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be00,#ffb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1-3대 오쓰카 고헤이 마에하라 세이지 | 4대 오쓰카 고헤이 | 5대 후루카와 모토히사 |
◀ 국민민주당(2018년) 대표대행 |
| ||||
제41대 아오키 히로유키 | → | 제42~50대 후루카와 모토히사 | → | 현직 |
<colbgcolor=#003F88> 제1-3대 국민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제5대 국민민주당 대표대행 후루카와 모토히사 古川元久 | Furukawa Motohisa | |||
| |||
출생 | 1965년 12월 6일 ([age(1965-12-06)]세) | ||
아이치현 나고야시 | |||
현직 | 제50대 중의원 의원 국민민주당 대표대행 국민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국민민주당 아이치현 총지부연합회 대표 | ||
재임기간 | 국가전략담당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과학기술정책) | ||
2011년 9월 2일 ~ 2012년 10월 1일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우주정책) | |||
2012년 7월 12일 ~ 2012년 10월 1일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F88><colcolor=#ffc501> 가족 | 배우자, 슬하 1남 1녀 | |
학력 | 아이치현립 아사히오카 고등학교 (졸업) 도쿄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공공정책대학원 | ||
정당 | |||
지역구 | 아이치 2구 | ||
의원 선수 | 10 (중) | ||
의원 대수 | 41[A], 42, 43, 44, 45, 46, 47, 48, 49, 50 | ||
약력 | 대장성 관료 중의원 의원 (제41대 / 비례 도카이 블럭) 중의원 의원 (제42-50대 / 아이치현 제2구) 내각부 부대신 겸 초대 국가전략실장 내각관방 부장관 국가전략담당대신 겸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과학기술정책)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우주정책) 오키나와·북방문제특별위원장 중의원 과학기술·이노베이션추진특별위원장 중의원 내각위원장 희망의 당 간사장 국민민주당(구) 간사장 국민민주당 대표대행 제1-3대 국민민주당(신) 국회대책위원장 제5대 국민민주당 대표대행 | }}}}}}}}} |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현재 아이치현 제2구 중의원이다.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의 내각부 부대신, 간 내각의 내각관방 부장관, 노다 내각의 국가전략담당대신 겸 과학기술정책담당대신, 희망의 당 간사장, 국민민주당 간사장 등을 역임했다.2. 생애
1965년 12월 6일, 아이치현 나고야시에서 태어났다. 아이치현 아사히가오카 고등학교를 거쳐 도쿄대학 법학부에 들어가고, 20살 때 사법시험에 합격한다. 1988년 도쿄대학을 졸업한 뒤 대장성 관료로 입성한다. 1993년,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 유학하고 1994년에 대장성을 은퇴한다.1996년, 민주당 창당에 참여하고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민주당 공천을 받아 아이치현 제2구에서 출마한다. 신진당 후보에게 패배했지만, 석패율제로 도카이 비례블록에서 당선됐다. 당시 30살로 41대 중의원 최연소 당선자였다. 1999년 7월 본회의에서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에 찬성표를 던졌다. 2000년의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아이치 2구에서 지난 번에 패배한 아오키 후보를 물리 치고 재선한다.
2009년,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내각부부대신을 맡아 간 나오토 국가전략담당대신 겸 부총리 밑에서 초대 국가전략실장을 맡았고, 간 나오토 내각에서 내각관방부장관에 취임한다. 2011년 9월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 국가전략담당대신 겸 내각부특명담당대신에 임명되었다. 2012년 10월 노다 제3차 개조 내각 발족에 따라 퇴임하고 중의원 내각위원장에 취임하며, 같은 해 12월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과 국민신당 지지를 받아 아이치 2구에서 당선, 2014년 12월의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 공천을 받아 7선을 한다.
2015년, 중의원 오키나와 및 북방 문제에 관한 특별 위원장에 취임했다. 2017년의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희망의 당 공천을 받아 자유민주당 후보를 물리치고 8선하며 11월에 간사장에 취임했다. 이후 민진당과 희망의 당 합당으로 창당된 국민민주당의 간사장도 역임한다.
