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과류가 들어간 초코바 |
캐러멜이 들어간 초코바 |
[clearfix]
1. 개요
초콜릿을 겉에 씌운 바 형태의 음식으로 초콜릿 안의 속재료는 누가나 캐러멜 등 설탕을 주재료로 만드는 당과류가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에 쓴 것처럼 영국이나 영연방 국가들에서는 초콜릿 바라고 하며 미국에서는 초콜릿 바라고 하면 판초콜릿 형태를 포함한 모든 막대형 초콜릿 당과류를 말한다. 콕 찝어서 초코바를 가리킬 때는 그냥 제품 명칭을 말하는게 편하다. 미국에서는 뭉뚱그려 캔디 바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초콜릿을 포함한 모든 당과류를 폭넓게 일컫는 것이다. 그 때문인지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안정효는 자신의 책 '가짜영어사전'에서 미국에서는 초콜릿을 'candy bar'로 한다고 주장했다가 개정판에서는 이를 삭제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하드 캔디(사탕)류와 함께 초콜렛류 과자들도 다 싸잡아서 캔디라고 통칭한다. 이 때문에 미국식 영어로 과자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뭔가 딱딱한 사탕으로 만든 과자로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의 영향 때문인지 영국식 영어 표기를 일본어 식으로 축약한 '초코바'로 자주 불린다.
2. 역사
1866년에 영국의 제과 업체인 J.S.프라이 앤드 선즈(J. S. Fry & Sons)에서 퐁당이라는 당과에 초콜릿을 씌워 판 것이 시초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게 히트를 쳐서 다양한 파생 제품들이 시판되고 동종 업계에서도 이를 모방한 유사품을 내놓았다. 1900년에는 미국의 허쉬에서 개별 포장되어 값싸게 구입할 수 있는 양산형 초콜릿 바를 생산하기 시작했다.현대의 초콜릿 바 개념에 가장 근접한 제품은 1912년에 처음 생산된 구구 클러스터(Goo Goo Cluster) [2]이며 이후 1921년에는 베이비 루스[3]가, 1924년에는 마스사에서 밀키 웨이(Milky Way)바가 나왔다.[4] 해당 제품들이 불티나게 팔리게 되자, 이후 초콜릿을 취급하는 거의 모든 제과 회사들이 앞다투어 다양한 초콜릿 바를 경쟁적으로 내놓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대한제국 말엽에 당시의 높으신 분들의 간식 거리로 일본에서 유입된 것을 시초로 볼 수 있으며 제대로 수입되기 시작한 것은 한국 전쟁 이후였다. 주로 주한미군 부대에서 유출된 군납품을 불법으로 팔았고, 이후 국내 제과 업체들이 초콜릿 생산을 시작하면서 외국 제품을 카피하는 식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어느 정도 기술력이 갖춰진 이후로는 국내 자체 브랜드로도 선보였다.
3. 특징
내용물이나 만드는 방법은 제과 회사들마다 모두 다르지만, 일단 설탕이 주재료인 당과를 초콜릿 외피로 씌운다는 제법은 거의 동일하다. 당과 외에 버터핑거나 리세스 넛바처럼 땅콩버터를 속재료로 쓴다던가, 스니커즈나 자유시간, 가나초코바, 핫브레이크처럼 땅콩이나 아몬드 같은 견과류를 첨가하거나, 왓차마콜잇, 미스터 빅 같이 쌀 같은 곡류를 튀긴 것을 같이 버무리거나, 또는 트윅스처럼 길쭉한 핑거 비스킷에 초콜릿을 입히거나 킷캣처럼 웨하스에 초콜릿을 씌우거나, 초난강이 광고한 일본의 1개 만족바처럼 시리얼을 넣은 등 수많은 변종들이 있다. 크런키나 요키 같이 모양은 일반 판초콜릿과 다름 없지만, 속에 쌀 튀긴 것이나 건포도, 여타 견과류를 잘게 부수거나 간 것을 섞은 제품도 이 분류에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초콜릿, 카라멜이라는 환상의 조합으로 어마무시한 양의 설탕이 들어가기 때문에 등산 등 체력 소모가 심한 운동을 했을 때나 제대로 식사를 못하고 전투에 참가하는 전쟁 중의 군인 같은 이들의 칼로리 보충에 매우 효과적이다. 실제로 영국과 영연방 국가의 전투식량에는 아직도 필수요소로 들어가고 있고, 다른 국가들에서도 군인들을 위한 부식으로 에너지바 등의 형태로 개량한 초콜릿 바를 포함시킨다. 육군훈련소에서도 행군을 앞둔 훈련병들에게 자유시간을 보급하기도 한다.
