11px" }}}
59대
도조 히데키
60대
타니 마사유키
61대
시게미쓰 마모루
62대
스즈키 간타로
63대
도고 시게노리
전후 외무대신 (1945년~현재)
{{{#!wiki style="margin: -16px -11px" }}}
64대
시게미쓰 마모루
65대
요시다 시게루
66대
가타야마 데쓰
67·68대
아시다 히토시
69·70·71대
요시다 시게루
{{{#!wiki style="margin: -16px -11px" }}}
72·73·74대
오카자키 카츠오
75·76·77대
시게미쓰 마모루
78대
이시바시 단잔
79·80대
기시 노부스케
81·82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wiki style="margin: -16px -11px" }}}
83·84대
고사카 젠타로
85·86대
오히라 마사요시
87·88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89·90대
미키 다케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91대
사토 에이사쿠
92·93대
아이치 기이치
94대
후쿠다 다케오
95·96대
오히라 마사요시
97대
키무라 토시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98대
미야자와 기이치
99대
고사카 젠타로
100대
하토야마 이이치로
101·102대
소노다 스나오
103대
오키타 사부로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04대
이토 마사요시
105대
소노다 스나오
106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107·108대
아베 신타로
109대
쿠라나리 타다시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10대
우노 소스케
111대
미쓰즈카 히로시
112대
나카야마 타로
113·114대
와타나베 미치오
115대
무토 카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16대
하타 쓰토무
117대
가키자와 고지
118대
고노 요헤이
119·120대
이케다 유키히코
121대
오부치 게이조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22대
고무라 마사히코
123·124·125대
고노 요헤이
126대
다나카 마키코
127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128·129대
카와구치 요리코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30·131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132·133대
아소 다로
134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135대
고무라 마사히코
136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37·138대
오카다 가쓰야
139대
마에하라 세이지
140대
에다노 유키오
141대
마쓰모토 다케아키
142대
겐바 고이치로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43·144대
기시다 후미오
145·146대
고노 다로
147-149대
모테기 도시미쓰
150대
기시다 후미오
151대
하야시 요시마사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52대
가미카와 요코
153·154대
이와야 다케시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전쟁범죄와 그로 인한 피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A급 전범
평화에 대한 죄
사형수
기무라 헤이타로 도이하라 겐지 도조 히데키 마쓰이 이와네 무토 아키라
이타가키 세이시로 히로타 고키
복역수
가야 오키노리 고이소 구니아키 기도 고이치 도고 시게노리 미나미 지로
사토 겐료 스즈키 데이이치 시라토리 도시오 시마다 시게타로 시게미쓰 마모루
아라키 사다오 오시마 히로시 오카 다카즈미 우메즈 요시지로 하시모토 긴고로
하타 슌로쿠 호시노 나오키 히라누마 기이치로
피의자[1]
히로히토 천황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고노에 후미마로 코다마 요시오 고이즈미 치카히코
구즈 요시히사 기시 노부스케 나가노 오사미 니시오 도시조 다니 마사유키
다다 하야오 다카하시 산키치 데라시마 겐 도쿠토미 소호 마사키 진자부로
마츠오카 요스케 사사카와 료이치 사토미 하지메 쇼리키 마츠타로 스마 야키치로
아모 에이지 아베 겐키 아베 노부유키 아오키 카즈오 아카기 고헤이
안도 기사부로 오카와 슈메이 오타니 게이지로 이사하라 히로이치로 이와무라 미치요
하시다 구니히코 혼다 구마타로 혼조 시게루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 · C급 전범
일반 전쟁범죄, 인도에 반한 죄
피의자 약 5,700여 명[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범죄 사건
학살 사건 난징 대학살(100인 참수 경쟁) | 마닐라 대학살 | 밀리환초 학살 | 바탄 학살 | 보르네오 학살 | 중국 북부 학살 | 치치지마 식인 사건 | 파푸아뉴기니 학살 | 팔라완 학살 | 베허호 사건 | 아라시함 포로 학살
생체 실험 731 부대 | 규슈대학 생체해부
전시 강간 일본군 위안부
강제 노역 정신대 | 죽음의 철도 | 하시마
정치적 추종 세력 및 사상
순국7사묘 · 신사본청 · 야스쿠니 신사 · 팔굉일우 · 일본의 우경화(넷 우익) · 일본의 역사왜곡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일본회의 · 국가신토 ·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애국 비즈니스
가나다 순 배열
[1] 불기소 피의자, 재판 전 사망자 포함. 공식적으로는 이들은 무죄이다.
[2] 개별 사건의 중복 피고인까지 합계되었으며, 이 밖에 추축국 피점령지 내 부역자, 기소유예자가 포함된 수치이다.
}}}
}}}}}}

일본국 제56·57대 내각총리대신
기시 노부스케
[ruby(岸, ruby=きし)] [ruby(信, ruby=のぶ)][ruby(介, ruby=すけ)] | Kishi Nobusuke
파일:기시 노부스케.jpg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출생 1896년 11월 13일
야마구치현 요시키군 야마구치정
(現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사망 1987년 8월 7일 (향년 90세)
도쿄도 신주쿠구
재임기간 제56대 내각총리대신
1957년 2월 25일 ~ 1958년 6월 12일[1]
제57대 내각총리대신
1958년 6월 12일 ~ 1960년 7월 19일
서명
파일:KishiN_ka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부모 아버지 사토 히데스케[2]
어머니 사토 모요
형제 형 사토 이치로
남동생 사토 에이사쿠
여동생 7명[3]
배우자 기시 요시코
자녀 장남 기시 노부카즈
장녀 아베 요코[4]
친인척 조카 사토 류타로, 사토 신지
종손 사토 미치코, 사토 에이지, 사토 미카
종증손 사토 에이스케
사위 아베 신타로[5]
외손자 아베 히로노부, 아베 신조
친손자 기시 노부오[6]
증손자 기시 노부치요
신체 171cm[7]
학력 오카야마시립 우치야마시타 소학교 (졸업)
야마구치 중학교 (졸업)
제1고등학교[8] (졸업)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독일법학 / 학사)
정당

