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0:23:29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50회 중원선에서 넘어옴
일본의 주요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종류지난 선거다음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6회
2022년 7월 10일
27회
2025년 7월 28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중의원 의원 총선거50회
2024년 10월 27일
51회
2028년 이내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보궐선거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27일
2025년 상반기
2025년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통일지방선거20회
2023년 4월 9일23일
21회
2027년 4월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도쿄도지사 선거2024년
2024년 7월 7일
2028년
2028년 7월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사전투표일 : 2024년 10월 16일~10월 26일 08:30~20:00
투표일 : 2024년 10월 27일 07:00~20:00
선거 이전
주요 상황 · 선거구 획정 · 선거구
후보자
지역별
정당별
선거 진행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선거 공약 · 선거 광고 · 선거 토론 및 연설 · 여론조사 · 출구조사
개표
결과 분석
관련 문서
}}}일본의 주요선거
}}}}}}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第50回衆議院議員総選挙
파일:제50회중원선포스터.jpg
총무성 공식 선거 포스터[홍보대사][슬로건번역]
{{{#!wiki style="margin:-0px -11.7px -5px" 2021년 10월 31일
49회 중원선
(미래 선택 총선)
2024년 10월 27일
50회 중원선
(일본 창생 총선)
2028년 이전
51회 중원선
}}}
투표율 53.85% ▼ 2.08%p[3]
선거 결과
파일:제50회 중원선 결과.svg
<rowcolor=#2D3865,#CFA547>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132석 59석 215석 46.2%
4석 20석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469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입헌민주당)] 104석 44석 148석 31.8%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4A73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일본유신회)] 23석 15석 38석 8.2%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3F88, 사이즈=.9em, 글자색=#FABE00, 내용=국민민주당)] 11석 17석 28석 6.0%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008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레이와 신센구미)] 0석 9석 9석 1.9%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db001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일본공산당)] 1석 7석 8석 1.7%
[[참정당|
참정당
]]
0석 3석 3석 0.6%
[[일본보수당|
일본보수당
]]
1석 2석 3석 0.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a7db,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사회민주당)] 1석 0석 1석 0.2%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무소속)] 12석 - 12석 2.6%

1. 개요2. 선거 이전3. 선거 진행4. 출구조사5. 투표율
5.1. 지역별 투표율5.2. 세대별 투표율
6. 개표 결과7. 차기 내각 구성8. 선거 이후9. 여담

[clearfix]

1. 개요

2024년 10월 27일에 실시된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4][5]

참의원 이와테현 선거구 1곳에서 치러지는 2024년 하반기 국회의원 보궐선거도 같은 날에 실시되었다.

2. 선거 이전

2.1. 주요 상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주요 상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선거구 획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구 획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은퇴 및 불출마

2.3.1. 자유민주당

2.3.2. 입헌민주당

2.3.3. 일본유신회

2.3.4. 공명당

2.3.5. 일본공산당

2.3.6. 무소속

2.4. 중의원 해산

일본 창생 해산
2024년 10월 9일 오후 4시[6]
누카가 후쿠시로 의장의 제49대 중의원 해산 선언
해산 당시 반자민 성향의 야당들에서 이시바 내각에 대한 내각불신임결의안을 제출했는데, 불신임안에 대한 토론이나 표결 없이 그냥 중의원을 해산시켜버려[7] 해산 당시 잠시 소란이 있었고, 이후 만세삼창을 할 때 일부 야당 의원들이 항의의 표시로 만세삼창을 하지 않았다.[8]

이때 일본 야당(입헌민주당 및 일본공산당 의원 일부) 의원들이 만세삼창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일본 언론들도 관심을 표명했다. 언론의 관심은 역대 중의원 해산사례들을 비교해 보더라도 월등히 많은 규모의 의원들이 만세삼창에 동참하지 않은 것인데, 10월 9일 중의원 해산에서 보여준 졸속 처리가 한몫했다. 10월 9일 오후 3시, 입헌민주당, 일본공산당, 일본유신회, 국민민주당 야4당은 공동으로 이시바 내각에 대한 불신임결의안을 기습적으로 제출했다. 중의원 의장의 입장에서는 일단 결의안에 대해 뭐라도 언급을 하거나, 아니면 천황의 어명어새 날인을 통한 국사행위가 이미 시행되었으므로, 이 시점에서 해산은 결정되었고 이로 인해 안건처리가 불가하다는 선언이라도 해야 하는데, 그냥 해산 조서만을 읽어버리고는 뭉개버렸다.

