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중의원 | 衆議院 | 참의원 | 参議院 | |
※ 양원의 원내 구성 | }}}}}}}}} |
<colbgcolor=#112fa7><colcolor=#C4C974> 일본 국회 중의원 衆議院 | House of Representatives | |
구성 | <colbgcolor=#fff,#1f2023>양원제 국회 하원, 다당제 |
개회 | 1890년 11월 29일 |
의장 | 누카가 후쿠시로 (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 이바라키 2구) |
부의장 | 겐바 고이치로 ( [[입헌민주당| 입헌 ]] / 후쿠시마 2구) |
사무총장 | 츠키야마 노부히코 |
의원 | 정원 465석 중 재적 465인 |
주소 | 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1초메 7-1 |
국회의사당 | |
최근 선거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차기 선거 | 제5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사무국] |
[clearfix]
1. 개요
중의원(衆議院)은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는 일본 국회에서 하원을 부르는 말이다. 상원인 참의원과 함께 일본의 국회를 구성한다.2.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2d3865><tablebgcolor=#2d3865> | 일본 국회 원내 구성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2차 이시바 내각 (2024 ~ 현재) | ||||||||
연립여당 | |||||||||
자유민주당 115석191석 | 공명당 27석24석 | ||||||||
야당 | |||||||||
입헌민주당 39석148석 | |||||||||
일본유신회 21석38석 | 국민민주당 9석28석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일본공산당 11석8석 | 레이와 신센구미 5석9석 | 참정당 1석3석 | 사회민주당 2석1석 | 일본보수당 0석3석 | }}} | |||
무소속 14석12석 | |||||||||
재적 245석 • 465석 • 공석 3석 • 0석 | |||||||||
※ 정당조성법상 정당 요건을 충족 못하는 정치단체는 무소속으로 분류 | |||||||||
정당 구분 (원내 · 원외) | |||||||||
좌측은 참의원(상원) 의석 수, 우측은 중의원(하원) 의석 수 | }}}}}}}}} |
일본 국회에서는 원활한 의정 활동을 목적으로 각 정당이 연합해 회파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회파별 의석 수는 해당 정당의 의석 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의정 활동에서 소속 회파는 당적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며 한국의 원내교섭단체와 비슷한 개념이다.
- 여당
- 야당
- 회파 미가입
전체 | 42.1%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nt-size: 0.9em" {{{#!folding 회파별 의석 점유비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 <colbgcolor=#ffffff,#1f2023> 여당 | <colbgcolor=#ffffff,#1f2023>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 196석 | ||
[[공명당| 공명 ]] | 24석 | ||||
야당 | 148석 | ||||
[[일본유신회| 유신 ]] | 38석 | ||||
''' 국민 ''' | 28석 | ||||
''' 레신 ''' | 9석 | ||||
[[일본공산당| 공산 ]] | 8석 | ||||
''' 유지 ''' | 4석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석 | }}}}}}}}} |
3. 상세
3.1. 자격
선거권은 18세 이상의 일본 국민, 피선거권은 25세 이상의 일본 국민에게 있다.중의원이 창설된 1890년에는 국세 연간 15엔 이상을 납부한 25세 이상 남자(황족, 화족, 현역 군인 제외)에게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는데, 이 때 선거권을 가진 사람은 일본 전체 인구의 1%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점차 이러한 재산 제한이 낮아지기 시작하다가 1925년에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계기로 보통선거법을 제정해 25세 이상 모든 남자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그리고 태평양 전쟁 패전 이후 1946년에 보통선거법이 개정되어 20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게 선거권이, 25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게 피선거권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2015년 6월 일본 공직선거법이 개정됨에 따라 투표 가능 연령이 기존의 20세에서 18세로 내려갔다.[7]
피선거권 제한은 한국과 같지만 한국 국회보다 20대 당선자가 꾸준히 나오는 편이다. 1969년 부터의 중의원 최연소 당선자의 계보는 오자와 이치로(32회, 당시 27세, 現 19선) - 우에다 시게루(33회, 당시 25세 7개월, 前 초선) - 나카무라 기시로(34회, 당시 27세, 前 15선) - 후나다 하지메(35-36-37회, 당시 25세 5개월, 現 14선) - 이시바 시게루(38회, 당시 29세, 現 13선)-아카기 노리히코(39회, 당시 30세, 前 6선)-우사미 노보루(40회, 당시 26세, 前 재선)-후루카와 모토히사(41회, 당시 30세, 現 10선)-하라 요코(42회, 당시 25세 4개월, 사상 최연소, 前 초선)-테라다 마나부(43회, 당시 27세 現 7선)-스기무라 다이조(44회, 당시 26세, 前 초선)-오타 가즈미(44회, 당시 26세, 前 3선, 現 카시와시장)-마쓰오카 히로타카(45회, 당시 27세, 前 초선)-이마에다 소이치로(46회, 당시 28세, 現 5선)-스즈키 다카코(46회, 당시 27세, 現 5선)-바바 유키(49회, 당시 29세, 現 재선)-오조라 고키(50회, 당시 25세 11개월, 現 초선)[8]으로 이어지는 중이다. 이들 중 친족의 기반을 이어 출마한 세습 의원(오자와, 나카무라, 후나다, 이시바, 아카기, 테라다, 스즈키)이나 역량이 뛰어난 이들(후루카와, 오타, 이마에다) 말고는 대부분 시류를 잘 타고 당선된 기반도 없는 청년들이라 대부분 초선 이후로는 당선되지 못하고 있지만, 최연소 국회의원을 해봤기 때문에 계속 선거에 나오는 이들이 많다. 스즈키 다카코(1986년생, 스즈키 무네오의 딸) 이래 중의원에 이 이상 어린 당선자가 나오지 않아 근 8년간 최연소 의원이다가,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통해 최초의 헤이세이 출생 중의원 의원이 2명 나왔다. 각각 도쿄 13구의 츠치다 신(자민, 90년생)과 비례 도호쿠의 바바 유키(입민, 92년생)이다. 그러다 2024년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도쿄 15구의 오조라 고키(자민, 98년생) 후보가 당선되면서 최초로 20세기 마지막 태생의 중의원이 탄생하였다.