2018년 9월 11일, 당 대표 대행에 취임하고, 18일에서는 당 정치 개혁 추진 본부장도 겸임한다. 2019년 10월 29일에는 국민민주당 헌법조사회의 회장에 취임한다.
다마키 유이치로가 주도하는 신 국민민주당에 합류해 국회대책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2024년 11월 14일, 아이치현 나고야시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탈당한 오쓰카 고헤이의 뒤를 이어 국민민주당 대표대행직에 취임했다.
12월 4일, 다마키 대표가 불륜 의혹으로 3개월 간 당대표직이 정지되면서, 3개월 동안 후루카와가 대표직을 대신 수행하게 되었다.
3. 정치적 성향
아사히 신문 · 도쿄대 다니구치 연구실 공동 조사 2021년 중의원 선거 후보자 정보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rowcolor=#ffc501> 이슈 | 질문 | 답변 |
개헌 | 헌법 개정 | <#DBFED6> 조금 찬성[2] |
정부 | 사회복지 등 정부의 서비스가 나빠져도 예산이 들지 않는 작은 정부가 더 낫다. | 조금 반대 |
일자리 확충 | 공공 사업을 통한 일자리 확충은 필요하다. | 중립 |
소비세 | 한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소비세율을 낮춰야 한다. | 조금 찬성 |
재정 지출 | 당장은 재정 재건을 위한 세출의 억제보다는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 투입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 조금 찬성 |
격차 해소 | A: 사회적 격차가 다소 있더라도 경제 경쟁력 향상을 우선해야 한다. B: 경제 경쟁력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격차 시정을 우선해야 한다. | 조금 B |
제정 적자 | A: 국채는 안정적으로 소화되고 있어 재정 적자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B: 재정적자는 위기 수준이기 때문에, 국채 발행을 억제해야 한다. | 중립 |
부자 증세 | 소득이나 자산이 많은 사람에 대한 과세를 강화해야 한다. | 조금 찬성 |
법인세 증세 | 기업들이 내는 법인세율을 인상해야 한다. | 중립 |
산업 | A. 국내 산업을 보호해야 한다. B: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를 추진해야 한다. | 중립 |
후쿠시마 오염수 |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처리수의 해양 방출은 어쩔 수 없다. | 조금 찬성 |
치안·인권 |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 정보 보호 및 개인의 권리가 제한되는 것은 당연하다. | 중립 |
동성혼 | 동성간의 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해야 한다. | 중립 |
동성애 | LGBT 등 성 소수자를 둘러싼 '이해 증진'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 | 찬성 |
외국인 노동 | 외국인 노동자의 수용을 추진해야 한다. | 중립 |
탈원전 | A: 지금 바로 원자력 발전을 폐지해야 한다. B: 앞으로도 원자력 발전을 에너지 원의 하나로 유지해야 한다. | 중립 |
부부별성 | 부부가 원하는 경우, 결혼 후에도 부부가 각각 혼전 성을 유지하는 것을 법률로서 인정해야 한다. | 찬성 |
핵개발 | 비핵 3원칙[3] 을 견지해야 한다. | 찬성 |
국방 | 일본의 방위력은 더 강화해야 한다. | 조금 찬성 |
선제 공격 | 타국으로부터의 공격이 예상되는 경우 선제 공격도 주저해서는 안 된다. | 중립 |
대북관계 | 북한에 대해 대화보다 압력을 우선해야 한다. | 조금 찬성 |
후텐마 기지 | 오키나와현 후텐마 기지의 헤노코 매립지 이전은 부득이한 일이다. | 중립 |
미일안보조약 | A: 위기 때 미국과의 협력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미일 안보조약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B: 일본과 관계없는 전쟁에 말려들지 않도록 미일 안보조약 강화에 신중해야 한다. | 조금 A |
중국 위협론 | A: 중국은 일본에 위협이 된다. B:일본에 있어서 중국은 파트너이다. | 조금 A |
참의원 선거 | A: 한 표 격차 시정을 위해서도 참의원 선거구의 합구는 허용돼야 한다. B: 참의원 선거구의 합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일정 범위 내의 한 표 격차는 허용되어야 한다. | 중립 |
