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양갱(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e0000><colcolor=#fff> 밥류 | 돈부리(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카이센동 · 텐동) · 무스비 · 삼각김밥 · 스시 · 오니기리 · 오무스비 · 오므라이스 · 오차즈케 · 치라시즈시 · 카레라이스 · 하이라이스 |
면류 | 라멘 · 소바 · 우동 · 츠케멘 · 키시멘 · 타이소멘 · 나가시소멘 | |
어묵류 | 가마보코 · 치쿠와 · 나루토마키 | |
튀김류 | 틀:일본의 튀김 분류 | |
고기류 | 니쿠자가 · 도테야키 · 돈지루 · 쇼가야키 · 스키야키 · 야키니쿠 · 야키토리 · 징기스칸 · 호루몬 | |
해산물 | 사시미 · 우마키 · 쿠사야 · 타코야키 · 타코와사비 | |
반찬 채소류 | 낫토 · 누카즈케 · 단무지 · 덴가쿠 · 베니쇼가 · 사라다 · 아게다시도후 · 아사즈케 · 우메보시 · 츠케모노 | |
화과자 | 화과자 · 가린토 · 당고 · 도라야키 · 만쥬 · 모나카 · 미즈신겐모찌 · 센베이 · 안미츠 · 야츠하시 · 양갱 · 타이야키 · 킨츠바 | |
빵 양과자 | 단팥빵 · 멜론빵 · 별사탕 · 사라다빵 · 상투과자 · 앙버터 · 카레빵 · 카스텔라 · 쇼트케이크 | |
액체류 | 틀:일본의 술 · 커피 - 드립 커피 / 콜드 브루 커피 · 메론소다 · 라무네 · 포카리스웨트 | |
기타 | 가쓰오부시 · 나베 · 도빙무시 · 몬자야키 · 소면 · 오코노미야키 · 오뎅 · 오세치 · 와사비콩 · 조니 · 카키고오리 · 후리카케 · 경양식 · 일본식 중화 요리 · 일본식 한국 요리 · 오키나와 요리 | |
요리 문화 | 가이세키 · 벤또(에키벤) · 다타키 · 아메자이쿠 · 코부지메 · 오마카세 · 탕종법 · 다도 |
양갱 羊羹 | ||||
스루가야(駿河屋)에서 전통 방식으로 생산되는 「고대 후시미 양갱(古代伏見羊羹)」 | ||||
<colbgcolor=#000><colcolor=#fff> 유형 | 화과자 | |||
국가·지역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일본 요리 | |||
<colbgcolor=#000><colcolor=#fff> 발상 | 전근대 (14세기 이전) | |||
재료 | 팥, 한천 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한국어 | <colcolor=#373a3c,#ddd>양갱, 단팥묵(순우리말) | ||
일본어 | 羊羹 | |||
영어 | Japanese sweet bean jelly | |||
중국어 | 羊羹(日本羊羹) |
[clearfix]
1. 개요
양갱([ruby(羊羹, ruby=ようかん)], 요칸)은 일본의 전통적인 과자인 화과자(和菓子, 와가시)의 일종으로, 팥에 설탕, 물엿, 한천 등 재료를 섞고 졸여서 만든다.2. 역사
본래 '양갱(羊羹)'이라는 어휘는 중국에서 양고기와 선지를 재료로 하는 국 혹은 이를 졸인 묵 같은 음식을 의미한다. 이것이 불교의 영향으로 고기를 먹지 못하는 일본에 넘어가면서 양갱에 피 대신 팥을 넣어 졸여 먹기 시작했고 이후 단팥과 한천을 베이스로 한 과자로 발전했다는 설이 있다.그러나 이 설은 문헌상 뒷받침할 근거가 존재하지 않아 신빙성이 떨어진다. 일본에서 15세기 간행된 서당 교재인 『정훈왕래(庭訓往來, 테이킨오우라이)』에는 양갱(羊羹) 이외에도 저갱(猪羹), 별갱(鼈羹), 죽갱(竹羹) 등의 이름이 언급된다. 이는 양갱을 굳혀서 먹기 전 잔에 부어서 마셨을 때 그 잔의 모양에 따라서 양 모양이면 양갱, 돼지 모양이면 저갱, 자라 모양이면 별갱, 대나무잔이면 죽갱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그러다 양갱이 가장 대표적인 이름으로 불리다가 이후에 굳혀서 먹으면서 현재 알고 있는 양갱이 된 것이다. 결국 양갱이 중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은 그저 우연히 이름이 같아서 생긴 오해일 가능성이 크다.