참고로 태평양 전쟁 패전 이전에는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에 선거구가 설정되어있지 않아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지만[9] 식민지인이였던 조선인(조선적)과 대만인(대만적)도 일본(내지)에 1년 이상 거주했다면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졌다. 조선인인 박춘금이 이런 식으로 태평양 전쟁 패전 이전에 중의원 의원에 당선된 바 있다.
아베 신조 내각은 선거법을 추가 개정하여 중의원 피선거권도 20세, 통일지방선거 피선거권은 18세로 내릴 계획이다. 대략 2023년 시행을 목표로 준비중이다. 그러나 2020년 9월 16일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의 사임에 따라 내각이 사퇴하면서 시행될지는 미지수이다.
3.2. 임기
임기는 4년이다. 하지만 내각총리대신이 중의원 해산을 시전하면 즉시 임기가 종료되고 해산일로부터 40일 이내에 중의원 의원 총선거가 시행된다. 중의원이 임기를 꽉 채웠던 경우는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 이후 1976년 딱 한 번밖에 없고[10] 1890년부터 보면[11] 총 다섯 번이다. 대체로 총리가 여론의 추이를 지켜본 뒤 임기 만료 이후보다 지금 당장 총선을 할 경우 여당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할 때(대략 3년차)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거로 몰고 가는 경우가 많다. 다만 총선에서 망할걸 감수하고 여론의 압박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해산하는 경우도 있는데 1980년, 1983년, 2009년, 2012년 총선이 이런식으로 치러졌다.3.3. 정수 및 선출 방법
2024년 기준 총 의석 수는 465석으로, 소선거구제 지역구 의석 289석[12]과 석패율제를 채택한 권역별 비례대표 의석 176석으로 이루어져 있다.[13] 석패율제 비례대표가 시행됨에 따라 지역구 후보자의 비례대표 중복 출마가 허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구에서 낙선해도 비례대표 선거 결과에 따라 구제받아 비례대표로 당선될 수 있다.[14] 일본 중의원 총선 비례대표는 한국의 총선과 달라서 전국 단위 비례대표제가 아니라 홋카이도, 도쿄, 규슈, 긴키 등 지역별로 비례대표 선거구를 나누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이다.의원 정수를 늘리지 않고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의 선거구를 뜯어고친 결과 게리맨더링이 매우 심한 편이다. 시정촌을 둘로 쪼개서 각각 다른 선거구로 꿔주는 경우는 다반사고 지역의 일부 마을만 뜯어서 타 선거구로 넘기는 경우도 빈번하다. 게리맨더링이 심한 이유는, 일본 최고재판소에서 정한 일본 지역구 국회의원의 최소:최대 인구비가 1:2인 상황에서 도도부현당 지역구를 최소 2석씩 할당하면서 지역구의 총 의석 수를 최소한도로 잡기 위해서이다. 선거구의 인구를 책정하는 기준도 한국의 경우처럼 기준일의 주민등록상의 내국인 총인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유권자 수를 기준으로 정하며,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구[15]의 2배를 기준으로 하여 도쿄도 구부 지역은 2배를 꽉 채우는 경우가 많고, 돗토리나 시마네 같은 촌 지역은 1배에 가까운 경우가 많다.
3.4. 권한
일본 헌법상 양원의 권한은 원칙적으로 동등하나, 헌법개정 등 일부 사항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중의원이 참의원보다 의사결정에서 우위를 점한다. 중의원이 가결한 법률안이 참의원에서 부결되거나 60일 이내에 참의원이 의사결정을 하지 않는 경우 중의원에서 출석의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재의결하면 바로 천황의 공포를 통해 법률로 확정된다. 또한 총리 지명(일본국 헌법 제67조)[16] 및 예산안 의결(제60조), 조약 비준 동의(제61조)에 대해서는 양원의 의결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의결 절차 없이 중의원의 의결을 국회의 의결로 한다. 그리고 내각을 무너뜨릴 수 있는 내각불신임 결의 역시 중의원만이 가능하다(제69조). 그러나 개헌은 양원 각각 총의원 2/3 이상이 찬성해야 국민투표를 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양원이 동등한 권한을 가진다.중의원이 참의원보다 우위를 갖고 권한이 큰 것은 일본 국회의 기원인 서구 의회, 특히 영국 의회의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다. 영국은 하원인 서민원(House of Commons)이 상원인 귀족원(House of Lords)에 비해 극단적으로 큰 권한을 가지는 체제로, 상원의원은 사실상 명예직에 가까운 반면 하원의원이 거의 모든 실권을 갖는다.[17] 이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구체제 귀족의 대표인 상원보다는 시민의 대표인 하원이 절대적으로 정당성과 우위를 갖는다는 원칙 때문인데, 패전 이후 화족 시스템이 사라진 일본도 여전히 양원제를 고수하면서 하원인 중의원이 상원인 참의원보다 큰 권한을 갖도록 설정해 놓았다.
