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23:14:34

미나미 지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cd7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초대 제2대 제3대 대행 제4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하세가와 요시미치 사이토 마코토 우가키 가즈시게 야마나시 한조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사이토 마코토 우가키 가즈시게 미나미 지로 고이소 구니아키 아베 노부유키
한국통감 · 군정사령관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육군경 (1873년~1885년)
1·2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3대
사이고 주도
4대
오야마 이와오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rowcolor=#fff> 육군대신 (1885년~1945년)
1-4·6-7대
오야마 이와오
5·8대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1-4·6-7대
오야마 이와오
5·8대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9-12대
가쓰라 다로
9-12대
가쓰라 다로
13-14대
고다마 겐타로
15-17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15-17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18대
이시모토 신로쿠
19대
우에하라 유사쿠
20-21대
기고시 야스쓰나
22대
구스노세 유키히코
23대
오카 이치노스케
24-25대
오시마 겐이치
26·30대
다나카 기이치
27-29대
야마나시 한조
27-29대
야마나시 한조
26·30대
다나카 기이치
31-33·35대
우가키 가즈시게
34대
시라카와 요시노리
31-33·35대
우가키 가즈시게
36대
미나미 지로
37-38대
아라키 사다오
39-40대
하야시 센주로
41대
가와시마 요시유키
42대
데라우치 히사이치
43대
나카무라 고타로
44-45·53대
스기야마 하지메
46-47대
이타가키 세이시로
48-49대
하타 슌로쿠
50-52대
도조 히데키
폐지
44-45·53대
스기야마 하지메
54대
아나미 고레치카
56-57대
시모무라 사다무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ff00; border-right: 10px solid #00ff0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colcolor=#fff> 외무대신 <colbgcolor=#ffffff,#1f2024> 시데하라 기주로
내무대신 아다치 겐조
대장대신 이노우에 준노스케
육군대신 미나미 지로
해군대신 아보 기요카즈
사법대신 와타나베 치후유
문부대신 다나카 류조
농림대신 마치다 추지
상공대신 사쿠라우치 유키오
체신대신 고이즈미 마타지로
철도대신 에기 다스쿠하라 슈지로
척무대신 하라 슈지로와카쓰키 레이지로 }}}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0313f> 대장
大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우가키 가즈시게 | 미나미 지로 | 아베 노부유키 | 야마나시 한조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도이하라 겐지 | 마쓰이 이와네 | 야마시타 도모유키 | 이타가키 세이시로 | 이마무라 히토시 | 기무라 헤이타로 |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 오카무라 야스지 | 쿠리바야시 타다미치 | 다치바나 요시오 | 아나미 고레치카 | 가와베 마사카즈 |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야마모토 곤노효에 | 스즈키 간타로 | 사이토 마코토 | 나구모 주이치 | 요나이 미쓰마사 | 이노우에 시게요시 | 오카다 게이스케 | 시마다 시게타로
중장
中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창덕궁 이왕 은 | 홍사익 | 무토 아키라 | 이시이 시로 | 스즈키 데이이치 | 도미나가 교지 | 무타구치 렌야 | 이시와라 간지 | 사토 겐료 | 사토 고토쿠 | 미야자키 시게사부로 | 히구치 기이치로 | 이병무 | 조동윤 | 혼마 마사하루 | 오시마 히로시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야마구치 다몬 | 오자와 지사부로 | 우가키 마토메 | 모리 쿠니조 | 기무라 마사토미
소장
少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 이희두 | 조성근 | 왕유식 | 김응선 | 어담 | 이치키 기요나오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사후 추서
※ 둘러보기 |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군 원수
}}}}}}}}}


제7대 조선총독
미나미 지로
파일:미나미지로.jpg
<colbgcolor=#062861><colcolor=#eccd7a> 출생 1874년 8월 11일
오이타현 분고타카다시
사망 1955년 12월 5일 (향년 81세)
도쿄도
재임기간 제7대 조선총독
1936년 8월 5일 ~ 1942년 5월 29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62861><colcolor=#eccd7a> 학력 육군대학교 (17기)
직업 군인, 정치가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군사 경력
임관 일본육군사관학교 (6기)
복무 일본제국 육군
1895년 ~ 1936년
최종 계급 대장
참전 러일전쟁
}}}}}}}}} ||

1. 개요2. 생애3. 전범 재판 및 최후4. 기타5. 대중매체에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군인 장성이자 제7대 조선총독. 일본 오이타현 출신으로 후임인 제8대 조선총독 고이소 구니아키와 같이 역대 조선총독들 가운데서도 가장 악랄했던 데라우치 마사타케 다음으로 포악한 자로 평가된다. 조선인들에게 내선일체를 강조하고 황국신민서사를 제창하게 했으며 지원병 제도로 무고한 조선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기도 했고 창씨개명한국어 사용 금지 등의 조선 민족말살정책을 폈다.