연양갱(練り羊羹, 네리요칸)은 1589년에 와카야마의 스루가야(駿河屋)에서# 처음으로 만들었으며 17세기부터는 류큐와 아마미 제도에서 흑설탕이 생산되기 시작해 일본으로 유입되면서 양갱에 설탕을 쓰는 방식이 일반화되었고 에도 시대에는 전성기에 이르렀다. 이것이 한국에도 구한말~일제강점기를 거쳐 들어와 그대로 정착해 오늘에 이른다. 그래서 사람들의 인식도 양갱은 어디까지나 일본 과자이고 이름도 1980년대 초반까지는 과자 포장지에 쓴 한국어 이름 양갱을 무시하고 대부분 요깡이라고 일본어 그대로 불렀다.[1]
달면서도 자극적이지 않은 맛 덕에 차와 함께 먹는 다식으로 아주 좋다. 녹차, 우롱차 다 좋다. 일본 양갱 광고를 보면 십중팔구 녹차와 함께 내놓고 있다. 비비의 노래 밤양갱과 크라운제과 밤양갱 컬래버레이션 제품 홍보 사진에도 찻잔이 같이 나와 있다. 의외로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와도 잘 어울리는 편이다. 다만 카페라테나 캐러멜 라테같이 유분이 들어가고 진하고 단 커피와는 잘 안 어울린다. 취향 나름이지만 진하고 단 음료와 함께 양갱을 먹으면 단맛 + 단맛, 그것도 서로 잘 어우러지지 않는 단맛이 입안에서 서로 섞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나치게 달다고 느끼게 된다. 단맛을 적당하게 잡아주는 쓴 음료가 잘 어울리는 편이다.
한국에서는 1945년 8.15 광복 이후 일본인 공장장이 버리고 간 양갱 공장을 인수해서 창업한 해태제과에서 연양갱을 만든 것이 시작으로, 처음 시판된 후 지금까지 꾸준히 팔리고 있어 한국에서 가장 오래 팔린 과자 제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
3. 재료와 영양
가장 많이 쓰는 재료는 역시 팥이지만 고구마나 밤으로 만들거나 녹두, 호두, 아몬드, 인삼, 배+도라지, 녹차, 심지어 클로렐라 등을 쓰거나 집어넣는 등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양갱이 있다.거의 순수한 탄수화물이기 때문에 칼로리는 높은 편인데 한국 양갱 제품들이 대개 하나에 50g 정도에 150kcal 정도로, 밥 반 공기 정도다.
4. 스포츠 보조 식품화
일본에서는 유명한 전통 과자인 반면 한국에서는 연장자들이 즐긴다는 이미지 탓에 젊은 층에서는 크게 인기가 없었지만 2000년대 들어서 등산, 자전거, 마라톤 등 생활 스포츠가 발달하면서 급격히 인지도를 올리게 된다.장거리 자전거 여행의 달인들, 일명 행군의 달인들 중에는 양갱을 초코바보다 더 높이 평가하는 사람도 있다. 자체 수분 함량이 높아서 물을 적게 또는 안 마셔도 쉽게 목으로 넘어가고 입이나 이에 신경 쓰일 수준으로 달라붙지도 않으며 비타민도 많아 기력 유지에 매우 좋다고 한다.
달달한 음식이니 운동을 한 뒤 입에 딱 맞기도 하다. 초코바처럼 더운 날씨나 체온에 녹아내리는 애로 사항이 없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2] 이 점을 노려 한국에서는 해태제과에서 스포츠용 양갱을 출시했는데 자사의 연양갱보다 포장이 훨씬 나아졌다.[3] 이쪽은 단맛이 조금 덜한 편이어서 일반 양갱의 너무 강한 단맛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조금 더 거부감 없이 다가갈 수 있는 맛이다.
일본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운동선수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는데 특히 식사를 과하게 하고 시합에 나갈 경우 생길 수 있는 운동 관련 일과성 복통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합 당일은 계속 이걸 먹었다고 한다. 파워 젤[4]에 비해 훨씬 저렴하면서도 효율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5] 아마추어 마라토너들도 선호한다.
물론 제조사에서도 그걸 잘 알고 있으며 대개 마라톤 대회에 참가 신청을 하면 주는 안내 책자에도 광고를 자주 싣고 경기 이후 나눠주는 회복식에도 종종 포함된다. 양갱은 지방이 전혀 없으며 단기간에 탄수화물과 당을 집중 섭취할 수 있어 초코바나 칼로리 바보다도 고강도의 운동에 훨씬 더 적합하다. 당이 들어가면 피로가 풀리기 때문에 양갱은 보조 운동 효과를 충분히 본다.
다만 스키어나 스노보더 같은 추운 기후에서 장갑을 낀 채 하는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안 먹는데 양갱에 딱 달라붙은 속포장이 장갑을 끼고 까먹기에 힘들기 때문이다. 어차피 날이 추우니까 초코바가 녹을 이유도 없어서 초코바를 먹는 경우가 많다.