내각 불신임결의안은 표결하더라도 연립여당인 자민당·공명당의 의석수가 과반 이상이므로 통과될 가능성은 없고, 중의원 해산 조서가 의장에게 도달하는 시점[9]에서 불신임결의를 포함한 모든 의사진행에 우선해 해산 절차가 개시되는 것이 옳으므로, 법적으로 중대한 문제는 아니다.[10] 마찬가지로,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위한 중의원 해산 당시에도 야당 측이 제출한 불신임안이 해산조서보다 고노 요헤이 중의원 의장에게 먼저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노 의장의 해산조서 낭독에 따라 중의원이 해산된 적이 있다.[11]

3. 선거 진행

3.1. 선거 일정

<rowcolor=#fff> 날짜 실시 사항
2024년 10월 9일 중의원 해산
2024년 10월 15일 선거 공시
2024년 10월 16일 ~ 10월 26일 사전투표
(매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
2024년 10월 27일 투표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3.2. 참여 정당

<rowcolor=#fff> 정당 지역구 후보수 비례대표 후보수[12] 총 후보수


266 285 342

207 234 237


163 146 164


11 39 50


213 35 236


41 42 42


19 32 35


10 17 17

[[참정당|
참정당
]]
85 22 95
기타 정치단체 17 29 45


[[무소속(정치)|
무소속
]]
81 - 81

3.3. 여론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여론조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지역별 후보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지역별 후보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정당별 후보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정당별 후보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선거 공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공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선거 광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선거 광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출구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출구조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투표율

시간별 투표율
선거인 수: 103,880,749인[13]
<rowcolor=#fff> 시간 투표자 수 누적 투표율 지난 선거
<colbgcolor=#f5f5f5,#2d2f34> 10시 - 6.33% 6.32%
11시 - 10.45% 11.32%
14시 - 19.14% 21.49%
16시 - 24.32% 26.78%
18시 - 29.01% 31.64%
19시 30분 - 31.52% 34.32%
사전투표 20,955,435 20.17% 19.54%
최종(20시) 55,935,742 53.85% 55.93%

5.1. 지역별 투표율

지역별 투표율
<rowcolor=#fff> 도도부현 투표율
<colbgcolor=#f5f5f5,#2d2f34> 홋카이도 56.15%
아오모리현 51.61%
이와테현 55.55%
미야기현 52.16%
아키타현 59.44%
야마가타현 60.32%
후쿠시마현 53.93%
이바라키현 52.45%
도치기현 50.24%
군마현 49.92%
사이타마현 51.14%
치바현 52.14%
도쿄도 56.06%
가나가와현 54.53%
니가타현 58.56%
도야마현 54.69%
이시카와현 55.09%
후쿠이현 57.39%
야마나시현 56.76%
나가노현 57.21%
기후현 55.39%
시즈오카현 55.59%
아이치현 54.50%
미에현 56.21%
시가현 54.93%
교토부 53.12%
오사카부 52.61%
효고현 53.67%
나라현 58.49%
와카야마현 56.87%
돗토리현 58.10%
시마네현 58.14%
오카야마현 50.24%
히로시마현 48.40%
야마구치현 52.07%
도쿠시마현 50.81%
카가와현 52.94%
에히메현 51.95%
고치현 51.97%
후쿠오카현 51.59%
사가현 55.99%
나가사키현 52.48%
구마모토현 52.06%
오이타현 55.42%
미야자키현 50.61%
가고시마현 53.49%
오키나와현 49.96%
투표율 최저 지역은 파란색, 투표율 최고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기.