지역구 야마구치 2구
의원 선수 10 (중)
의원 대수 21, 26, 27, 28, 29, 30, 31, 32, 33, 34
약력 고등문관시험 합격
농상무성 관료
상공성 관료
제7대 상공차관
제24대 상공대신
중의원 의원
초대 일본민주당 간사장
초대 자유민주당 간사장
제86-87대 외무대신
제3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56·57대 내각총리대신
칭호 및 서훈 정2위
대훈위 국화대수장
도쿄제국대학 법학사
수교훈장 광화장[9]
}}}}}}}}}
1. 개요2. 생애
2.1. 관료 입문에서 전쟁 종료까지2.2. 전후 전범 불기소에서 총리 취임까지2.3. 총리 재임 시절2.4. 총리 퇴임 이후2.5. 정계 은퇴 이후
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5. 가족관계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제56, 57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다. 태평양 전쟁 이후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에서 A형 전쟁 범죄 용의자(평화에 관한 죄)로 구속수사를 받았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불기소처분을 받았다. 이후 일본 총리 등을 역임하며 좋은 의미로나 나쁜 의미로나 전후 일본 체제에 큰 영향을 끼쳤다.[10] 이를 나타내주는 별명이 쇼와요괴[11](昭和の妖怪). 본인도 멋쩍은 듯히 인정한 별명이다. 그야말로 일본의 서브컬처에서 등장하는 흑막의 대명사 같은 인물이다.

야마구치현(구 조슈 번, 나가토+스오국) 야마구치시 출생으로 친동생은 '비핵 3원칙'으로 유명한 제61~63대 총리 사토 에이사쿠이다.[12] 동생인 사토 에이사쿠는 외조부 성인 사토를 이어받아서 형제끼리 성이 다르다.[13][14] 사위는 아베 신타로로 그의 아들이자 기시의 외손자는 제90, 96~98대 총리인 아베 신조이며 이 사람도 기시의 대를 잇기 위해 입양된 동생 기시 노부오와 성이 다르다.

2. 생애

2.1. 관료 입문에서 전쟁 종료까지

파일:external/www.adopsjonsforum.no/Nobusuke%20Kishi,%20Corbis%20Images.jpg
도조 내각 상공대신 시절
야마구치현 요시키에서 공무원이자 양조업자인 사토 히데스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래의 성은 사토(佐藤)였지만 중학교 3학년 때 아버지의 본가인 기시 가의 자식이 없는 큰아버지의 양자가 되면서 성을 기시로 바꾸었다. 이름인 노부스케는 그가 태어날 때까지도 살아 있었던 증조부 사토 노부히로(佐藤信寛)[15]가 작명했다. 집안은 나름대로 지역에서 알아주는 유지였는데 형인 사토 이치로는 해군 중장이 되었고 동생 사토 에이사쿠도 훗날에 총리가 되었다.

도쿄제국대학 출신이 보통 그렇듯 기시 또한 중학교 때 성적은 우수했다. 그러나 활동 사진(당시엔 영화를 이렇게 불렀다)에 빠져 도쿄의 구제(舊制) 제1고등학교[16] 입학시험에선 꼴찌에 가까운 성적으로 입학하였으나 이후 다시 맹렬하게 공부하여 공동수석으로 제1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이때 일본의 사회주의에도 관심을 가졌으며[17], 2.26 사건의 정신적 지주였던 기타 잇키의 사상에 매료되었었다고 한다.

그 후 도쿄제국대학 법과대학 법률학과에서 독일법학을 전공해 공부에만 매진[18], 그 결과 우등생으로 졸업했다. 그는 당시 유행하던 미노베 학설이 아니라 천황주권론을 주장하는 우에스기 신키치의 학설을 추종했는데,[19] 학교에 남아 법학자의 길을 걸을 것을 요구하는 우에스기의 권유를 거부한 뒤 정부 관료의 길을 걷게 된다. 그런데 묘하게도 당시 엘리트들이 간다는 외무성이나 내무성, 대장성을 가지 않고 2류 부처로 취급받던 농상무성으로 가서 동향의 정치인인 카미야마 미츠노신에게 "넌 왜 2류 부처로 갔니"라고 질책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20] 그러나 이후의 행보를 보면 레드오션인 외무성, 대장성, 내무성보다 블루오션인 농상무성을 의도적으로 택했을 가능성도 크다.
[navertv(31567992)]
[다큐] 영상의 세기 PREMIUM 제12부 - 쇼와(昭和) 격동의 총리들中[21][22]

어쨌든 농상무성으로 들어간 이후 상공관료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는데, 1935년 상공성 공무국장으로 취임해 나치 독일식 통제경제에 따라 자동차 산업을 합리화, 효율화할[23] 목적으로 자동차 제조 산업법 제정을 주도했다. 일본이 만주를 침략하여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운 뒤엔 아마카스 마사히코 밑에서 중국인 노동자를 만주에 유치하는 사업에 참여함으로 만주국에 관여했고, 당시 대공황을 극복한 소련 스탈린의 중공업 정책 등을 모방해 일명 '만주 산업개발 5개년 계획'을 작성하면서 만주국 경영의 실질적인 책임자가 된다.[24] 기시가 이때 얻은 혁신관료-재계-관동군 인맥은 이후 기시의 정치인생에 매우 막대한 도움이 되어주었다.

