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17:06:00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

주고쿠 지방 국회의원
돗토리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카야마현 선거구 히로시마현 선거구 야마구치현 선거구
<colbgcolor=#a0a0a0,#5f5f5f> 2028년 개선
아오키 가즈히코 오노다 키미 미야자와 요이치 미카미 에리 에지마 기요시
2031년 개선
데가와 모모코 코바야시 코이치로 니시타 히데노리 모리모토 신지 기타무라 쓰네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e2b832"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돗토리 1구 돗토리 2구 시마네 1구 시마네 2구 오카야마 1구
이시바 시게루 아카자와 료세이 가메이 아키코 타카미 야스히로 아이사와 이치로
오카야마 2구 오카야마 3구 오카야마 4구 히로시마 1구 히로시마 2구
야마시타 다카시 가토 가쓰노부 유노키 미치요시 기시다 후미오 히라구치 히로시
히로시마 3구 히로시마 4구 히로시마 5구 히로시마 6구 야마구치 1구
사이토 데쓰오 소라모토 세이키 사토 고지 고바야시 후미아키 고무라 마사히로
야마구치 2구 야마구치 3구
기시 노부치요 하야시 요시마사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신타니 마사요시 히라오카 히데오 히라누마 쇼지로 히라바야시 아키라 이시바시 린타로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후쿠다 겐 쓰무라 게이스케 요시다 신지 테라다 미노루 아즈마 가쓰야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4c234c><tablebgcolor=#4c234c>
파일:일본 국회의원 기장 배지.svg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
鳥取県・島根県選挙区
}}}
파일:saninsen_TottoriShimane.svg
<colbgcolor=#4c234c><colcolor=#ffffff> 선거인 수 995,321명 (2024)
구성 행정구역 돗토리현, 시마네현
의원정수 2인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8 개선


아오키 가즈히코
2031 개선


데가와 모모코
}}}}}}}}} ||


1. 개요

돗토리현 전역과 시마네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이고, 공직선거법상 선거구의 정식 명칭은 돗토리현 및 시마네현 참의원 합동선거구(鳥取県及び島根県参議院合同選挙区)이며, 약칭은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鳥取県・島根県選挙区)이다. 선거구마다 국회의원 1인당 인구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 선거구별 의원수에 대해서 시정하게 되었고, 돗토리현 선거구시마네현 선거구는 시정 대상으로 분류되어, 2015년 7월 공직선거법 일부 개정으로 2개 도도부현으로 구성된 참의원 합동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유권자 수는 약 100만 명이다. 정수는 2인이며, 3년 마다 1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한다.[1]

2. 역대 국회의원

파일:일본 국회의원 기장 배지.svg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 역대 참의원 의원
연도(회차) 의원명 소속 정당
2016(24회) 아오키 가즈히코[A]

2019(25회) 마이타치 쇼지[B]
2022(26회) 아오키 가즈히코[A]
2025(27회) 데가와 모모코[A]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아오키 가즈히코[공] 387,787표 1위


62.70% 당선
후쿠시마 히로히코[7] 214,917표 2위


34.75% 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 카와이 미와코 8,924표 3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2.55%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463,040표 투표율
59.52%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1,070,057인

3.2.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마이타치 쇼지 328,394표 1위


[공]
62.3% 당선
나카바야시 요시코 167,329표 2위


[9]
31.7% 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 구로세 노부아키 31,770표 3위


6.0%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투표율
52.20%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1,048,600인

3.3.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아오키 가즈히코[공] 326,750표 1위


62.5% 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 무라카미 다이지로 118,603표 2위

22.6%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후쿠즈미 히데유키 37,723표 3위
7.2% 낙선
파일:참정당 심볼.svg
마에타 히로노리 26,718표 4위

[[참정당|
참정당
]]
5.1% 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 구로세 노부아키 13,517표 5위


2.6%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40,376표 투표율
52.99%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1,019,771인

3.4.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데가와 모모코
(出川桃子)
289,250표 1위


[공]
52.64% 당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 나카야마 아츠무
(中山集)
120,088표 2위


21.86% 낙선
파일:참정당 신 심볼마크.svg 쿠라이 카즈유키
(倉井克幸)
84,398표 3위

[[참정당|
참정당
]]
15.36%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카메타니 유코
(亀谷優子)
47,754표 4위


8.69% 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 타니구치 나오야
(谷口直矢)
7,952표 5위
NHK당
1.45%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49,442표 투표율
57.51%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988,714인

현역 의원이던 마이타치 쇼지 의원은 비례대표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돗토리 출신인 이시바 총리의 영향으로 자민당이 참패한 이번 선거에서 유일하게 과반 득표율을 넘긴 곳이다.


[1] 3년 마다 1인씩 번갈아 가면서 선출하는데, 각 정당은 짝수 선거 횟수에는 시마네현 출신-홀수 선거 횟수에는 돗토리현 출신 또는 짝수 선거 횟수에는 돗토리현 출신-홀수 선거 횟수에는 시마네현 출신 등의 형태로 지역 안배에 크게 신경을 써서 공천을 시행했었으나, 2025년 참원선에는 돗토리현 출신인 마이타치 쇼지가 비례구로 전출되었고 지역구에 시마네현의원 출신 데가와 모모코가 공천되면서 위 지역 안배 공천 방식이 처음으로 깨졌다.[A] 시마네현 출신[B] 돗토리현 출신[A] 시마네현 출신[A] 시마네현 출신[공] 추천:

공명당
[7] 추천:
민진당
, ,
일본공산당
,
[공] 추천:

공명당
[9]
일본공산당
추천
[공] 추천:

공명당
[공] 추천:

공명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