4.1. 대중매체에서
일본의 풍자물에서는 정치인들이 양갱을 비롯한 각종 단과자 포장 상자에 뇌물을 넣어서 주고받는 클리셰가 있다. 양갱의 노란색 이미지가 금괴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도 이 습관이 있어서 정비석의 자유부인 등에서 비슷한 묘사가 나오기도 했다. 현대에도 사과박스에 돈을 넣어서 보내는 게 뇌물의 상징으로 통했던 것과 같은 원리다.- 가면라이더 가브: 어둠과자는 검정, 노랑색의 탁한 내용물이 들어있는 정육면체 양갱처럼 생겼으며, 윗면에 스토머크 사 마크가 새겨져 있다.
- 격주전대 카레인저: 등장하는 악의 세력인 우주폭주족 보족크의 괴인인 보족크의 난폭자는 고구마 양갱을 먹으면 거대화한다. 그런데 아무 양갱이나 먹는다고 거대화되는 건 아니고 오직 작중 등장하는 수제 고구마 양갱 전문점인 '이모쵸'의 수제 고구마 양갱으로만 거대화가 가능하며 상한 양갱이나 공장제 양갱을 먹으면 오히려 작아진다. 설정상 이는 지구인을 제외한 우주 생물에게 적용되는 공통 사항이라 실험 삼아 우주 바퀴벌레한테 먹였더니 괴인 사이즈로 커지더니 그대로 보족크에 눌러지낸다.
- 밤양갱: 가수 BIBI가 발매한 노래로 인기를 끌었다. 연인 간의 사랑을 밤양갱에 빗대 표현했는데 달디달고 달디달고 달디단 밤양갱이라는 가사의 어감이 좋다는 평가가 많이 나왔다. 인기에 힘입어 해당곡이 차트 1위를 한 데다 크라운해태의 연양갱의 매출이 올랐다고 한다. 노래의 인기에 힘입어 크라운제과에서 콜라보를 한 한정판 밤양갱도 출시되었다.
-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주인공 노구가 매우 좋아하는 간식이다. 양갱 때문에 사건이 벌어지는 에피소드까지 있을 정도다. 노구는 양갱을 '양갱이'라고 부른다.
- 트릭컬 리바이브: 요정들이 싫어하는 음식으로 묘사된다.
5. 기타
- 한국의 연양갱 제품은 포장지가 양갱에 딱 달라붙은 상태로 나온다. 포장이 생각보다 두터우면서도 제품에 딱 달라붙어 있는데 이 때문에 깨끗하게 포장을 떼어내기가 어렵다.[6] 때문에 양갱이 손에 닿을 수도 있고 무너질 수도 있다. 무엇보다 양갱은 은근히 끈적거리고 알게 모르게 안 좋은 냄새도 난다. 양갱을 굳히는 재료인 한천은 유사한 재료인 젤라틴이나 펙틴보다 응고 강도가 강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제품에서 수분의 이력 현상이 일어나는 성질이 있어 막 만들었을 때는 건조한 듯 해도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지고 끈적해진다.[7]
- 은박 포장 벗기기를 어려워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하단의 스포츠 양갱처럼 짜내 먹으면 편리하다. 제조 공정상 액체 상태의 양갱을 포장 튜브 위쪽에서 주입해 굳히는 식이므로, 처음부터 밀봉된 맨 아래쪽 포장 모서리는 뭉툭하게, 나중에 밀봉하는 위쪽 입구는 뾰족하게 되어 있다. 때문에 뭉툭한 쪽만 뜯어내고 뾰족한 쪽을 쥐어짜면 쑥 밀려 나온다. 아니면 잘은 안 보이지만 은박 포장을 잘 만져보면 포장지의 양끝이 만나 접히는 부분이 있다. 접히는 곳을 파고들어서 눌러 잡고, 접힌 포장을 위로 잡아 뜯으면 일자로 가지런히 뜯어지며 한쪽이 끝까지 뜯기는 부분까지 잡아 뜯어준 다음 그대로 포장을 뒤집으면 깔끔하게 뜯을 수 있다.
- 일본에는 원래의 양갱보다 물기가 더 많은 물양갱([ruby(水,ruby=みず)][ruby(羊,ruby=よう)][ruby(羹,ruby=かん)], 미즈요ー칸)도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기술로도 보관이 반년 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구 일본 해군의 함상 간식 겸 식량으로 애용하기도 했다.
- 모리나가 밀크 카라멜 팥 맛은 양갱과 캐러멜을 합친 것 같은 맛이다.
- 양갱은 겔 전기영동에 쓰인다. 정확히 말하면 핵산 분리 실험인 아가로스 젤 전기영동의 아가로스가 양갱의 성분인 한천이며 단백질 전기영동 및 작은 bp 단위의 DNA 분리 실험에서는 한천과 관계없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이 쓰인다.