다만 단점이 있다면 초콜릿과 당류가 베이스라 더위와 체온 때문에 녹아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걸 극복한 제품군도 있지만 맛이 없거나 보기 힘들거나 둘 중 하나다. 그리고 설탕이 많이 들어간 제품이라 영양 균형도 당분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고 칼로리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거의 강정에 가깝게 견과류나 말린과일 위주로 만들거나 프로틴등을 첨가해서 이 문제점을 일부 개선한 제품이 몇몇 있으나 근본적으론 당과류라 약간 완화된 정도지 이것 하나만으로 고열량 보충 목적 외의, 이상적인 영양공급을 기대하는 건 무리가 있다. 한마디로 사람을 당장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주는 제품일뿐 건강면에서는 그다지 좋지 못하다.
4. 브랜드
4.1. 한국 브랜드
- 롯데제과 초코바
- 가나
- 크런키
- 블랙죠: 롯데제과 제품. 처음 나올때는 심형래가 광고를 했으며 요즘 보자면 흑인 비하라고 할 소재로 얼굴을 검게 칠하는 거로 광고했다. 1990년대까지 나오던 제품. 포장지에 그려진 흑인 캐릭터가 특징. 1990년대 후반부터 갑자기 찾아볼 수 없게 되었는데, 제품명과 포장지의 흑인 캐릭터가 흑인 비하적 요소가 있어서 그런 게 아닐까 하고 추측하는 사람들이 있다. 광고도 그렇고 상품의 특징을 특정 인종의 피부색에 기대어 표현하는 방식은 인종에 대한 비하로 간주될 여지가 충분하다. 사실 이 흑인 캐릭터도 1980년대 초반 독일의 초콜릿 제품에 있는 것을 적당히 모방한 것(...)이기도 하다. 원조인 독일 쪽도 인종차별이라는 비판을 받고 수정되었으며, 국내판은 2019년에 재출시되었다. 아무래도 인종차별이 될 수 있다는 문제를 미리 알았는지 포장지의 흑인 캐릭터가 펭귄으로 바뀌었다. 재출시판 기준으로 땅콩의 조직이 다른 초콜릿 바의 것보다 연하여 부드럽게 씹힌다. 그리고 재출시되면서 기본적인 땅콩 누가 초콜릿 바뿐만 아니라 초콜릿 쿠키와 땅콩을 분쇄하여 바 모양으로 뭉쳐 놓고 겉에 초콜릿을 입힌 초콜릿 쿠키 바도 출시되었다. 2019년 9월부터는 블랙죠 쵸코우유도 출시하였다.
- 아트라스
- 자유시간(해태제과)
- 키커(크라운제과)
- 핫브레이크(오리온제과)
- 노브랜드 초코바(이마트 자사 브랜드 노브랜드): 스페인에서 제조. 웨이퍼, 쿠키앤크림, 카라멜, 피넛, 코코넛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격은 2900원 안팎으로 검지손가락보다 약간 짧은 초코바 여러 개가 한 봉지 안에 들어있다. 이중 코코넛 초코바의 경우 한국에서 보기 힘든 코코넛을 넣은 초코바다.[5] 겉면의 초콜릿도 제법 두껍고 안의 내용물도 실해서 맛 자체는 괜찮은 편. 다만 대용량은 아니어서 여럿이서 그 자리에서 나눠먹거나 혼자 아껴먹어도 며칠이면 동난다.