코로나19 대책 | 치료 체제 확충, 치료약 및 백신 개발.확보, 급부금과 조성금의 확충 | |
'조금'의 답변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자면(どちらかと言えば)'이며 '중립'은 '어느 쪽도 아니다(どちらとも言えない)'이다. |
4.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유형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 수 (득표율) | 당선 | 비고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아이치 2구 | | 43,804 (25.72%) | 낙선(3위) | |
당선(석패율제 당선) | 초선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91,888 (47.61%) | 당선(1위) | 재선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5,674 (61.01%) | 3선 | |||
2005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6,884 (52.00%) | 4선 | |||
2009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62,237 (66.61%) | 5선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4,058 (44.77%) | 6선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2,058 (52.92%) | 7선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99,520 (50.13%) | 8선 | ||
2021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131,397 (62.33%) | 9선 | ||
2024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1,739 (58.37%) | 10선 |
5.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1996 - 1998 | 정계 입문 |
| 1998 - 2016 | 합당[4] |
| 2016 - 2017 | 당명 변경 |
| 2017 | 희망의 당 합류를 위한 이당 |
| 2017 - 2018 | 입당 |
| 2018 - 2020 | 합당[5] |
| 2020 | 정당 해산 |
| 2020 - | 창당 |
6. 기타
- 계파는 마에하라 세이지가 이끄는 료운카이에 속해 있다.
- 개헌파이다. 다만 그럼에도 헌법 9조 개정은 반대한다.
- 후루카와 요시히사 법무대신과 친하다. 도쿄대학 법학부 동기인데다 이름이 한 글자 차이라 바로 앞뒷자리였다고 한다. 게다가 후루카와 요시히사의 자민당 합류 전까지는 두 명 모두 야권에서 활동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 독립기구 | ||||
선거대책위원장 | <colbgcolor=#ffffff,#1F2023> 무라오카 도시히데 | 선거대책위원장 대리 | <colbgcolor=#ffffff,#1F2023> 아사노 사토시 이토 다카에 | ||
최고결정기구 | |||||
양원의원 총회장 | 후나야마 야스에 | ||||
중앙당 지도부 | |||||
대표 | 다마키 유이치로 | 대표대행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부대표 겸 홍보국장 | 이소자키 테츠지 | 임원실장 | 하마구치 마코토 | ||
당무집행기구 | |||||
간사장 | 신바 가즈야 | 간사장 대행 (지방의원 담당) | 가와이 다카노리 | ||
간사장 대리 | 스즈키 요시히로 | 부간사장 | 니시오카 히데코 다케즈메 히토시 | ||
기업단체위원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조직위원장 | 이토 다카에 | ||
재무국장 | 하마구치 마코토 | 인사·총무국장 | 다케즈메 히토시 | ||
윤리위원장 | 다케즈메 히토시 | 국민운동국장 | 다무라 마미 | ||
청년국장 | 아사노 사토시 | 국제국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정무조사회 | |||||
정무조사회장 | 하마구치 마코토 | 정무조사회장 대리 | 니시오카 히데코 | ||
정무조사부회장 | 다나카 겐 나가토모 신지 | 인권외교연구회 주사 | 후나야마 야스에 | ||
제1부회장 | 하마구치 마코토 | 제2부회장 | 니시오카 히데코 | ||
각 조사회 | |||||
안전보장조사회장 | 신바 가즈야 | 사회보장조사회장 | 다무라 마미 | ||
헌법조사회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경제조사회장 | 하마구치 마코토 | ||