- 양갱을 만들 수 있는 재료는 무궁무진[8]해서 거반 젤리에 가까운 투명한 양갱을 만들거나[9] 의도적으로 온통 공을 들어 아주 세련되고 예쁜 수제 양갱을 만들어 관광 상품으로 파는 곳도 있다. 일본 시치조칸슌도(七條甘春堂)라는 가게에서 만든 양갱들이 대표적인 예시다.
- 일본 교토시에 위치한 양갱을 주력으로 화과자 전문점 카메야 요시나가가 슬라이스 방식의 양갱을 출시하면서 화제가 된 동시에 엄청난 매출을 올려서 젊은 세대의 화과자에 대한 관심이 줄어듬으로 인한 매출 부진으로 인한 폐업을 면한 동시에 간판 상품으로 등극하였다[10]
- 아재개그 소재로도 쓰인다. 서양 조폭은 양갱(洋Gang)이라는 식으로.
[1] 센베이, 구리보루(상투과자), 팥만주 등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일본 과자들이 전통 과자인 척하며 팔리고 있는 것과 달리 양갱은 일본 과자라는 인식이 확실한 편이다. 그럴수 밖에 없는게 이 시대 사람들은 센베, 요깡을 일제강점기 때 처음 접했고 일본어 그대로 평생 불렀으며 지금까지 살아 있는 노인들은 그 기억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이후 출생자들은 반일 교육 및 잘못된 미디어 정보 등으로 전통과자로 정보를 접했기 때문에 부모와 대화를 많이 하는 가정이나 정보를 스스로 찾아 교차비교 확인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50대 이하 사람들은 전병, 약과, 양갱 등등 한국 전통과자인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실제로 지금도 수많은 미디어와 서적에서 연양갱 및 화과자인 센베, 만주 등을 전통과자로 소개하고 있다.[2] 양갱의 재료인 한천은 한번 굳었다가 녹는 온도가 70~80도로 높기 때문에 품속에 오래 지니고 있어도 초코바처럼 녹지 않는다.[3] 위의 포장을 뜯고 아래에서 밀어 먹는 방식. 아이스크림 폴라포를 생각하면 쉽다.[4] 운동 중에 에너지를 빠르게 보충하기 위해 섭취하는 식품. 짜 먹는 방식이라 편하고 효율도 좋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많은 양을 구입하기에는 부담스럽다. 다만 저렴한 한국산 파워 젤도 현재 많이 나와 있다.[5] 파워 젤은 보통 낱개가 2~4천 원 정도인데, 양갱은 개당 900원 정도이며 편의점에서 자주 1+1 행사 상품이 된다.[6] 어디까지나 한국 연양갱 제품의 특징이며 본고장인 일본의 화과자 양갱은 천차만별이다. 다른 상표의 양갱 중에는 직육면체 형태로 포장도 벗기기 쉽게 되어 있는 것도 있다.[7] 그러니 양갱은 사자마자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바로 넣어 놔야 한다. 한천 특유의 잡내도 없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까먹기도 더 편리해지고 훨씬 맛있어지기 때문이다.[8] 과일류, 단호박, 고구마, 초콜릿, 콩, 팥, 녹차, 선인장 열매 등등 활용할 법한 재료는 다 넣어도 상관없다. 예쁜 색을 내길 원한다면 식용 색소를 첨가해도 된다. 심지어 와인까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9] 한천을 더 많이 쓰고 앙금을 줄이면 된다.[10] 개발 사유는 이 집의 8대 며느리인 유이코가 두 아들의 아침상을 차리는데, 첫째는 단것을 싫어해서 식빵 위에 슬라이스 치즈를 올리고 둘째는 단팥을 좋아해서 식빵 위에 단팥을 발라주는데, 단팥이 딱딱하게 굳어서 식빵에 발라지지 않자 슬라이스 치즈처럼 식빵 위에 올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바로 가게에서 가져온 단팥으로 연구하면서 시도한 끝에 버터와 약간의 소금을 곁들인 슬라이스 방식의 단팥 양갱을 만드는 데 성공하였고, 이게 출시하면서 유이코와 같은 고충을 격은 소비자들 또는 젊은 소비자들이 슬라이스 방식의 단팥 양갱 사 가면서, 적자투성이인 양갱 부분의 매출도 매년마다 올라가는 등 폐업을 면했다.[11] 일명 우유 껌. 보통 애완견들의 턱관절 운동과 치석 관리용으로 쓴다. 우유 껌은 처음에 굳혔을 땐 달지 않은 우유 젤리에 가깝지만 건조기에 들어가면 말린 묵처럼 되고 꽤 질겨져서 애완견들이 턱 힘을 써가며 껌처럼 잘근잘근 씹기 좋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