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4:22:50

자유민주당(일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2d3865><tablebgcolor=#2d3865> 파일:일본 국회의사당 흰색 아이콘.svg일본 국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2차 이시바 내각
(2024 ~ 현재)
연립여당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자유민주당

115석파일:1px 투명.svg191석
파일:공명당 로고 (white).svg
공명당

27석파일:1px 투명.svg24석
야당
파일:logo_w.svg
입헌민주당

39석파일:1px 투명.svg148석
파일:일본유신회(2016년) 로고.svg
일본유신회

21석파일:1px 투명.svg38석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
국민민주당

9석파일:1px 투명.svg28석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
일본공산당

11석파일:1px 투명.svg8석
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
레이와 신센구미

5석파일:1px 투명.svg9석
파일:참정당 흰색 로고.png
참정당

1석파일:1px 투명.svg3석
파일:社民党ロゴwhite.svg
사회민주당

2석파일:1px 투명.svg1석
파일:일본보수당 로고.png
일본보수당

0석파일:1px 투명.svg3석
}}}
무소속
14석파일:1px 투명.svg12석
재적
245석 • 465석
공석
3석 • 0석
※ 정당조성법상 정당 요건을 충족 못하는 정치단체는 무소속으로 분류
정당 구분 (원내 · 원외)
좌측은 참의원(상원) 의석 수, 우측은 중의원(하원) 의석 수 }}}}}}}}}
일본의 보수정당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자유당 자유민주당 자유민주당
일본신당
(호소카와계)
신생당
(개혁포럼21)
일본민주당 신당 사키가케
(일부 계파)
국민신당
(일부 계파)
모두의 당
(일부 계파)
오사카유신회
(오사카계)
자유민주당 자유민주당 현재
민주당
(개별 합류)
보수신당
민진당
(개별 합류)
구 희망의 당
(개별 합류)
일본의 마음
구 국민민주당
(개별 합류)
}}}}}} ||
파일:자유민주당(일본) 로고.svg
자유민주당
自由民主党 | Liberal Democratic Party
<colcolor=#D7003A><colbgcolor=#f5f5f5,#2d2f34> 슬로건 <colbgcolor=#fff,#1f2023>政治は国民のもの。
정치는 국민의 것.
법인번호 4010005002276[1]
창당일 1955년 11월 15일
통합한 정당 자유당, 일본민주당
(1955년 11월 15일 신설합당)
주소
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1초메 11-23
이념 보수주의 (일본)
일본 내셔널리즘[2][3]
내부 계파:
경제적 자유주의[4]
신보수주의[5]
국수주의[6]
우익대중주의[7][8]
사회보수주의[9]
온건 보수주의[10]
초보수주의[11]
가부장적 보수주의[12]
역사적 계파:
자유보수주의[A]
보수자유주의[A]
사회자유주의[15]
협동조합주의[16]
스펙트럼 우익 빅 텐트[17] (중도 ~ 중도우파)[18][19][20]
총재 이시바 시게루 / 13선 (, 38~50대)
부총재 스가 요시히데 / 10선 (, 41~50대)
간사장 모리야마 히로시 / 8선 (, 43~50대)
참의원 의원회장 다케미 게이조 / 5선 (, 17~25대)
참의원
115석[21] / 248석 (46.4%)
중의원
191석[22] / 465석 (41.1%)
도도부현의회
1,301석[23] / 2,644석 (49.2%)
시구정촌의회
2,179석[24] / 29,608석 (7.3%)[25]
당 색
빨간색 (#D7003A)
[26]
초록색 (#3CA324)
[27]
당원 수 1,124,763명 (2022년 12월 31일 기준)
당가 우리들 (듣기)
공식 사이트 파일:자유민주당(일본) 로고.svg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라인 아이콘.svg
당기 파일:자유민주당 당기.svg
심볼로고 파일:자유민주당 심볼.sv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24년 10월).jpg
2024년 10월 포스터 - 일본을 지킨다. 성장을 힘으로.[28]
파일:2024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포스터.jpg
2024년 총재 선거에서 공개된 역대 총재들의 모습[설명]후쿠다 다케오, 가이후 도시키, 미야자와 기이치, 아베 신조, 오히라 마사요시, 미키 다케오, 아소 다로, 기시 노부스케, 스즈키 젠코, 고노 요헤이, 오부치 게이조, 하시모토 류타로, 다케시타 노보루, 고이즈미 준이치로, 나카소네 야스히로, 하토야마 이치로, 사토 에이사쿠, 모리 요시로, 다니가키 사다카즈, 이케다 하야토, 후쿠다 야스오, 기시다 후미오, 스가 요시히데, 우노 소스케, 이시바시 단잔, 다나카 가쿠에이. 볼드체 표시된 인물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인물이다.]

1. 개요2. 성립3. 장기집권4. 극우 정당이라는 오해5. 자민당 강세의 이유6. 파벌7. 지지 기반
7.1. 청장년7.2. 노년층7.3. 공명당의 지원7.4. 구조적인 우위7.5. 지방7.6. 농민
8. 조직9. 강령10. 당가11. 소속 의원12. 역대 집행부 임원 목록
12.1. 역대 총재12.2. 역대 부총재
13. 집행부 임원 목록14. 역대 포스터15. 역대 선거 결과
15.1. 중의원 선거15.2. 참의원 선거
16. 여담17. 출처18. 관련 문서1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일본자유민주당창당대회.jpg
1955년 자유민주당 창당대회
日本を守る。 成長を力に。
일본을 지킨다. 성장을 힘으로.
자유민주당(일본어: [ruby(自由民主党, ruby=じゆうみんしゅとう)])은 일본집권 여당이자 우파 빅 텐트 성향의 정당이다. 파트너인 공명당과 함께 연립 내각을 이루고 있다.

약칭은 자민당[30](自民党, じみんとう), 영어 약자는 LDP(Liberal Democratic Party), Lib Dems.이다. 1955년 창당되었으며 창당한 이래로 대부분 기간 동안 일본의 집권 정당으로 역할했다. 현 당수(총재)는 이시바 시게루이다.

오랜 기간 집권한 정당이다 보니 현대 일본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31], 따라서 자유민주당을 알면 일본 정치를 다는 아니지만 큰 틀에 대해 제법 파악할 수 있다.

대한민국국민의힘, 미국공화당, 대만중국국민당과는 달리 국제민주연합 소속이 아니다. 원래 국제민주연합의 창립 멤버였으나, 냉전이 종결되자 90년대 말에 탈퇴하였다.

2. 성립

일본의 보수정당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 현재
(2012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노다 내각 이전
공명당 자유민주당 국민신당 일본유신회
결속당 일본을 건강하게 하는 모임
해산 차세대당 유신당
자유민주당 일본의 마음 유신당 오사카 유신회
민진당 일본유신회
공명당 자유민주당 희망의 당 민진당
자유민주당 희망의 당 국민당 해산
해산 국민민주당
으로 합류
교육무상화를 실현하는 모임
국민민주당 일본유신회
자유주의 정당
}}}}}}}}}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의 보수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원내정당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자유민주당
파일:일본유신회(2016년) 로고.svg
일본유신회
파일:공명당 로고 (white).svg
공명당
115석파일:1px 투명.svg191석
21석파일:1px 투명.svg38석
27석파일:1px 투명.svg24석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
국민민주당
파일:참정당 로고.svg
참정당
파일:일본보수당 로고.png
일본보수당
9석파일:1px 투명.svg28석
1석파일:1px 투명.svg3석
0석파일:1px 투명.svg3석
원외정당
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
행복실현당
파일:일본 제일당 로고.png
일본제일당
파일:일본 국민당 로고.png
일본국민당
다른 정당 (혁신 · 자유 · 보수 · 단일쟁점) }}}괄호 안에서 왼쪽은 일본 참의원, 오른쪽은 일본 중의원 의석 수.}}}}}}
파일:자유민주당(일본) 로고.svg
적색 로고: 2017년 48회 중의원 총선기간 이후로 선거 페이지와 대외 공보물 등에서 쓰이고 있다.
파일:external/www.jimin.jp/logo.gif 파일:자유민주당 로고.png
녹색 로고: 2017년 이전에 주로 쓰이던 로고. 현재도 가끔은 쓰이고 있다.

1955년 일본 자유당일본민주당의 합당으로 이루어졌다. 이른바 55년 체제의 시작.[32]

배경을 보자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패전하고 대정익찬회가 몰락한 이후, 일본 정치계는 크게 일본자유당, 일본민주당, 일본사회당으로 나누어졌다. 일본자유당은 패전 이전 하토야마 이치로가 이끌던 입헌정우회 정통파와 입헌민정당 재야파 위주로 창당되었고, 일본민주당은 마치다 추지 총재가 이끌던 입헌민정당 합당파와 입헌정우회 통일파, 혁신파 일부[33]를 중심으로 창당되었다. 두 보수 정당 모두 일본 제국 시절 정치적 유산을 가지고 있고 초기에는 강력한 반군국주의를 주장하다 서서히 재무장 지지 방향으로 노선이 바뀌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일본사회당은 사회대중당 시절부터 사회민주주의 계열 사대당 우파와 제3의 위치 사대당 중도파, 마르크스주의 계열 사대당 좌파가 총망라한 정당이었다.

그중 자유당은 온건 보수 성향으로 여겨지고 일본민주당은 보수 우익으로 여겨지나 전쟁 책임에 있어서는 일본민주당이 더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아시다 히토시 총리가 몰락한 후 두 당은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였으나 하토야마 이치로를 비롯한 개진당, 자유당의 비 요시다 시게루 계열을 중심으로 다시 일본민주당을 창당되었다. 이 신 일본민주당은 기시 노부스케를 포함한 전범 세력을 포함하고 있었고 공공연히 재무장을 주장하였다. 오늘날 보수방류의 기원을 일본민주당으로 민주자유당에서 이름을 바꾼 신 자유당을 보수본류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이때 일본은 전형적인 다당제의 모습을 보여서 사회당과 일본민주당이 연합하거나 반대로 일본민주당 일부 계파와 자유당계가 연합해서 자유당(창당 당시에는 민주자유당)을 결성하기도 했고, 또 일부 계파가 다시 일본민주당으로 떨어져나가는 등 이합집산의 연속이었다. 전술했듯 1940년대 말 자유당과 일본민주당이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이 창당하였으나 오래가지 않아 하토야마 이치로가 정계에 복귀하면서 재분당되었고, 1954년에 하토야마 이치로가 총리가 되었고 1955년 총선에서 민주당이 승리를 거두기는 했지만 과반수를 확보한 건 아니었다.

그런데 총선 이후 로 나눠던 일본사회당이 통합하여 세력에 있어서 민주당에 맞먹는 거대 정당이 되자,[34] 내심 일본사회당이 자유당과 연합할까 불안했던[35] 일본민주당은 1955년 총선을 기점으로 원내 3당으로 전락한 자유당과 그 동안의 라이벌 관계를 청산하고 전격적으로 합당을 결의하게 되는데, 이렇게 탄생한 정당이 바로 자유민주당이다.

그리고 1956년 치러진 참의원 선거에서 의외로 자민당은 61석밖에 확보하지 못하는 부진을 기록한 반면[36] 일본사회당은 49석을 확보하며 약진하지만, 이후 더 반등하지 못하고 일본사회당의 지지율은 점차 침체된다. 그리고 1958년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은 287석, 일본사회당은 166석을 얻게 되지만[37] 이후 일본사회당이 당내 노선 투쟁으로 일부 계파가 민사당으로 빠져나가며 격차가 벌어지고, 더욱이 1960년대 말 일본공산당공명당이 약진하여 일본사회당 지지층이 나눠지는 바람에 자민당은 사실상 일본 정계의 핵심으로 부상한다.

3. 장기집권

파일:Jimin_Honbu.jpg
자유민주당 중앙당사[38]

1993년 8월~1996년 1월(2년 5개월), 2009년 9월~2012년 12월(3년 3개월)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줄곧 집권 여당으로 군림하고 있는 일본 최강의 정당. 캐나다 자유당,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인민행동당, 제도혁명당에 버금가는 장기 집권 정당이기도 하다. 실제 자유민주당이 만들어진 55년부터 일본 중의원 선거는 2009년 선거를 제외하면 원내 제1당 자리는 항상 자민당이 차지했고[39] 의석수 비율도 앞의 2009년을 제외하면 40%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다.[40] 그 탓에 자민당 총재 선거는 거의 일본 총리를 가리는 자리나 다름이 없었다.[41] 자민 막부라는 우스갯소리가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이렇게 자민당이 너무 오랜 세월을 집권해왔기 때문에 일본의 정치는 정당 정치가 아니라 자민당 내의 파벌 정치나 다름없으며, 이는 일본이 형식적 민주주의에 비해 실질적 민주주의는 허약하다는 비판을 받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일본은 자민당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가 너무 오랫동안 공고히 유지되어 다른 당이 정권을 잡기도 어렵고, 겨우 정권을 잡아도 지지 기반이 약해 조그마한 실수 하나에도 내각이 금방 무너지는 경우가 많다. 자민당 외 정당들은 집권 경험이 거의 없거나 전무하기 때문에 실제로 정권을 잡았을 때 경험 부족으로 굉장히 미숙한 모습을 보이게 된다.[42] 그래도 자민당이 전체 의석의 2/3 이상은 차지하지 못해서 헌법 9조 등의 수정은 불가능했고, 21세기 들어 세가 크게 위축되었지만 자민당 내에서도 호헌파가 상당수 있다.