농림수산조사회장 | 후나야마 야스에 | 에너지조사회장 | 아사노 사토시 | ||
어린이·육아·청년조사회장 | 이토 다카에 | 세제조사회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본부장 | |||||
정치개혁·행정개혁추진본부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남녀공동참여추진본부장 | 다마키 유이치로 | ||
남녀공동참여추진본부장 대리 겸 LGBTQ+ 담당본부장 | 니시오카 히데코 | 납치문제담당본부장 | 가와이 다카노리 | ||
재해대책본부장 | 신바 가즈야 | ||||
국회대책위원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 아사노 사토시 | ||
참의원 의원회장 | 후나야마 야스에 | 국회대책부위원장 | |||
참의원 간사장 | 가와이 다카노리 |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 이소자키 테츠지 | ||
고문단 | |||||
고문 | 가와바타 다쓰오 | 다카키 요시아키 | 오하타 아키히로 | 나오시마 마사유키 | 고바야시 마사오 | ||||
◀ 역대 당대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be00,#ffb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1-3대 후루카와 모토히사 |
◀ 국민민주당(2018년) 국회대책위원장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 독립기구 | ||||
선거대책위원장 | <colbgcolor=#ffffff,#1F2023> 무라오카 도시히데 | 선거대책위원장 대리 | <colbgcolor=#ffffff,#1F2023> 아사노 사토시 이토 다카에 | ||
최고결정기구 | |||||
양원의원 총회장 | 후나야마 야스에 | ||||
중앙당 지도부 | |||||
대표 | 다마키 유이치로 | 대표대행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부대표 겸 홍보국장 | 이소자키 테츠지 | 임원실장 | 하마구치 마코토 | ||
당무집행기구 | |||||
간사장 | 신바 가즈야 | 간사장 대행 (지방의원 담당) | 가와이 다카노리 | ||
간사장 대리 | 스즈키 요시히로 | 부간사장 | 니시오카 히데코 다케즈메 히토시 | ||
기업단체위원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조직위원장 | 이토 다카에 | ||
재무국장 | 하마구치 마코토 | 인사·총무국장 | 다케즈메 히토시 | ||
윤리위원장 | 다케즈메 히토시 | 국민운동국장 | 다무라 마미 | ||
청년국장 | 아사노 사토시 | 국제국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정무조사회 | |||||
정무조사회장 | 하마구치 마코토 | 정무조사회장 대리 | 니시오카 히데코 | ||
정무조사부회장 | 다나카 겐 나가토모 신지 | 인권외교연구회 주사 | 후나야마 야스에 | ||
제1부회장 | 하마구치 마코토 | 제2부회장 | 니시오카 히데코 | ||
각 조사회 | |||||
안전보장조사회장 | 신바 가즈야 | 사회보장조사회장 | 다무라 마미 | ||
헌법조사회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경제조사회장 | 하마구치 마코토 | ||
농림수산조사회장 | 후나야마 야스에 | 에너지조사회장 | 아사노 사토시 | ||
어린이·육아·청년조사회장 | 이토 다카에 | 세제조사회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본부장 | |||||
정치개혁·행정개혁추진본부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남녀공동참여추진본부장 | 다마키 유이치로 | ||
남녀공동참여추진본부장 대리 겸 LGBTQ+ 담당본부장 | 니시오카 히데코 | 납치문제담당본부장 | 가와이 다카노리 | ||
재해대책본부장 | 신바 가즈야 | ||||
국회대책위원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 아사노 사토시 | ||
참의원 의원회장 | 후나야마 야스에 | 국회대책부위원장 | |||
참의원 간사장 | 가와이 다카노리 |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 이소자키 테츠지 | ||
고문단 | |||||
고문 | 가와바타 다쓰오 | 다카키 요시아키 | 오하타 아키히로 | 나오시마 마사유키 | 고바야시 마사오 | ||||