2. 생애

일본 오이타 현 다카다 시에서 태어난 미나미 지로는 1884년 7월에 숙부였던 미야자키 요이치를 따라 상경하여 도쿄에서 소학교에 들어갔는데 학업 성적이 우수했기에 바로 고등과로 올라갔다. 1889년에 중학 재학시 품행 불량을 이유로 교장에게 1개월 정학을 받자 여기에 반발하여 학교를 그만 둔 후 육군유년학교에 들어갔다가 1892년에 일본육군사관학교 6기로 입학했다. 1903년 일본육군대학 17기로 졸업했고 1904년 러일전쟁에 참전했으며 러일전쟁 후 소좌로 승진해 제13사단 참모로 일한 미나미 지로는 기병 13연대장을 거쳐 대좌로 승진 후 유럽 순방을 마치고 1919년에 소장이 되어 지나주둔군 사령관이 되었다. 1930년 육군대장이 되었고 제2차 와카쓰키 내각에서 육군대신으로 발탁되었을 때 만주사변이 일어났지만 그는 관동군의 행동을 사실상 묵인했으며 육군상으로 재임 중일 때 부하였던 군사과장인 나가다 테츠잔(永田鐵山)이 국가 총동원령을 제안하기도 했다. 1934년에는 관동군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Minami_Jiro.jpg

미나미 지로는 1936년에 제6대 조선총독인 우가키 가즈시게의 후임으로 제7대 조선총독에 취임했는데 이후 역대 조선총독 가운데 가장 강경하고 무시무시한 통치를 일삼았으며 조선에 황국 신민화 정책을 실시하고 지원병 제도를 제창하여 무고한 조선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았다.[1] 이것도 모자라 조선어 사용과 조선사 교육을 금지하며 일본어 사용을 의무화시켰고 1936년 일장기 말소사건을 구실삼아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를 정간시키기도 했다. 1940년에는 모든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창씨개명을 시행하여 이를 거부하는 조선인에게는 온갖 제재를 내리는 방침도 세웠다. 그렇게 미나미 지로가 조선총독으로 재직한 약 6년간 내선일체를 강조하면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시키려는 민족말살정책을 시행했다.

파일:미나미 지로.jpg

1942년 조선총독에서 물러난 뒤에는 본국인 일본으로 건너가 추밀원 고문이 되었고 귀족원 의원, 대일본정치회 총재를 역임했다.

3. 전범 재판 및 최후

미나미 지로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하자 1945년 종전 후 연합군에 의해서 A급 전범으로 연합군에 의해 체포되었고 만주사변의 책임자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1946년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 때 미나미 지로는 나이가 고령이였기 때문에 건강이 매우 좋지 않았고 결국 건강 악화로 1954년에 가석방되었으며 가출소한 뒤 1년이 지난 1955년에 향년 81세의 나이로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4. 기타

미나미 총독 시기에 창씨개명을 강요당한 한국인 가운데 미나미 지로를 조롱하기 위해 "내가 총독양반보다 형님이다"라는 의미로 미나미 타로나 미나미 이치로[2]라고 이름을 바꾸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실제로 이 시기 창씨개명을 강요당한 한국인들 중에 일본어 등의 학문을 배운 사람들 또는 지식인들 가운데는 총독이나 일본을 조롱하는 이름 또는 세태를 풍자하는 이름으로 바꿔 소극적으로 항일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3] 한편 종씨께서 보위에 오르셨다며 그에게 인사를 드리겠다며 남원에서 상경한 한 남(南)씨도 있었다 한다.

친일파로 변절한 김활란이 미나미 지로를 접견하고는 남차랑(미나미 지로)총독 각하는 솔직하고 검소한 인품으로 집안의 아저씨같다고 평했다. 김활란은 미나미 지로를 겉모습으로만 봐서 평가했지 속으로 보면 미나미 지로는 데라우치 못지않게 냉혹하고 포악한 자였다. 오히려 그전 총독인 우가키 가즈시게사이토 마코토가 그나마 더 양반이었다. 평가할 정도로 조선에서의 통치가 최악이었단 말이다.[4]

부산동부경찰서 입구에 이 사람의 휘호를 새긴 부산진매축기념비가 남아있다.[5]

