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5:37:13

마쓰다 노부히로

마쓰다 노부히로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난카이 호크스 ]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마키 켄지로(1)
(牧憲二郎)
우에다 타쿠조
(上田卓三)
나카무라 유키야스
(中村之保)
후지와라 마코토(6)
(藤原真)
토미타 마사루
(富田勝)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사토 미치오
(佐藤道郎)
시마모토 코헤이
(島本講平)
노자키 츠네오
(野崎恒男)
이시카와 카츠마사(6)
(石川勝正)
후지타 마나부
(藤田学)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하세가와 츠토무
(長谷川勉)
모리구치 마사미츠
(森口益光)
무토 카즈쿠니(6)
(武藤一邦)
나카데 켄지
(中出謙二)
타카야나기 히데키(1)
(高柳秀樹)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나토리 카즈히코(1)
(名取和彦)
야마우치 카즈히로
(山内和宏)
카네시로 노부오
(金城信夫)
하타야마 히토시
(畠山準)
카토 신이치(1)
(加藤伸一)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1]
타구치 류지(1)
(田口竜二)
나시카와 요시아키(1)
(西川佳明)
타지마 토시오(2)
(田島俊雄)
요시다 토요히코(1)
(吉田豊彦)
시노다 쥰
(篠田淳)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
{{{#555555,#aaaaaa
1989년 ~ 2004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모토키 다이스케(1)(6)
(元木大介)
키무라 케이지
(木村恵二)
와카타베 켄이치(2)
(若田部健一)
오오코시 모토이(1)
(大越基)
카토 타카야스(3)
(加藤高康)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조지마 켄지
(城島健司)
사이토 카즈미
(斉藤和巳)
이구치 타다히토(3)
(井口資仁)
나가이 토모히로(3)
(永井智浩)
요시모토 료(1)
(吉本亮)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타나카 소지(3)
(田中総司)
야마무라 미치나오(3)
(山村路直)
테라하라 하야토(2)
(寺原隼人)
와다 츠요시(3)
(和田毅)
마하라 타카히로
(馬原孝浩)
아라카키 나기사(3)
(新垣渚)
2004년
에가와 토모아키
(江川智晃)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555555,#aaaaaa
2005년 ~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아라카와 유타(1)(4)
(荒川雄太)
후쿠다 슈헤이(1)(4)
(福田秀平)
이와사키 쇼(1)(4)
(岩嵜翔)
타츠미 신고(1)
(巽真悟)
이마미야 켄타
(今宮健太)
마츠다 노부히로(3)(5)
(松田宣浩)
오토나리 켄지(3)(5)
(大隣憲司)
오바 쇼타(1)(5)
(大場翔太)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야마시타 아야츠구(1)
(山下斐紹)
다케다 쇼타
(武田翔太)
히가시하마 나오(2)
(東浜巨)
카지야 렌(1)
(加治屋蓮)
마츠모토 유키
(松本裕樹)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타카하시 쥰페이(2)
(髙橋純平)
타나카 세이기(2)
(田中正義)
요시즈미 하루토(1)
(吉住晴斗)
카이노 히로시(1)
(甲斐野央)
사토 나오키(1)
(佐藤直樹)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이노우에 토모야(1)
(井上朋也)
카자마 큐타
(風間球打)
이히네 이츠아
(イヒネ・イツア)
마에다 유고(1)(2)
(前田悠伍)
무라카미 타이토(1)
(村上泰斗)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당첨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1] 시즌은 난카이로 치렀지만, 드래프트 지명 당시에는 다이에로 매각되었다.
}}}}}}}}} ||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5.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6.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7.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8.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9.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0.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1.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11 2014 2015 2017
2018 2019 2020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프리미어 12
{{{#c63 동메달}}}
2015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9 WBSC 프리미어 12
{{{#c7bc69 우승반지}}}
2019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3루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미즈하라 시게루
도쿄쿄진군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요기 신지오
오사카
우노 미츠오
코쿠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레온 리
야쿠르트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반스 로우
주니치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잭 하웰
야쿠르트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레오 고메스
주니치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레오 고메스
주니치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즈키 켄
야쿠르트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모리노 마사히코
주니치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엑토르 루나
주니치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미야자키 토시로
DeNA
미야자키 토시로
DeNA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미야자키 토시로
DeNA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나카타니 쥰지
한큐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토니 로이(1)
니시테츠
모리모토 키요시
오릭스
쿠니사다 야스히로
난카이
아리토 미치요
롯데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리토 미치요
롯데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아리토 미치요
롯데
시마타니 킨지
한큐
시마타니 킨지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스즈키 켄
세이부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호세 페르난데스
라쿠텐
그렉 라로카
오릭스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케이시 맥기
라쿠텐
긴지
라쿠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젤러스 휠러
라쿠텐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즈키 다이치
라쿠텐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1) 당해 득표수 1위는 난카이 호크스의 쿠니사다 야스히로였으나, 이때 쿠니사다가 2루수 부문에서도 득표수 1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당시 복수 포지션에서의 수상을 금지한 규정상 쿠니사다는 득표수가 더 많은 2루수 부문만 수상하고 대신 득표수 2위였던 토니 로이가 3루수 부문을 수상했다.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3루수 골든글러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클리트 보이어
타이요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클리트 보이어
타이요
시마타니 킨지
주니치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웨이드 로돈
히로시마
오카자키 카오루
요미우리
스미 후지오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토마스 오말리
한신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신도 타츠야
요코하마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나카무라 노리히로
주니치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미야자키 토시로
DeNA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미야자키 토시로
DeNA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아리토 미치요
롯데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시마타니 킨지
한큐
하다 코이치
킨테츠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후루야 히데오
닛폰햄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후루야 히데오
닛폰햄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다이에
바바 토시후미
오릭스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스즈키 다이치
라쿠텐
무네 유마
오릭스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
}}}}}}}}}}}} ||