◀ 역대 당대표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DA2128; border-right: 10px solid #fcd80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colcolor=#fff> 부총리 | <colbgcolor=#ffffff,#1f2024> 오카다 가쓰야 | |
총무대신 | 가와바타 다쓰오 → 다루토코 신지 | |
법무대신 | 히라오카 히데오 → 오가와 도시오 → 다키 마코토 → 다나카 케이슈 → 다키 마코토 | |
외무대신 | 겐바 고이치로 | |
재무대신 | 아즈미 준 → 조지마 고리키 | |
문부과학대신 | 나카가와 마사하루 → 히라노 히로후미 → 다나카 마키코 | |
후생노동대신 | 고미야마 요코 → 미쓰이 와키오 | |
농림수산대신 | 카노 미치히코 → 군지 아키라 | |
경제산업대신 | 하치로 요시오 → 에다노 유키오 | |
국토교통대신 | 마에다 다케시 → 하타 유이치로 | |
환경대신 | 호소노 고시 → 나가하마 히로유키 | |
방위대신 | 이치카와 야스오 → 다나카 나오키 → 모리모토 사토시 | |
국가공안위원장 | 야마오카 겐지 → 마쓰바라 진 → 고다이라 다다마사 | |
내각관방장관 | 후지무라 오사무 | |
국가전략담당대신 | 후루카와 모토히사 → 마에하라 세이지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colbgcolor=#007A60>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담당* | 가와바타 다쓰오 → 다루토코 신지 | |
지역주권추진담당 | ||
행정쇄신담당 | 무라타 렌호 → 오카다 가쓰야 | |
금융담당* | 지미 쇼자부로 → 마쓰시타 다다히로 → 나가쓰카 잇코 | |
소비자 및 식품안전담당* | 야마오카 겐지 → 마쓰바라 진 → 고다이라 다다마사 | |
저출산대책담당* | 무라타 렌호 → 오카다 가쓰야 → 나카가와 마사하루 → 고미야마 요코 → 나가쓰카 잇코 | |
여성활약담당 | 무라타 렌호 → 오카다 가쓰야 → 나카가와 마사하루 → 나가쓰카 잇코 | |
어린이정책담당 | ||
고독·고립대책담당 | ||
새로운공공담당 | ||
방재담당 | 히라노 다쓰오 → 나카가와 마사하루 → 시모지 미키오 | |
경제재정정책담당 | 후루카와 모토히사 → 마에하라 세이지 | |
과학기술담당 | ||
우주담당 | ||
원자력정책담당 | 호소노 고시 → 마에하라 세이지 | |
원자력 손해배상 지원기구 담당 | 호소노 고시 → 에다노 유키오 |
* 내각부설치법상 의무적으로 임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1946년~1952년) | |||||||||
초대 젠 케이노스케 | 2대 이시바시 단잔 | 3대 타카세 소타로 | ||||||||
4대 와다 히로오 | 5대 쿠루스 타케오 | 임시대리 아시다 히토시 |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6대 이즈미야마 산로쿠 | 임시대리 스토 히데오 | ||||||||
7대 아오키 타카요시 | 8대 스토 히데오 | |||||||||
경제심의청장관 (1952년~1955년) | ||||||||||
1대 스토 히데오 | 2대 야마자키 타케시 | 3대 이케다 하야토 | 4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5대 미즈타 미키오 | ||||||
6대 오카노 키요히데 | 7대 아이치 기이치 | 8·9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 ||||||||
경제기획청장관 (1955년~2001년) | ||||||||||
1·2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 3·4대 우다 고이치 | ||||||||
3·4대 우다 고이치 | 5대 고노 이치로 | 6대 미키 다케오 | 임시대리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 7대 세코 코스케 | ||||||
8대 칸노 와타로 | 9·10대 쿠사미즈 히사츠네 | 11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임시대리 이케다 하야토 | 12·13대 미야자와 기이치 | ||||||
14·15대 다카하시 마모루 | 16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임시대리 사토 에이사쿠 | 17·18대 미야자와 기이치 | |||||||
19대 칸노 와타로 | 20대 사토 이치로 | 21대 기무라 도시오 | ||||||||
임시대리 다나카 가쿠에이 | 22대 아리타 기이치 | 23대 코사카 젠타로 | 24대 우치다 츠네오 | 25대 쿠라나리 타다시 | ||||||
26대 후쿠다 다케오 | 27대 노다 우이치 | 28대 쿠라나리 타다시 | 29대 미야자와 기이치 | |||||||
30대 코사카 도쿠사부로 | 31대 쇼지 케이지로 | 32대 고모토 토시오 | 33대 시오자키 준 | 34대 고모토 토시오 | ||||||