자민당의 장기 집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55년 체제는, 정확히는 1.5정당(또는 1 1/2 정당) 체제를 의미했다. 무슨 말이냐면 제1야당으로서 자민당의 2/3 의석 확보를 저지하는 일본사회당(좌파)이 부분적인 양당제를 유지시켜 주었기 때문. 애초에 55년 체제란 표현 자체가 정확하게는 이합집산을 거듭하던 일본 정치판이 1955년 이후 자민당과 사회당의 양당 체제로 통합된 것을 이르는 말이었다. 하지만 1996년 이후 사회당은 자민당과의 연정 과정에서 동의한 소선거구제 하에서 대거 의석을 잃게 되고, 이후 사회민주당 등으로 분당되면서 주요 지지 세력인 노동조합 등이 구 민주당으로 대거 이탈, 군소정당이 되고 만다.

자민당 상당수 의원은 일본 제국 시절 상류층으로부터 내려오는 인물이 많아[43] 보수적 성격이 강하며, 이것이 21세기에도 일부 자민당 의원들의 제국주의에 대한 향수와 각종 논란이 끊이지 않는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의원 세습 문제로 가면 더 심각해진다. 고정 지지층이던 농민들이 일본 국민들의 식생활 변화 등으로 벼농사를 짓기 어려워 도시로 떠나자, 당 입장에선 고정 표밭을 잃을까봐 이촌향도 현상을 막기 위해 방파제나 둑, 도로 공사 등 대규모 토목 공사를 벌여 농촌 주민들을 지키고자 했다. 거기에 도시 사람들의 표를 얻고자 온갖 복지 혜택을 늘려 국가 부채를 쌓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그나마 정규군을 신설하자는 강경 우파 성향은 1960~70년대 안보투쟁 이후 기시 노부스케가 정계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많이 잠잠해졌으나[44][45] 2000년대 모리 요시로 집권 이후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소 다로, 기시 노부스케의 외손자 아베 신조 등이 꾸준히 집권하며 다시 심화되고 있다. 그나마 최근 2021년 자민당 온건 계파에 속하는 기시다 후미오가 총재에 당선되면서 오랜만에 온건파 총리가 나왔으나 기시다도 아베와 어느정도 사이가 깊었던 사람인지라 큰 변화를 보일 것 같지 않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다만 자위대의 적기지 공격 능력 보유를 추진하는 등 군비 증강에는 적극적이지만 헌법 개정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면서 극우층하고는 어느정도 거리를 두고 있다.

4. 극우 정당이라는 오해

한국에선 과거사 문제로 극우 혐한 정당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46], 국제적으로는 평범한 보수 빅 텐트 정당으로 인식된다. 일단 자유민주당의 공식적인 당 강령에는 극우적인 성향의 내용이 들어있지 않다. 또한, 당의 수뇌부가 완전히 극우화된 것도 아니고, 극우파가 당의 주류인 것도 아니다. 그렇기에 자민당이 세계평화를 기치로 내건 공명당하고도 연정 구성이 가능한 것이었다. 실제로 고노 담화를 발표한 고노 요헤이 전 의원과 김대중 오부치 선언으로 잘 알려진 오부치 게이조 전 총리도 자민당 소속 정치인이다. 사실 애초에 한국에서 일본 극우의 대명사인 아베부터가 국제적인 기준에서 극우인지 불분명하다.

물론 극우 성향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자민당의 수뇌부 전체가 극우는 아니라도 극우 인사들이 포진해 있는 것은 맞다. 또한 당의 인적 구성에서도 극우파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자민당은 중도우파부터 극우까지 우파 전반을 포함하는 우파 빅 텐트 정당이며, 자민당 내 온건파의 경우 오히려 중도좌파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제법 찾아볼 수 있다.[47]

특히 21세기 들어 온건파 성향의 인물들이 많이 빠져나가거나 비주류로 밀려나면서 한국에서의 인식이 더 나빠진 감이 있는데, 이는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위시한 일부 강경 우파 정치인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민당 내 파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된 파벌 항목 참조.

그러나 무조건 보수적인 것도 아닌 것이 일본 강경 우익의 중심이었던 아베 신조도 당원들의 계속되는 요구에 따라 보수적인 정책을 일부 버렸다. 아베의 후임자인 기시다 후미오도 아베가 밀고 나가던 강압적인 태도[48]를 버리며 주변 국가들과 평화적인 분위기를 만들었다.

사실 한국에서 극우라 욕먹는 자민당 정치인들도, 정확히는 외교/안보/과거사 등과 관련해서만 우익적이고 나머지 분야에서는 일본 정치 특유의 물에 물탄듯, 술에 술탄듯 애매모호한 입장인 경우가 많다. 조화를 중시하고 남들보다 튀는 것을 꺼리는 일본 문화 특성상 국내 문제에 강고하고 독선적인 면모를 보이는 것은 정말 웬만한 중량급 정치인이더라도 꺼리는 편이고, 그나마 국내가 아닌 국외 문제에서 인상을 남기려는 것. 때문에 자민당의 극우적인 면모는 일본 국내나 서구권에 비해 한국, 중국 등지에서 상대적으로 부각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한국에선 극우 정치인의 대명사로 인식되는 아베 신조도 전세계적으로는 그냥 평범한 우익 정치인으로 인식된다.

오히려 외교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중도적인 면모도 강하다. 자민당은 포퓰리즘에서 흔히 보이는 소수자/약자에 대한 혐오를 거의 이용하지 않으며, 경제적으로나 정책적으로나 사회 조화를 고려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온건파 본류출신 총리는 민주당 출신 총리들 못지않게 외교, 역사관적으로 혁신적인 총리들도 여럿 있었고 방류출신이라 하더라도 국내 경제 문제에 한정해서 경제정책으로 고용률과 외국인 취업률 또한 대폭 상승시킨 총리들도 있었다. 보수우익적인 사고관은 기본적으로 깔고가고 반한 반중감정을 일으키긴 하지만 국내 정서를 고려해 때로는 진보적인 정책들도 펼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면모의 여파로 일본의 야당들은 집권은커녕 지역정당으로 추락하거나 자기 간판을 키워서 국회의원을 연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 자민당 강세의 이유

선진국에서도 사례가 드물 정도로 일당 우위 정당제로서 초장기간 동안 집권해 온 자민당의 장기 집권 이유에 대해 한국 등에선 일본 사회의 우경화, 일본 시민들의 시민 의식 등을 이유로 들기도 하지만 자민당은 실용주의적 정책을 많이 하기도 하며, 그렇게 간단하게 정의 내릴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49]

5.1. 유연한 실리주의

자민당은 한국에서 인식되는 것보단 훨씬 온건한 정당이다.[50] 한국에서는 과하게 혐한 어그로를 끄는 일부 소속 정치인들 탓에 극우적 성향을 가진 정당으로 오해를 받곤 하지만, 사실 자민당은 중도부터 극우까지 상당히 다양한 성향을 가진 정치인들이 소속되어 있는 정당이며, 그동안 자민당의 정책 어젠다를 보면 상당히 융통성 있고 실용적인 면모를 보여왔다. 과거부터 외교·안보 및 사회·문화·복지 분야에서 진보적인 의제들까지도 흡수하면서 외연 확장성을 꾸준히 늘려왔는데, 이러한 자민당의 융통성과 실용적 면모에 대해 일부 정치학자 중에는 이를 ‘창조적 보수주의’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한국 보수 정당의 정치인들도 이를 인정하여 당의 정책 혁신 방향으로 좌우 경계를 허무는 ‘유연한 실용주의’를 제시해 각 분야에서 진보적인 의제를 흡수하여 외연을 확장하겠다고 하기도 했다.출처 출처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최저임금을 제도화하여 일본의 사회 보장 제도의 토대를 마련한 것은 바로 자민당이다. 참고로 이 정책들이 통과한 시기는 아베 신조 총리의 외할아버지인 기시 노부스케 총리 재임 시기이다.

자민당은 일본의 경제 성장에 집중하면서도 주요 정책 어젠다인 사회복지정책들도 사회당 등 야당보다 먼저 자신들이 선점해 버렸다. 물론 유교, 불교, 신토 전통을 포함한 사회보수주의적 태도도 유지하였기 때문에 진보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가부장적 보수주의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정부의 복지지출을 증액시키며 복지 정책의 질 향상, 고용 안정 추구, 노인 의료 지원 확대, 의료 보험의 피부양자 보호안, 물가 상승분을 고려한 국민연금 정책, 고용 보험을 실시한 것은 바로 자민당이다. 결국 이러한 꾸준한 정책 추진은 1970년 중반을 기점으로 자민당에 부정적이었던 산업 노동자들이 점차 자민당을 선택하도록 만들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1987년 4월 1일부터 시작된 일본 국철의 7개 JR사(社)로의 분할 민영화일본 좌파 진영 세력의 핵심이었던 일본 국철 측 노조 내 세력을 궤멸시켜 사회당, 공산당까지 망하게 하는데에 더욱 가속도를 붙여버렸다.

최근의 아베 신조도 사회복지정책 추진에 있어 예외가 아니었다. 아베는 일본 기업의 법인세를 내림과 동시에 일본 기업들에게 최저임금 인상을 강하게 압박, 결국 일본 내 최저임금이 사상 최대 폭으로 상승하였다.

한편 외교에서는 자민당 집권 시기에 1972년 중국과의 수교를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닉슨의 방중을 반대하는 등 자민당 내 반중 정서를 추진해 오던 사토 에이사쿠 계파가 쇠퇴하고 다나카 가쿠에이가 총리가 되면서 자민당은 재빠르게 외교 노선을 혁신적으로 수정하였다.

이러한 일본 자민당의 진영 논리에서 벗어난 철저한 실리주의적 융통성과 실리적인 정책 추진, 상황에 따른 빠른 노선 변경은 일본 시민들로 하여금 굳이 야당을 선택해야 하는 필요성 자체를 느끼질 못하게 함과 동시에 일본 시민들의 광범위한 지지로 연결, 일본 정치에서 자민당이 주류의 위치를 확고히 자리 잡게 하였다.

5.2. 파벌 간 경쟁 체제

자민당은 여러 파벌들의 경쟁과 합의 속에 차기 총재가 탄생하는 구조이다. 이 점은 밀실 회담을 비롯하여 일본의 실질적인 민주주의를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지만, 광범위한 파벌들의 존재가 서로가 서로를 견제하며 특정 계파의 독점으로 인한 폭주를 방지한다는 장점 역시 있다.[51] 일본 국민들은 선거에서 자유민주당 후보를 계속해서 선출하여 여당이 자민당으로 유지되어도 계파간의 경쟁 체제로 인해 정권이 교체되는 듯한 효과를 느낄 수 있다.[52] 실제로 일본은 선거에서 자민당이 연승하는 와중에도 총리가 굉장히 자주 바뀌었다. 일본국 헌법 공포 이후 무려 34명이 총리직을 거쳐갔으며 자리를 2년 이상 지키지 못한 총리들도 수두룩하다.

이런 다양한 파벌들이 보수의 빅텐트로 모여있는 모양새이기 때문에 일본 자민당은 같은 보수 정당임에도 한국의 보수 정당과 달리 특정한 철학과 이념에 바탕을 둔 강령 정당의 성격이 상당히 약하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일본의 자민당을 성공한 사회주의라고 냉소적으로 보기도 한다. 자민당이 미국의 공화당과 같은 전형적인 보수 정당과 달리 정책 이념이나 강령이 뚜렷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그 태생 자체가 이념을 공유하는 정치가들의 집단이 아니라 정치를 주도하기 위하여 입장이 다른 정치가들이 연합한 파벌 모임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과거 자민당 내에는 온건 보수 성향 파벌들의 세력이 상당하였는데 이 시기 일본은 그야말로 엄청나게 잘 나가던 시기였다. 반면 야당들은 통합은커녕 연대조차도 약한 편이다. 일본은 1996년까지 중선거구제였던 데다가, 소선거구제를 도입한 지금도 석패율제가 있어서 군소당 중견 의원들이 몰락할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소위 '야권 연대'가 약하다.

하지만 아베 2차 내각이후로는 일본 내부의 우경화 분위기와 겹쳐 파벌들의 활동이 급격히 약해지고 있었으며 이는 아베가 총리직을 사임한 이후로도 한동안 계속 이어졌다. 그 예시로 아베 다음에 취임했던 스가 요시히데의 경우 무파벌로 활동해 왔음에도 '아베 내각을 계승'한다는 명분만으로 후임 총재로 선출될 정도였으며, 이후 총리들도 별반 차이가 없는 상황이 이어졌다. 그나마 아베가 사망하고 기시다 후미오, 이시바 시게루 같은 온건파 총리가 등장하면서 그동안 숨어있었던 온건 보수주의 성향 의원들이 다시 목소리를 내는 추세에 있긴 했다.

그럼에도 아베이후로 파벌간 경쟁이 망가진것의 여파로 비자금사건같은 대형비리가 터졌고 결국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수십년 만에 과반 달성에 실패했다.

5.3. 경제

적어도 일본 경제 발전을 논할 때 이것에 대해선 긴 말이 필요없다.

과거 미국을 위협할 정도로 강성했던 꿈과 희망이 넘치던 일본 경제의 최전성기를 이끌던 정당이 바로 자민당이다. 자민당의 독주라 불리는 55년 체제는 1955년에서 1993년 자민당 내각의 붕괴까지의 시기인데 일본의 경제 도약, 부흥기는 1954년 진무 경기부터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인 1991년까지의 시기였다.[53] 한마디로 일본의 경제 전성기 내내 일본의 집권 여당은 계속 자민당이었다.