이렇듯 중의원은 규정상으로는 참의원보다 우위이나, 실제 정치에선 중의원 다수당(여당)이 참의원에서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면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일단 중의원에서 2/3를 차지하는 것도 상당히 어렵고, 단독이든 연립이든 중의원의 2/3를 점하고 있더라도 마냥 밀어붙였다가는 다수당(여당)이 참의원을 쌩깐다는 여론의 질타를 받을 수 있어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된다. 물리적으로도 참의원이 법률안을 쥐고 질질 끌 수 있는 최소시간 60일을 기다려야 한다. 그래도 여튼 의원내각제 국가인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선거가 중의원 의원 총선거라고 볼 수 있다.[18]
패전 이전의 중의원은 당시의 상원이었던 귀족원보다 권한이 강하다고 할 수는 없었다. 현재와 달리 중의원에서 통과된 법안이 귀족원에서 부결되면 그걸로 끝이었다. 또한 당시 일본은 의원내각제가 확립되지 않아 내각은 중의원이 신임해주는 게 아니라 천황이 신임해주는 것이었고, 물론 내각 구성원도 중의원 의원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또한 당시 정부의 요직을 차지한 자들이 화족으로서 많은 수가 당연직 귀족원 의원이기도 했으므로 중의원과의 파워 게임에서 밀리지 않거나 우위에 있을 수 있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절에는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중의원 제1당 당수가 총리로 선출되고 내각을 구성하는 등(정당내각) 의원내각제적인 정치가 시행되기 시작해 귀족원의 위상이 어느 정도 내려갔지만, 이는 헌법과 같은 견고한 제도적 장치로 지지되는 것이 아니었고 기반도 취약했다.
3.4.1. 안정다수
국회법상으론 제1당이 과반 의석만 차지하면 총리를 배출할 수 있으나 아래 제시할 의석수 이상을 가지면 더욱 더 원활한 중의원 운영이 가능하다.※ 총원 465석
- 단순 과반: 단독으로 내각을 꾸릴 수 있는 최저 의석수이자 제1당이 본회의에서 법안을 가결시킬 수 있는 의석수 (233석)
- 안정 다수: 제1당이 모든 상임위원회에서 위원 절반을 확보할 수 있는 의석수 (244석)
- 절대 안정 다수: 모든 상임위원회에서 제1당의 위원이 과반을 점유하고 또한 가부동수일 때 최종 결정권을 가지는 위원장직을 독점하여 가부동수와 무관하게 제1당의 뜻대로 중의원을 운영할 수 있는 의석수 (261석)
- 압도적 다수(⅔선): 헌법 개정안 발의[19], 국회의원 제명[20], 회의 비공개[21] 등의 필요 요건이며 참의원 부결 법안을 재가결시킬 수 있는 의석수 (310석)
3.5. 표결
중의원은 어지간한 사안은 본회의에서도 기립 표결이나 거수 표결을 통해 찬반 다수만 가린다. 참의원에서 재심의하기 때문에 중의원에서는 찬반 다수만 가리면 된다. 중요한 사안들을 지정해서 투표를 할 때도 있긴 한데 대한민국 국회처럼 전자투표를 매번 하거나 그러지는 않는다. 어지간한 사안들은 기립한 사람 수를 세어서 재적 과반수가 되는 순간 표결을 종료(착석요구)하고 가결처리한다. 참의원도 각 상임위원회에서는 찬반 다수만 가리고 본회의에서만 투표한다.그래서 일본 국회 절차를 보다 보면 상임위원장이나 중의원 의장이 이런 말만 한다.
OO안건은 찬성 다수로 가결되었습니다.
또는
XX안건은 찬성 소수로 부결되었습니다.
또는
XX안건은 찬성 소수로 부결되었습니다.
즉 찬성은 몇 표이고, 반대는 몇 표인지는 알려주지 않고 결과만 공표한다는 얘기이다.[22] 이것은 영연방 의회의 특징이기도 하다.[23] TPP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무역/통상 조약에서도 중의원에서는 찬성 다수라고만 말하고 가결 처리한다.