파일:일본프로야구선수회 엠블럼.svg 일반사단법인 일본프로야구선수회 이사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야스무라 카즈오
1980~1985
오치아이 히로미츠
1985~1987
이시게 히로미치
1987~1989
오카다 아키노부
1989~1992
오카자키 카오루
1992~1993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츠지 하츠히코
1993~1995
이토 아키미츠
1995~1998
카와이 마사히로
1998~2001
타츠나미 카즈요시
2001~2005
코쿠보 히로키
2005~2009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이바타 히로카즈
2009~2013
히가시데 아키히로
2013~2015
오오시마 요헤이
2015~2019
마츠다 노부히로
2019~2021
마루 요시히로
2021~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5번
요시모토 료
(1999~2005)
마쓰다 노부히로
(2006~2016)
임시결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3번
마쓰나카 노부히코
(2000~2015)
마쓰다 노부히로
(2017~2018)
프레디 갈비스
(20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5번
임시결번 마쓰다 노부히로
(2019~2022)
야마카와 호타카
(2025~)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23번
그레고리 폴랑코
(2022)
마츠다 노부히로
(2023)
루그네드 오도어
(2024)
}}} ||
파일:마쓰다노부히로.png
<colbgcolor=#1c262d><colcolor=#ffffff>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No.
마츠다 노부히로
松田宣浩 / Nobuhiro Matsuda
출생 1983년 5월 17일 ([age(1983-05-17)]세)
시가현 쿠사츠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주쿄 고교 (기후) - 아지아대학
신체 180cm, 86kg, B형
포지션 3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05년 대학생·사회인 드래프트 희망입단제[1] (소프트뱅크)
소속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6~2022)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3)
지도자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야수코치 (2025~)
등장곡 콘도 마사히코 - ギンギラギンにさりげなく[2]
B'z - ultra soul[3]
그 외 다수[4][5]
응원가 응원단 자작곡[6]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경력
2.1. 프로 입단 전2.2. 프로 입단 후
3. 플레이 스타일4. 이모저모5. 연도별 성적

1. 개요

파일:external/number.ismcdn.jp/img_0e2f19285fa98f20489ef08db027e9b4128010.jpg
선수 시절 특유의 홈런 세레머니였던 "아츠오(熱男)~!" 구호를 외치는 장면

일본의 前 야구 선수. 현역 시절 2010년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주전 3루수로 활약하며 7번의 일본시리즈 제패로 대표되는 팀의 최전성기에 기여했다.

2. 경력

2.1. 프로 입단 전

프로 입단전에는 유격수로 뛰며 주쿄상고[7]에서 통산 60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아지아대학에 진학한 뒤에도 이구치 타다히토가 가지고 있던 토토 대학야구 리그 홈런 기록을 경신할 수 있을 만큼 홈런을 뻥뻥 날렸다. 하지만 3학년 때인 2004년에 동료 야구부원 5명이 열차에서 강제추행을 저지르는 대형사고를 치는 바람에 팀이 반년간 경기 출장 금지+2부 리그 강등 처분을 받게 되어 기록경신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4학년 때인 2005년에 팀의 주장을 맡아 춘계리그를 우승한 뒤 1부 리그로 복귀하는데 성공했으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희망입단 범위로 입단을 공식 표명했다.