이는 이후에도 마찬가지다. 혹평 역시 적지 않지만 자민당의 아베 신조의 초장기간 총리 집권에는 아베노믹스 등의 영향으로 인한 실물 경제 지표 회복이 주된 이유로 평가받는다. 현재 일본 청년층이 자민당에 강력한 지지를 보내는 주요 원인 중 하나도 아베 총리의 2차 집권 이후 경제 지표 회복과 청년 실업률이 개선된 것이 꼽힌다.#

물론 역으로 말하자면 거품경제 종식 후 기나긴 경제 침체 또한 자민당 집권하의 역사이기도 하다. 때문에 전후 잃어버린 10년을 비롯한 일본 경제의 실책에 대해서 말할 때 자민당의 책임을 절대 빼놓을 수 없기도 하다.

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부동산 버블이 터지면서 그동안 일본 경제를 지지하던 엔고가 이후 오히려 근 20여 년간 일본 경제의 숨통을 조인 악재로 작용한 것을 간과해선 안 된다는 반론이 있다. 지나치게 높았던 엔고로 일본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이 바닥까지 하락한 가운데 자국 내수 시장으로 근근히 버텨야 했는데, 일본에 대한 서구권의 견제로 아베 신조가 2012년 총리직에 다시 취임하기 전까지 양적 완화를 통한 엔화 가치 하락은 엄두도 낼 수 없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쨌든 버블 붕괴에 대한 예측과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하지 못한 것은 자민당 정권의 명백한 실책인 것은 맞다.

또한 복지분야의 경우 비록 자유민주당이 보수정당으로서 친시장 정책을 펼치나 한편으로는 국가주도의 복지 역시 추진하는 등 스펙트럼이 큰 편에 속한다.

5.4. 대안의 부재

물론 일본 정치의 구조적 특성, 일본 특유의 사회/문화적 정서와 더불어 상술한 것처럼 자민당 정권을 공고히 지탱하는 요인에는 여러가지가 있고 실제로 자민당을 지지해주는 유권자층이 두터운 건 사실이지만, 이에 못지 않게 자민당의 독주와 장기집권에 피로를 느끼고 자민당 정권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도 상당히 많다.

문제는 이렇게 자민당 정권에 비판적인 유권자들을 끌어들일 만한 대안 세력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수십년간 1강 체제를 구축해왔고 굳건한 지지층을 가지고 있는 자민당에 맞서려면 자민당에 비판적인 유권자들을 한곳으로 결집시킬 구심점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 일본 야권에는 이러한 구심점 역할을 할 만한 정당이나 세력이 없다. 입헌민주당이 제1야당으로 존재하긴 하나 자민당을 위협할 만큼 세력을 키우지 못하고 있고, 최근에는 일본유신회가 크게 약진하는 등 야권 전체가 단일 세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일본 정치의 이러한 구도는 매우 고질적인 것으로, 과거 55년 체제 당시에도 일본 야권은 일본사회당, 민사당, 사회민주연합, 일본공산당 등으로 분열되어 있었으며, 자민당의 실질적인 대안 기능을 할 수 있는 정당들이 마땅치 않았다. 자민당조차도 사실 관료의 통제가 쉽지 않았을 만큼 55년 체제의 정경관 유착에서 관료의 힘이 막강했는데, 야당이 관료를 통제할 수 있을리가 없다. 일본공산당은 엄연한 극좌 정당으로서 수권정당으로서의 신뢰성을 유권자들에게 주지 못하기 일쑤인데다가 냉전기의 냉혹한 현실속에서 집권이 가능할 정도의 지지세를 규합하는게 여느 서구식 민주주의 국가에서처럼 절대 쉬운 일이 아니었고,[54] 일본사회당의 경우도 항목에서도 나오듯이 현대적인 서유럽식 사민주의 정당과는 결이 다른, 중도좌파에서 극좌까지 포괄하는 빅텐트 정당으로서, 친소, 친중, 친북 성향이 두드러지는 당내 좌파 및 혁명적 사회주의자들의 영향력이 워낙에 두드러져 보였고, 북한을 열성적으로 옹호하고 당내 극좌들의 경우 크메르 루주까지도 두둔하는 등(...) 당내 극좌 세력들을 제어하지 못하고 숱한 뻘짓을 벌이다 냉전이 끝난 1990년대 중반에야 간신히 집권에 성공하지만, 이내 몰락했다. 당연히 이런 상황에서 일반 유권자들이 보기에 자민당의 대안이랍시고 나온 정당들의 상태가 영 안 좋아 보일 수밖에 없었던 것.

그나마 과거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30~40대 젊은 인사들을 선거에 공천하고 '연금 개혁', '복지국가 건설' 등 걸출한 타이틀을 내세우며 자민당 정권에 등을 돌린 유권자들을 흡수하며,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퇴진 이후 후계구도의 난맥상으로 자중지란에 빠진 자민당 대신 마침내 2009년 중원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뤘던 민주당이 있었으나, 여러 난맥상을 드러내 지지 기반을 상실했다. 결정적으로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사고 이후 관련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했고 바로 다음 총선에서 정권을 도로 내놓았다. 이후로 일본 야당들은 오랜 기간 지리멸렬해졌다가 통일교 게이트, 정치자금 논란 등의 여파로 자민당의 이미지가 악화되면서 2020년대 들어 어느 정도 지지세를 회복했다.[55] 구심점이 없으니 여러 유력 인사들을 중심으로 당이 찢어지고 분당됐다가 다시 합쳐지곤 하는 이합집산이 반복되고 있으며, 안 그래도 힘이 미약한 일본 야권에서 서로 다른 당으로 선거에 나와 표를 갈라먹는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56]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자민당에 비판적인 사람들조차 선거에서 야당에 표를 주지 않고 아예 기권하거나 정치 무관심층으로 전락해버리는 것이 현실이다. 자민당이 마음에 들지 않지만 그렇다고 야당에 표를 주기는 싫은 사람들이 그냥 안정적 선택지인 자민당을 선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소위 말하는 '이놈들이나 저놈들이나 똑같다'는 식의 정서가 일본에도 존재한다는 것이다.[57] 쉽게 말하자면, 자민당이 야당복(福)을 누리는 측면도 있다는 것.

일본의 자유주의/중도좌파 야당의 고질적인 한계가 바로 여기서 출발한다. 지지자들의 결집력이 매우 약하다는 것. 이 점이 뭐 그리 중요하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선거판에서 고정 지지층의 존재란 상당히 중요하다. 굳이 콘크리트 지지층이나 강성 지지층까지는 아니더라도, 평소에는 조용히 입 다물고 있지만 선거철만 되면 투표장에 나가 계속해서 같은 당만 밀어주는 고정 지지층이 두텁게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선거에서 득표력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된다.

자민당만 해도 총리를 비롯한 정권 핵심부에서 사건이나 스캔들이 끊이지 않으며, 일본의 보수 유권자들도 이에 대해 마냥 좋은 시선을 보내는 건 아니지만, 이들은 선거가 찾아오면 마치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투표장에 나가 자민당이라는 단일 정당으로 표를 몰아준다. 반면에 리버럴 야당들은 이에 비하면 지지자들의 지지 동력이 약하고 소극적 지지자들이 많은 편이라 쉽게 지지 정당을 갈아타거나, 정권교체를 바라는 마음이 있더라도 투표장에 나가지 않거나, 아예 반쯤 포기하는 상태로 관심을 꺼버리는 경우도 상당하다. 게다가 지금 일본 야권은 사분오열된 상태라서 그나마 존재하는 리버럴 성향 유권자들도 한 곳으로 결집되지 못하고 이 당 저 당으로 흩어지는 상황이라 문제가 더 심각하다. 결국, 정치에 야심이 있는 유능한 신인 유망주 정치인들도 일단 리버럴한 진보성향이 있더라도 자민당으로 입당하여 파벌에서 활약을 해야만 당선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실권을 휘두를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의 여러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일당 독주 체제라는 평가에도 의외로 자민당의 지지율은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30%대에서 머물거나 아주 높으면 40%대가 나온다.[58] 전국단위 선거에서 진행되는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도 득표율이 전반적으로 30%대 수준이다. 연립 여당인 공명당을 합치면 40%대 정도. 그런데 야당들은 이를 따라잡기는 커녕 여론조사에서 한 자릿수 지지율이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즉 무당층이 40~50%나 된다는 뜻이다.

야당들이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이나 벚꽃 스캔들 등 정권의 비리를 추궁하는 네거티브에 지나치게 집중한 것도 문제다. 법적, 도덕적인 면은 차치하고 네거티브 전술만으로 정권을 교체하는 건 유권자의 30%~40% 정도가 무슨 일이 있어도 지지해 줄 것이 보장된 상태에서 무당층이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을 때나 가능하다. 하물며 소선거구제인데도 양당제가 무너졌으며, 총리의 인기가 떨어지면 다른 인물을 내세우면 그만인 의원내각제 체제인 일본에서, 비전과 정책을 인정받지도 못한 야당이 네거티브로 선거에서 이기기는 힘들다.

결국 상당수의 일본 국민들은 자민당이 특별히 더 좋다기보단, 딱히 이렇다할 대안이 보이지 않으니 미워도 어쩔 수 없다는 심리로 계속 자민당을 밀어주는 측면이 있는 것이다.

서구권 선진국에서는 그나마 캐나다 자유당이 독주하는 캐나다의 정치지형이 정반대로 일본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제3당[59]이 여당을 선거 후 간접적으로 지원해 각국의 보수우위, 진보우위 지형을 공고히 한다는 점, 2010년대 이후 야권이 매 선거마다 죽을 쑤고 있다는 점, 두 당의 집권기간이 각기 55년이 넘어 현대 캐나다, 일본을 성립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 등 공통점이 있다. 또한 두 당의 상이한 정치성향과는 별개로 두 정당을 지지하는 각 나라의 안정 희구 성향의 콘크리트층이 상당하는 점 또한 공통 분모이다. 다만 일본의 리버럴 야권에 비해서는 캐나다의 보수 야권의 세가 더 두텁고 집권기간이 길었다는 큰 차이점도 존재한다.

5.5. 출처

6. 파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민주당(일본)/파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의 정치는 사실상 자민당이 독점하였기에 일본의 시민들은 아래의 파벌 중에서 자신과 성향이 맞는 파벌을 총리직을 얻을 수 있도록 밀어주어 자신의 의견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정치에 참여한다.

2024년 1월 기시다 내각의 지지율 하락세와 연이은 정치 자금 스캔들로 국민의 비판 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세이와 정책연구회(아베파), 광지회(기시다파), 지수회(니카이파) 세 파벌이 자진 해산을 선언했다. 이로써 무파벌 의원들이 자유민주당 내 과반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향후 자민당 내 파벌 간 경쟁과 견제 구도에 일대 지각변동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7. 지지 기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민주당(일본)/지지 기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청장년

2010년대 이전에는 한국이나 미국처럼 중장년층과 단카이 세대는 자민당, 그 이하 세대는 혁신계 정당 구도였지만, 2011년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기점으로 민주당 정권이 몰락하자 2020년 현재의 구도로 바뀌었다.

60년대 전공투의 이미지 때문에 단카이 세대가 오늘날 혁신 정당을 지지한다는 의견도 있으나 당시 대학 진학률이 낮다는 시대 상황을 생각해보면 이는 단카이 세대 중에도 극소수의 한정된 경향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2020년대 현재는 대한민국의 86세대인 단카이 세대인 중년~노년층들이 우세까진 아니지만 오히려 입헌민주당,일본공산당의 지지세가 다른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이렇게 의외라고 할 수 있는 세대 구도가 들어선 이유는 첫 번째로, 45회 중원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했을 때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등 민주당 인사들이 실책을 많이 저질렀기 때문이다.그래서 민주당의 지지세는 붕괴되었으며, 노년층 정도가 되어야 정치참여도가 높고 무당층 비중이 없으므로, 윗세대에서 겨우 지지세가 나오는 형국이 되어버렸다.

두 번째로는 세대별로 각 정당에 대한 이미지가 굉장히 상이하다. 일본의 청년 세대는 자유민주당을 중도적, 변혁적인 정당으로 인식하지만 나이가 많아질수록 통상적인 인식으로 수렴해, 자민당을 전통적, 변화 거부적인 정당으로 이해한다. 세대별로 정당에 대한 이미지 차이가 큰 것이다. 요미우리와 와세다 대학이 2017년 7~8월에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0대 이상 세대에서는 자민당과 일본유신회를 '보수', 공산당을 '진보'라고 이해하고 있지만, 40대 이하 세대에서는 자민당과 일본유신회를 '자유주의', 공산당과 공명당을 '수구'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의 청년층들은 좌파와 진보 세력을 '수구'로, 이념상 보수주의 정당을 자유주의 정당으로 인식하는 셈이다.