4. 중의원 해산
자세한 내용은 중의원 해산 문서 참고하십시오.5. 역대 선거
자세한 내용은 중의원 의원 총선거 문서 참고하십시오.6. 역대 중의원 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제국의회 중의원 의장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초대 나카지마 노부유키 | 제2대 호시 토오루 | 제3-5대 쿠스모토 마사타카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제3-5대 쿠스모토 마사타카 | 제6대 하토야마 가즈오 | 제7-10대 카타오카 겐키치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제7-10대 카타오카 겐키치 | 제11대 고노 히로나카 | 제12대 마츠다 마사히사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제13대 스기타 데이이치 | 제14·17대 하세바 스미타카 | 제15·16·20대 오오카 이쿠조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
제14·17대 하세바 스미타카 | 제18·21대 오쿠 시게사부로 | 제19대 시마다 사부로 | 제15·16·20대 오오카 이쿠조 | |
제14대 | 제15대 | |||
제18·21대 오쿠 시게사부로 | 제22·23대 카스야 기조 | 제24대 모리타 시게루 | ||
제16대 | 제17대 | |||
제25대 모토다 하지메 | 제26대 가와하라 모스케 | 제27대 호리키리 센베에 | 제28대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제29대 나카무라 게이지로 | 제30대 아키타 기요시 | 제31대 하마다 쿠니마츠 | 제32대 도미타 고지로 | |
제20대 | 제21대 | |||
제33대 코야마 쇼쥬 | 제34대 다코 이치민 | 제35대 오카다 타다히코 | 제36대 시마다 도시오 | |
제22대 | ||||
제37대 히가이 센조 | 제38대 야마사키 다케시 | |||
일본 국회 중의원 의장 | ||||
제23대 | 제24대 | |||
제39대 마쓰오카 고마키치 | 제40대 시데하라 기주로 | 제41대 하야시 조지 | 제42·43대 오노 반보쿠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
제42·43대 오노 반보쿠 | 제44대 쓰쓰미 야스지로 | 제45대 마쓰나가 토오 | 제46대 마스타니 슈지 | |
제28대 | 제29대 | |||
제47대 호시시마 니로 | 제48대 가토 료고로 | 제49·50대 기요세 이치로 | ||
제30대 | 제31대 | |||
제51·56대 후나다 나카 | 제52대 야마구치 기쿠이치로 | 제53대 아야베 겐타로 | 제54대 이시이 미쓰지로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제55대 마쓰다 다케치요 | 제51·56대 후나다 나카 | 제57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 제58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제59대 호리 시게루 | 제60·61대 나다오 히로키치 | 제62대 후쿠다 하지메 | ||
제37대 | 제38대 | |||
제63대 후쿠나가 겐지 | 제64대 사카타 미치타 | 제65대 하라 켄자부로 | 제66대 타무라 하지메 |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제67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제68대 도이 다카코 | 제69대 이토 소이치로 | 제70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제71·72대 고노 요헤이 | 제73대 요코미치 다카히로 | 제74대 이부키 분메이 |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
제75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 제76·77대 오시마 다다모리 | 제78대 호소다 히로유키 | ||
제49대 | 제50대 | |||
제79·80대 누카가 후쿠시로 | }}}}}}}}}}}}}}} |
기수 | 대수 | 이름 | 임기 | 선출 당시 정당 | 퇴임사유 |
1 | 1 | 나카지마 노부유키 | 1890년 11월 26일 ~ 1891년 12월 25일 | 입헌자유당 | 해산 |
2 | 2 | 호시 토오루 | 1892년 5월 3일 ~ 1893년 12월 13일 | 자유당 | 제명 |
3 | 쿠스모토 마사타카 | 1893년 12월 15일 ~ 1893년 12월 30일 | 동맹구락부 | 해산 | |
3 | 4 | 1894년 5월 12일 ~ 1894년 6월 2일 | 입헌혁신당 | 해산 | |
4 | 5 | 1894년 10월 15일 ~ 1896년 6월 8일 | 퇴직 | ||
6 | 하토야마 카즈오 | 1896년 12월 22일 ~ 1897년 12월 25일 | 진보당 | 해산 | |
5 | 7 | 카타오카 켄키치 | 1898년 5월 15일 ~ 1898년 6월 10일 | 입헌정우회 | 해산 |
6 | 8 | 1898년 11월 9일 ~ 1902년 12월 7일 | 임기만료 | ||
7 | 9 | 1902년 12월 7일 ~ 1902년 12월 28일 | 해산 | ||
8 | 10 | 1903년 5월 9일 ~ 1903년 10월 31일 | 사망 | ||
11 | 코노 히로나카 | 1903년 12월 5일 ~ 1903년 12월 11일 | 헌정당 | 해산 | |
9 | 12 | 마츠다 마사히사 | 1904년 3월 18일 ~ 1906년 1월 19일 | 입헌정우회 | 사퇴 |
13 | 스기타 테이이치 | 1906년 1월 23일 ~ 1908년 12월 23일 | 임기만료 | ||
10 | 14 | 하세바 스미타카 | 1908년 12월 23일 ~ 1911년 9월 6일 | 사퇴 | |
15 | 오오카 이쿠조 | 1911년 12월 24일 ~ 1912년 8월 21일 | 임기만료 | ||
11 | 16 | 1912년 8월 21일 ~ 1914년 3월 6일 | 사퇴 | ||
17 | 하세바 스미타카 | 1914년 3월 7일 ~ 1914년 3월 15일 | 사망 | ||
18 | 오쿠 시게사부로 | 1914년 3월 17일 ~ 1914년 12월 25일 | 해산 | ||
12 | 19 | 시마다 사부로 | 1915년 5월 17일 ~ 1917년 1월 25일 | 입헌동지회 | 해산 |
