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8 23:01:42

마츠나가 히로미

마츠나가 히로미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3루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미즈하라 시게루
도쿄쿄진군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요기 신지오
오사카
우노 미츠오
코쿠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레온 리
야쿠르트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반스 로우
주니치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잭 하웰
야쿠르트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레오 고메스
주니치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레오 고메스
주니치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즈키 켄
야쿠르트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모리노 마사히코
주니치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엑토르 루나
주니치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미야자키 토시로
DeNA
미야자키 토시로
DeNA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미야자키 토시로
DeNA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나카타니 쥰지
한큐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토니 로이(1)
니시테츠
모리모토 키요시
오릭스
쿠니사다 야스히로
난카이
아리토 미치요
롯데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리토 미치요
롯데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아리토 미치요
롯데
시마타니 킨지
한큐
시마타니 킨지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스즈키 켄
세이부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호세 페르난데스
라쿠텐
그렉 라로카
오릭스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케이시 맥기
라쿠텐
긴지
라쿠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젤러스 휠러
라쿠텐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즈키 다이치
라쿠텐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1) 당해 득표수 1위는 난카이 호크스의 쿠니사다 야스히로였으나, 이때 쿠니사다가 2루수 부문에서도 득표수 1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당시 복수 포지션에서의 수상을 금지한 규정상 쿠니사다는 득표수가 더 많은 2루수 부문만 수상하고 대신 득표수 2위였던 토니 로이가 3루수 부문을 수상했다.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도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카리타 히사노리
도쿄 세네터스 / 16개
야마구치 마사노부
오사카 / 29개
시마 히데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2개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22개
에구치 유키오
나고야킨코군 / 14개
사사키 츠네스케
나고야킨코군 / 20개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야마다 덴
한큐군 / 30개
고미 요시오
나고야킨코군 / 30개
이시다 마사요시
나고야군 / 32개
츠보우치 미치노리
아사히군 / 26개
츠보우치 미치노리
아사히군 / 44개
야마다 덴
한큐군 / 56개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이시이 마사유키
한신군 / 19개
하기하라 히로시
도쿄쿄진군 / 19개
카와니시 토시오
킨키그레이트링 / 39개
카와니시 토시오
난카이 / 53개
카와니시 토시오
난카이 / 66개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9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 74개
츠치야 마사타카
코쿠테츠 / 52개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 63개
카나야마 지로
히로시마 / 58개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5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혼다 이츠로
주니치 / 42개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50개
이이다 토쿠지
코쿠테츠 / 40개
오카지마 히로지
주니치 / 47개
오카지마 히로지
주니치 / 41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카 토시오
주니치 / 50개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 35개
코노 아키테루
주니치 / 26개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50개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 57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44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46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70개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 39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5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토죠 후미히로
야쿠르트 / 28개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38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45개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28개
나카츠카 마사유키
타이요 / 28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오시타 츠요시
히로시마 / 44개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31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4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4개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55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38개
아오키 미노루
야쿠르트 / 34개
마츠모토 타다시
요미우리 / 61개
마츠모토 타다시
요미우리 / 76개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 56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73개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48개
히라노 켄
주니치 / 48개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48개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33개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가타 코이치
요미우리 / 33개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3개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1개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 33개
오가타 코이치
요미우리 / 24개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24개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7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47개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50개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49개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9개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9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5개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39개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26개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1개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4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0개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1개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 31개
후쿠치 카즈키
야쿠르트 / 42개
후쿠치 카즈키
야쿠르트 / 42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 43개
후지무라 다이스케
요미우리 / 28개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 32개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29개
카지타니 타카유키
DeNA / 39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4개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0개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5개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3개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6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1개
나카노 타쿠무
한신 / 30개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0개
치카모토 코지
한신 / 28개
치카모토 코지
한신 / 19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2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78개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5개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5개
래리 레인즈
한큐 / 61개
스즈키 타케시
킨테츠 / 7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 59개
코노 아키테루
한큐 / 85개
코노 아키테루
한큐 / 56개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8개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8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2개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42개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50개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45개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72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9개
야마모토 코시
한큐 / 32개
니시다 타카유키
도쿄 오리온즈 / 32개
야스이 토시노리
킨테츠 / 54개
사카모토 토시조
한큐 / 47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75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7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106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95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94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3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2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1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70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0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60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46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 38개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6개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41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41개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55개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42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51개
오노 히사시