국내의 일본 관련 언론 보도는 반자민당-친야당 논조이므로[62] 상당히 일본의 청년들이 바보 같아 보일 수도 있는데, 내막을 알고 보면 일본 청년들의 인식은 근거 있는 인식이다. 스가 요시히데 정권이 공공 기관에서의 도장 문화를 근절하겠다고 밝혔을 때, 국내 언론 보도는 자민당의 '도장 의원 연맹'이 반발했다는 뉴스만을 내보냈다. 그런데 사실 이 도장 의원 연맹은 자민당 내 소수 보수파로, 자민당의 당론은 스가 총리가 결정한 대로 도장의 축소화였는데, 이에 대항하는 야당은 아예 당론으로 도장 문화의 근절을 반대했다. 입헌민주당의 에다노 대표는 디지털화는 후퇴라는 워딩으로 정부 방침에 반발했고, 일본공산당 역시 도장을 밀어내는 과도한 디지털화는 반대한다라는 당론을 세웠다. 이는 일본의 야당이 중년~노년층을 주 지지층으로 삼고 있기 때문.[63]

세 번째로, 자민당 외 모든 정당이 수권능력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수십 년간 일본을 이끈 자민당 정도가 겨우 30%정도 지지층을 차지하며, 자민당을 싫어하는 유권자들은 다른 대안 정당을 고르기 보다 ‘지지정당 없음’을 선택한다. 다른 정당은 매우 미약한 비중을 차지한다. 젊은층일수록 그 정도가 심해져, 극단적인 경우 자민당 말고는 지지율을 제대로 갖춘 정당은 없으며, 모두 ‘지지정당 없음’으로 파편화된 상태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선거 기간, 각 방송사의 보도에서 젊은층들이 보이는 태도를 통해 극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오랜 일당 우위체제로 인해 야권이 몰락하고 사회를 주도하는 역할을 자민당이 독점하여 대안이 없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년층으로 갈수록 선택지를 고르지 못하고 투표를 기권하고, 자민당에만 표가 가는 현상이 고착화되는 것이다. 사회를 주도하는 역할은 자민당이 독주하며, 야권은 완전히 몰락하거나 대안이 없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설령 다시 야당이 반짝 반등한다 하더라도 자국의 상황과 시대의 흐름을 고려하지 않는 이해할 수 없는 정책과 내부 파벌싸움으로 인해 얼마 안가 다시 자민당이 실권을 잡는 모양새며, 실제로 일본의 청년층은 좌익 성향을 가진 이들도 자민당에 제일 많은 표를 던진다.#

파일:20171023135339_ssftxidh.jpg

파일:비례 출구조사222.jpg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출구조사 결과에 따른 연령별 투표 성향. 빨간색은 자민당, 파란색입헌민주당이다.

2017년 중의원 총선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진다. 2017년은 아베 집권기로,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어느정도 젊은층에서 인기가 있던 덕에 높은 지지를 받을 수 있었으므로 이런 형세가 극대화된 것이다. 그러나 (다른 정당도 마찬가지고) 이 시기 자민당 역시 지지층 가운데 제일 비중이 높은 연령대는 노년층이었다. 이 시기 전체 투표율이 53% 였는데, 18세 투표율이 48%, 19세와 20대가 33%로 매우 저조했다. 청장년이 자민당을 싫어해도 정치 자체에 무관심과 불신이 더욱 거세니 야권은 이 세대에서 표를 받을 건덕지도 없는 상태.

7.2. 노년층

파일:japanese_poll_by_age2.png
22년 기준 참의원 선거 연령별 정당지지율

연령을 기준으로 할 때, 자민당의 핵심 지지층은 노년층이다.

7.3. 공명당의 지원

앞으로도 자민당 정권이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공명당과 연립 내각을 구성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 애초에 자민당의 힘만으로 정국을 압도하기 어려운 면은 있다. 선거 득표율을 봐도 자민당은 30~40%대에 머물고 있고, 공명당이 나머지 10% 내외를 메꿔주고 있다.

공명당의 조직력은 일본의 정당 중에서 가장 막강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창가학회 신도라는 거대한 표심[64]을 실제로 개개인 단위로 통제할 수 있다.[65] 가족 중 누구는 연립 여당인 자민당 후보를 찍고, 누구는 공명당을 찍고, 누구는 야당 후보를 떨어뜨려야 하니 자민당계 무소속 후보를 찍어주고 하는 식으로 일일이 지정을 해 주는 등 아주 치밀하고 조직적으로 선거를 치른다. 덕분에 자유민주당 지역구 후보들은 자민당 기본 표에 더해 공명당의 ‘표 주기’로 안정적인 득표수를 보장받는다.

최근 들어 서로 대립을 자주 하는 것으로 보아 연정이 깨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견도 있지만, 그럼에도 자민당은 공명당과는 연정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일단 입헌민주당, 공산당 등 여타 전국구 야당과 자민당은 정치적 접점이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연대가 어렵다. 그러나 공명당은 자민당과 정책적인 면에서 접점이 어느 정도 있는 편이므로, 과거 한국의 민주당-자민련의 DJP연합처럼 단독으로는 정국에 영향력을 발휘할 순 없지만 자신들의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발휘하며 요구를 관철시킬 수 있다. 자민당 역시 평화주의를 내세우는 공명당과의 연정을 통해 자칫 극우로 비쳐질 수 있는 당의 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공명당이 외부 견제를 통한 브레이킹 역할을 해준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정국 운영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현재로선 내부적인 불만이 있더라도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황인 것은 변함이 없으므로 이러한 정치적 동맹 관계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7.4. 구조적인 우위

자유민주당은 수십년을 집권하며 가히 일본을 운영하는 핵심 축이 되었다. 자민당이 전후의 인프라 구축과 경제 건설에 일조한 영향력이 워낙 크고, 재난 대응 체계 구축 및 기간 관료 사회의 제도적(국가관리) 기관 같은 위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나마 믿고 맡길 만한 당으로 자민당을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2017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66] 투표율이 50%를 겨우 넘겼을 정도로 일본은 정치 무관심층이 많으며, 여론 조사에서 자민당 지지율보다도 높은 게 부동층일 정도로[67] 자민당만 믿고 지지한다기 보단 딱히 대안이 없다는 게 일본 정치의 현 주소.

하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지역 토호들과의 결합, 부정부패, 여러 실책, 그리고 자민당 내부 유력 정치인들의 분당을 쐐기로 1990년대부터 득표력을 상당히 소실했다. 원내 1당은 가능한 지지세지만 정권 유지에 필요한 과반은 불확실한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90년대가 지니고 난 뒤부터는 공명당과 연정해서 정권을 유지하고 있다.[68]

7.5. 지방

파일:일본 자민당 지지율.png
자민당은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30% 내외의 고정 지지층을 얻고 있으며,[69] 특히 2010년대 아베 내각 들어 야권의 경쟁력 저하, 젊은 층의 우경화 등으로 인해 자민당의 지지세가 더 탄탄해지고 있다. 주로 규슈[70], 주고쿠[71], 시고쿠[72] 등 대부분의 서일본 지역과 동일본 지역에서도 동해를 마주보는 쪽인 호쿠리쿠 지역[73]도호쿠 지방의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은 자민당 지지세가 높은 곳이다. 55년 체제 당시에는 보촌혁도 현상이 강하게 반영되어서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 등 주요 대도시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약세였지만, 2010년대 이후로는 대도시에서도 자민당 지지세가 나타나고 있다. 지도에서 드러나듯이 상대적으로 서일본이 동일본에 비해 지지세가 더 높고 특히 메이지 유신과 군국주의화를 주도한 야마구치현(조슈번)과 가고시마현(사쓰마번)에서의 지지세가 높은데 이는 자민당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결국 메이지 유신을 주도한 삿초 동맹이 나온다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보신 전쟁에서 메이지 정부에 반기를 들다 진압당한 도호쿠 중 남부 지방의[74] 경우 자민당의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에서도 증명된다.[75][76] 오사카의 경우 타 대도시에도 없는 파란색이 있을 정도로 자민당의 지지율이 전국 최하인데 이는 과거 오사카가 메이지 정부의 수도로 지정될 것을 기대하며 엄청나게 지원을 퍼부었지만 뒤통수 맞고 여전히 에도(도쿄)가 수도로 유지된되다 오히려 도쿄 일극 체제로 가게 되면서 심한 배신감을 느꼈기 때문. 물론 이것도 딱히 오사카가 진보적인 건 아니고 그냥 지역 정당+똑같은 보수 정당인 오사카유신회가 존재하니까 그런 거다. 이 정당이 등장하기 전까진 공명당의 지지율이 높았다.

7.6. 농민

자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계층 중 하나로, 자민당은 농민들로부터 표를 얻으려면 이들이 생산하는 을 비싼 값으로 사들여야 한다. 이는 풍년이 들든 흉년이 들든 상관없이 농민들의 손해를 막기 위한 배려책이며, 일본 쌀값이 미국이나 동남아시아보다 5~10배나 비싸지는 데 일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본 국민들이 쌀보다 밀가루 음식을 많이 먹기 시작하자 농민들이 벼농사를 포기하고 도시로 가버리는 이촌향도 현상이 일어났고, 이에 자민당은 고정 지지층을 유지하고자 많은 돈을 들여 방파제 등 대규모 토목 공사를 벌였다.

8. 조직

파일:자유민주당 조직도.png
자유민주당 본부 조직도

9. 강령

헤이세이 22년(2010년) 발표한 자민당의 강령 전문이다.
우리 당은 "반공 · 반독재와 일본다운 일본의 확립"- 두 가지 목적으로 "정치는 국민의 것"의 원점에 서서 창당되었다. 헤이세이 원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 1991년 소련의 해체는 이러한 목적 중 하나가 달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우리 당의 승리이기도 했다. 거기에 이르기까지 공산주의 · 사회주의 정당의 비판을 위한 비판을 품고 우리 당은 현실을 직시하고 미-일 안전 보장 조약을 기본으로 하는 외교 정책으로 인해 오랫동안 평화를 지키고,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으로 일본을 국민과 함께 발전시켰다.

일본의 존재감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화 속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얻은 반면 자신의 전통 문화를 잃어 가고 있다. 장수국이라는 자랑스러운 성과 반면, 경제 성장의 둔화와 재정 악화에서 오는 재정 제 기능 부전을 현재 우리는 겪고 있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는 국가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이 같은 현실을 밝고 희망있는 미래로 바꾸기 위해 저출산 대책과 함께 교육의 충실과 과학 기술 개발에 국가 자원을 집중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장수 인구의 활용과 국민 자질 향상, 국제화에 좋은 지원을 통해 경제 성장을 달성할 수 있고 국민 생활의 충실이 가능한 것을 세계에 보여야 한다.

우리는 일본 및 국민 통합의 상징인 천황 폐하[91]께 오늘의 평화로운 일본을 쌓아왔다. 우리는 원래 부지런함을 미덕으로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립을 자랑하는 국민이다. 노력하는 기회와 능력을 타고나지 못한 사람들을 따뜻하게 감싸는 가족과 지역 사회의 유대를 가진 국가이다.

가족, 지역 사회, 국가에 귀속 의식을 가지고 공공의 기여와 의무에 자부심을 가진 국민이기도 하다. 이것은 전통적인 국민성, 삶의 방식 즉 일본의 문화를 쌓아 올린 풍토, 사람들의 일 현재 · 미래를 포함한 3세대의 기초를 이루는 조상에 대한 존경을 가진 삶의 재평가야말로 또 다른 창당 목적, 즉 "일본다운 일본의 확립"이다.

우리 당은 2009년 총선 패배[92]를 반성, 창당 이래 지켜 왔던 자유와 민주의 깃발 아래 시대에 적합하지 않은 것만을 고쳐, 유지해야 할 것을 지켜 질서 속에 발전을 추구하고, 국제적 의무를 이행, 일본다운 일본의 보수주의 정치 이념으로서 재출발하고 싶다.

우리가 지켜왔던 자유(자유주의)는 시장 원리주의도 아니고, 무원칙한 정부 개입 승인주의도 아니다. 하물며 이기주의를 방임하는 문화도 아니다. 자립한 개인의 의무와 창의력, 자유로운 선택,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과 관용, 공조의 정신으로 이루어진 자유임을 재확인하고 싶다. 따라서, 우리는 전 국민의 노력으로 탄생한 국민 총생산을 여당만의 독선적인 판단으로 국민 생활에 재분배해, 결과적으로 국민의 자립심을 해치는 사회주의적 정책은 취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정치 주도라는 말로 뜻에 반하는 의견을 무시하고 여당만의 판단을 독재적으로 강요, 국가 사회주의적 통치와도 단호한 대치해야 한다.

또한 일본의 주권을 손상시키며 "일본다운 일본'을 해치는 정책에 대해 싸워야 한다. 우리 당은 과거, 현재, 미래 성실하게 노력하고, 또 노력하는 자립한 납세자의 입장에서 '새로운 일본'을 목표로 새로운 자민당으로 국민과 함께 안정감 있는 정치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안심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싶다.

1. 우리 당은 항상 진보를 지향하는 보수 정당이다.
(1) 올바른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밑에, 시대에 맞지 않는 것을 고쳐, 유지해야 것을 지켜 질서 속에 발전을 추구
(2) 용기를 가지고 자유 활달에 진실을 말하며 협의하여 결정한다.
(3) 다양한 조직과 상호 작용 · 조정하고 국회를 공정하게 운영하고 정부를 겸허하게 작동

2. 우리 당의 정책의 기본적인 생각은 다음과 같다.
(1) 일본다운 일본의 모습을 보여 세계에 공헌할 수 있는 새로운 헌법의 제정[93]을 목표로
(2) 일본의 주권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지키기. 국제 사회의 현실에 입각한 의무를 이행하고, 일국 평화주의적 관념
(3) 자조, 자립하는 개인을 존중하고 그 조건을 갖추는 동시에, 공조하는 짜임새를 충실
(4) 자율과 질서있는 시장 경제를 확립
(5) 지역 사회와 가족의 정 · 따뜻함을 재생
(6) 정부는 모든 사람에게 공정한 정책이나 조건 만들기에 노력
(a) 법적 질서 유지
(b) 외교 · 안보
(c) 성장 전략과 고용 대책
(d) 교육과 과학 기술 연구 개발
(e) 환경 보전
(f) 사회 보장 등의 안전망
(7) 미래의 납세자의 사용 선택권을 박탈 않도록 재정의 효율성과 세제 개정에 따라 재정을 재건한다.