13 | 20 | 오카 이쿠조 | 1917년 6월 21일 ~ 1920년 2월 26일 | 입헌정우회 | 해산 |
14 | 21 | 오쿠 시게사부로 | 1920년 6월 29일 ~ 1923년 2월 16일 | 사퇴 | |
22 | 카스야 기조 | 1923년 2월 17일 ~ 1924년 1월 31일 | 해산 | ||
15 | 23 | 1924년 6월 26일 ~ 1927년 3월 25일 | 사퇴 | ||
24 | 모리타 시게루 | 1927년 3월 26일 ~ 1928년 1월 21일 | 헌정회 | 해산 | |
16 | 25 | 모토다 하지메 | 1928년 4월 20일 ~ 1929년 3월 14일 | 입헌정우회 | 해산 |
26 | 카와하라 모스케 | 1929년 3월 15일 ~ 1929년 5월 19일 | 사망 | ||
27 | 호리키리 젠베에 | 1929년 12월 23일 ~ 1930년 1월 21일 | 해산 | ||
17 | 28 |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 1930년 4월 21일 ~ 1931년 4월 13일 | 입헌민정당 | 사퇴 |
29 | 나카무라 케이지로 | 1931년 12월 23일 ~ 1932년 1월 21일 | 해산 | ||
18 | 30 | 아키타 키요시 | 1932년 3월 18일 ~ 1934년 12월 13일 | 입헌정우회 | 사퇴 |
31 | 하마다 쿠니마츠 | 1934년 12월 24일 ~ 1936년 1월 21일 | 해산 | ||
19 | 32 | 토미타 코지로 | 1936년 5월 1일 ~ 1937년 3월 31일 | 입헌민정당 | 해산 |
20 | 33 | 코야마 쇼쥬 | 1937년 7월 23일 ~ 1941년 12월 22일 | 사퇴 | |
34 | 타코 이치민 | 1941년 12월 24일 ~ 1942년 5월 25일 | 익찬의원동맹 | 임기만료 | |
21 | 35 | 오카다 타다히코 | 1942년 5월 25일 ~ 1945년 4월 9일 | 익찬정치회 | 사직 |
36 | 시마다 토시오 | 1945년 6월 8일 ~ 1945년 12월 18일 | 대일본정치회 | 해산 | |
22 | 37 | 히가이 센조 | 1946년 5월 22일 ~ 1946년 8월 23일 | 일본자유당 | 사퇴 |
38 | 야마자키 타케시 | 1946년 8월 23일 ~ 1947년 3월 31일 | 일본자유당[24] | 해산 | |
중의원 의장 | |||||
(전략) | |||||
43 | 71 | 고노 요헤이 | 2003년 11월 19일 ~ 2005년 8월 8일 | 자유민주당 | 해산 |
44 | 72 | 2005년 9월 21일 ~ 2009년 7월 21일 | 자유민주당 | 해산 | |
45 | 73 | 요코미치 타카히로 | 2009년 9월 16일 ~ 2012년 11월 16일 | 민주당 | 해산 |
46 | 74 | 이부키 분메이 | 2012년 12월 26일 ~ 2014년 11월 21일 | 자유민주당 | 해산 |
47 | 75 | 마치무라 노부타카 | 2014년 12월 24일 ~ 2015년 4월 21일 | 자유민주당 | 사임 |
76 | 오시마 다다모리 | 2015년 4월 21일 ~ 2017년 9월 28일 | 자유민주당 | 해산 | |
48 | 77 | 2017년 11월 1일 ~ 2021년 10월 14일 | 자유민주당 | 해산 | |
49 | 78 | 호소다 히로유키 | 2021년 11월 10일 ~ 2023년 10월 20일 | 자유민주당 | 사임 |
79 | 누카가 후쿠시로 | 2023년 10월 20일 ~ 2024년 10월 9일 | 자유민주당 | 해산 |
7. 위원회
상임위원회 | 특별위원회 | 심사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내각위원회 | 재해대책특별위원회 | 헌법심사회 | ||
총무위원회 | 정치윤리의 확립 및 공직선거법개정에 관한 특별위원회 | 정보감시심사회 | |||
법무위원회 | 오키나와 및 북방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 정치윤리심사회 | |||
외무위원회 |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 등에 관한 특별위원회 | ||||
재무금융위원회 | 청소년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 ||||
문부과학위원회 | 소비자 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 ||||
후생노동위원회 | 과학 기술 · 이노베이션 추진 특별위원회 | ||||
농림수산위원회 | 동일본 대지진 부흥 특별위원회 | ||||
경제산업위원회 | 원자력 문제 조사 특별위원회 | ||||
국토교통위원회 | 지방 창생에 관한 특별위원회 | ||||
환경위원회 | |||||
안전보장위원회 | |||||
국가기본정책위원회 | |||||
예산위원회 | |||||
결산행정감시위원회 | |||||
의원운영위원회 | |||||
징벌위원회 | }}}}}}}}} |
부설기관 | |
사무국 | 법제국 |
7.1. 현직 위원장 명단
중의원 상임위원장·특별위원장·심사회장 명단 (2024년 11월 15일 기준) | ||
위원회·심사회 | 위원장·회장 | 정당 |
상임위원회 | ||
내각위원회 | 호시노 츠요시 | |
총무위원회 | 다케우치 유즈루 | |
법무위원회 | 니시무라 지나미 | |
외무위원회 | 가쓰마타 다카아키 | |
재무금융위원회 | 쓰시마 준 | |
문부과학위원회 | 타노세 타이도 | |
후생노동위원회 | 신타니 마사요시 | |
농림수산위원회 |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 |
경제산업위원회 | 미야자키 마사히사 | |
국토교통위원회 | 나가사카 야스마사 | |
환경위원회 | 곤도 쇼이치 | |
안전보장위원회 | 엔도 다카시 | |
국가기본정책위원회 | 이즈미 겐타 | |
예산위원회 | 아즈미 준 | |
결산행정감시위원회 | 스즈키 요시히로 | |
의원운영위원회 | 하마다 야스카즈 | |
징벌위원회 | 기쿠타 마키코 | |
특별위원회 | ||
동일본 대지진 부흥·방재·재해 대책에 관한 특별위원회 | 고토 시게유키 | |
정치개혁에 관한 특별위원회 | 와타나베 슈 | |
오키나와 및 북방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 오사카 세이지 | |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 등에 관한 특별위원회 | 마키 요시오 | |