35대 가네코 잇페이 | 36대 히라이즈미 와타루 | 37대 곤도 테츠오 | 38대 나카오 에이치 | |||||||
39대 하라다 겐 | ||||||||||
40대 아이노 고이치로 | 41대 오치 미치오 | 42대 타카하라 스미코 | 43대 아이자와 히데유키 | 44대 오치 미치오 | ||||||
45대 노다 다케시 | 46대 후나다 하지메 | |||||||||
임시대리 미야자와 기이치 | 47대 다카토리 오사무 | 48대 쿠보타 마나에 |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 |||||||
49대 테라사와 요시오 | 50대 고무라 마사히코 | 51대 미야자키 이사무 | 52대 다나카 슈세이 | 53대 아소 다로 | ||||||
54대 오미 코지 | ||||||||||
55-57대 이케구치 코타로 | ||||||||||
58대 누카가 후쿠시로 | ||||||||||
경제재정정책 담당대신 (2001년~2003년) | ||||||||||
1대 누카가 후쿠시로 | 2대 아소 다로 | 3대 다케나카 헤이조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담당) (2003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4-6대 다케나카 헤이조 | 7대 요사노 가오루 | |||||||||
}}} | ||||||||||
8·9대 오타 히로코 | 10·11대 요사노 가오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2대 하야시 요시마사 | 13대 간 나오토 | 14대 아라이 사토시 | 15대 가이에다 반리 | 16대 요사노 가오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7대 후루카와 모토히사 | 18대 마에하라 세이지 | |||||||||
19·20대 아마리 아키라 | 21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 22·23대 모테기 도시미쓰 | 24·25대 니시무라 야스토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24·25대 니시무라 야스토시 | 26·27대 야마기와 다이시로 | 28대 고토 시게유키 | 29대 신도 요시타카 | |||||||
30대 아카자와 료세이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오시마 아쓰시 | 제2대 후루카와 모토히사 |
◀ 민진당 간사장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46240><tablebgcolor=#04624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46240><tablebgcolor=#04624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 독립기구 (선거대책위원회) | ||||
선거대책위원장 | <colbgcolor=#ffffff,#1F2023> 오니시 겐스케 | <colbgcolor=#ffffff,#1F2023> | |||
상임의결기관 (양원의원총회) | |||||
양원의원 총회장 | 고미야마 야스코 | ||||
중앙당 지도부 | |||||
대표 | 다마키 유이치로 | 대표대행 | 오시마 아쓰시 | ||
당무집행기구 | |||||
간사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간사장 대리 | 시나 다케시 기시모토 슈헤이 | ||
정무조사회 | |||||
정무조사회장 | 나가시마 아키히사 | 정무조사회장 대리 | 이데 요세이 | ||
국회대책위원장 | 이즈미 겐타 |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 이마이 마사토 | ||
참의원 의원단장 | 마쓰자와 시게후미 | ||||
고문단 | |||||
특별고문 | 고이케 유리코 | ||||
◀ 역대 당대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be00,#ffb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후루카와 모토히사 | 제2대 히라노 히로후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be00,#ffb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하라구치 가즈히로 | 제2대 오쓰카 고헤이 후루카와 모토히사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 독립기구 | ||||
선거대책위원장 | <colbgcolor=#ffffff,#1F2023> 기시모토 슈헤이 | <colbgcolor=#ffffff,#1F2023> | |||
최고결정기구 | |||||