3. 우리 당은 긍지와 활력있는 일본 상을 목표로
(1) 가족, 지역 사회, 국가에 귀속 의식을 가지고 자립하고 공조하는 국민
(2) 아름다운 자연과 따뜻한 인간 관계, '일본과 정'의 생계
(3) 합의 형성을 게을리 하지 않는 민주주의에서 결정되는 국가 및 지자체
(4) 노력하는 것이 결실, 노력하는 기회와 능력을 타고 나지 않은 것을 모두에서 지원하는 사회. 그 조건 정비에 주력하는 정부
(5) 모든 사람에게 공정한 정책을 수행하는 정부. 차세대 의사 결정을 해치지 않도록 국채 잔액의 감소에 노력
(6) 세계 평화에 대한 의무를 다하고 인류 공통의 가치에 기여하는 유덕 일본

10. 당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와레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소속 의원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자유민주당
제50대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코 야스시 가네코 요조 가미카와 요코 가쓰마타 다카아키 가쓰메 야스시
가와사키 히데토 가지야마 히로시 가토 가쓰노부 가토 류쇼 가토 아유코
간다 준이치 고가 아쓰시 고노 다로 고모리 다쿠오 고무라 마사히로
고바야시 다카유키 고바야시 시게키 고바야시 후미아키 고이즈미 류지 고이즈미 신지로
고이케 마사아키 고쿠바 고노스케 고테라 히로오 고토 시게유키 구니사다 이사토
구니미쓰 아야노 구도 쇼조 구리하라 와타루 기시 노부치요 기시다 후미오
기우치 미노루 기카와다 히토시 기하라 미노루 기하라 세이지 나가사카 야스마사
나가시마 아키히사 나가오카 게이코 나카노 히데유키 나카니시 겐지 나카무라 하로유키
나카소네 야스타카 나카타니 겐 나카타니 신이치 네모토 다쿠 네모토 유키노리
노나카 아쓰시 노다 세이코 누카가 후쿠시로 니시노 다이스케 니시다 쇼지
니시메 고사부로 니시무라 야스토시 니와 히데키 니키 히로부미 다나카 가즈노리
다나카 료세이 다나하시 야스후미 다니 고이치 다무라 노리히사 다바타 히로아키
다이라 마사아키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다카기 게이 다카이치 사나에 다케무라 노부히데
다케베 아라타 도가시 히로유키 도카이 기사부로 마쓰노 히로카즈 마쓰모토 다케아키
마쓰모토 요헤이 마쓰모토 히사시 마쓰시마 미도리 마키시마 카렌 모리 에이스케
모리시타 치사토 모리야마 히로시 모테기 도시미쓰 무라이 히데키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무코야마 준 무토 요지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미야시타 이치로 미야우치 히데키
미야자키 마사히사 미야지 다쿠마 미타니 히데히로 사사가와 히로요시 사사키 하지메
사이토 겐 사이토 히로아키 사카모토 데쓰시 사카모토 류타로 사카이 마나부
사토 쓰토무 세키 요시히로 세토 다카카즈 스가 요시히데 스즈키 게이스케
스즈키 노리카즈 스즈키 다카코 스즈키 슌이치 스즈키 에이케이 스즈키 하야토
쓰시마 준 쓰지 기요토 쓰치다 신 쓰치야 시나코 시마다 도모아키
시마지리 아이코 시바야마 마사히코 시오자키 아키히사 신도 요시타카 신타니 마사요시
아베 도시코 아소 다로 아이사와 이치로 아즈마 구니요시 아카마 지로
아카자와 료세이 안도 다카오 야나 가즈오 야마구치 슌이치 야마구치 쓰요시
야마기와 다이시로 야마다 겐지 야마모토 다이치 야마시타 다카시 에리 아르피야
에토 다쿠 에토 아키노리 엔도 도시아키 오구시 마사키 오노 게이타로
오노데라 이쓰노리 오니시 요헤이 오니키 마코토 오부치 유코 오오카 도시타카
오자키 마사나오 오조라 고키 와카야마 신지 요시다 신지 우에노 겐이치로
우에다 에이슌 이가라시 기요시 이나다 도모미 이노 도시로 이노우에 다카히로
이노우에 신지 이데 요세이 이마에다 소이치로 이바야시 다쓰노리 이시다 마사토시
이시바 시게루 이시바시 린타로 이시하라 히로타카 이와야 다케시 이와타 가즈치카
이토 다쓰야 이토 요시타카 이토 타다히코 쿠사마 쓰요시 타노세 타이도
타도코로 요시노리 타카미 야스히로 테라다 미노루 하기우다 고이치 하나시 야스히로
하마다 야스카즈 하세가와 준지 하야시 요시마사 하토야마 지로 호리우치 노리코
호사카 야스시 호소노 고시 호시노 쓰요시 혼다 다로 후나다 하지메
후루야 게이지 후루카와 나오키 후루카와 야스시 후루카와 요시히사 후지마루 사토시
후지이 히사유키 후카자와 요이치 후쿠다 가오루 후쿠다 다쓰오 후쿠하라 준지
히라구치 히로시 히라누마 쇼지로 히라사와 가쓰에이 히라이 다쿠야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 (2022년~2025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하세가와 가쿠 후나하시 도시미쓰 히로세 메구미 사쿠라이 미쓰루 이시이 히로오
호시 호쿠토 가토 아키요시 우에노 미치코 나카소네 히로후미 세키구치 마사카즈
우스이 쇼이치 이노구치 구니코 미하라 준코 아사오 게이이치로 나가이 마나부
아사히 겐타로 이쿠이나 아키코 고바야시 가즈히로 노가미 고타로 오카다 나오키
야마자키 마사아키 와타나베 다케유키 와카바야시 요헤이 후지카와 마사히토 야마모토 사치코
고야리 다카시 요시이 아키라 마쓰카와 루이 스에마쓰 신스케 사토 게이
쓰루호 요스케 아오키 가즈히코 오노다 키미 미야자와 요이치 에지마 기요시
나카니시 유스케 이소자키 요시히코 야마모토 준조 오이에 사토시 후쿠오카 다카마로
야마모토 게이스케 마쓰무라 요시후미 고쇼 하루토모 마쓰시타 신페이 노무라 데쓰로
다카하시 하루미 이와모토 쓰요시 다키사와 모토메 모리 마사코 코즈키 요스케
다카하시 가즈노리 시미즈 마사토 후루카와 도시하루 이시이 슌이치 도요타 도시로
다케미 게이조 시마무라 다이 도코 시게루 미야모토 슈지 다키나미 히로후미
모리야 히로시 오노 야스타다 마키노 다카오 사카이 야스유키 요시카와 유미
니시다 쇼지 오타 후사에 가다 히로유키 호리이 이와오 세코 히로시게
마이타치 쇼지 이시이 마사히로 다케미 게이조 시마무라 다이 기타무라 츠네오
다카노 고지로 미야케 신고 마쓰야마 마사지 야마시타 유헤이 고가 유이치로
바바 세이시 나가미네 마코토 오쓰지 히데히사 미키 도오루 미우라 야스시
쓰게 요시후미 야마다 타로 와다 마사무네 사토 마사히사 사토 노부아키
하시모토 세이코 야마다 도시오 아리무라 하루코 이시다 마사히로 혼다 아키코
에토 세이이치 하네다 다카시 미야자키 마사오 아카이케 마사아키 히가 나츠미
나카다 히로시 후지이 가즈히로 가지하라 다이스케 아카마츠 켄 하세가와 히데하루
아오야마 시게하루 가타야마 사쓰키 아다치 도시유키 지미 하나코 후지키 신야
야마다 히로시 도모노우 리오 야마타니 에리코 이노우에 요시유키 신도 가네히코
이마이 에리코 아다치 마사시 가미야 마사유키 오치 도시유키 }}}
}}}}}}

12. 역대 집행부 임원 목록

12.1. 역대 총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하토야마 이치로
2대
이시바시 단잔
3대
기시 노부스케
4대
이케다 하야토
5대
사토 에이사쿠
6대
다나카 가쿠에이
7대
미키 다케오
8대
후쿠다 다케오
9대
오히라 마사요시
권한대행
니시무라 에이이치
10대
스즈키 젠코
11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12대
다케시타 노보루
13대
우노 소스케
14대
가이후 도시키
15대
미야자와 기이치
16대
고노 요헤이
17대
하시모토 류타로
18대
오부치 게이조
19대
모리 요시로
20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21대
아베 신조
22대
후쿠다 야스오
23대
아소 다로
24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25대
아베 신조
26대
스가 요시히데
27대
기시다 후미오
28대
이시바 시게루
}}}}}}}}}
<rowcolor=#fff> 대수 이름 파벌 임기 총재 선거
<colbgcolor=#D7003A><colcolor=#fff> 자유민주당 총재 대행 위원
- 하토야마 이치로 민주당 1955년 11월 5일~1956년 4월 5일 -
오노 반보쿠 자유당
미키 부키치 구 민주당파
오가타 다케토라 구자유당파 1955년 11월 5일~1956년 1월 28일[94]
마츠노 츠루헤이 구 자유당파 1956년 2월 10일~1956년 4월 5일[95]
자유민주당 총재
1 하토야마 이치로 하토야마파 1956년 4월 5일~1956년 12월 14일 1956.04
2 이시바시 단잔 이시바시파 1956년 12월 14일~1957년 3월 21일 1956.12
3 기시 노부스케 기시파 1957년 3월 21일~1960년 7월 14일 1957
1959
4 이케다 하야토 이케다파 1960년 7월 14일~1964년 12월 1일 1960
1962
1964.07
5 사토 에이사쿠 사토파 1964년 12월 1일~1972년 7월 5일 1964.12
1966
1968
1970
6 다나카 가쿠에이 다나카파 1972년 7월 5일~1974년 12월 4일 1972
7 미키 다케오 미키파 1974년 12월 4일~1976년 12월 23일 1974
8 후쿠다 다케오 후쿠다파 1976년 12월 23일~1978년 12월 1일 1976
9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파 1978년 12월 1일~1980년 6월 12일 1978
- 니시무라 에이이치[권한대행] 다나카파 1980년 6월 12일~1980년 7월 15일 -
10 스즈키 젠코 스즈키파 1980년 7월 15일~1982년 11월 25일 1980
11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파 1982년 11월 25일~1987년 10월 31일 1982
1984
12 다케시타 노보루 다케시타파 1987년 10월 31일~1989년 6월 2일 1987
13 우노 소스케 나카소네파 1989년 6월 2일~1989년 8월 8일 1989.06
14 가이후 도시키 고모토파 1989년 8월 8일~1991년 10월 27일 1989.08
15 미야자와 기이치 미야자와파 1991년 10월 27일~1993년 7월 30일 1991
16 고노 요헤이 미야자와파 1993년 7월 30일~1995년 9월 22일 1993
17 하시모토 류타로 오부치파 1995년 9월 22일~1998년 7월 24일 1995
1997
18 오부치 게이조 오부치파 1998년 7월 24일~2000년 4월 5일 1998
1999
19 모리 요시로 모리파 2000년 4월 5일~2001년 4월 24일 2000
20 고이즈미 준이치로 모리파 → 무파벌 2001년 4월 24일~2006년 9월 20일 2001
2003
21 아베 신조 모리파마치무라파 2006년 9월 20일~2007년 9월 23일 2006
22 후쿠다 야스오 마치무라파 2007년 9월 23일~2008년 9월 22일 2007
23 아소 다로 아소파 2008년 9월 22일~2009년 9월 16일 2008
24 다니가키 사다카즈 고가파 2009년 9월 28일~2012년 9월 26일 2009
25 아베 신조 마치무라파호소다파 2012년 9월 26일~2020년 9월 14일 2012
2015
2018
26 스가 요시히데 무파벌 2020년 9월 14일~2021년 9월 30일 2020
27 기시다 후미오 기시다파 → 무파벌 2021년 10월 1일~2024년 9월 27일 2021
28 이시바 시게루 무파벌 2024년 9월 27일~ 2024

12.2. 역대 부총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2대
오노 반보쿠
3-5대
가와시마 쇼지로
6·7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8대
후나다 나카
9·10대
니시무라 에이이치
11대
니카이도 스스무
12대
가네마루 신
13대
오부치 게이조
14대
야마사키 타쿠
15대
오시마 다다모리
16대
고무라 마사히코
17대
아소 다로
18대
스가 요시히데
}}}}}}}}}

<rowcolor=#fff> 대수 이름 파벌 임기 총재
<colbgcolor=#D7003A><colcolor=#fff> 자유민주당 부총재
1 오노 반보쿠 오노파 1957년 7월~1960년 7월 기시 노부스케
2 1961년 7월~1964년 5월 이케다 하야토
3 가와시마 쇼지로 가와시마파 1964년 7월~1966년 12월
4 사토 에이사쿠
5 1967년 11월~1970년 11월
6 시이나 에쓰사부로 시이나파 1972년 8월~1976년 12월 다나카 가쿠에이
7 미키 다케오
8 후나다 나카 후나다파 1977년 11월~1978년 12월 후쿠다 다케오
9 니시무라 에이이치 다나카파 1979년 1월~1980년 11월 오히라 마사요시
10 스즈키 젠코
11 니카이도 스스무 다나카파 1984년 4월~1986년 7월 나카소네 야스히로
12 가네마루 신 다케시타파 1992년 1월~1992년 8월 미야자와 기이치
13 오부치 게이조 오부치파 1994년 7월~1995년 10월 고노 요헤이
14 야마사키 타쿠 야마사키파 2003년 9월~2003년 11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15 오시마 다다모리 고무라파 2010년 9월~2012년 9월 다니가키 사다카즈
16 고무라 마사히코 아소파 2012년 9월~2018년 10월 아베 신조
17 아소 다로 아소파 2021년 10월~2024년 9월 기시다 후미오
18 스가 요시히데 무파벌 2024년 9월~ 이시바 시게루