소비자 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 우라노 야스토 | |
원자력 문제 조사 특별위원회 | 에토 아키노리 | |
지역 활성화·어린이 정책·디지털 사회 형성에 관한 특별위원회 | 다니 고이치 | |
심사회 | ||
헌법심사회 | 에다노 유키오 | |
정보감시심사회 | 이토 다쓰야 | |
정치윤리심사회 | 다나카 카즈노리 |
8. 의원 목록
현재 중의원의 총 정수는 465명으로 이중 지역구의원은 289명, 광역구 비례대표는 176명이 있다.8.1. 홋카이도
홋카이도의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홋카이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2028년 개선 | |||||
다카하시 하루미 | 가쓰베 겐지 | 이와모토 쓰요히토 | 하세가와 가쿠 | 도쿠나가 에리 | 후나하시 도시미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구 | 2구 | 3구 | 4구 | 5구 | |
미치시타 다이키 | 마쓰키 겐코 | 아라이 유타카 | 오쓰키 구레하 | 이케다 마키 | ||
6구 | 7구 | 8구 | 9구 | 10구 | ||
아즈마 구니요시 | 스즈키 다카코 | 오사카 세이지 | 야마오카 다쓰마루 | 가미야 히로시 | ||
11구 | 12구 | |||||
이시카와 가오리 | 다케베 아라타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시노다 나오코 | 이토 요시타카 | 니시카와 마사히토 | 나카무라 히로유키 | 사토 히데미치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
가와하라다 에이세이 | 무코야마 준 | 우스키 히데타케 | ||||
[🗺️중원선 선거구 지도 보기] | }}}}}}}}}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8.2. 도호쿠
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이와테현 선거구 | 미야기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다키사와 모토메 | 요코사와 다카노리 | 이시가키 노리코 | ||
2028년 개선 | ||||
다나부 마사요 | 기도구치 에이지 | 사쿠라이 미쓰루 | ||
아키타현 선거구 | 야마가타현 선거구 | 후쿠시마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테라다 시즈카 | 하가 미치야 | 모리 마사코 | ||
2028년 개선 | ||||
이시이 히로오 | 후나야마 야스에 | 호시 호쿠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오모리 1구 | 아오모리 2구 | 아오모리 3구 | 이와테 1구 | 이와테 2구 |
쓰시마 준 | 간다 준이치 | 오카다 하나코 | 시나 다케시 | 스즈키 슌이치 | |
이와테 3구 | 미야기 1구 | 미야기 2구 | 미야기 3구 | 미야기 4구 | |
오자와 이치로 | 오카모토 아키코 | 가마타 사유리 | 야나기사와 쓰요시 | 아즈미 준 | |
미야기 5구 | 아키타 1구 | 아키타 2구 | 아키타 3구 | 야마가타 1구 | |
오노데라 이쓰노리 | 도가시 히로유키 | 미도리카와 다카시 | 무라오카 도시히데 | 엔도 도시아키 | |
야마가타 2구 | 야마가타 3구 | 후쿠시마 1구 | 후쿠시마 2구 | 후쿠시마 3구 | |
스즈키 노리카즈 | 가토 아유코 | 가네코 에미 | 겐바 고이치로 | 오구마 신지 | |
후쿠시마 4구 | |||||
사카모토 류타로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에토 아키노리 | 바바 유키 | 모리시타 치사토 | 데라다 마나부 | 기쿠치 다이지로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후쿠하라 준지 | 쇼지 겐이치 | 마스타 세키오 |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 사와라 와카코 | |
비례 11 | 비례 12 | ||||
사이토 유키 | 네모토 다쿠 | ||||
※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8.3. 기타칸토
기타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바라키현 선거구 | 도치기현 선거구 | 군마현 선거구 | 사이타마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고즈키 료스케 | 다카하시 가쓰노리 | 시미즈 마사토 | 후루카와 도시하루 | 구마가이 히로토 | ||
오누마 다쿠미 | 야쿠라 가쓰오 | 이토 가쿠 | ||||
2028년 개선 | ||||||
가토 아키요시 | 우에노 미치코 | 나카소네 히로후미 | 세키구치 마사카즈 | 우에다 기요시 | ||
도고미 마키코 | 니시다 마코토 | 다카기 마리 |
8.4. 도쿄
도쿄도의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도쿄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2028년 개선 | |||||
공석 | 야마구치 나쓰오 | 키라 요시코 | 아사히 겐타로 | 다케야 도시코 | 야마조에 타쿠 | |
시오무라 아야카 | 공석 | 다케미 게이조 | 공석 | 이쿠이나 아키코 | 야마모토 타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구 | 2구 | 3구 | 4구 | 5구 |
가이에다 반리 | 쓰지 기요토 | 이시하라 히로타카 | 다이라 마사아키 | 데즈카 요시오 | |
6구 | 7구 | 8구 | 9구 | 10구 | |
오치아이 다카유키 | 마츠오 아키히로 | 요시다 하루미 | 야마기시 잇세이 | 스즈키 하야토 | |
11구 | 12구 | 13구 | 14구 | 15구 | |
아쿠쓰 유키히코 | 다카기 게이 | 쓰치다 신 | 마쓰시마 미도리 | 사카이 나츠미 | |
16구 | 17구 | 18구 | 19구 | 20구 | |
오니시 요헤이 | 히라사와 가쓰에이 | 후쿠다 가오루 | 스에마쓰 요시노리 | 기하라 세이지 | |
21구 | 22구 | 23구 | 24구 | 25구 | |
오카와라 마사코 | 야마하나 이쿠오 | 이토 슌스케 | 하기우다 고이치 | 이노우에 신지 | |