이 시기에 기시는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주색잡기에 열중했는데 아편 거래를 통해 얻은 막대한 수익으로 유흥을 즐길 수 있었다. 이때 관동군 참모장이었던 도조 히데키를 만나 절친한 사이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1939년 10월 아베 노부유키 내각에서 상공성 사무차관으로 임명되었지만 상공대신에 새로 취임한 기업가 출신인 코바야시 이치조와 갈등을 빚었고, 결국 혁신관료로 분류되어 히라누마 기이치로가 혁신관료와 고노에 후미마로의 신체제운동 구상을 지지하는 관료들을 숙청하기 위해 일으킨 기획원 사건에 연루되어 물러나게 된다. 그러나 1941년 도조 히데키가 총리가 되면서 도조 내각의 상공대신으로 취임하고 1942년에는 중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국회로도 진출하게 된다. 1943년에는 경단련의 전신인 상공경제회 설립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절친했던 도조와의 관계는 1943년에 틀어지는데 상공성을 폐지하고 군수성으로 재편한 데다 도조 자신이 군수대신이 되고 기시를 군수차관에 임명해 불만이 생겨났다. 그러다 1944년 사이판이 함락된 가운데 도조가 난국의 타개를 위해 개각[25]을 추진하자 전황이 이렇게 되었으니 더이상 군수차관 직 수행이 불가하다며 공개적으로 강화를 요구하고 나서는 물귀신 작전을 폈다. 이에 도조는 원로들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기시에게 사임을 요구하지만 거부하고, 마침 도조에게 입각 요청을 받은 원로들도 입각을 거부하면서 결국 내각총사퇴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에 대해선 도조를 실각시키기 위해 일부러 원로들과 짜고 친 고스톱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이후 대정익찬회 소속 정치인들 중 반 도조 노선으로 돌아선 이들을 규합해 호국동지회를 결성해 사실상 야당의 역할을 맡았고 전장에 있어서는 강경한 본토결전 수행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렇듯 정치적으로 도조와 결별했지만, 이후 도조가 사형을 당하자 대성통곡을 했다고 한다.

2.2. 전후 전범 불기소에서 총리 취임까지

파일:EEWd9HmUEAA_sLS.jpg
1946년 3월 26일, 스가모 형무소에서 촬영된 머그샷
전쟁이 끝난후 고향 야마구치현에 은둔해 있다가 전쟁범죄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러나 도조가 목이 달아난 것과는 달리 경제통이었던 기시나 코다마 요시오는 써먹을 궁리가 있다고 봤는지 GHQ는 도조가 처형된 다음날에 이들을 불기소 처분하고 공직추방조치만을 취하게 된다. 물론 이것도 공짜는 아니었다. 기시와 코다마는 일본이 점령지에서 약탈한 보물들과 자신들만이 알고 있던 국가기밀정보를 넘기는 조건으로 사법거래를 해 풀려난 것이다. 이것 때문에 그의 외손자인 아베 신조를 A급 전범의 손자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소되지 않았으므로 A급도 B급도 C급도 아니며 전범도 아니다. 또한 A급, B급, C급은 죄질의 등급이 아니라 전범으로 기소할 때 전쟁범죄의 유형을 분류한 것이라 A급이 B급, C급보다 더 악질인 것도 아니다. 게다가 그는 A급 전쟁범죄(전쟁을 기획, 주도)가 가능한 위치에 있지도 않았다. 만약 그가 A급 전범이라면 구일본제국과 만주국의 장관, 차관들은 모두 A급 전범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극동국제군사재판 참조.

이후 한동안 자신의 고등학교 및 대학 동창인 나가노 마모루가 설립한 동양 펄프라는 회사에서 회장으로 재임하다가, 1952년 공직추방조치가 풀리면서 정계로 복귀해 자주헌법 제정, 자주군비 확립, 자주외교 전개를 슬로건으로 일본재건연합을 결성하고 1953년 중의원 선거에 임했지만, 일본재건연합이 선거에서 대패하자 일본사회당에 입당하려는[26] 제스처도 취한다. 허나 사회당에서 거부하자 자유당에 입당해 자유당 후보로 중의원에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당에서 헌법 문제를 검토, 심의할 목적으로 설치한 헌법조사회의 회장으로 취임해 적극적으로 개헌을 주장하고 나섰으며, 얼마 안가 일본국헌법개정요강(日本国憲法改正要綱)이라는 개헌안을 마련한다. 이 개헌안은 (1)일본의 역사와 전통 강조, (2)천황의 권한 강화, (3)군대의 보유, (4)국민 기본권의 광범위한 제한, (5)헌법개정절차의 간소화 등, 수십년 후의 아베 신조가 떠오르는 보수적이고 반동적인 내용들로 채워져 있었다. 그러나 1954년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 기시의 의사에 반하는 경무장+대미협조 정책으로 나가자 경제적 자립+보수대연합을 주장하며 이에 반발하다 자유당에서 출당되었다.

이 즈음 자유당, 민주당. 개진당 등 여러 보수 정당의 개헌파 의원들을 규합해 결성된 자주헌법기성의원동맹(自主憲法期成議員同盟) 창립을 주도했다. 기시는 이후 1967년부터 사망 시까지 이 단체의 회장을 맡았다.

이후 11월에 하토야마 이치로(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의 조부)와 함께 일본민주당을 조직했다가 좌우분열이 극심했던 일본사회당이 재통합하자, 이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보수대연합을 주창, 자유당과 합당하여 자유민주당을 창당하기에 이른다. 창당 직후 자민당의 초대 간사장으로 취임해 자민당 정강에 ‘자주헌법으로의 개헌 및 자위군 보유를 지향‘한다는 요지의 내용을 넣었다.

하토야마 내각 시절 간사장으로서 외무대신과 동행해 방미하여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를 만나 미일안보조약을 대등하게 개정, 주일미군의 철수, 그리고 일본의 미국 방위를 주장했으나 비현실적이라는 이유로 기각되었다. 기시가 총리가 된 후 미일안보조약을 개정해야겠다고 결심한 시점이 이때라고 한다.