13. 집행부 임원 목록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최고결정기구
당기위원장 <colbgcolor=#ffffff,#1F2023> 에토 세이시로 총무회장 <colbgcolor=#ffffff,#1F2023> 스즈키 슌이치
양원의원 총회장 하시모토 세이코
중앙당 지도부
총재 이시바 시게루 부총재 스가 요시히데
당무집행기구
간사장 모리야마 히로시 간사장 대행 후쿠다 다쓰오
간사장 대리 이노우에 신지 | 와카미야 겐지 | 마키노 다카오
정무조사회
정무조사회장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 대행 다무라 노리히사
참의원 정책심의회장 후쿠오카 다카마로
선거대책본부
선거대책위원장 기하라 세이지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회조직
국회대책위원장 사카모토 데쓰시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국회대책수석부위원장 모리야마 마사히토
중의원 의원회장 후나다 하지메 중의원 의원부회장 아이사와 이치로
참의원 의원회장 다케미 케이조 참의원 의원부회장 아리무라 하루코
노무라 데쓰로
참의원 간사장 마쓰야마 마사지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이시이 준이치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역대 총재
}}}}}}}}}}}} ||
(2024년 9월 30일 기준)

14. 역대 포스터

역대 포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4년
경제재생 실감을 당신께.
2022년
결단과 실행. 삶을 지킨다
2021년
새로운 시대를 여러분과 함께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24년).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22년).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21년).png
2020년
국민을 위해 일한다
2019년
일본의 내일을 개척한다
2017년
책임을 다한다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20년).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9년).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7년).png
2016년 6월
이 길을 강력하게, 앞으로
2015년 10월
경제로, 결과를 낸다
2015년 2월
지방이야말로 성장의 주역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6년 6월).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5년 10월).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5년 2월).png
2014년 5월
똑바로, 경기 회복
2013년 6월
일본을, 되찾는다[98]
2012년 11월
일본을, 되찾는다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4년 5월).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3년).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2년 11월).png
2012년 10월
일본을, 되찾는다
2012년 2월
한 명 한 명을 강하게, 풍부하게
2011년 2월
지방이야말로, 원점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2년 10월).pn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2년 2월).jpg
파일:일본 자민당 포스터(2011년 2월).jpg
}}}}}}}}} ||

15. 역대 선거 결과

15.1. 중의원 선거

연도 의석수 정원 득표율(지역구/비례대표) 결과
195828746757.80%단독 집권
1960296[99]46757.56%단독 집권
196328346754.67%단독 집권
196727748648.80%단독 집권
196928848647.63%단독 집권
197227149146.85%단독 집권
197624951141.78%단독 집권
197924851144.59%단독 집권
198028451147.88%단독 집권
1983250[100]51145.76%신자유클럽[101]과 연립 정부
1986300[102]51249.42%단독 집권
199027551246.11%단독 집권
1993223[103]51236.62%비집권
(1993~1994)
일본사회당-신당 사키가케와 연립 정부
(1994~1996)
1996239[104]50038.63%/32.76%사회민주당, 신당 사키가케 연립 정부
2000233[105]48040.97%/28.31%공명당, 보수신당 연립 정부
200323748043.85%/34.96%공명당 연립 정부
2005296[106]48047.77%/38.18%공명당 연립 정부
2009119[107]48038.68%/26.73%비집권
2012294[108]48043.00%/27.62%공명당 연립 정부
201429147548.10%/33.11%공명당 연립 정부
201728446547.82%/33.28%공명당 연립 정부
202126146548.08%/34.66%공명당 연립 정부
2024191[109]46538.46%/26.73%소수 정부

15.2. 참의원 선거

연도 개선/비개선 득표율(지역구/비례구) 총합 의석수/참의원 정수 원내 지위
195661/61--122/250소수 여당
195971/62--133다수 여당
196269/73--142다수 여당
196571/69--140다수 여당
196869/68--137다수 여당
197163/72--135/251다수 여당
197462/64--126/252다수 여당
197763/61--124소수 여당
198069/66--135다수 여당
198368/6943.2%35.3%137다수 여당
198672/7145.1%38.6%143[110]다수 여당
198936/73[111]30.7%27.3%109소수 여당
199269/3945.7%33.2%108소수 여당
(1992~1993)
소수 야당
(1993~1994)
다수 연립 여당
(1994~1995)
199546/6525.4%27.3%111다수 연립 여당
199844/5930.4%25.8%103다수 연립 여당
200164/4741.0%38.5%111/247다수 연립 여당
200449/6635.0%30.0%115/242[112]다수 연립 여당
200737/4631.0%28.9%83[113]소수 연립 여당
(2007~2009)
소수 야당
(2009~2010)
201051/3333.3%24.0%84소수 야당
(2010~2012)
소수 연립 여당
(2012~2013)
201365/5042.7%34.7%115[114]다수 연립 여당
201656/6539.9%35.9%121다수 연립 여당
201957/5639.8%35.4%113/245다수 연립 여당
202263/56 38.7%34.4%119/248다수 연립 여당

16. 여담

17. 출처

18. 관련 문서

1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7003A><colcolor=#FFFFFF> 역사 각복전쟁 · 니카이도 옹립구상 · 나카소네 재정 · 가토의 난
총재 선거 1956.04 · 1956.12 · 1957 · 1959 · 1960 · 1962 · 1964.07 · 1964.12 · 1966 · 1968 · 1970 · 1972 · 1974 · 1976 · 1978 · 1980 · 1982 · 1984 · 1987 · 1989.06 · 1989.8 · 1991 · 1993 · 1995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3 · 2006 · 2007 · 2008 · 2009 · 2012 · 2015 · 2018 · 2020 · 2021 · 2024
선거 지지 기반
총리 겸 총재 이시바 시게루
집권내각 이시바 내각
사건사고 및 논란 록히드 사건 · 황민당 사건 · 리크루트 사건 · 사가와 규빈 사건 · 통일교 게이트 · 정치자금 파문
주요 인물 하토야마 이치로 · 요시다 시게루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미야자와 기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아소 다로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오노 반보쿠 · 가와시마 쇼지로 · 고노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미즈타 미키오 · 아베 신타로 · 가네마루 신 · 와타나베 미치오 · 고노 요헤이 · 호소카와 모리히로 · 하타 쓰토무 · 오자와 이치로 · 이시하라 신타로 · 가토 고이치 · 노나카 히로무 · 다니가키 사다카즈
기타 국제민주연합
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55년 체제 · 삼각대복중 · 다케시타파 칠봉행 · 뉴리더 · 3A · 고이시카와
관련 틀 역대 총재 · 역대 부총재 · 역대 간사장 · 역대 정조회장 · 역대 국대위원장 · 역대 선대위원장 · 집행부 · 파벌 분류 · 49대 중의원 의원 · 26대 참의원 의원
}}}}}}}}}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의 정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eee,#333> 신좌파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 일본노동자공산당 · 신사회당(지방) · 일본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혁명적마르크스주의파 ·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전국위원회(지방)
혁신 녹색당 그린스 재팬(지방) · 레이와 신센구미(5/9) · 사회민주당(2/1) · 우엉의당 · 일본공산당(11/8)
자유주의 입헌민주당(38/147)
보수주의 국민민주당(10/28) · 공명당(27/24) · 자유민주당(115/190) · 퍼스트회 · 츠바사의 당
극우 국가사회주의 일본 노동자당 · 일본보수당(0/3) · 일본제일당 · 참정당(1/3) · 일본국민당
지역주의 가리유시클럽 · 감세일본(지방) · 도민퍼스트회(지방) · 도쿄·생활자 네트워크(지방) · 신당대지(지방) · 아이누 민족당 · 오키나와 사회대중당(1/0) · 일본유신회(21/37) · 정당 소조 · 지역정당 교토당(지방)
종교 행복실현당(지방)
단일쟁점 모두가 만드는 당(지방)
▪️ ~당(숫자): 해당 정당이 보유한 일본 참의원중의원의 의석 수
▪️ ~당(지방): 지방자치단체장 혹은 지방의회 의석을 보유한 원외정당
}}}}}}}}}

파일:오사카부의회 로고.gif
오사카부의회의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립여당
[[오사카유신회|오사카유신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공명당|공명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야당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무소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입헌민주당|민주넷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일본공산당|일본공산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민주넷'은 입헌민주당 1+무소속 1로 구성된 회파이다. }}}}}}}}}