다이에 / 42개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40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31개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 37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49개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 58개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62개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43개
코사카 마코토
롯데 / 43개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32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코사카 마코토
롯데 / 33개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44개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 41개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42개
카와사키 무네노리
다이에 / 42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41개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3개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38개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0개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1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9개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59개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60개
히지리사와 료
라쿠텐 / 54개
양다이강
닛폰햄 / 47개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43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시마 타쿠야
닛폰햄 / 34개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53개
카네코 유지
세이부 / 53개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39개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44개
카네코 유지
세이부 / 41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50개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24개
겐다 소스케
세이부 / 24개
오기노 타카시
롯데 / 24개
와다 코시로
롯데 / 24개
타카베 아키토
롯데 / 44개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36개
코부카타 히로토
라쿠텐 / 36개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41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35개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출루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5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63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6출루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9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80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94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3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57출루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7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20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40출루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43출루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32출루
타오 야스시
주니치 / 232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34출루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231출루
랜디 바스
한신 / .428
랜디 바스
한신 / .481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35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8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449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6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73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60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7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431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44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1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9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38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6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61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01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425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0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8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34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416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00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437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395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429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55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416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433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98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46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53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27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33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58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403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399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3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2 1963 1964 1965 196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0
잭 블룸필드
킨테츠 / .39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6
대릴 스펜서
한큐 / .423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439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7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67
에토 신이치
롯데 / .408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3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8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52
대릴 스펜서
킨테츠 / .394
카토 히데지
한큐 / .376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카토 히데지
한큐 / .401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98
카토 히데지
한큐 / .437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 .412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31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28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19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43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1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7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8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9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431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54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428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02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95
이치로
오릭스 / .445
이치로
오릭스 / .432
이치로
오릭스 / .422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스즈키 켄
세이부 / .431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435
이치로
오릭스 / .412
이치로
오릭스 / .460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434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467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473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64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12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53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터피 로즈
오릭스 / .403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410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398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428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11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04
에스테반 헤르만
세이부 / .418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4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6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46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26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22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65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29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57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9
야나기마치 타츠루
소프트뱅크 / .382
}}}}}}}}}}}}}}} ||
1962년부터 퍼시픽리그에서 최고출루율 시상을 시작했으나 1984년까진 출루율이 공식 기록이 아닌 퍼시픽리그에서만 쓰이는 지표였으며 당시 계산법엔 희생플라이가 반영되지 않았다.
센트럴리그에선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최고출루율이 아닌 안타+사사구 갯수를 합친 최다출루수 타이틀을 별도로 시상하다
1985년부터 출루율일본프로야구 공식 지표로 반영되면서 계산법에 희생플라이가 분모로 들어감과 동시에 양대리그 모두 최고출루율을 타이틀 시상 대상으로 반영했다.
이 때문에 1984년까지의 출루율 기록은 현행 계산법보다 높게 나오며 시즌 출루율 기록도 1985년 이후부터의 기록만 반영한다.
}}}}}}}}}}}} ||