26구 | 27구 | 28구 | 29구 | 30구 | |
마쓰바라 진 | 나가쓰마 아키라 | 다카마쓰 사토시 | 오카모토 미쓰나리 | 이가라시 에리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안도 다카오 | 스즈키 요스케 | 마도카 요리코 | 이토 다쓰야 | 마쓰시타 레이코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가사이 고이치 | 아베 쓰카사 | 마쓰모토 요헤이 | 다무라 도모코 | 모리 요스케 | |
비례 11 | 비례 12 | 비례 13 | 비례 14 | 비례 15 | |
구시부치 마리 | 아리타 요시후 | 오조라 고키 | 아베 유미코 | 하토야마 기이치로 | |
비례 16 | 비례 17 | 비례 18 | 비례 19 | ||
나가시마 아키히사 | 오모리 에리코 | 시바타 가쓰유키 | 이노쿠치 사치코 | ||
※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중원선 선거구 지도 보기] | }}}}}}}}}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8.5. 미나미칸토
미나미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치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치바현 선거구 | 가나가와현 선거구 | 야마나시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이시이 준이치 | 나가하마 히로유키 | 공석 | 마키야마 히로에 | 모리야 히로시 | ||
도요카 도시로 | 사사키 사야카 | 미즈노 모토코 | ||||
2028년 개선 | ||||||
우스이 쇼이치 | 이노구치 구니코 | 미하라 준코 | 마쓰자와 시게후미 | 나가이 마나부 | ||
고니시 히로유키 | 미우라 노부히로 | 아사오 게이이치로 |
8.6. 호쿠리쿠신에쓰
8.7. 도카이
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후현 선거구 | 시즈오카현 선거구 | 아이치현 선거구 | 미에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오노 야스타다 | 마키노 다카오 | 사카이 야스유키 | 요시카와 유미 | |||
신바 가즈야 | 다지마 마이코 | 야스에 노부오 | ||||
2028년 개선 | ||||||
와타나베 다케유키 | 와카바야시 요헤이 | 후지카와 마사히토 | 사토미 류지 | 야마모토 사치코 | ||
히라야마 사치코 | 사이토 요시타카 | 이토 다카에 |
8.8. 긴키
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가현 선거구 | 교토부 선거구 | 오사카부 선거구 | 효고현 선거구 | 나라현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가다 유키코 | 니시다 쇼지 | 우메무라 미즈호 | 공석 | 시미즈 다카유키 | 다카하시 미쓰오 | 호리이 이와오 | 공석 | ||
구라바야시 아키코 | 스기 히사타케 | 오타 후카에 | 가다 히로유키 | ||||||
2028년 개선 | |||||||||
고야리 다카시 | 요시이 아키라 | 다카기 가오리 | 마쓰카와 루이 | 가타야마 다이스케 | 스에마쓰 신스케 | 사토 게이 | 쓰루호 요스케 | ||
후쿠야마 데쓰로 | 아사다 히토시 | 이시카와 히로타카 | 이토 다카에 | ||||||
※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8.9. 주고쿠
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돗토리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카야마현 선거구 | 히로시마현 선거구 | 야마구치현 선거구 | |||
<colbgcolor=#a0a0a0,#5f5f5f> 2025년 개선 | ||||||
마이타치 쇼지 | 이시이 마사히로 | 모리모토 신지 | 미야구치 하루코 | 기타무라 쓰네오 | ||
2028년 개선 | ||||||
아오키 가즈히코 | 오노다 키미 | 미야자와 요이치 | 미카미 에리 | 에지마 기요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돗토리 1구 | 돗토리 2구 | 시마네 1구 | 시마네 2구 | 오카야마 1구 |
이시바 시게루 | 아카자와 료세이 | 가메이 아키코 | 타카미 야스히로 | 아이사와 이치로 | |
오카야마 2구 | 오카야마 3구 | 오카야마 4구 | 히로시마 1구 | 히로시마 2구 | |
야마시타 다카시 | 가토 가쓰노부 | 유노키 미치요시 | 기시다 후미오 | 히라구치 히로시 | |
히로시마 3구 | 히로시마 4구 | 히로시마 5구 | 히로시마 6구 | 야마구치 1구 | |
사이토 데쓰오 | 소라모토 세이키 | 사토 고지 | 고바야시 후미아키 | 고무라 마사히로 | |
야마구치 2구 | 야마구치 3구 | ||||
기시 노부치요 | 하야시 요시마사 | ||||
<rowcolor=#fff>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신타니 마사요시 | 히라오카 히데오 | 히라누마 쇼지로 | 히라바야시 아키라 | 이시바시 린타로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후쿠다 겐 | 쓰무라 게이스케 | 요시다 신지 | 테라다 미노루 | 아즈마 가쓰야 |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8.10. 시코쿠
시코쿠 지방의 국회의원 도쿠시마현, 카가와현, 에히메현, 고치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카가와현 선거구 | 에히메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히로타 하지메 | 미야케 신고 | 나가에 다카코 | ||
2028년 개선 | ||||
나카니시 유스케 | 이소자키 요시히코 | 야마모토 준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도쿠시마 1구 | 도쿠시마 2구 | 카가와 1구 | 카가와 2구 | 카가와 3구 |
니키 히로부미 | 야마구치 슌이치 | 오가와 준야 | 다마키 유이치로 | 오노 게이타로 | |
에히메 1구 | 에히메 2구 | 에히메 3구 | 고치 1구 | 고치 2구 | |