이후 1956년에 열린 자민당 총재선거에 입후보 하여 1차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나 2차 투표에서 2위 이시바시 단잔, 3위 이케다 하야토 연합에게 7표차로 패하였다. 순식간에 비주류 파로 밀려난 기시파 내부에선 단 한명도 각료를 보내지 말자는 강경론과 최대한 많은 각료자리를 얻어내자는 타협론이 엇갈린 가운데 기시는 외상으로 입각하였다. 기시의 입각은 다행이라 할 수 있었다. 2개월 후 이시바시가 뇌연화증으로 쓰러져 총리직 수행이 불가능해지자 기시는 노력하지 않고 뜻밖에 이시바시의 후계자로 지명되어 총리의 자리에 올랐기 때문이다.

한편 기시가 외무대신으로 입각할때, 2015년에 발견된 서신에 따르면 쇼와 덴노는 이시바시에게 왜 전범 출신인 기시를 외무대신으로 입각시키는가. 그자의 죄의 중대함은 도조 이상이다.라고 물었다고 한다.

전범 용의자 출신의 기시가 총리의 자리에 오를수 있었던건 무엇보다 풍부한 자금력 덕분이었다. 기시가 이시바시로부터 후계자로 지명될 당시에 이시바시 내각의 간사장이었던 미키 다케오가 기시와의 정치적 스탠스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찬성한 것도 기시의 풍부한 자금력과 인맥을 인정하였기 때문이었다. 당시 기시의 금맥(金脈)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철강업계였다. 기시는 알다시피 상공관료의 거두였고 나가노 시게오, 후지이 헤이고 등 철강업계의 실력자들과는 태평양 전쟁때부터 알고 지낸 사이였다. 둘째, 경단련, 일본상공회의소를 비롯한 경제단체이다. 일본 경제계의 집행부와도 같았던 이들 단체에도 기시의 인맥이 적잖이 포진해 있었는데 우에무라 고고로,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같은 인물들이 대표적이었다. 경단련 부회장, 회장을 오랫동안 역임하며 재계의 정치자금조성을 주도한 우에무라는 기시와는 농상무성시절부터 함께 일했던 사이였고 기시의 문경지우라고 까지 일컬어졌던 후지야마 아이이치로는 일본 최대의 설탕재벌인 동시에 일상 회장을 역임하며 '친구' 기시를 전폭적으로 지원하였다. 셋째는 닛산의 아이카와 요시스케, 쿠하라 광업의 쿠하라 후사노스케 등 기시와 동향인 야마구치현 출신 재벌들이었다. 아이카와와 쿠하라를 필두로 한 이른바 조슈(長州) 재계인들은 이토 히로부미 이래 6번째의 조슈 출신 재상을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하였다. 마지막으로 넷째는 스미토모 그룹이었다. 스미토모 화학 회장이면서 사장회인 백수회(白水会)의 좌장이었던 도이 마사하루는 기시와 동경대학 법학부 시절부터 수석경쟁을 하며 교우를 가졌던 사이였다.

여기에 더하여 기시는 해외 유전 개발을 비롯하여 각종 이권사업에 개입한건 물론이고 코다마 요시오, 사사카와 료이치 등을 통하여 우익세력에도 영향력이 있었다. 그리고 후일 드러난 사실이지만 심지어 CIA로부터도 자금을 지원받았다.

2.3. 총리 재임 시절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56.jpg
56대 총리 취임 후
1957년 2월 25일 이시바시 내각을 이어받는 형태로 제56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했다. 취임 기자회견에서 부정부패, 가난, 폭력의 삼악을 척결하고 싶다고 밝혀 삼악척결이라는 말이 유행했다. 또한 이시바시 단잔 총리의 공약이었던 1천억 엔 감세도 시행했다. 한편 주일 미국 대사인 더글라스 맥아더 2세와 회담하여 미일안보조약은 일본이 미국에게 안보적으로 종속되었다는 것을 나타낸 상징이라며 일본 헌법 제9조(평화헌법)의 개정, 안보조약 개정, 상호방위체제 구축을 해야 한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이후 1957년에는 인도 등과 힘을 합쳐 핵실험 금지를 주장하고 나서며 영국과 미국의 핵실험을 저지해야 한다고 외쳐 두 나라의 공분을 샀고, 그해 10월에 유엔 비상임 이사국에 당선되었다. 이 즈음 중국과의 국교 수립을 위해 친구인 후지야마 아이치로를 외무대신으로 발탁해 영국을 통해 중국과의 국교 수립 협상을 시작했다. 레바논에서 반정부 내전이 터졌을 때 유엔으로부터 평화유지군 파견을 요구받았지만 거절하기도 했다.

1958년 의회 해산뒤 열린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287석의 과반 의석을 무난히 확보, 사실상 55년 체제로 불리는 자민당의 장기집권 서막을 알렸다. 그러나 미일 안보조약 개정 과정에서 주일미군 재판권 포기 밀약사건이 터지면서, 평소 자주외교를 부르짖던 기시의 노선과 맞지 않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이에 미국이 공식적으로 재판권 포기를 천명하라고 요구했지만 기시는 국내여론 악화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이 직후 경찰관 직무집행법 개정을 시도해 예방구금령과 영장 없는 수사를 허용하고자 시도했으나 사회당과 일본노총, 여론의 반대가 극심하자 철회했다. 한편 교사들에 대한 성과제를 도입하려다가 일본교원노조의 대규모 투쟁을 불러오기도 했다. 한편 방첩법을 제정해 방위청을 국방성으로 격상시키려 시도했지만 이 역시 실패(...)했고, 내정성을 신설하고 지방자치단체장을 선거로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관료제에 의거해 임명하는 임명제로 복원하려 시도했으나 이 역시 실패했다. 다만 내정성 설치는 자치성이라는 이름으로 1960년에 실현되었다. 이외에도 독점금지법 개정, 소선거구제 실시 등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한편 하토야마 내각, 이시바시 내각에서 추진해온 보편적 건강보험 제도를 실시하였고, 최저임금제, 보편적 연금 제도도 도입되었다. 이후 일본은 고도성장의 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의외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1958년 한국에 야츠기 가즈오[27] 특사를 파견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때 야츠기 특사는 기자회견에서 "기시 총리는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한국에 범했던 과오를 유감으로 생각하고 있다. 총리는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진정으로 노력해 왔다. 이런 노력을 앞으로도 계속하겠다"는 기시의 결심을 이승만 대통령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상술되어있듯 도조 히데키와 절친했고 해당 내각에서 일해서 전범 혐의로 체포까지 되었던 사람이 한 말이라 진정성이 있는지는 각자 판단할 부분이지만. 다만 기시는 한국에만 사과를 한게 아니라 호주에도 방문해 2차 대전에서 일본이 저지른 범죄 등에 대해 사과한 전력이 있으며,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의 피점령국이었던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방문하는 등 아시아 외교에 주력을 기울였다.