보유 기록(NPB)
연속 경기 1회 선두타자 홈런 3경기
연속 타석 볼넷 11타석

한큐 브레이브스 등번호 87번
공번 마츠나가 히로미
(1978)
이즈모토 토시미츠
(1979)
한큐 브레이브스 등번호 48번
야마모토 요시키
(1977~1978)
마츠나가 히로미
(1979~1982)
와쿠카와 츠토무
(1983~1989)
한큐 브레이브스-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 등번호 8번
시마타니 킨지
(1977~1982)
마츠나가 히로미
(1983~1992)
후지이 야스오
(1993~2002)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2번
타카하시 요시히코
(1991~1992)
마츠나가 히로미
(1993)[1]
히라오 히로시
(1994~1999)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02번
공번 마츠나가 히로미
(1993)[2]
공번
{{{#ff6b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등번호 3번}}}
사사키 마코토
(1989~1993)
마츠나가 히로미
(1994~1997)
요시나가 코이치로
(1998)
}}} ||
파일:external/www.yume-gr.jp/mathunaga1.jpg
마츠나가 히로미
松永浩美 | Hiromi Matsunaga
출생 1960년 9월 27일 ([age(1960-09-27)]세)
후쿠오카현 야하타시
(現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야하타히가시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후쿠오카현립 코쿠라 공업 고교 (후쿠오카, 중퇴)
신체 180cm, 78kg
포지션 3루수, 유격수
투타 우투양타
프로입단 1978년 드래프트외 입단 (한큐)
소속팀 한큐-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 (1979~1992)
한신 타이거스 (1993)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4~1997)
지도자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3] 야수종합 특별코치 (2014)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현역 시절3. 은퇴 이후

1. 개요

NPB 야구선수. NPB 최초의 FA 선언자이다.

2. 현역 시절

야구를 시작하기 전엔 축구를 했다고 한다. 어릴 적 꿈은 월드컵 출장이었다.

그 뒤 후쿠오카현립 고쿠라 공업 고등학교에 입학해, 외야수투수로 활약했다. 그 뒤 1978년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드래프트 번외지명으로 한큐 브레이브스에 입단했으나, 이느 일본프로야구 협약에 위반되는 사항이었기 때문에 먼저 연습생으로 입단시킨 후 1979년 정식 선수로 전환된 뒤에 비로소 현역 생활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파일:external/stat.ameba.jp/t02200311_0728102813521361999.jpg
한큐 브레이브스 시절
파일:external/stat.ameba.jp/t02200316_0688098813521362000.jpg
오릭스 블루웨이브 시절

입단 초기엔 2군에서 실력을 다진 후 1981년 1군에 데뷔해 그 해 73경기 105타석 30안타 2홈런 15타점 4도루 타율 .326의 신인 치곤 나름 괜찮은 성적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고, 이듬해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한큐 - 오릭스의 주전 3루수로 뛰었다.

한큐-오릭스에서 뛸 동안 데뷔 시즌이었던 1981년을 제외한 전년도에서 모두 규정타석을 충족하며 100안타 이상[4]을 침과 동시에 3할 타율을 6번이나 기록하는[5] 타력을 선보였고, 이외에도 두 자릿 수 홈런을 1982~1991년, 무려 10년 간이나 치는 장타력도 선보였다. 이 외에도 도루로도 매우 준수한 활약을 선보여 1985년 38도루로 도루왕 타이틀을 수상하기도 했고, 1989년엔 최고출루율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다재다능한 호타준족의 선수로 활약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1984년엔 한큐 브레이브스 시대의 마지막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6]

또 1982년 5월 12일 對 닛폰햄 파이터즈 戰에서는 일본인 선수 최초로 양타석 홈런을 치기도 했다.[7]

그러나 이런 호타준족의 이미지랑은 걸맞지 않게 타격왕 타이틀을 획득한 적이 한번도 없다. 마츠나가에게 수위타자를 주고 싶지 않았던 투수들이 11타석 연속 볼넷, 10타석 연속 고의사구, 1시합 4고의사구 등의 갖가지 기록을 만들어내면서까지 볼넷를 던져댔기 때문이었다. 특히 1991년엔 무려 4모(0.0004) 차이로 타이틀을 놓치면서 획득을 못 한게 천추의 한으로 남게 되었다.

마츠나가는 팀이 오릭스에게 매각되고 팀명이 오릭스 블루웨이브로 바뀜과 동시에 고베연고이전한 후에도 주전타자로 활약했지만, 블루웨이브 초대 감독 도이 쇼조[8]와의 불화로 결국 1992년 시즌 오프, 한신 타이거스의 선발 투수 노다 코지[9] 와의 대형 트레이드로 이적한다.