5.2. 세대별 투표율

연령별 투표율
<rowcolor=#fff> 연령대 투표율
<colbgcolor=#f5f5f5,#2d2f34> 10대 43.06%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이상 %

6. 개표 결과

하위 문단의 지역구 및 비례대표 개표 결과의 출처는 일본 총무성 홈페이지의 중의원 의원 총선거 결과 모음(衆議院議員総選挙結果調)#이며, 해당 자료에서는 지역구에서 일본보수당을 기타(諸派)로 처리하여 아이치현 선거관리위원회의 당파별 득표수(党派別得票数)#자료를 추가로 참고하였다. (일본보수당의 지역구 출마자 4명 전원이 아이치현에서 출마하였다.) 득표수에 소숫점이 있는 것은 일본의 선거 제도인 안분표 때문이다.

6.1. 주요 결과

6.2. 지역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지역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정당 득표수 의석
득표율


20,867,762.299 132석
38.46%

15,740,860.279 104석
29.01%


6,048,103.652 23석
11.15%


730,401 4석
1.35%


3,695,806.959 1석
6.81%


2,349,583.745 11석
4.33%


425,445.111 -
0.78%


283,287.429 1석
0.52%

[[참정당|
참정당
]]
1,357,189.159 -
2.50%

155,837 1석
0.29%


29,275 -
0.05%
기타
43,755.248 -
0.08%


[[무소속(정치)|
무소속
]]
2,534,571.071 12석
4.67%
선거인 수 103,880,749 투표율
53.85%
투표 수 55,934,455[16]
무효표 수 1,672,577[17]

6.3. 비례대표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비례대표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정당별 비례대표 득표율[18]
정당 득표수 의석
득표율


14,582,690 59석
26.73%

11,565,122.620 44석
21.20%


6,171,533.489 17석[19]
11.31%


5,964,415 20석
10.93%


5,105,127 15석
9.36%


3,805,060 9석
6.98%


3,362,966 7석
6.16%

[[참정당|
참정당
]]
1,870,347 3석
3.43%

1,145,622 2석
2.10%


934,598 -
1.71%


23,784 -
0.04%
안락사 제도를 생각하는 모임
18,455 -
0.03%
선거인 수 103,880,749 투표율
53.84%
투표 수 55,928,801[20]
무효표 수 1,379,079[21]

6.4. 정당별 결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정당별 결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지역별 결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지역별 결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6. 비자금 스캔들 연루 의원 당락

총 46명의 후보 중 28명이 낙선하였다.

7. 차기 내각 구성

선거 결과 기존 연립여당인 자유민주당공명당의 의석 합에 자민계 무소속 의원들[31]까지 더하더라도 과반 의석에 미달하였다. 현재 예상되는 내각 구성 시나리오들은 아래와 같으며, 원내 구성의 핵심 정당인 일본유신회와 국민민주당은 자민당 연정/입민당 연정 참여에 부정적이고 제3세력에 존치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에, 두 당의 입장 변화가 없다면 과반 연정 조합이 나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전망이다.

따라서 현 여당 입장에서는 우선 어떻게든 정권을 지킨 후 최소 1년 이상 내각을 유지하면서 지지율 상승을 시도한 후 향후 재총선을 노리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다. 다만 이시바 시게루는 자민당 내 만년 비주류였다가 총재 자리에 오른 인물인지라 당내 기반도 상대적으로 약해 어려운 과제일 수밖에 없다. 당장 이시바 시게루이전 총재 선거에서 다카이치 사나에한테 1차 투표에서 패배하여 당선이 불투명했으나 기시다 후미오, 고이즈미 신지로 등의 지지로 결선투표에서 당선된 것이다.

그나마 현 집권 세력에게 다행인 점은 국민민주당이 부분적 협력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자민당-공명당의 소수연정에 국민민주당이 각외협력(신임 공급)을 맺으며 사안에 따라 연립여당의 의견에 동의를 해 주는 형태로 갈 것이 유력하다. 물론 이렇게 되면 자민당이 국민민주당에 끌려다닐 가능성이 커진다. 거기에 자민당과 국민민주당 사이에는 차이도 제법 있는 편인지라, 협력이 원활하게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결국 별다른 협상의 진전 없이, 제3당 의원들이 대부분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결선투표에서 무효표를 던지며 2024년 11월 11일 자민당 이시바 시게루가 총리로 재지명되었다. 이로써 일단은 제2차 이시바 내각 소수정부 체제로 정부가 운영된다.
===# 연정 방안 #===
===# 소수정부 및 조기총선 방안 #===
일본유신회와 국민민주당이 자민당 주도의 연정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한 만큼 가능성이 꽤 높아진 시나리오이다. 참고로 일본에서 소수정부가 구성된 사례는 1953년 제5차 요시다 내각이 마지막이다.[37][38] 소수정부가 출범한다면 어느 당이 집권하든 시기의 차이만 있을 뿐 조기총선이 불가피해진다.