1960년 미일 안보조약을 개정한 미일 안보신조약을 체결하고 이를 국회에 비준동의를 받으려 상정했지만 야당인 사회당이 강력반발해 안보투쟁을 부르게 되었다. 기시는 일본이 안보를 미국에 의존하는 형태의 구 안전보장조약을 미국과 일본이 대등한 형태의 조약으로 개정할 것을 꾸준히 주장해 왔고, 구 조약에서 주일미군이 일본을 방어한 의무가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나 미군 기지 구역에 대해서는 일본이 처벌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것을 비판하며 일본과 미국의 상호 방위 규정, 안보조약의 불평등 해소를 명분으로 안보조약 개정을 강행했다. 한편 안보폐기를 부르짖던 사회당이 미일 안보신조약 처리를 막으려 하자 1960년 5월 19일에서 20일에 걸쳐, 중의원 본회의장에 사회당 의원들의 출입을 통제한 채로 미일 안보신조약을 통과시켰다.

이로 인해 반정부 투쟁이 극에 달하자 기시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을 경호한다는 명분으로 극우 행동대는 물론 야쿠자들까지 모조리 동원해서 반정부 투쟁을 제압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기시의 정책은 도리어 역효과를 내어 1960년 6월 15일, 야쿠자가 시위대를 공격해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고, 국회에서도 폭력사태가 발생해 국회에서는 국회로 진입하려는 학생 시위대와 이를 막는 경찰들의 충돌 과정에서 도쿄대학 여대생 간바 미치코가 압사당하는 불상사가 일어난다.

시위대가 기시 노부스케의 자택을 포위할 정도로 사태가 심각해지자[28] 기시는 "국회 주변은 시끄럽지만, 긴자나 고라쿠엔 구장은 언제나 그대로이다. 나에게는 소리없는 소리가 들린다[29]라는 개드립으로 물타기를 시도했다. 그러나 전임 총리 세명(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가타야마 데쓰, 이시바시 단잔)이 기시에게 그대가 책임지고 사퇴하는 게 좋겠소라는 사퇴권고까지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자, 기시는 최후 수단으로 자위대의 치안출동(사실상의 계엄령)을 명령한다.

허나 방위청 장관 아카기 무네노리[30]가 이를 거부했고, 시위대는 수상관저를 포위해 기시와 친동생 사토 에이사쿠가 봉변당하기 직전의 위기까지 몰리기도 했다. 그러나 이 모든 사태의 발단이 된 미일 안보 신조약은 자동으로 성립되었고 국회 비준 뒤에 쇼와 덴노가 서명함으로써 마무리되었다. 이후 기시는 이 모든 사태의 책임을 지고 7월 15일 내각이 총사퇴를 했으며 이후 후계자로 지명한 이케다 하야토를 축하하는 연회장에서 전직 우익 단체 출신 괴한에게 허벅지를 찔리는 중상을 입었다.

후임 총리인 이케다 하야토의 그 유명한 ‘국민소득 배증 10개년 계획‘[31]의 초안이 마련된 것이 다름아닌 그가 대장상 재임 중이었던 기시 내각 시절이다. 기시는 요시다 파인 이케다를 견제해 자기 파벌의 사람이자 일명 ‘생산력 배증 10개년 계획‘[32]을 주장하던 후쿠다 다케오를 대장상에 임명하려 했으나 동생인 사토 에이사쿠의 강경한 반발에 결국 포기했다. 후임인 이케다 만큼은 아니지만 기시가 총리로 재임하던 시절도 고도성장기 초엽으로서 기존의 ’안정적 성장‘ 모델에 기반한 신장기경제계획(新長期経済計画)을 실시해 경제와 국민 소득이 상당히 빠르게 개선되었다.

2.4. 총리 퇴임 이후

파일:external/archivenew.vop.co.kr/17124320_park%20kisi.jpg
1961년 박정희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절에 일본을 방문했을 때의 모습. 좌측부터 기시 노부스케, 박정희, 이케다 하야토 당시 총리
총리 퇴진 이후에는 1963년 자신의 지역구인 야마구치 제1구를 사위인 아베 신타로[33]에게 넘겨주었다가 낙선되자 야마구치현에서의 영향력이 감소된 것 아니나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기시는 자신의 동생 사토 에이사쿠와 함께 야마구치 1구의 슈토 에이유 의원의 후원회장이던 후지모토 만지로를 직접 영입해 아베 신타로의 후원회장을 맡게 하여 1967년 선거에서는 기어코 당선시켰다.

1969년 중의원 선거에서는 측근의 비서를 맡고 있던 인사가 자민당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이시카와 1구에 출마하자,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당선에 도움을 주었다. 참고로 이때 당선된 사람이 훗날 총리가 되는 모리 요시로였다.

1972년에는 친동생인 사토 에이사쿠가 총리에서 물러나자 헌법개정을 목표로 은밀히 총리 복귀를 노리기도 했다. 그러나 소위 각복전쟁(가쿠후쿠 전쟁)이라 불리는 70~80년대 자민당내 권력투쟁에서 자신의 직계이자 대리로 내세운 후쿠다 다케오가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사토의 후계자 격인 다나카 가쿠에이에게 패하자 낙담하고 만다.