2.2. 프로 입단 후

2006년 개막전에 7번타자 3루수로 선발출장 하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서는 고쿠보 히로키 이후 12년 만에 신인이 개막전에 선발 출장을 했다. 그러나 그해 신통치 않은 타격과 잦은 수비실책 등으로 인해 2군으로 내려갔고 1군으로는 승격되지 못했다. 이듬해까지 고쿠보에 밀려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지만, 9개의 홈런과[8] 3할 초중반의 타율을 기록하며 6월부터 1군에 등록! 8월에는 월간타율 3할을 기록하였다. 193타수에 7개의 홈런을 때려내며 장타력은 여전했다.

2008시즌 주전 3루수로 시즌을 시작하며 큰 이탈 없이 타격면에서는 전년도에 비해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그리고 9월 29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 에서는 이와쿠마 히사시에게서 홈런을 때려냈는데 이것은 2008시즌 이와쿠마가 퍼시픽 리그 선수에게 허용한 첫 번째 홈런이었다.

하지만 2009시즌 개막전에서 귀루를 하는 과정에서 오른손에 부상을 입었고 팀에서 이탈하게 된다. 6월 초 복귀를 했지만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 사구를 맞으며 다시 한번 부상을 입고 그해에는 46경기 출전에 그쳐야만 했다.

2010시즌에는 이범호와 함께 주전 3루수 경쟁을 벌였다. 그 기간에 좌익수로 출전을 하기도 했다. 이해에는 다나카 마사히로에게서 프로데뷔 첫 끝내기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시즌 타율은 2할5푼5리에 그쳤지만 19개의 홈런과 71타점, 그리고 17개의 도루를 기록하며 데뷔 후 최고의 성적을 내며 팀의 리그우승에 기여했다.

그리고 2011시즌 드디어 폭발했다. 한경기도 빠짐없이 출전하며 전이닝을 소화. 개인최다인 25개의 홈런(리그 2위)[9]과 83타점 25도루 2할 8푼 2리의 타율을 기록. 전년도 자신의 기록을 갈아치우며 팀의 2년연속 리그우승에 기여했다. 하지만 포스트시즌에는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는데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10타수 1안타 1홈런으로 1할 일본시리즈에서는 1,2차전 4번타자로 출장했지만 안타 2개에 도루 1개에 그쳤고 이후 타순이 뒤로 밀리며 타점을 기록하긴 했지만 4번타순에는 들어가지 못했다. 이후 1할 6푼(28타석 25타수 2득점 4안타 2타점 3도루 1희생타 1볼넷 1사구 5삼진)을 기록하며 정규시즌의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다.

더 좋은 모습을 기대하며 시작한 2012시즌에는 기대에 부응하듯 도루왕에 오를 듯한 페이스로 도루를 무차별적으로 성공 시켰지만 5월부터 홈런과 도루가 급감. 그래도 타율면에서는 수위타자를 향해 좋은 페이스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8월초 라쿠텐전에서 미마 마나부의 사구에 맞아 손바닥이 골절되어 전치 3개월을 받으며 이탈하고 말았다. 10월 5일 복귀 했으나 이미 규정타석도 미달되었고 아쉽게도 최고의 시즌이 될 수 있었던 해를 날리고 말았다.

파일:external/www3.pictures.zimbio.com/Nobuhiro+Matsuda+Brazil+v+Japan+World+Baseball+fHxLoehoEYxl.jpg
2013시즌에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에 승선해 타율 0.333, 5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3위에 기여했다. 정규시즌에는 초반 2할3푼대에 머물며 부진했지만 교류전에서부터 부활하며 4번타자로 정착. 3번 우치카와 세이이치 5번 하세가와 유야[10]와 함께 막강 클린업을 형성했다. 본인 최다 90타점과 2년 만의 20홈런을 기록했지만 팀성적과는 무관했다.

2014시즌 5월 13일 롯데전에서 NPB통산 9만5천호 홈런을 쏘아올렸다. 7월초 연습도중 손가락에 공을맞는 부상을 당했지만 출전을 강행. 그러나 다음날에도 붓기가 빠지지 않아 병원에 가보니 손가락 골절로 6주 진단을 받았다. 그리고 승리하는 팀이 리그우승팀이 되는 최종전 대 오릭스전 10회말 1대1 상황에서 좌중간 끝내기 안타를 치며 우승을 결정지었다.