5. 대중매체에서

6. 둘러보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전쟁범죄와 그로 인한 피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급 전범
평화에 대한 죄
사형수
기무라 헤이타로 도이하라 겐지 도조 히데키 마쓰이 이와네 무토 아키라
이타가키 세이시로 히로타 고키
복역수
가야 오키노리 고이소 구니아키 기도 고이치 도고 시게노리 미나미 지로
사토 겐료 스즈키 데이이치 시라토리 도시오 시마다 시게타로 시게미쓰 마모루
아라키 사다오 오시마 히로시 오카 다카즈미 우메즈 요시지로 하시모토 긴고로
하타 슌로쿠 호시노 나오키 히라누마 기이치로
피의자[1]
쇼와 덴노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고노에 후미마로 코다마 요시오 고이즈미 지카히코
구즈 요시히사 기시 노부스케 나가노 오사미 니시오 도시조 다니 마사유키
다다 하야오 다카하시 산키치 데라시마 겐 도쿠토미 소호 마사키 진자부로
마츠오카 요스케 사사카와 료이치 사토미 하지메 쇼리키 마츠타로 스마 야키치로
아모 에이지 아베 겐키 아베 노부유키 아오키 가즈오 아카기 고헤이
안도 기사부로 오카와 슈메이 오타니 게이지로 이사하라 히로이치로 이와무라 미치요
하시다 구니히코 혼다 구마타로 혼조 시게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B · C급 전범
일반 전쟁범죄, 인도에 반한 죄
피의자 약 5,700여 명[2]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범죄 사건
학살 사건 난징 대학살(100인 참수 경쟁) | 마닐라 대학살 | 밀리환초 학살 | 바탄 학살 | 보르네오 학살 | 중국 북부 학살 | 치치지마 식인 사건 | 파푸아뉴기니 학살 | 팔라완 학살 | 베허호 사건 | 아라시함 포로 학살
생체 실험 731 부대 | 규슈대학 생체해부
전시 강간 일본군 위안부
강제 노역 정신대 | 죽음의 철도 | 하시마
정치적 추종 세력 및 사상
순국7사묘 · 신사본청 · 야스쿠니 신사 · 팔굉일우 · 일본의 우경화(넷 우익) · 일본의 역사왜곡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일본회의 · 국가신토 ·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애국 비즈니스
가나다 순 배열
[1] 불기소 피의자, 재판 전 사망자 포함.
[2] 개별 사건의 중복 피고인까지 합계되었으며, 이 밖에 추축국 피점령지 내 부역자, 기소유예자가 포함된 수치이다.
}}}
}}}}}}


[1] 미나미 지로가 제창했던 지원병 제도는 제8대 조선총독인 고이소 구니아키를 거쳐 학병 제도로 강화되었다.[2] 타로, 이치로는 장남에게, 지로는 차남에게 주로 붙이는 이름이다.[3] 일례로 신불출의 경우도 창씨개명을 강요당했을 때 구로다 규이치(玄田牛一)라 이름을 지었는데 이는 그냥 보면 평범한 일본 이름 같지만, 사실은 ‘개자식’, ‘씨발’ 등을 뜻하는 칙쇼(畜生)를 파자한 것이다. 당연히 퇴짜맞자 에하라 노하라(江原野原) 라고 이름을 다시 지었는데 이 역시 "에헤라 놓아라" 를 살짝 바꾼 언어유희이다. 또한 전병하라는 농부도 자신의 이름에 농사 농을 붙여서 전농병하(田農炳夏)로 신고하였다. 이걸 일본어로 읽으면 덴노헤이카('천황 폐하'와 같은 발음)가 된다. (정확히 말하면 천황의 덴노는 '텐'이라 표기하고 전농의 덴노는 '덴'이라 표기하는 차이점이 있긴 하다.)[4] 옛날 역사책에서 보면 김활란이 총독부의 압력과 강요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친일을 했다고 변명하지만 실제로 보면 김활란은 자발적인 친일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압적으로 원하지 않는 친일을 하였다면 소극적으로 해야하거나 아니면 변명거리를 내세워 반민족행위를 하지 말았어야 했다. 저런 말을 할 정도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친일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활란은 김구가 해방 직후 작성 지시한 친일파 살생부에 들어가는 전설적인 친일파다. 이런 자잘한 찬양은 부수적인 것이었고 진짜 무서운 짓은 평범한 조선인들에게 태평양 전쟁에 자원해서 나가라고 선동을 해 온 것이다.[5] 좀 더 정확하게는 앞면의 '釜山鎭埋築記念碑'만 그의 글씨이다.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