한편, 과거 만주 인맥을 활용해 만주군 경력이 있는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와 인연을 맺어, 박정희가 대통령이 된 이후인 1965년 한일수교 당시 기시를 비롯한 기시 휘하의 '만주국 라인'이 막후에서 역할을 하기도 했다.[34] 한일수교는 양국이 공산권에 대항하는 구도로 양국에 하루빨리 수교를 맺으라는 미국의 압력[35]이 가장 컸으며, 일본의 자본과 기술에 한국의 노동력을 결합하면 매우 가난한 한국의 경제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는 해외 경제기관들의 조언들도 있었다. 실제로 일본에서 기술진들이 건너와 자국에서 한물간 상품들의 기술전수를 하였고 많은 일본 자본이 투자를 하고 무엇보다 일본이 만든 소재와 부품을 가공해 미국에 파는 것 구조가 확립되어 이는 1980년대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것이 가마우지 경제이며 당시에는 "통과경제"로 불렸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서 한일수교가 이뤄지고 5년이 지난 1970년 6월 18일, 박정희 정부는 기시 노부스케 등 70여 명에게 한일 수교의 공로로 '수교훈장 광화장'을 수여했다. 기시는 수교훈장 중에서 1등급인 광화대장을 받았고, 고다마 요시오는 2등급인 광화장을 받았다. 수교훈장으로, 우방과의 친선에 공헌이 뚜렷한 자에게 수여하는 것이다.

10.26 사건으로 암살당한 박정희의 국장 때에도 참석하였다.[36] 당시 한국의 주류 언론들은 기시 노부스케를 '친한파'로 다뤘다. # 물론 여기서 말하는 '친한파'는 국제정세 및 냉전 안보 등의 이유로 한국정부와 밀접한 교류를 한 정치/외교적 의미에서의 '지한파'를 의미하는 것으로, 과거사에 대한 진지한 반성이나 참회는 당시에는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2.5. 정계 은퇴 이후

1979년 중의원 해산을 계기로 정계를 은퇴하고 보수 논객으로 활동했다.

파일:external/www.chojin.com/kishigenron.jpg
1984년 통일교 회의장에 모습을 나타낸 적이 있었다. 이 시기 일본에서 교세를 한창 확장하던 통일교의 뒤를 밀어준 사람이 기시였다.

파일:2207131106215090.jpg
1973년 11월 23일에 통일교 본부에서[37] 찍은 사진. 기시는 생전 문선명과 돈독한 관계였는데, 이것이 수십 년 후 외손자에게 재앙으로 돌아왔다.[38]

파일:기시각하.png
사망 몇 개월 전의 모습. 가운데는 외손자 아베 신조, 오른쪽은 외손자이자 양손자인 기시 노부오.

1987년에 사망하면서 유해는 후지산 인근의 '후지 레이엔'(富士靈園)에 안장되었다. 사위 아베 신타로 전 외무대신, 외손자 아베 신조 전 총리의 묘지도 이 곳에 위치한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42 - 1945 정계입문
창당
호국동지회 1945 - 1945 합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45 - 1952 탈당
일본재건연맹 1952 - 1953 창당


1953 - 1954 합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54 - 1954 탈당

1954 - 1955 창당


1955 - 1987 합당
정계 은퇴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지역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2 제2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 2구
30,302 (28.8%) 당선 (1위) 초선
1953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0,611 (18.3%) 당선 (3위) 재선
1955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5,904 (26.0%) 당선 (2위) 3선
1958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5,904 (26.0%) 당선 (1위) 4선
1960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1,397 (17.4%) 당선 (3위) 5선
1963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49,877 (13.7%) 당선 (5위) 6선
1967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5,505 (19.1%) 당선 (3위) 7선
1969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5,469 (15.6%) 당선 (2위) 8선
1972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4,394 (14.8%) 당선 (3위) 9선
1976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4,715 (14.5%) 당선 (2위) 10선

5. 가족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베 신조/가족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아베 가족.jpg
19세기 출생 치고는 매우 단촐하게 슬하에 1남 2녀만 있었다. 이는 기시 본인이 3남 7녀 중 차남이어서 자녀를 적게 가진 것도 있다. 슬하에 아들인 기시 노부카즈(1921 ~ 2017)가 있었으나, 소아마비로 인해 결혼했음에도 자식을 낳지 못했다. 결국 외손자 아베 신조의 동생인 기시 노부오를 양자로 삼았다.