한큐 - 오릭스에서 오랫동안 뛰며 주전타자로써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던 그였고, 입단 당시 인터뷰에서도 "나카무라 카츠히로 감독[10]에게 우승을 가져다 주겠다. 나는 의리가 강한 남자다." 란 멘트로 본인의 강한 의지를 보여줬기 때문에 팬들과 구단, 코칭스태프들이 많이 기대를 했다. 그 기대에 보답하듯, 마츠나가는 개막전에서 5타석 5안타로 전타석 안타를 기록하며 그 기대에 부응하면서 점점 마츠나가에 대한 기대는 높아져갔다.

파일:external/stat.ameba.jp/t02200313_0692098413521362001.jpg
흑역사가 되어버리고 만 한신 타이거스 시절

마츠나가는 개막 2차전에서 부상을 입어버리면서 허무하게 전력에서 이탈해 버렸고, 후반부에 어찌저찌 복귀해 3시합 연속 선두타자 홈런을 기록해 세계기록을 경신하기도 했지만, 이미 개판 5분전이 되어버린 한신의 성적과 분위기를 올리기엔 늦어버린 상태였고, 결국 이해 시즌은 80시합 339타석 89안타 8홈런 31타점 3도루 타율 .294 의 저조한 성적에 그치면서 완전히 시즌을 망쳐버렸다. 본인의 11년 연속 규정타석 충족 기록이 끊긴 건 덤. 여기에, 트레이드의 대가로 오릭스로 보내버린 노다 코지는 특유의 포크볼을 앞세워 탈삼진 머신으로 각성해 26경기 225이닝 17승 5패 방어율 2.56 209탈삼진의 괴물 성적을 찍으며 단숨에 오릭스의 에이스로 부상한다.[11] 그리고 1997년까지 오릭스의 주축 선발투수로 활약하며 오기 아키라 감독 아래에서 두 번의 퍼시픽리그 우승과 한 번의 일본시리즈 우승까지 차지하니, 완벽히 한신이 참패한 트레이드라고밖에는 말할 수 없는 결과였다.

파일:external/www.suruga-ya.jp/g8858992.jpg
NPB 최초의 FA 선언으로 이적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시절

이 해 시즌 종료 후, 마츠나가는 NPB 최초로 FA를 선언. 고향인 후쿠오카에 터를 잡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로 이적하게 된다. 이때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내야가 전부 흙으로만 덮여있는) 한신 고시엔 구장의 그라운드는 유치원의 모래밭이다"란 발언을 하여 물의를 빚었으나, 현재는 마츠나가와[12] 사이가 좋지 않았던 일부 기자들이 악의적으로 날조한 것 이라는 설이 유력하다.[13] 본인의 주장에 의하면, 원래의 발언 내용은 한신 팬들이나 구단을 비하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흙만 깔린 한신 고시엔 구장 내야의 상태에 대한 단순한 의견 표명에 가까웠다. 그라운드를 관리하는 직원에게 '흙이 너무 부드러우니 좀 단단하게 할 수 없냐' 라고 요청하자 '부드럽게 해 달라고 요구한 선수도 있어서 안 된다' 며 말싸움이 벌어졌고, 모래밭 운운은 그 과정에서 상대 직원이 한 말이라는 것. 본인은 유치원 모래밭이라는 발언은 전혀 한 적이 없다고 한다.

호크스 이적 첫 해, 마츠나가는 FA 이적으로 받은 거액에 맞는 밥값을 하겠다는 듯 116시합 541타석 150안타 8홈런 55타점 8도루 타율 .314 의 호성적을 거두며 부활의 조짐을 보였으나, 이 후 성적이 급하락하면서 점점 주전에서 이탈했고[14] 결국 1997년 자유계약으로 방출되었다. 그 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도전을 선언.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입단 테스트를 받기도 했으나, 결국 도전에 실패하면서 은퇴하게 된다.

17시즌간의 통산 성적은 1816시합 7504타수 1904안타 203홈런 855타점 239도루 타율 .293, 베스트나인 수상 5회, 골든글러브 수상 4회, 1985년 올스타전 제3회 MVP.