파일:오사카시의회 로고 노랑.png
오사카시의회의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립여당
[[오사카유신회|오사카유신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공명당|공명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야당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시민클럽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무소속|시민과 연결・생활이 제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일본공산당|일본공산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재적
81석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내셔널리즘 · 보수주의
연관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새로운 자본주의)자민당 · 국가주의 · 국민보수주의 · 민족주의 · 반동주의일부 · 불교 민주주의공명당 · 사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일부 · 자유지상주의유신회 · 초보수주의일부
과거 이념 야마토 민족주의* · 자유보수주의 · 쇼와 국가주의(대동아공영권 · 팔굉일우)
연관 개념 국가자본주의(수정자본주의) · 군주주의 · 아시아적 가치 · 울트라내셔널리즘(우익사관)일부
주요 정당 전전 일본 입헌정우회 · 국민동맹 · 동방회 · 대정익찬회
전후 일본 일본의 마음 · 일본민주당(1947년) · 일본 유신회(2012년) · 일본민주당(1954년) · 자유당(1950년)
현존하는 정당 공명당 · 일본보수당 · 일본 유신회 · 일본제일당 · 자유민주당(지지 기반 · 파벌) · 참정당
정치인 고노에 후미마로 · 고이케 유리코 · 기시 노부스케 · 기시다 후미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도조 유코 · 도조 히데키 · 스가 요시히데 · 스기타 미오 · 아베 신조 · 요시다 시게루 · 이나다 도모미 · 하토야마 이치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인텔리 고 젠카 · 나카가와 쇼이치 · 미노베 다쓰키치 · 미시마 유키오 · 오카와 슈메이 · 햐쿠타 나오키
언론 니혼게이자이 신문 · 사쿠라 TV · 산케이 신문 · 요미우리 신문
단체 과거 겐요샤 · 다테노카이
현재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일본경제단체연합회 · 일본회의 · 재일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
그 외 55년 체제 · 국민 · 국체 · 넷 우익 · 만세일계 · 반미보수 · 신우익(민족파 · 청년민족파) · 보수본류보수방류 · 신토(신사본청 · 국가신토) · 아베노믹스 · 야마토 나데시코 · 야마토다마시 · 역코스 · 우익단체 · 대일본제국 · 일본의 보수정당 · 우경화 · 일본인론 · 재무장 · 폴크(Volk)민족(民族)
* 21세기 현대 기준 일본에서 Ethnic nationalism이 아닌 단순 Nationalism을 지칭할 때에는 '민족주의'(民族主義)라는 용어보다는 '내셔널리즘'(ナショナリズム)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일본에서 '민족주의'는 전적으로 Ethnic nationalism을 의미하는데, 이는 과거 천황제 파시즘과 결합해 야마토 민족의 우월성을 내세웠던 극우 민족주의를 연상시키는 데다가, (야마토 민족이 아닌) 류큐인이나 아이누인같은 전통적 일본 내 소수민족까지 배제하기 때문에 현재의 주류 보수우익에서 거리를 두는 편이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1] 출처[2] The Resurgence of Japanese Nationalism (the Globalist)[3] 온건파 강경파 할거 없이 주 총리들이 일본회의 출신이기도 하고,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당 자체를 일본 내셔널리즘으로 분류한다.[4] Muramatsu, Michio (1997). State and Administration in Japan and Germany: A Comparative Perspective on Continuity and Change. Walter de Gruyter. p. 117.[5] Hebert (2011). Wind Bands and Cultural Identity in Japanese School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44.[6] “Beautiful Harmony: Political Project Behind Japan’s New Era Name – Analysis”. 《eurasia review》. 2019년 7월 16일. The shifting dynamics around the new era name (gengō 元号) offer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how the domestic politics of the LDP’s project of ultranationalism is shaping a new Japan and a new form of nationalism.[7]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재가 당 조직을 개혁한 이후부터. 그 이전까지 자민당은 풀뿌리 민주주의나 대중주의와는 거리가 먼 엘리트주의 정당이었다. 허나 이는 아베 신조 퇴임 이후 취임한 기시다 후미오의 파벌이 관료적, 엘리트주의적 성향이 강한 굉지회라 이런 성향도 일부 파벌의 일부 인원에 속할 뿐이다.[8] 출처 : Ganesan (2015). Bilateral Legaci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 67.[9] "Japan's capricious response to coronavirus could dent its international reputation". The Conversation. 24 April 2020. Retrieved 5 June 2020.[10] 21세기 일본에서 보수자유주의 내지 자유보수주의라는 용어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민당 내 중도우파들은 보통 '온건보수'로 지칭된다.[11] Bryan Mark Rigg, ed. (2020). Flamethrower: Iwo Jima Medal of Honor Recipient and U.S. Marine Woody Williams and His Controversial Award, Japan's Holocaust and the Pacific War. Fidelis Historia. ISBN 9781734534115.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ith politicians in his current ruling party,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which is really ultraconservative, not liberal)."[12] 권위주의가부장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진보적 보수주의와 비슷한 의미이다. 복지국가와 국가의 적절한 경제 개입을 지지한다는 점에서 지수회, 굉지회, 헤이세이 연구회 등 자민당 온건파 일부에서 나타난다. 반면에 세이와 정책연구회 같은 강경파들은 경제적 자유주의 성향이 더 강하다. 물론 계파나 개인마다 케바케라서 일반화하긴 어렵다.[A] 초기 자유민주당은 당명에서 보아하듯 중도우파적인 보수적 리버럴의 자분도 있던 정당이였다. 그러나 90년대 일본 정계개편 과정에서 신당 사키가케 같은 개별 자유주의 세력을 형성해 빠져나가고, 이후 자민당도 보수방류가 주류화되어 내셔널리즘, 보수주의 우익 정당으로 자리잡게 된다.[A] [15] 미키 다케오 등 당내 최좌파. 번촌정책연구소 문서 참조.[16] 초기 자민당은 구미권 보수정당들 보다 국가의 경제개입 강도가 강해서 경제정책만 따지면 사회민주주의와도 유사하다고 보았다. 다만 자민당의 경제에 대한 통제 성향은 사민주의적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국가협동조합주의라고 평가받는다.[17] 반한 성향이 없고 야권과도 관계가 원만한 온건파 중도우파 정치인들부터 극우 민족주의자들까지 스펙트럼이 넓은 것. 현재 총리인 이시바 시게루는 중도 우파 성향에 가까우며, 강경 우파 성향의 아소 다로 같은 인물도 있다.[18] 본래는 중도부터 극우까지 매우 스펙트럼이 다양한 정당이었지만 2022년 이후 아베 신조 피살 사건, 통일교 게이트, 정치자금 논란 등 여러 스캔들이 터진 이후로는 중도우파에 가까운 온건파가 다수가 되었고, 극우파의 영향력은 거의 없어졌다.[19] Japan's International Relations: Politics, Economics and Security. Routledge. p. 58. ISBN 978-1-134-32806-2.[20] 20세기 말까지는 온건적 스탠스가 강했고 온건파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90년대 말~00년대 초를 기점으로 소위 '보통국가'라는 이름으로 정치/군사 대국화를 주장한 강경 우파 성향의 총리들이 집권하면서 우경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런 기조는 아베 신조 집권기 당시 정점을 찍었다. 2020년대 이후로는 기시다 후미오, 이시바 시게루 같은 온건파 총리들이 등장하고, 50회 중원선에서 구 세이와 정책연구회(아베파) 출신 의원들 중 3분의 2 가량이 선거에서 낙선하면서 극우적인 색채와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둘 것으로 전망된다.[21] 26회 참원선 기준 지역구 69석, 비례대표 38석[22] 50회 중원선 기준 지역구 132석, 비례대표 59석[23] 한국의 광역의회에 해당한다.[24] 한국의 기초의회에 해당한다.[25] 자민당의 당세에 비해 의석 비율이 상당히 낮은데, 이는 무소속 비율이 71%나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는 일본공산당의 8%보다 1%p나 낮다. 그러나 그 공산당도 공명당에 비하면 역시 1%p 정도 낮은 게 함정.[26] 2017년 48회 중의원 총선 기간 이후로 주로 쓰이고 있다.[27] 공식 당색이나, 2017년 48회 중원선 이후로는 가끔 선거 홍보용 홈페이지 등에서 쓰이고 있다.[28] 포스터 속 인물은 자유민주당 총재이자 제102·103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이시바 시게루.[설명] 좌측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30] 국내 언론에선 해당 약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31] 사실상 일본은 자유민주당이 일본의 정치를 독점하고 있기에, 우리나라나 미국처럼 진보와 보수중에서 당을 선택하는 것이 아닌 자유민주당의 정치인들 중에서 자신과 성향이 맞는 정치인을 밀어주어 그 파벌이 총리를 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32] 어찌보면 1990년 3당합당을 통해 한국의 가장 큰 보수 정당으로 거듭난 민주자유당과도 비슷한 점이 여럿 있다. 애초에 민자당이라는 약칭에서 보이듯 3당 합당 추진 과정에서 일본 자민당 사례를 참고한 점이 많았다.[33] 대부분의 혁신파는 전후 공직추방으로 명맥이 끊어졌다.[34] 의석 수로 따진다면 일본민주당 185석 vs. (통합)일본사회당 158석, 득표율로 따진다면 39.6% VS 33.4%였지만 당시 일본의 선거 제도가 소선거구제가 아니라 중선거구제라 자유당과 연합하면 얼마든지 따라잡힐 수 있었다.[35] 어떻게 보면 이념상 불가능할 거 같지만 이미 1940년대 후반 일본민주당과 일본사회당이 잠깐 연립 정부를 구성해 집권했던 선례가 있었던 데다가 진짜로 자유당이 일본사회당과 연합하면 하토야마 이치로가 총리직에서 내쫓기는 것도 가능했다.[36] 이 당시 일본민주당 우위의 통합에 반발한 자유당 지지층들이 추풍회나 무소속 후보에게 표를 던진 것이 주요했다.[37] 자민당은 후보 분열을 잘 통제한 반면, 일본사회당은 의석을 얼마 늘리지 못했다. 게다가 아이러니하게도 이 선거가 2003년 중의원 총선에서 1998년 창당한 민주당이 177석을 얻기 이전까지는 (1955년 이후의) 일본의 제1야당 가운데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한 선거였다.[38] 설계 - 이시이 카츠라(石井桂), 시공 - 가시마 건설(鹿島建設). 이시이 카츠라는 당시 자민당 소속 참의원 이었고 가지마 건설 또한 오너 가시마 모리노스케(鹿島守之助)가 자민당 소속 참의원이었다.[39] 2009년 선거에서는 자민당이 119석, 민주당이 308석을 차지했다.[40] 자민당이 2009년 선거를 제외하고 중의원에서 가장 의석을 적게 차지한 1993년과 2024년 선거에서도 각각 전체 551석, 465석 가운데 43.6%, 41.1%인 223석, 191석을 차지해 원내 제1당 자리를 유지했다. 단 1993년에는 다른 7개 정당 모두가 연합해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총리로 선출했다.[41] 자민당 창당 이래 자민당 총재를 지냈으면서도 총리가 되지 못한 건 고노 요헤이다니가키 사다카즈 둘뿐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고노는 취임 당시 야당 총재였으나 1년 후 사회당사키가케와의 연립 정권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총리에 오르는 것을 포기했고, 다니가키는 총재 임기 3년 내내 야당 총재로 있었다는 점이다. 고노는 연립 정권 구상을 당시 고노 총재가 직접 주도한 게 아니라 다케시타의 파벌이 주도했기 때문에 총리에 오르는 것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42] 동아시아 정치를 연구해 온 미국의 정치학자 T.J. Pempel은 일본 정치를 가리켜 'uncommon democracy'라고 칭하기도 했다.[43] 높게는 아소 다로아베 신조처럼(참고로 아소와 아베는 먼 인척관계이기도 하다.) 천황가와 이어질 정도의 정도의 전통 신분사회 최상위계급, 그정도는 아니더라도 수백 년간 이어진 지역 유력자 가문이라든가, 일본 제국 시대부터 3대 이상 의원직을 세습하며 강대한 지역적 기반과 영향력을 구축한 명문가 출신들이 대다수이다. 일본 기준 온건파 정치인인 기시다 후미오 또한 할아버지 대에 만주에서 막대한 부를 쌓아 이를 기반으로 정치권에 진출한 히로시마의 유력가문 출신이다. 물론 이런 배경을 가진 이들이 모두 자민당에서만 정치를 하는 건 아니어서 가끔 예외가 있으니, 민주당 정권 총리였던 하토야마 유키오는 5대째 국회의원직을 지내는 매우 유서 깊은 정치가 가문과 브리지스톤 재벌가가 결합한 집안 출신이다. 그러나 간과하면 안되는 점이 하토야마 형제도 결국 자민당에서 정치를 시작했고, 1993년 분당 이래 현재의 야당을 구성하는 세력이 되었을 뿐이다. 유키오의 동생인 하토야마 구니오와 조카 하토야마 지로는 현재도 자민당에서 정치를 이어나가는 중이다. 현 민주당계 정당에는 자민당 세습의원 가문 출신이 다수 분포해있다. 민주당 당 대표, 간사장을 지낸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마지막 대표, 민진당 초대 대표를 지냈으며, 2023년 현재 입헌민주당의 간사장을 지내고 있는 오카다 가쓰야가 대표적이다.[44] 일본은 현행 헌법에서 교전권의 부정과 군대 미 보유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군대 대신 자위대라는 이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일본국 헌법에선 주권 국가의 고유 권리인 자위권은 부정하지 않았기에 국가와 국민을 지키기 위하여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 자위권을 행사하는데 동원되는 무력인 자위대 역시 보유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 현재까지 일본 정부는 위와 같은 헌법 해석을 정부 공식 입장으로 채택하고 있다. 다만 자위대가 헌법 조항에 직접적으로 명기되어 있지 않고 헌법 해석으로만 존재 근거를 가지는 것에 대해 논란이 있고 이러한 논란을 해결하기 위한 개헌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45] 자민당도 이런 일부 강경파들 덕에 1950년대엔 자주 헌법을 마련해야 한다며 개헌에 집착했으나, 평화헌법이 정착된 1960년대 이후엔 개헌에 딱히 신경쓰지 않는 의원들이 주류가 되어 20세기 말까지 이어졌다.[46] 2000년대 후반까지는 한국에서의 자민당 이미지가 그렇게까지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자민당이 정권 탈환에 성공한 시기가 박근혜 정부의 출범 시기와 거의 겹치며, 박근혜의 외교 노선 또한 본인의 개인사 영향으로 친중 외교에 초점을 두면서 한일관계가 꽤 안 좋아졌다. 아베 신조 또한 2010년대에 장기집권을 하면서 한국에서의 자민당 이미지를 나쁘게 만들었고, 이러한 오해를 더 가중시키는 데 기여하였다.[47] 마찬가지로 일본의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도 기본적으로 좌파 정당이지만 상대적으로 보수파에 속하는 인사들은 우파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제법 많으며, 그 중에는 자민당 내 강경 우익들과 비슷한 입장을 보이는 경우도 일부 있다.