6. 여담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파일:아베 신조 투명.svg아베 신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7003A,#D7003A> 생애 및 활동 생애 · 평가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총리 전격 사의 표명) · 사망
가족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 · 종조부 사토 에이사쿠 · 조부 아베 간 · 아버지 아베 신타로 · 아내 아베 아키에 · 형 아베 히로노부 · 남동생 기시 노부오 · 친조카 기시 노부치요
역대 선거 제40회 중의원 · 제41회 중의원 · 제42회 중의원 · 제43회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 제45회 중의원 · 제46회 중의원 · 제47회 중의원 · 제48회 중의원 · 제49회 중의원
역대 내각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내각 () · 제2차 내각 () · 제3차 내각 (1개, 2개, 3개) · 제4차 내각 (1개, 2개))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 · 2019년 벚꽃을 보는 모임 논란 · 아베노마스크
경제 정책 아베노믹스
외교 정책 인도-태평양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한일 무역 분쟁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소속 자유민주당 · 세이와 정책연구회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3CA324> 파일:사토 에이사쿠 투명.png사토 에이사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3CA324,#3CA324>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생애
가족 기시 노부스케 · 조카사위 아베 신타로 ·외종손 아베 히로노부 · 외증손 아베 신조 · 종손 기시 노부오 · 종증손 기시 노부치요
역대 내각 제1차 사토 내각 · 제1차 사토 제1차 개조내각 · 제1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 · 제1차 사토 제3차 개조내각 · 제2차 사토 내각 · 제2차 사토 제1차 개조내각 · 제2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 · 제3차 사토 내각 · 제3차 사토 개조내각
역대 선거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7003A><colcolor=#FFFFFF> 역사 각복전쟁 · 니카이도 옹립구상 · 나카소네 재정 · 가토의 난
총재 선거 1956.04 · 1956.12 · 1957 · 1959 · 1960 · 1962 · 1964.07 · 1964.12 · 1966 · 1968 · 1970 · 1972 · 1974 · 1976 · 1978 · 1980 · 1982 · 1984 · 1987 · 1989.06 · 1989.8 · 1991 · 1993 · 1995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3 · 2006 · 2007 · 2008 · 2009 · 2012 · 2015 · 2018 · 2020 · 2021 · 2024
선거 지지 기반
총리 겸 총재 이시바 시게루
집권내각 이시바 내각
사건사고 및 논란 록히드 사건 · 황민당 사건 · 리크루트 사건 · 사가와 규빈 사건 · 통일교 게이트 · 정치자금 파문
주요 인물 하토야마 이치로 · 요시다 시게루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미야자와 기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아소 다로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오노 반보쿠 · 가와시마 쇼지로 · 고노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미즈타 미키오 · 아베 신타로 · 가네마루 신 · 와타나베 미치오 · 고노 요헤이 · 호소카와 모리히로 · 하타 쓰토무 · 오자와 이치로 · 이시하라 신타로 · 가토 고이치 · 노나카 히로무 · 다니가키 사다카즈
기타 국제민주연합
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55년 체제 · 삼각대복중 · 다케시타파 칠봉행 · 뉴리더 · 3A · 고이시카와
관련 틀 역대 총재 · 역대 부총재 · 역대 간사장 · 역대 정조회장 · 역대 국대위원장 · 역대 선대위원장 · 집행부 · 파벌 분류 · 49대 중의원 의원 · 26대 참의원 의원
}}}}}}}}} ||