양원의원 총회장 | 야나기다 미노루 | 대의사회 회장 | 고미야마 야스코 | ||
중앙당 지도부 | |||||
대표 | 다마키 유이치로 | 대표대행 | 오쓰카 고헤이 후루카와 모토히사 | ||
부대표 | 와타나베 슈 오시마 아쓰시 다나부 마사요 | ||||
당무집행기구 | |||||
간사장 | 히라노 히로후미 | 간사장 대행 | 마시코 데루히코 | ||
간사장 대리 | 기라 슈지 신바 가즈야 | ||||
정무조사회 | |||||
정무조사회장 | 이즈미 겐타 | ||||
정무조사회장 대리 | 고토 유이치 | ||||
국회대책위원장 | 하라구치 가즈히로 |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 오쿠노 소이치로 | ||
참의원 의원회장 | 오쓰카 고헤이 | ||||
참의원 간사장 | 신바 가즈야 |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 후나야마 야스에 | ||
◀ 역대 당대표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 ||||
고노미 료타로 | 기시다 미쓰히로 | 기쿠치 다이지로 | 나가토모 신지 | 니시오카 요시타카 | |
니시오카 히데코 | 다나카 겐 | 다마키 유이치로 | 단노 미도리 | 마도카 요리코 | |
모리 요스케 | 무라오카 도시히데 | 무코야마 고이치 | 스즈키 요시히로 | 센다 아키히로 | |
아사노 사토시 | 오다케 가이 | 오카노 준코 | 우스키 히데타케 | 이시이 도모에 | |
하시모토 마키히코 | 하토야마 기이치로 | 후루카와 모토히사 | 후카사쿠 헤스스 | 후쿠다 겐 | |
후쿠다 도루 | 히노 사리아 | 히라이와 마사키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 ||||
나가토모 신지 | 니시오카 히데코 | 다나카 겐 | 다마키 유이치로 | 스즈키 요시히로 | |
아사노 사토시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3F88><tablebgcolor=#003F8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 ||||
기시모토 슈헤이 | 니시오카 히데코 | 다마키 유이치로 | 마에하라 세이지 | 아사노 사토시 | |
야마오 시오리 | 후루카와 모토히사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호헌파 | 중립 | 개헌파 | |||
생추어리 아카마츠 히로타카 요코미치 다카히로 사사키 다카히로 아베 도모코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하치로 요시오 군지 아키라 오사카 세이지 곤도 쇼이치 | 나라의 모습 연구회 간 나오토 에다 사쓰키 에다노 유키오 아라이 사토시 오가와 도시오 니시무라 지나미 사사키 다카히로 하쿠 신쿤 테라다 마나부 구로이와 다카히로 나가츠마 아키라 야마노이 가즈노리 |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무라타 렌호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아즈미 준 마부치 스미오 시게토쿠 가즈히코 | 료운카이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아즈미 준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야마노이 가즈노리 야마오 시오리 후루카와 모토히사 다마키 유이치로 오쓰카 고헤이 오구시 히로시 다지마 가나메 카미야마 요스케 기이 다카시 | |||
소교회 오하타 아키히로 카노 미치히코 오시마 아쓰시 나카야마 요시카츠 시노하라 다카시 다나부 마사요 마시코 데루히코 | 민권정경 아카데미 에다 겐지 마쓰노 요리히사 오치아이 다카유키 마쓰키 겐코 마키 요시오 이사카 노부히코 | 지세이카이 호소노 고시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기카와다 토오루 류 히로후미 신바 가즈야 구시부치 마리 유노키 미치요시 사쿠라이 미쓰루 | 보수파 에다 겐지 하라구치 가즈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와타나베 슈 겐바 고이치로 류 히로후미 마쓰바라 진 마부치 스미오 | |||
민사협회 다카키 요시아키 가와바타 다쓰오 신바 가즈야 기쿠타 마키코 후루모토 신이치로 야나기다 미노루 | 신정신슈 기타자와 도시미 스기오 히데야 하타 유이치로 시노하라 다카시 시모조 미쓰 이데 요세이 데라시마 요시유키 | 「일본의 그랜드 디자인」 연구회 겐바 고이치로 오구시 히로시 고토 유이치 가네코 에미 기시모토 슈헤이 | 국가 축의 모임 나가시마 아키히사 와시오 에이이치로 기라 슈지 오노 모토히로 기타카미 케이로 하마노 요시후미 | |||