시오자키 아키히사 | 시라이시 요이치 | 하세가와 준지 | 나카타니 겐 | 오자키 마사나오 | |
<rowcolor=#fff>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 다카하시 에이 | 히라이 다쿠야 | 이시이 도모에 | 야마사키 마사야스 | |
<rowcolor=#fff> 비례 6 | |||||
세토 다카카즈 | }}}}}}}}}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8.11. 규슈
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후쿠오카현 선거구 | 사가현 선거구 | 나가사키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마쓰야마 마사지 | 시모노 로쿠타 | 노다 구니요시 | 야마시타 유헤이 | 고가 유이치로 | ||
2028년 개선 | ||||||
오이에 사토시 | 고가 유키히토 | 아키노 고조 | 후쿠오카 다카마로 | 야마모토 게이스케 | ||
구마모토현 선거구 | 오이타현 선거구 | 미야자키현 선거구 | 가고시마현 선거구 | 오키나와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바바 세이시 | 시라사키 아키 | 나가미네 마코토 | 오쓰지 히데히사 | 다카라 데쓰미 | ||
2028년 개선 | ||||||
마쓰무라 요시후미 | 고쇼 하루토모 | 마쓰시타 신페이 | 노무라 데쓰로 | 이하 요이치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9. 둘러보기
[[일본/정치| 일본국 ]] 국가기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행정 | 내각총리대신 직속기관 · 중앙성청 · 회계검사원 | |
내각총리대신 · 국무대신 | |||
입법 | 중의원 · 중의원 의장 · 중의원 부의장 · 중의원 의원 | ||
참의원 · 참의원 의장 · 참의원 부의장 · 참의원 의원 | |||
사법 | 최고재판소 · 최고재판소장관 · 최고재판소재판관 | ||
고등재판소 · 지방재판소 · 가정재판소 · 간이재판소 | }}}}}}}}} |
[사무국] [2] 자유민주당 190석+무소속 6석[3] 입헌민주당 147석+사회민주당 1석[4] 무소속 4석[의장] 중의원 의장과 부의장은 당적은 그대로 유지하나 원내 회파에는 소속되지 않는다.[의장] [7] 참고로 개정된 선거법에서 18세, 19세 국민들이 투표하게 된 첫 선거는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이러한 것과는 달리 성년 연령도 똑같이 18세로 낮추는 민법 개정은 7년 후인 2022년 4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기사[8] 하라 요코가 당선 당시 만 25세 4개월, 오조라 고키가 당선 당시 만 25세 11개월로 역대 최연소는 하라 요코다.[9] 1945년 일본의 패전 직전에 조선과 대만에 선거구가 설정되어서 1946년부터 조선 선거구 중의원 의원 23명, 대만 선거구 중의원 의원 5명을 선출하도록 하는 선거법 수정안이 제국의회를 통과했다. 하지만 얼마 못 가 일본이 항복함에 따라 조선과 대만이 일본의 통치를 벗어나서 실제로 선거가 치러진 적은 없다.[10] 이것도 당시 총리였던 미키 다케오가 해산하려다가 타이밍을 놓쳐서 얼떨결에 임기가 만료되어 버린 일종의 해프닝. 정상적으로 임기를 만료하는 게 해프닝이라니 이후 스가 요시히데도 지지율 때문에 해산 시점을 잡지 못하고 후임 기시다 후미오가 취임 열흘 만에 해산 선언을 하여 다르면서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 사실상 기시다가 중의원 해산을 대신해준 셈이며, 이 때문에 48대 중의원도 거의 임기를 다 채웠다. 때문에 기시다는 총리 취임 후 중의원 해산을 하는 시점이 가장 일렀다는 신기록을 세웠지만, 후임자 이시바 시게루가 취임 8일만에 의회를 해산하며 그 기록을 깬다. 그리고 폭망했다.[11] 1902년, 1908년, 1912년, 1942년.[12] 선거 때마다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많다. 기준은 가장 인구가 적은 선거구를 기준으로 2배수까지 선거구를 구성하는데 보통 돗토리현 제1구 또는 돗토리현 제2구를 기준으로 한다.[13] 1993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까지는 중대선거구제를 시행했다.[14] 간 나오토 전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이 2012년 12월 16일 총선에서 자유민주당 후보한테 털려서 지역구에서는 낙선했지만, 석패율 비례대표로 당선됐다.[15] 돗토리 1구 또는 2구가 기준이 된다.[16] 내각총리대신(총리)은 국회의원(참의원과 중의원 모두 해당) 중에서 선출하는데, 양원이 각각 선출절차를 거치며 만약 양원이 서로 다른 인물을 총리로 지명하였을 경우에는 중의원이 지명한 인물을 총리로 임명한다.[17] 2000년대 초반까지는 그나마 상원의원들이 영국 최고법원의 법관을 겸했으나, 별도의 최고법원이 신설되면서 그마저도 없어졌다.[18] 대통령 중심제로 치자면 총선과 대선 역할을 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19] 일반적인 법률은 국회의원 과반 찬성으로 법이 제정되는 것과 달리, 개헌은 각 원의 2/3 이상 찬성을 얻어 의결해 최종적으로 국민투표를 거쳐야 한다.[20] 이 경우 참/중의원이 각각 소속 의원을 제명한다.[21] 일본어로 '비밀회'라고 하며, 원래 공개가 원칙인 본회의와 상임위를 모두 비공개로 열 수 있다.[22] 한국과는 다른 점이다. 한국 국회는 재적 몇 명에 재석 몇 명, 찬성(가) 몇 명에 반대(부) 몇 명, 기권 몇 명까지 공표된다. 반면 일본 중의원은 그런 거 없이 그냥 찬성 다수로 가결 아니면 찬성 소수로 부결이라고만 공표된다.[23] 정작 영국 의회에서는 찬성-반대 의원수를 의장이 모두 공표한다. 웨스트민스터 궁전 내 하원 회의장을 반으로 갈라 찬성 측은 의장의 오른쪽에, 반대 측은 의장의 왼쪽에 모이도록 하고 여-야에서 각 2명씩 차출한 감표위원들이 찬성 및 반대 측 의원들의 머릿수를 하나하나 세어 의장에게 보고하는 방식.[24] 임기도중 자유당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