[1] 1957년 1월 31일부터 취임일까지는 외무대신으로서 이시바시 단잔 총리의 임시 대리를 했다. 총리의 제반 권한까지 승계하는 권한대행과 달리 임시 대리는 현임 총리가 자리를 지키는 상태에서 현상 유지만 하는 직책이다. 따라서 연혁에도 반영되지 않는다.[2] 혼전성은 기시. 사토 가의 데릴사위였다. 그럼에도 왜 사토가 아닌 기시 노부스케가 되었는지는 밑에 후술한다.[3] 타케코, 코마, 오토요, 치요코, 미사오, 토시코, 야스코.[4] 아베 신조의 어머니.[5] 아베 신조의 아버지.[6] 원래는 아베 신조의 동생이므로 외손자이지만, 자기 장남인 노부카즈의 양자로 입적하며 친손자가 되었다.[7] 그 당시 동양인 신장으로는 상당한 장신이며, 이건 집안 내력인지 동생인 사토 에이사쿠도 키가 172cm로 큰 편이었고, 손자인 기시 노부오(178cm), 외손자인 아베 신조(175cm)의 키도 현재 일본인 평균 신장(172cm)보다 큰 장신이며 증손자 기시 노부치요는 185cm에 달한다.[8] 원래 구제 도쿄대학의 예비문이었으나 제국대학 개편 때 분리되었고, 1949년 신학제 개편 때 신제 도쿄대학에 재통합되었다.[9] 박정희 정부시기 한국 정부로부터 받은 훈장이다.[10]일본 우익들의 평화헌법 개정과 소위 보통국가 구현 등 일관된 흐름의 원조가 기시라고 볼 수 있다.[11] 젊은 시절의 사진을 보면 왜 요괴인지 납득이 간다. 아오오니 닮았다는 평도 있다.[12] 정재계에서는 기시, 사토, 그리고 1960년대에 참의원 의장을 10년 가까이 지내며 참의원 천황이라 불린 시게무네 유조 세 사람을 가리켜 조슈 고산케라고 불렀다.[13] 아버지 기시 히데스케가 데릴사위로 사토 가에 들어감에 따라 '사토 히데스케'가 되었다. 따라서 아들 3형제의 성은 사토가 되어야 하지만, 차남이었던 노부스케는 본 가문을 잇기 위해 다시 기시 성을 이어받았다. 이후에 이런 일이 또 발생하게 되는데, 기시 노부스케의 유일한 아들 기시 노부카즈가 자녀 없이 이혼하면서 또 다시 가문의 대가 끊긴 것이다. 이 때는 기시 노부스케의 장녀 아베 요코의 삼남(이자 차남 아베 신조의 동생)이었던 아베 노부오가 외삼촌인 기시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기시 노부오'가 되면서 가문을 이을 수 있었다.[14] 참고로 노부스케와 에이사쿠에게는 사토 이치로라는 친형도 있었는데, 그는 일본 해군에서 중장까지 오른 군인이었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개전 이전에 건강 문제로 예편하여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15] 일본에서 최초로 제국주의를 주장했던 사토 노부히로(佐藤信)과는 무관하다.[16] 일본의 구제고등학교는 한국의 고등학교 3학년과 대학교 예과에 해당하는 학교였다. 즉, 중등교육기관인 고등학교와 다르다.[17] 고노에 후미마로의 케이스처럼 혁신관료나 혁신주의자들이 과거 마르크스주의와 극단적인 민족주의에 심취한 것은 매우 흔한 케이스였다[18] 이때 이후 만주국 민법전 편찬을 주도한 민법학자 와가쓰마 사카에와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19]히라누마 기이치로가 이끄는 국수주의 우익 단체인 국본사에도 속해 있었다.[20] 기시의 농상무성시절부터의 측근이었던 시이나 에쓰사부로(椎名悦三郎) 또한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졸업후 농상무성에 들어가자 내무대신, 외무대신, 체신대신 등을 역임한 삼촌 고토 신페이 백작으로부터 "너 형편없는 데 들어갔구나"란 소릴 들었다고 한다.[21] 2019년 3월 9일 방송[22] 쇼와(昭和) 격동의 시대, 목숨을 걸고 일본의 방향타를 잡은 총리들의 고난과 갈등의 이야기를 영상 매체 발명 후 기록된 영상들을 수집하여 대표적인 4명의 총리를 통해서 바라본 다큐멘터리[23] 말이 합리화 효율화지 사실상 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을 국가에서 통제하겠다는 것이다.[24] 알다시피 이후 5개년 계획 이런건 한국에서도 장면이나 박정희가 잘 써먹는다.[25] 도조의 육군대신 겸임을 철회하고, 중신 원로들을 입각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26] 우익이자 전범 용의자인 기시가 사회주의 정당인 사회당에 입당하려 했던게 이상하게 보일 수 있는데, 이를 이해하려면 전쟁 이전 사회당의 전신인 사회대중당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당시 전쟁 이전 사회대중당은 크게 세개로 나뉘었는데, 그 중 당내 좌파는 일본제국 체제 붕괴와 인민전선 결성을 통한 사회주의적 개조(다만 반공주의로써 공산주의엔 반대함)를 목표로 투쟁하다가 당국의 탄압을 이기지 못하고 관짝에 못이 박히고 말았다. 남은 두 파벌인 중간파와 우파는 일본제국 채제 유지와 체제 유지 내에서의 개혁이라는 큰 틀에는 동의했으나 우파가 의회민주주의 수호를 외친반면 중간파는 일본의 의회주의에는 미래가 없다면서 당시 새롭게 떠오르던 통제파혁신관료 세력에 집중해 이들을 끌어들이고자 했다. 중간파와 우파의 투쟁 결과 중간파가 승리해 헤게모니를 잡았고, 1940년을 기해 고노에 후미마로의 총리 복귀가 가시화되고 일국일당원칙을 내세우며 신체제운동을 발족하자 이에 열렬히 찬성하며 고노에가 만든 대정익찬회에 가입, 간부의 한 축을 맡아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의 일본의 전쟁수행 및 확장행보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 전후 중간파는 전범으로 관짝에 못이 박혀 우파와 좌파가 부활한 사회당을 주도했으나 이후 정계 복귀 이후에 좌파와 갈등을 빛고 우파와 동맹을 맺어 좌파로부터 다시 주도권을 가져왔던 상황이었다. 기시가 사회당에 입당하려 했던 건 이런 이유에서였다.[27] 矢次一夫. 1899.7.5 - 1983.3.22 국책연구회의 설립자로 코다마 요시오 등과 더불어 전후의 손꼽히는 해결사[28] 당시 기시의 집에 머물고 있던 5살짜리 외손자 아베 신조도 이땐 시위대들의 목소리를 따라 뭣도 모르고 "안보 반대"를 외쳤다고 한다. 다만 외할아버지에게 정치에 대해 배우게 된 학창시절부터는 안보조약을 적극 찬성하는 입장을 취하며, 친구들 사이에서 안보조약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열변을 토했다고 한다. 그래서 학창시절 별명이 안보 아베였다고 한다.[29] 이게 무슨 소리냐면, 기시는 총리 취임 이후 '자신은 소리 없는 민중의 소리'를 듣겠다고 강조해 왔다. 근데 이번 시위에서 나타나는 소리는 소리 없는 소리가 아니라 소리가 있는 소리일 뿐이라는 것이다.[30] 전쟁 전부터 기시의 부하였던 사람이었다. 이런 사람조차 기시의 지시를 거부하는 것에 직면하게 된 기시는 이때부터 정권포기를 진지하게 생각했다고 한다.[31] 원래 계획은 10년간 추진이었으나 정치적 문제로 인해 실제로는 5년 정도만 추진되였다[32] 케인스주의 정책을 통해 적극적으로 정부가 재정을 지출해 경제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케다와는 반대로 균형재정을 유지하면서 생산력 중심의 안정적인 성장을 중시했다[33] 아베 신조의 아버지.[34] 한일기본조약에 일본 외무성측 특사였던 시이나 에츠사부로 역시 기시가 만주국 관료로 일했을때 부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35] 미국은 무조건 1965년 이내에 끝내라는 시한까지 정해두고 한일 양국을 압박했다.[36] 다만 중앙청 앞뜰에서 열린 국장 영결식에는 못 오고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에서 열린 안장식에만 참석했는데 영결식 당일 아침 도쿄에 낀 짙은 안개 때문에 비행기가 제 시간에 못 떠서 늦었다고 한다.[37] 당시 통일교 본부가 입주했던 저택의 원래 소유주가 기시였다.[38] 기시 노부스케는 통일교의 활동을 묵인하는 대신 통일교는 기시 노부스케를 포함한 자민당에 표와 선거자금을 지원해줬다.[39] 다만 정확히 말하면 전범 '용의자'였던 것이지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불기소였으므로 A급도 B급도 C급도 아니며, A급이 B급, C급보다 더 악질일 것이라는 오해에서 비롯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극동국제군사재판 참조.[40] 파일:20-18.jpg[41] 묘사를 보면 아에 시내에 포격을 퍼붓는다![42] 고다마 요시오, 다나카 세이겐 등 막후실력자들을 섞어서 만든 인물이다.[43] 이후락은 주일대사를 지낸적 있다.[44] 일본명 시게미츠 타케오.[45] 일본명 시게미츠 아키오.[46] 아베 신조 전 총리가 1954년생, 신동빈 회장이 1955년생이다.[47] 차남인 사토 신지는 2016년 84세에 사망했다.[48] 장인 기시 노부스케가 사망한 지, 4년 뒤에 사망했다.[49] 아베 신조의 어머니인 아베 요코는 아들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에 참척의 고통으로 결국 정신착란 증세까지 보이며 불운한 말년을 보내게 되었고 끝내 2024년 2월 4일에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