2015시즌 자신의 1000호 안타를 홈런으로 기록한다. 최종성적은 자신의 커리어하이를 기록했다. 짧아진 야후돔의 영향으로 처음으로 30홈런을 돌파했고(35홈런), 94타점으로 13년 이후 오랜만에 90타점을 넘겼다.

시즌 후에는 FA를 통해 메이저리그행을 추진했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가 오퍼를 했다고 일본언론에서 발표했으나 샌디에이고 지역언론에서 '마쓰다에 관심을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구체적 오퍼를 하지않았다'며 반박, 샌디에이고 오퍼설은 에이전트 피터 그린버그와 일본 언론의 마쓰다의 자존심을 생각한 자작극임이 드러났다. 결국 소프트뱅크 구단 회장 오 사다하루가 마쓰다의 자존심을 살려주기 위해 설득했다는 식으로 포장하여 소프트뱅크에 잔류를 결정했다.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일본 대표팀의 주전 3루수로 출전. 하위타선에서 .333, 1홈런, 7타점을 올리며 일본 대표팀의 4강 진출에 공헌했으나 미국과의 4강전에서 8회초 1사 2, 3루의 위기 이후 펼쳐진 만루작전에서 의도대로 유도된 땅볼타구를 펌블하면서 결승점을 내주고 말았다. 그리고 9회말 마지막 타석에서 어이없는 공에 배트를 내밀면서 3구삼진으로 경기가 종료되면서 일본 탈락의 원흉이 되었다.

이후 2019시즌까지는 그럭저럭 성적을 내며 버텼지만 2020시즌 들어서는 본격적인 노쇠화가 시작되며 타격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0.228에 13홈런을 기록했다.

2021시즌 초반엔 어느 정도 살아나는 듯 했으나 이내 타격감이 나빠지며 타율이 멘도사 라인에 머무르고 있다. 그런 와중에도 일발장타력은 아직 살아있어서 간간히 홈런은 치고 있다. 9월 29일 경기에서 개인 통산 300홈런을 달성했다. 최종 기록은 0.234에 14홈런으로 작년과 별반 다르지 않은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성적 하락으로 인해 연봉 삭감은 피할 수 없었는데, 기존의 4억 5천만엔에서 3억엔 감봉된 1억 5천만엔에 2022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던 도중 비시즌 1월에 코로나 양성판정이 나왔다. 그런데 같이 트레이닝했던 선수들까지 집단감염이 되는바람에 문제가 생겼다.[11]

정규시즌동안 43경기에 출전해 타율 .204 0홈런에 그치며 나이를 이겨내는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결국 시즌 종료 후 소프트뱅크 구단을 떠나는 것이 확정되었고 본인은 현역 연장을 희망하고 있으나 많은 나이와 크게 부진한 성적 때문에 데려갈 구단이 있을지는 의문.

10월 3일 요미우리 쪽에서 마츠다 영입 검토 중이라고 기사는 나왔다.# 요미우리 OB들의 반응은 팀에 쓸 만한 우타자가 없어서 그런지 긍정적인 편.[12]

파일:9A1A8828-A241-4A0B-91A7-439299682C27.png
그리고 결국 11월 11일 요미우리 입단을 공식발표했다.

2023시즌은 놀랍게도 개막 로스터에 들었으나, 주로 대타요원으로 나와 .111 0홈런의 부진한 타율을 기록하고 8경기만에 2군으로 내려갔다. 2군에서도 2할 3푼대를 치고 있어서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는 거의 확정적이다.

2023년 9월 28일에 은퇴를 발표. 은퇴회견장에서 사카모토 하야토우치카와 세이이치가 깜짝 등장해 꽃다발을 건네주었다.

3. 플레이 스타일

야나기타 유키 이전에 10년간 호크스에서 보기 드물게 장타력 툴을 보고 2순위 안에 지명한 야수이다. 1990년대 후반 이후 호크스의 드래프트는 대체적으로 1, 2위는 투수를 지명하는 경우가 많아서 야수가 드래프트에서 2순위 안에 드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13] 지명을 한다고 해도 광활한 홈 구장의 사정을 고려하여 장타력보다는 교타자 위주로 지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14] 그만큼 마츠다의 장타력이 각별했다는 얘기.