[48] 기시다는 보수본류(온건파)이기 때문이다.[49] 동아시아에서는 1997년 이전의 대한민국, 2000년 이전의 중화민국(대만)처럼 일당 우위 정당제가 자주 보이기는 했으나, 이 두 경우는 공권력을 동원한 독재와 여기에서 그대로 이어져온 세력이기 때문에 강압 없이 선거로 이정도의 우위를 수십년간 유지한 일본의 경우와는 비교할 수가 없다. 현재의 싱가포르 체제도 일당 우위로 볼 여지가 있으나 이 또한 과거의 독재에서 이어져오고 있는 체재다.[50] 미국 공화당, 영국 보수당보다도 진보적인 정책을 많이 내놓은게 바로 자민당이다. 일례로 미국의 공화당이 20세기 초부터 일관되게 감세와 규제 철폐를 주장하는 것(한국의 국민의힘도 마찬가지다.)과 반대로 자민당은 의료보험제도 도입, 임금인상 등의 복지정책을 도입했다. 아닌게 아니라 고노 담화로 유명한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과 그 아들 고노 다로도 자민당 소속이고 탈원전을 주장하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 부자도 대를 이어 자민당 당적을 유지하고 있다.[51] 이러한 파벌의 존재는 일본의 정책 노선이 금방 바뀌는 데도 일정 역할을 한다. 같은 자민당 소속일지라도 정책 노선의 차이가 있는 계파들이 존재하다 보니 집권 계파가 달라지면 정책이 변경되는 경우도 꽤나 흔하다. 당대당의 대립에서 승리하기 위해 정당 내부의 반발이나 계파간 대립을 터부시하며 일괄적으로 통일된 노선을 중요시 여기는 한국 정치계에서는 상당히 보기 어려운 모습. 이 문제는 2020년대의 더불어민주당에서 그 진면목을 볼 수 있다. 소신을 드러내는 의원들은 경선에서 떨어지고 탈당해야 했으며, 당원들과 지지층들의 심기를 조금만 건드리는 순간 그들은 바로 문자 폭탄으로 대응해버려 국회의원들은 당원들과 지지층들의 눈치를 보고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국회의원은 하나의 헌법기관이지 당원들이 조종하는 기계나 로봇이 아니다.[52] 이 점은 자민당이 오랫 동안 집권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53] 실질적으로는 GDP가 계속 성장한 1995년까지.[54] 서구식 민주주의 국가를 채택한 국가들 중에서도 키프러스나 이탈리아처럼 공산주의 정당이 집권했거나 집권 직전까지 간 경우가 없는건 아니지만 소수였으며, 당연히 대개의 경우 공산주의 정당들의 경우 원외/군소 정당에 머무르거나 연정 대상에서도 제외되는 경우가 다수였다.[55] 2000년대 후반 민주당의 강세와 2009년 정권교체가 가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당시 일본에서 자민당에 대한 여론이 근 몇십년 만에 최악을 달리던 상황에서(이 부분은 연금 문제, 대침체로 인한 경제 위기, 내각 각료가 연루된 공기업 비리 문제, 그리고 이런 문제들을 책임져야 하는 자민당 정권의 무능 등 복합적인 배경이 있었다.) 민주당이 유력 인사들을 전면에 내세워 선거 전열을 재정비함과 동시에 집권 전략을 상당히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점 등이 맞물려 결국 정권교체로 이어졌다. 이 당시에 민주당은 "자민당이 저렇게 무능하고 부패하니 저들에게 다시 정권을 맡기면 일본에는 미래가 없다. 그동안 자민당에게는 기회가 많았지만(장기집권) 지금까지 한 게 뭐가 있나? 민주당은 국민 생활(민생)만을 생각한다. 우리에게도 한 번만 일할 기회를 달라."라는 식의 얘기를 하고 다녔는데 이게 당시 일본 국민들에게 상당히 호소력이 컸다. 그렇게 큰 기대 속에 민주당이 정권을 잡았는데 정작 뭘 좀 해보려고 하면 혼란만 표출하고 제대로 하는 일이 없었고, 2012년 연말 총선에서 아베 신조가 이끄는 자민당에 도로 정권을 헌납하고 말았다. 아베는 총리 재임 당시 극우적인 정치 성향을 가감 없이 드러냈으며, 한국에서 자민당을 극우적인 성향의 정당으로 오해하도록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56] 야당들도 이런 문제점을 자각은 하고 있는지 계속해서 야권 통합을 추진하고, 선거 때마다 협의를 통해 야권 단일 후보를 내는 등 힘을 합치려는 노력이 보이기는 한다. 물론 그게 항상 좋은 결과로 이어진 건 아니고, 여러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 야권 연대에 공산당을 포함시켜야 하느냐 마느냐를 놓고 야권 내부에서 의견 대립이 벌어진다든지 하는 문제가 대표적이다.[57] 일본도 한국 못지 않게 정치 불신이 심한 나라 중 하나다. 오히려 일본이 더 심한 측면이 있다.[58] 드물지만 정권과 관련해 대형 악재가 터진 상황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20%대로 떨어졌던 경우도 간혹 있다. 과거 아베 신조 정권 시절 터졌던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 때가 그랬다. 이때는 내각(정부) 지지율도 20%대로 추락하는 등 아베 집권 이래 최대의 위기가 찾아왔던 시기였다.[59] 자유당과 자민당의 지지층과 상당히 겹치는, 특정 지역에서 강세를 보이는 신민주당일본유신회를 예로 들 수 있다.[60] 이 시기 보수본류의 직계인 헤이세이 연구회는 고이즈미 집행부의 철저한 배제를 당하며 사실상 몰락했다.[61] 스가 전 총리의 경우 자신의 의견을 따르고, 정책을 함께 의논하는 26명 내외의 '가네샤의 모임'을 창립했다.[62] 당연한 게 일본 자민당, 특히 보수방류 계열이 역사 왜곡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이다.[63] 실제로 급진적 디지털화는 노년층, 장애인 등 소위 정보적 약자에게 큰 문제이긴 하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도 키오스크의 대중화 이후 장애인(특히 시각장애인)과 노년층이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다만 일본은 코로나로 인한 재택근무 중에도 도장을 받으러 출근을 해야 한다던지, 2023년까지도 은행의 월급정산에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는 등 선진국 중에서도 유난히 디지털 정체가 심각한 편이긴 하다.[64] 일본 내 창가학회 신도 수는 약 1500만 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65] 과거 총평의 지원을 받은 사회당의 전성기를 제외하면 이 정도의 조직력을 발휘한 정당은 일본 역사상 거의 없다.[66] 의원내각제인 일본에서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한국의 대선과 총선 성격을 모두 포함하는 가장 중요한 선거다.[67] 심하면 50% 이상이 부동층인 경우도 있다.(...)[68] 이갓 역시 2010년대 중반까지 시국의 흐름과 별개로 상당한 득표력을 자랑했던 한나라당 - 새누리당이 20대 총선을 기점으로 여러 부정부패 사건과 당내의 고질적인 계파갈등이 연달아 터져나오면서 득표력을 상당부분 잃은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69] 그나마 자민당이 확실히 힘을 못 쓴다고 평가받는 지역은 오키나와현, 이와테현 정도뿐이다. 나고야 등이 위치한 주부권(특히 도카이)[117]이나 개척지란 느낌이 강한 홋카이도 지역도 원랜 상대적 자민당 약세 지역으로 평가받았으나, 2010년대 들어선 원체 야권 자체가 지리멸렬한 상황이라 엇비슷한 형국. 그 외 긴키(관서) 지방은 오사카 지역정당인 유신계 정당과 공명당, 공산당 등의 지지세가 뒤섞여 있긴 하다. 하지만 그 오키나와에서도 오키나와현 제4구 쪽은 자민당 세가 제법 있다는 게 함정. 완전 열세까지는 아니다. 그리고 이와테에서 자민당 세가 약한 것은 지역이 딱히 진보적이어서가 아니라 오자와 이치로라는 거물 정치인의 순전한 개인기 덕이다. 원래 이 정치인도 자민당 출신이었다.[70] 예외적으로 오이타현사회민주당이 우세한데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한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의 지역구였던 영향이 크다.[71] 아베 신조의 지역구인 야마구치현이 있다.[72] 단, 고치현은 특이하게도 일본공산당이 선전하는 곳이다. 이는 막말 메이지 유신부터 거슬러 올라가는데, 고치현의 전신 도사번이 삿쵸도비라고 하여 토막파에 가담했음에도 사쓰마 조슈 양대 파벌에 밀려나 푸대접을 받았고 이후 나카에 조민, 고토쿠 슈스이 등 자유주의 찍고 아예 사회주의로 넘어가는 역사적 기원에서 유래한다. 일본 공산주의의 시조 고토쿠 슈스이가 바로 고치현 출신이다.[73]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74] 특히 가장 격렬하게 저항한 아이즈 번(現 후쿠시마현 서부)[75] 이와테현과 더불어 자민당 지지율이 낮은 미야기현에는 이곳 출신 지바 도시치가 세운 안중근 신사가 있다.[76] 다만 이곳 출신이라고 일제의 침략행위에 무관하다 볼 수 없는게 을사조약 채결을 주도한 일본의 외교관 하야시 곤스케아이즈 번 출신이었다.[77] 한국의 주요 정당은 전당대회 개최 시 당원들이 당대표만 선출하는게 아니라 최고위원도 선출한다. 하지만 자유민주당에서 당원들이 전원·직접 참여하는 선거는 '총재의 임기 만료로 인한 총재선거'가 유일하고, 총재가 임기 도중에 사퇴할 경우에는 현역 양원 국회의원과 각 도도부현 대표자 141명(47개 도도부현×3명=총원 141명)만 참여하는 '당대회를 갈음한 양원의원총회'에서 총재를 선출한다. 당원은 각 도도부현 연합회에서 총재선거를 위한 도도부현 대표자 3명을 뽑는 예비선거에만 참여가 가능하다.[78] 참고로 한국의 최고위원에 해당되는 총무는 각 원(院)별 몫, 총재 몫으로 인원이 배정되어있고, 각 원(院)별 몫은 의원간의 호선으로 선출하고, 총재 몫은 총무회장과 간사장의 합의를 통해서 총재가 직접 임명한다.(총재 몫의 인원에는 총무회장이 포함되어 있다.[79] 일본의 총리는 국회의 의결을 통해서 선출된다. 총리의 자격은 현역 국회의원만 가능하다고 되어있지만, 관례상 중의원과 참의원의 의원들의 투표로 중의원의원 중에서 다수당의 대표가 지명된다. 그렇기 때문에 자민당 총재는 전부 중의원의원 중에서 선출되었고, 가끔 참의원의원이 총재선거에 출마한 사례는 있으나, 실제 선출된 사례는 단 한번도 없었다.[80] 총재가 임기 도중 사퇴할 경우, 후임자는 전임자의 잔여 임기를 이어 받는다. 그리고 해당 잔여임기는 연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10년 이상 총재직에 있는 것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81] 자민당 당헌·당규에 "본 당에서 부총재를 둘 수 있다.(本党に、副総裁を置くことができる.)"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니까 부총재는 간사장, 정무조사회장, 총무회장, 국회대책위원장 등의 직책과는 달리, 반드시 임명해야 하는 직책이 아니라, 임의적인 직책이다. 즉, 총재가 임명해도 그만이고, 임명 안 해도 그만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총재 직책은 공석으로 있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82] 단, 참의원 의원단에 대한 당무는 참의원 의원 회장(참의원 의원단의 수장) 휘하에 있는 참의원 간사장이 담당한다.[83] 원내대표, 사무총장, 정책위의장[84] 단, 참의원에 관해서는 참의원 의원회장 휘하에 있는 참의원 정책심의회장이 담당한다.[85] 중의원 호선 11명(11개의 비례대표 블록별로 설치된 블록 양원 의원회에서 각각 1명씩 선출한다.), 참의원 호선 8명(실제로는 참의원 의원단 지도부에서 선출한다.), 총재가 지명한 자 6명으로 구성되어있다.(6명에 총무회장도 포함된다. 총무회장을 제외한 나머지 5명은 총재, 간사장, 총무회장의 합의로 선출한다.)[86] 간사장이 국회 활동의 거시적 방침을 정하고 주요 사안에 대한 회파(교섭단체) 간의 협상을 맡는다면, 국회대책위원장은 그와 관련된 실무(의사일정 협의, 당내 의견 수렴 등)를 맡는다. 즉, 무대 뒤에서 일하는 스태프의 수장이라고 비유하면 적절하다.[87] 단, 참의원에 관해서는 참의원 의원회장 휘하에 있는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이 담당하고 있다.[88] 다만, 국회대책위원장을 역임한 이들 중에서, 총재의 자리에 오른 경우는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기시다 후미오 3명에 불과하다.[89] 당의 주요 직책은 대부분 중의원 의원이 맡고 있기 때문에, 참의원 의원단(참의원 의원총회)을 별도로 두고, 참의원 의원단 내에 독자적으로 직책을 가지고 활동한다.[90] 참고로, 참의원 의원회 부회장, 참의원 간사장, 참의원 정책심의회장,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등의 직책은 참의원 의원회장의 휘하에 있고, 참의원 의원회장이 임명한다. 참의원 의원회장은 참의원 의원간의 호선으로 선출된다.[91] 입헌군주국. 일본 헌법 1조: 천황은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92] 창당 이래 두 번째로 정권을 내주었다. 또한 역대 최소 의석 수를 기록.[93] 일본 헌법을 평화헌법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하는, 교전권과 정규군 보유 포기를 명기한 헌법 9조 개정이 주요 목표다. 최근에는 당 차원에서 9조의 완전한 수정과 폐기 대신 자위대의 존재 근거를 추가하는 식으로 개헌 방식과 목표를 바꿨다.[94] 임기중 사망.[95] 오가타 다케토라의 후임. 자유민주당 초대 참의원의원 회장.[권한대행] 오히라 마사요시 총재의 임기 중 사망으로 부총재가 권한대행함.[97] 1970년생 교토부 제4구 비례당선 중의원.[98] 다른 버전[99] 역대 최고 의석 점유율[100] 록히드 사건 이후 일어난 결과다. 자민당은 1976, 1979년, 1983년 중의원 선거에서 과반수를 차지하지는 못했지만 야당들의 분열 혹은 무소속 의원 영입으로 정권을 유지했다. 심지어 사회당 지지자들도 자민당 과반 붕괴에 별 감상이 없었다고. 이렇게 된 이유는 야당의 다당화 경향 때문으로 자민당이 잃은 의석을 사회당이 독차지하는 방식이 아닌 공명당, 민사당, 공산당, 신자유클럽도 타 야당들도 자민당의 의석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특히 이 중에서 민사당과 공산당과의 관계가 문제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민당이 과반수에 미달해도 어찌어찌 정권을 유지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었다..[101] 자민당의 부패에 실망한 고노 요헤이가 1976년 자민당을 탈당해서 만든 온건 보수 정당. 항상 3~5석 정도를 차지하던 군소 정당이었으나 1986년 선거에서 참패한 이후에 해산하고 고노 요헤이는 자민당으로 복귀했다.[102] 역대 최다 의석[103] 이땐 기어코 자민당 정권 붕괴가 일어난다. 허나 이후 들어선 비자민 연립정부인 호소카와 내각은 오래가지 못했고, 1994년 6월에 자민당은 일본사회당, 신당 사키가케와의 연합 정권(무라야마 내각)을 구성함으로써 다시 여당으로 컴백한다.[104] 사민당 등과 연정.[105] 공명당, 보수당 등과 연정.[106] 단독 과반수 확보. 공명당 31석을 더하면 327석으로 개헌 선인 2/3를 넘었다. 물론 헌법 개정은 실패.[107] 역대 최저 의석[108] 공명당 31석을 더하면 325석으로 개헌 선인 2/3를 넘은 데다가 일본 유신회(54석)와 모두의 당(18석)까지 있다! 보수적 성향의 무소속 4석까지 더하면 보수 의석이 401석이라는 무서운 숫자.[109] 일본 자유민주당 정치자금파티 수입 불기재 논란의 영향으로 일어난 결과이다.[110] 역대 최다의석.[111] 55년 체제하에서 유일하게 개선 제1당을 뺏긴 때였고, 때문에 우노 소스케 총리가 사임하기도 했다. 이는 당시 사회당(당시 46석 확보. 총 68석.) 여성 당수였던 도이 다카코의 여성 후보 공천 등이 위력을 발휘했기 때문인데, 문젠 사회당이 이 기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1991년 이후 자민당과의 연정 등으로 쇠퇴한다는 점이었다. 이후 사회당 지지층은 민주당에 대거 흡수된다.[112] 15년만에 개선 2당으로 전락했다.[113] 사상 최초로 참의원 내 제2당으로 전락했다.[114] 오랜만에 참의원 1당으로 복귀했다.[115] '한때' 였을 뿐 시간이 지나면서 개정안이 흐지부지 되면서 이후에 다시 지지하게 되었다. 19년도 후반부터는 야당을 견제하기 위해 강경우파~극우계 파벌을 제외하면 오타쿠를 비롯한 서브컬처 관련 계열층과 청년들의 표심을 더 늘리기 위해 조금씩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는 입장의 의원들도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정작 현재 표현의 자유를 규제하자는 입장은 일본공산당입헌민주당의 좌파적 파벌을 비롯한 야당에서 발언이 나오고 있는 중. 자민당의 극우파는 전통주의적 발상으로 보수적 사고관에 맞지 않는 표현이나 현상은 규제해야 한다는 주의주장이고, 일본공산당과 입헌민주당 좌파는 페미니즘 논의에서 나오는 성차별적 표현의 규제를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사상과 행동근원은 다르지만 우익 강경파와 좌익 강경파가 똑같이 표현규제를 주장하고 있는 셈.[116] 국고로 받는 정당 보조금이랑은 별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