8. 선거 이후

8.1. 제103대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차 이시바 내각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홍보대사] 모델은 배우 타카하시 히카루(髙橋 ひかる)와 오오사와 타카오(大沢 たかお).[슬로건번역] 일본의, 내일을 생각한다. 그 마음을, 한 표로.(日本の、あしたを想う。その気持ちを、一票に。)[3] 전후 3번째로 낮은 투표율. 전후 2번째로 낮은 투표율을 기록한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는 불과 0.17%p 차이 밖에 나지 않기에 사실상 동급 수준이다.[4]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 예정일은 2025년 10월이지만,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10월 1일 취임 직후 한 첫 기자회견에서 9일에 중의원을 해산하고 15일에 선거 고시, 27일에 선거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5] 일본 중의원은 총리가 해산 후 재선거를 실시할 수 있으며, 실제로도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통일교 게이트와 정치자금 파문으로 기시다 내각과 자민당의 지지율이 떨어지긴 했으나,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 이후 자민당의 지지율이 한때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고, 이시바 내각의 첫 여론조사때만 해도 40~50%대를 기록하고 있었기에 지지율 상승세와 동시에 총리가 교체되는 틈을 타 이번에도 조기 선거는 정해진 수순으로 보는 이들이 많았다.#[6] 원래 오후 3시 30분에 본회의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야당에서 이시바 내각에 대한 불신임안을 제출하면서 본회의가 30분 늦게 개최되었다.[7] 우정 해산 때도 제2차 고이즈미 개조내각에 대한 불신임결의안이 제출된 상황에서 토론 및 표결 없이 중의원이 기습 해산된 바 있다.[8] 1993년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불신임결의안이 통과되자 사쿠라우치 요시오 당시 중의원 의장은 일본국 헌법 제7조에 따라 중의원을 해산한다는 조서를 낭독했는데, 야당에서는 일본국 헌법 제69조에 따라 중의원을 해산하지 않았다는 항의의 의미로 만세삼창을 하지 않았다.[9] 즉, 내각관방장관이 중의원 사무총장에게 조서를 건네는 시점[10] 설령 불신임안이 통과되더라도, 이미 나루히토의 서명을 받은 의회해산조서를 누카가 후쿠시로 의장이 공표해버리면 그만이며, 이시바 시게루는 총선까지 총리직을 유지한다.[11] 또한 결의안 제출과 별개로 본회의 보고는 말 그대로 조서 전달 직전에 이루어졌으므로 절차로 볼 때 수 시간을 뭉갠 것까진 아니다. 당초 야당도 표결 의사는 없다는 것이 보도되었으므로 해산 자체의 명분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야당의 항의의 가장 본질적인 이유이긴 하다. 이 때문에 야당 의원들은 "헌법 몇 조냐"를 외치며 중의원 해산에 항의하였다. 제7조에 따른 천황의 국사행위로서의 중의원 해산이지만, 내각불신임결의에 따라 발동되는 제69조에 따른 중의원 해산으로 보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 항의의 요지이다.[12] 지역구 중복 후보 포함.[13] 일본 선거 행정의 특성상, 공시일과 사전투표 기간에는 선거인 수를 임시로 선거 등록일 현재 수치로 발표했다가, 선거일 당일이 되어서야 사망자 수 혹은 기타 정정을 포함한 올바른 수치로 다시 공지한다. 당해 선거에서 선거 등록일 현재의 선거인 수는 104,179,275인이었으며, 일부 이 수치를 기준으로 투표율을 표기한 자료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문서에서는 선거일 당일에 정정된 103,880,749인을 기준으로 재계산하였다.