3. 은퇴 이후

은퇴 이후엔 사이타마 현에 마츠나가 히로미 베이스볼 아카데미 를 설립. 유소년 야구 육성에 앞장섰다. 프로야구 선수 중에는 타카베 아키토안권수가 이곳을 거쳤다. 2010년엔 일본프로야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2014년엔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소속 독립리그 야구단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의 야수종합코치로 일했다.

최근엔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야구 소년과 아마야구인들을 위한 기술지도와 프로 시절을 회상하는 추억팔이 영상들이 올라온다. 松永浩美チャンネル




[1] 6월 28일까지[2] 6월 29일부터[3]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소속의 독립리그 야구단.[4] 1982년에는 94안타를 기록.[5] 특히 1984~1986년 3년 연속으로 달성하기도 했다.[6] 참고로 이해 일본시리즈에선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패배했다.[7] NPB 최초의 양타석 홈런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외국인 선수 리치 셰임블런이 1975년 5월 17일 對 다이요 훼일즈 戰에서 기록했다. 퍼시픽리그 최초의 양타석 홈런은 며칠 뒤인 1975년 5월 28일 롯데 오리온즈의 외국인 선수 짐 르피버(Jim Lefebvre, 2006 WBC, 2008 베이징 올림픽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역임.)가 對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즈 戰에서 기록했다.[8] 요미우리의 V9 시절 2루수로써 오 사다하루(1루수), 나가시마 시게오(3루수), 모리 마사아키(포수)와 같이 뛰었다.[9] 1995년 오릭스 시절 1경기 19탈삼진으로 1경기 최다 탈삼진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2022년 4월 10일 치바 롯데의 사사키 로키가 28년만의 퍼펙트게임을 기록하던 경기에서 1경기 19탈삼진 타이 기록을 세웠다.[10] 와세다대학 출신으로 1971년 드래프트 2순위로 한신에 입단해 70년대 한신의 내야수로 활약했다. 1982년 은퇴한 뒤 1983년 한신 2군 감독, 1990년 한신 1군 감독에 올랐으며, 1992년엔 한신 암흑기 시대(1987~2002)의 유일한 A클래스(2위, 단 교진군과 공동)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이 해 외엔 부진한 성적만 기록하며 결국 1994년 7월 중도 사퇴했다. 2003년 오릭스 단장으로 취임했고 이후 2005년 시즌 후 폐암으로 사망한 오기 아키라의 뒤를 이어 2006년 오릭스 감독을 역임했지만 승률 3할대(순위는 5위)의 성적 부진으로 1년 만에 사퇴했다. 2012년 8월 한신 단장으로 취임했으며 이 시기 오승환을 영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5년 9월 급작스럽게 호텔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1] 1995년 4월 21일 치바 롯데 마린즈전에서는 1경기 19탈삼진이라는 일본프로야구 신기록까지 달성한다. 현재까지도 일본프로야구 1경기 최다탈삼진 및 1경기 정규이닝(9이닝) 최다탈삼진 기록.[12] 마츠나가는 하고 싶은 말은 당당히 말하는 성향이어서, 한큐 시절부터 기자들과 트러블이 있었다.[13] 당시 마츠나가는 FA 선언 후엔 익명으로 호텔에 숙박하면서 기자들과는 절대 만나지 않았다.[14] 주전 3루수로 낙점받은 마츠나가가 부진하면서 생긴 내야의 공백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메워졌다. 주전 2루수였던 고쿠보 히로키가 3루로, 주전 유격수 하마나 치히로가 2루로 이동했고 1997년 입단한 대형 유망주 이구치 타다히토유격수 주전을 차지했다. 이구치가 기대에 비해 부진하자 1999년,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탈세사건 연루, 이종범 등과의 경쟁 등으로 인해 주전에서 밀린 수비형 유격수 토리고에 유스케를 사와 몇 년간 주전을 맡긴다. 그리고 이구치가 2루로, 하마나는 야쿠르트로 트레이드. 그러다가 고쿠보가 2003년 부상으로 시즌아웃되고 그 3루자리에 들어온 선수가 가와사키 무네노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