무계파 오카다 가쓰야 나카가와 마사하루 하라구치 가즈히로 마쓰바라 진 시모조 미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중도 | 중도 ~ 중도우파 | 중도 ~ 우익 | |||
화제회 후루모토 신이치로 오구마 신지 오구시 히로시 | 료운카이 마에하라 세이지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야마노이 가즈노리 다지마 가나메 카미야마 요스케 기이 다카시 후루카와 모토히사 다마키 유이치로 | 고이케계 고이케 유리코 와카사 마사루 이노우에 가즈노리 | ||||
지세이카이 호소노 고시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구시부치 마리 스즈키 요시히로 | 국가 축의 모임 나가시마 아키히사 기라 슈지 기타가미 케이로 | 일본의 마음계 나카야마 나리아키 나카야마 교코 | ||||
청산회 다루토코 신지 마쓰노 요리히사 | 보수파 류 히로후미 마부치 스미오 기시모토 슈헤이 | 무소속 출신 고다 구니코 | ||||
자유당계 히다카 다케시 사토 고지 | 유신회 출신 오자와 사키히토 | |||||
정당별 계파 (기타 일본 혁신정당 · 입헌 · 국민 · 자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호헌파 | 개헌파 | |||
민사협회 고바야시 마사오 신바 가즈야 야타 와카코 야나기다 미노루 후루모토 신이치로 가와이 다카노리 다카키 요시아키 가와바타 다쓰오 | 료운카이 마에하라 세이지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야마노이 가즈노리 카미야마 요스케 기이 다카시 야마오 시오리 후루카와 모토히사 오쓰카 고헤이 다마키 유이치로 | ||||
일신회 오자와 이치로 고미야마 야스코 모리 유코 아오키 아이 사토 고지 | 지세이카이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반노 유카타 기카와다 토오루 다나부 마사요 | ||||
신정신슈 기타자와 도시미 하타 유이치로 스기오 히데야 시노하라 다카시 시모조 미쓰 | 무파벌 히라노 히로후미 기라 슈지 기시모토 슈헤이 이토 다카에 마부치 스미오 하라구치 가즈히로 오노 모토히로 아다치 신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다마키계 | ||||
다마키 유이치로 신바 가즈야 후루카와 모토히사 다나카 겐 다무라 마미 하마노 요시후미 하마구치 마코토 가와이 다카노리 이소자키 테츠지 스즈키 요시히로 아사노 사토시 | |||||
일본 정당별 계파 (기타 일본 혁신정당 · 입헌 · 국민 · 자민) |
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후현 선거구 | 시즈오카현 선거구 | 아이치현 선거구 | 미에현 선거구 | ||
2028년 개선 | ||||||
와타나베 다케유키 | 와카바야시 요헤이 | 후지카와 마사히토 | 사토미 류지 | 야마모토 사치코 | ||
히라야마 사치코 | 사이토 요시타카 | 이토 다카에 | ||||
2031년 개선 | ||||||
와카이 아쓰코 | 신바 가즈야 | 미즈노 코이치 | 타지마 마이코 | 코지마 토모코 | ||
마키노 다카오 | 스기모토 준코 | 사카이 야스유키 |
[A] 석패율제 당선.[2] 프라이버시권 조항 신설, 지방 공공 단체 권한 강화 명기, 헌법재판소 설치, 총리 해산권 제약과 관련한 부분의 개헌을 찬성했다.[3] '핵무기를 만들지도, 가지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4] 민정당, 민주개혁연합, 신당우애와 신설 합당[5] 민진당과 신설 합당
분류
- 일본의 남성 정치인
- 노다 내각 국무대신
- 일본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제41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5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6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7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8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9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50대 일본 중의원 의원
- 구 민주당(일본) 국회의원
- 민주당(일본) 국회의원
- 민진당(일본) 국회의원
- 희망의 당(2017년) 국회의원
- 국민민주당(2018년) 국회의원
- 국민민주당(2020년) 국회의원
- 국민민주당(2020년) 출신
- 1965년 출생
- 나고야시 출신 인물
- 공무원 출신 정치인
- 아이치현립 아사히가오카 고등학교 출신
- 도쿄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