[14] 자유민주당, 공명당[15] 비례대표로 중복 출마하지 않아 석패율제 구제 대상이 아니므로 지역구에서 2위를 기록함과 동시에 바로 낙선이 확정됐다.[16]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교부받았으나, 투표소 바깥으로 가져갔거나, 기타 불수리 처리된 표 1,287표를 포함하지 않은 수치로, 공식 투표자 수 및 투표율 계산은 이 숫자를 포함한 55,935,742명을 기준으로 한다.[17] 안분표 배분에 따라 버림 처리된 0.048표를 포함하지 않은 수치임.[18] 전국 득표율.[19] 공명당보다 득표율이 높음에도 의석수가 더 적은 이유는 입후보자 부족으로 도카이 2석 기타칸토 1석을 타 당에 넘겨줬야 했기 때문[20]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교부받았으나, 투표소 바깥으로 가져갔거나, 기타 불수리 처리된 표 2,098표를 포함하지 않은 수치로, 공식 투표자 수 및 투표율 계산은 이 숫자를 포함한 55,930,899명을 기준으로 한다.[21] 안분표 배분에 따라 버림 처리된 1.891표를 포함하지 않은 수치임.[22] 비공인 의원과의 차이는 해당 지역구에 별도의 자민당 후보가 출마했는지의 여부다.[23] 연루 의원이나 탈당 사유 자체는 이와는 별개의 여성 관련 문제다.[24] 원래 참의원이었으나 탈당 처분을 받은 후 참의원을 사직하고 중의원 선거에 출마했다.[25] 자민당 당적은 유지하나 이번 선거에서 자민당 공천 없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이 때문에 위의 탈당 처분 의원들과는 다르게 자민당이 따로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26] 자민당 공천은 받았으나 석패율제 구제를 위한 비례대표 중복등록이 금지되었다. 즉, 지역구에서 낙선하면 그대로 낙선인 셈.[27] 무소속 와타나베 신타로 후보를 상대로 불과 178표 차이로 이겼다.[28] 후술할 마루카와 다마요의 남편. 즉 부부끼리 사이좋게 연루되어 사이좋게 낙선한 셈(...)[29] 참의원이었으나 사퇴 후 이번 선거에서 중의원으로 출마했다. 앞서 언급된 오쓰카 다쿠의 아내[30] 참고로 출생지가 전라남도 강진군이다. 일제시대인 1941년생이며, 패전 후 일본으로 돌아가 출생지 이상의 의미는 없긴 하다.[31] 테레비 아사히니시무라 야스토시, 하기우다 고이치, 세코 히로시게, 히로세 겐, 히라사와 가쓰에이, 미타조노 사토시까지 6석으로 추산한다.[32] 호소카와 내각(1993)이 비자민-비공산 연정이었는데, 이 당시에도 공명당이 가담하여 55년 체제를 무너뜨린 전적이 있다. 다만 당시의 공명당은 선거 전부터 야권연대를 하고 있었고, 하타 내각이 무너진 이후인 1994년 반(反)자민당 빅텐트로 헤쳐모인 신진당에도 가담한 이력이 있다. 참고로 이 신진당을 주도한 사람은 바로 오자와 이치로로, 이번 중원선에서도 당선된 팔팔한 현역이다. 그리고 2024년은 신진당이 탄생한 지 정확하게 30년이 되는 해이다.[33] 도쿄 26구 입헌민주당 출신 무소속 국회의원. 노다 요시히코의 내각에서 국가공안위원장을 지냈고 선거 직전까지 입헌민주당 회파를 유지하여 이후에도 노다에게 협력할 것이 확실하다.[34] 이미 호소카와 모리히로-하타 쓰토무 총리로 이어지는 비자민 7당 연정이 1년도 못 가 붕괴된 선례가 있다. 유신회-공산당은 그때보다도 차이가 크며, 심지어 앞서 말한 7당 연정도 공산당은 의도적으로 배제했던 연립정권이었다. 그 당시에도 공산당을 연정 파트너로 끼워주는 것은 위험하다고 실무책임자 오자와 이치로가 판단했던 모양.[35] 공명당 포함시[36] 과거 무라야마 내각이 수립될 수 있었던 이유도 제1당이었으나 과반 미달로 정국 교착 상태에 빠진 자민당이 반자민 연정을 와해시키기 위해 일본사회당에 총리직을 제안했기 때문으로, 총리직을 포기한 고노 요헤이 당시 자민당 총재의 결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37] 당시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바카야로라고 욕설을 해서 벌어진 중의원 해산과 이은 총선(바카야로 총선)에서 요시다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이 과반수에 한참 못 미치는 199석으로 나타나 당시 개진당, 사회당 우파(민주사회당), 하토야마 자유당과 겨우 합의해 출범한 소수정부였다. 