매치매치바: 해태제과에서 1982년에 내놓은 제품으로 그야말로 국내 초코바 선구자적인 제품이었다. 처음에는 송골매가 광고에 나와 못생겨도 맛은 좋아~~! 란 노래를 불렀으며 1980년대 중순에는 가수 임병수가 매치매치바~라고 노래를 부르고 당시 신인이던 김혜수가 같이 모델로 나왔었다. 김혜수 광고 동영상.
4.2. 아시아 브랜드
4.3. 미국 브랜드
4.4. 남미 브랜드
- 빅빅(Big Big) : 멕시코
4.5. 유럽 브랜드
- 네슬레 초코바 : 스위스
- 네스퀵(Nesquik) 초코 웨하스
- 베이비 루스(BabyRuth) : 네슬레에서 생산하는 캔디바로 1921년부터 생산된것인데, 동시기에 활약하기 시작한 베이브 루스에서 차용한듯한 이름으로 여겨진다. 캐디쉑[6]이라는 옛 코미디영화에서 이 제품과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는데, 수영하다가 쉬는 꼬맹이 세명이 해당 제품을 먹으려고 아웅다웅하다가 그중 여자아이가 초코바를 살짝 빼서 뒤로 던지는 장난을 치는데, 던진 초코바는 풀장 한가운데로 떨어지고... 문제는 하필 모양이 모양이라 수영장 위에 아무리 봐도 x같아 보이는 게 둥둥 떠다니는걸 본 풀장에서 수영하던 사람들이 기겁해서 썰물처럼 빠져나가서 수영장 관리인이 방역반을 불러서 점검해보라고 하고, 물빠진 수영장을 조사하던 방역요원이 바닥에 떨어진 물체가 바로 초코바인것을 확인하는 씬이 있다. 이때 확인하면서 초코바를 먹는데, 아무리봐도 이 광경이 X을 먹는 것처럼 보였던 수영장 관리인의 부인이 졸도한다. 관련 씬 이는 1996년작 FPS 게임인 듀크 뉴켐 3D에서 패러디 되기도 하였다.
- 버터핑거(Butterfinger)
- 킷캣(KitKat)
- 커피 크리스프(Coffee Crisp) : 캐나다 에서 파는 네슬레 브랜드 초코바로 에어가 있는 두꺼운 웨하스에 초콜릿이 발라져 있다. 커피 크리스프 라는 이름답게 커피향과 바삭바삭한 웨하스가 특징. 캐나다 내에서는 킷캣과 쌍벽을 이룰정도로 바리에이션이 많다.
- 캐기(Kägi) : 스위스
- 캐드버리 초코바 : 영국
- 크런치(Crunchie)
- 미스터 빅(mr. big)
- 자리나(Zarina) : 튀르키예
- 비파 초코바 : 튀르키예
- 하리카(Harika)
- Niks XXL
- Sing Song
- Root
- Nubi Peanut
- Smac
- Moreno
- Efsane
[1] 다만 사전적 의미가 아니라 실생활에서 candy bar이라고 하면 대부분 우리가 생각하는 초콜릿 바를 떠올리며 초콜릿 바라는 단어는 잘 쓰지는 않는다. 미디어에서 가장 잘 알려진 예로는 밴드 오브 브라더스나 다른 2차대전물에서 "허쉬 캔디 바"가 갖는 위상을 생각해보면 된다.[2] 아이스크림 구구콘 및 구구 크러스터가 이 초코바를 본떠 만든 아이스크림이다.[3] 나비스코와 네슬레를 거쳐 2018년 페레로가 인수했다. 2020년 기준 세계 2위의 초콜릿 업체[4] 이 후 마즈 사는 스니커즈, 엠앤앰즈(M&M) 초콜릿, 트윅스 등의 후속 초콜릿 제품을 성공적으로 내놓으며 허쉬에 이은 미국의 대형 제과 회사로 성장했고, 2020년 경엔 초콜릿 업체 중 세계 1위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심지어 소련에서도 1960년대에 1인당 2개씩 배급했을 정도.[5] 이 제품 외에도 코코넛을 넣는 초코바들이 있긴 한데 죄다 외국 제품이다.[6] 한국에서는 광란의 골프장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