심지어 총리 결선투표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아서 중참 양원협의회를 개최하고 나서야 간신히 출범했다. 요시다 5차 내각은 출범 직후부터 논란에 휩싸였고 경찰법 개정안 문제로 일본 역사상 최초의 국회 공성전이 벌어지면서 사실상 기능을 정지, 이름만 남기고 산소호흡기만 붙이고 있다가 18개월 만에 정권이 교체된다.[38] 그나마 1994년 하타 내각이 출범 직후 연정 파트너였던 사회당과 사키가케가 이탈하면서 사실상 소수정부 상태가 되었던 적이 있다. 결국 두 달도 못 버티고 무너지면서 무라야마 내각이 출범했다.[39] 유신회나 국민민주당이 짜고 총리지명선거 결선투표에 불참, 즉 기권해버리는 것도 방법이다. 둘 중 한 당이라도 결선에서 기권할 경우 노다 요시히코이시바 시게루를 꺾을 방법이 없다.[40] 대통령제에서는 여소야대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의원내각제에서는 여당 또는 연립여당이 과반에 미달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며 내각불신임결의에도 취약하다.[41] 의회 해산을 위한 임시 내각 구성 합의는 의외로 왕왕 있다. 네덜란드마르크 뤼터2021년 보조금 스캔들로 자유민주국민당 위주의 연정이 깨지자 의회 해산을 위해 야당과 협의를 하여 임시 소수정부 내각을 꾸리고 소수내각 총리 명의로 의회해산을 단행했다.[42] 일본국 헌법 제7조에 의한 중의원 해산이다.[43] 일본국 헌법 제69조에 의한 중의원 해산이다. 이시바 시게루 1차 내각은 이미 일본국 헌법 제70조에 따라 총사직한 상태이기는 하지만, 후임 총리가 아직 뽑히지 않았으므로 아직 내각이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이시바 내각의 의결로 중의원을 해산하는 것이 불가능한 건 아니다. 단, 이 경우 이시바 내각 내 각료들 중 마키하라 히데키 법무대신과 오자토 야스히로 농림수산대신이 낙선했기 때문에 이 둘은 관례상 교체해야 한다. 다만 일본 내각 구성의 특성상 내각총리대신이나 다른 대신이 일시적으로 직을 겸직할 수 있으며, 일본국 헌법에서는 내각 구성원의 과반이 국회의원(중의원 의원 또는 참의원 의원)일 것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낙선자 2명을 '이시바 임시내각' 에서 반드시 교체해야 하는 건 아니다.[44] 그리고 2차 총선을 할 경우 하기된 것처럼 놓쳐버린 비례대표 의석수를 추가해 국민민주당이 의석을 더 불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입헌민주당이 2차 총선에서 의석을 불려봤자 단독 과반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한다면 다마키 대표 입장에서 입헌민주당과 국민민주당의 연정 구성은 필수적일 것이라고 계산할 수 있다.[45] 특히 원내정당 중 극우적인 색채가 가장 강한 일본보수당은 다카이치 사나에와 구 세이와 정책연구회(아베파) 등 자민당 내 보수방류 출신 인사들의 영입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선거 전에도 다카이치와 구 아베파의 일본보수당 이적 루머가 있었다.[46] 투표인증서(投票済証) 자체에 시나모롤 캐릭터가 그려져있는 등 해당 IP를 좋아하는 사람은 가지고 싶어할 수집 요소가 있고 한국의 수능 수험표 가져가면 할인해주는 제도처럼 투표인증서를 제시하면 할인 등을 해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거래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47] 당선 유력이 개표 99% 까지 발표되지 않았을 정도로 초박빙이었으며, 소선거구 중 가장 마지막까지 당선자가 발표되지 않았다.[48] 두 후보가 같은 성씨였기 때문에 안분표가 발생했다. 실제 득표는 스즈키 하야토 93,490.555표, 스즈키 요스케 92,899.846표로 실제 정확한 표차는 590.709표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2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