커리어 초기에는 부상으로 이탈하는 일이 연례행사였기 때문에 2014년까지 풀시즌을 뛴 적이 별로 없었다. 그러나 2015년 이후로는 특별한 부상 없이 연속 출장 기록을 이어가며 장타력을 유감 없이 발휘했고, 여기에 꾸준히 3루를 지키면서 안정된 수비를 보여준 덕에 팀이 최전성기를 구가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일본인 선수 중에서는 드물게 노피어 스윙을 구사하는 선수로, 타구 방향이 대부분 좌측으로 향하는 풀스윙어다. 그리고 1루까지 4초대 초반, 3루까지 11.59초를 기록할 정도로 발이 상당히 빠르고 멀리던지기 110미터를 기록할 정도의 강한 어깨, 넓은 수비범위 덕에 골든 글러브 8회 수상[15]에 빛났다. 다만 DELTA 사의 UZR 수치같은 세이버메트릭스적인 수비 평가는 30대 중반까지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30대 후반 이후로는 노쇠화로 하향곡선을 그렸다.

4. 이모저모


5. 연도별 성적

파일:NPB 로고.svg 마쓰다 노부히로의 역대 NP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06



62 220 43 8 3 3 17 18 0 11 53 .211 .258 .324 .582 -0.1
2007 74 221 49 13 2 7 28 22 3 17 35 .254 .321 .451 .772 1.9
2008 142 595 154 33 10 17 68 63 12 28 115 .279 .322 .468 .790 2.9
2009 46 175 45 13 2 8 21 24 1 7 32 .281 .315 .538 .853 1.2
2010 113 458 108 20 3 19 61 71 17 14 90 .255 .284 .450 .734 1.6
2011 144 582 148 31 7 25 77 83 27 41 128 .282 .344 .510 .854 9.6
2012 95 390 108 28 7 9 41 56 16 27 63 .300 .349 .492 .841 5.6
2013 144 626 163 26 5 20 86 90 13 27 124 .279 .314 .443 .757 4.2
2014 101 423 118 20 3 18 54 56 12 24 80 .301 .341 .505 .846 3.7
2015 143 603 152 22 2 35 91 94 8 60 135 .287 .357 .533 .890 6.6
2016 143 609 142 23 5 27 79 85 6 48 141 .259 .325 .467 .795 3.9
2017 143 577 140 19 6 24 64 76 5 43 128 .264 .319 .458 .777 3.2
2018 143 580 128 21 3 32 72 82 3 56 113 .248 .324 .485 .809 4.1
2019 143 576 139 25 2 30 64 76 5 33 115 .260 .305 .483 .788 1.6
2020 116 431 90 16 3 13 36 46 1 32 76 .228 .285 .382 .667 0.7
2021 115 390 83 13 3 14 30 47 5 27 67 .234 .289 .407 .696 0.3
2022 43 106 20 2 1 0 2 7 1 6 20 .204 .255 .245 .500 -0.7
<rowcolor=#000000>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23 요미
우리
12 17 1 0 0 0 0 0 0 0 5 .063 .063 .063 .125 -0.5
NPB 통산
(18시즌)
1922 7579 1832 333 67 301 891 991 135 501 1520 .265 .318 .463 .781 49.8

[1] 1993년부터 2006년까지 NPB에 존재했던 역지명 관련 제도 중 2005과 2006년, 드래프트가 고교선수와 대학, 사회인 선수 드래프트로 나뉜 시점에 대학과 사회인 선수에 한하여 선수가 입단을 원하는 팀을 선택해 선수를 확정적으로 데려올 수 있던 제도였다. 굳이 비유를 하자면 KBO 신인 드래프트의 1차 지명 제도와 유사한 제도였다. 단 KBO 리그와는 다르게 연고지의 제약이 없었다는 점.[2] 2011년에 잠깐 썼다가 2015년부터 고정적으로 사용했다.[3] 2015년부터 고정적으로 사용. 원곡과 마찬가지로 후렴 부분의 Hey! 부분은 팬들이 육성으로 따라한다. 요미우리 시절에는 주로 이 곡을 사용했으며, 마츠다 본인에겐 최후의 등장곡이기도 하다.[4] 등장곡을 많이 쓰는데다가 엄청 자주 바꾼다. 등장곡만 40곡을 넘게 썼다. 또한 과거의 등장곡 중엔 한국 노래도 있다. 소녀시대의 gee나 싸이의 강남 스타일 등. 과장 좀 보태서 일본에서 그 해나 그 전해에 인기있는 노래라면 일단 등장곡으로 쓰고 보는 수준이다. 일단 긴기라긴니사리게나쿠랑 울트라 소울은 2015년 이후 은퇴 때까지 고정적으로 쓰고 있으니 서술하지만 다른 곡들은 일일이 서술하지 않는 것도 하도 자주 바꿔서 콕 집어 말하기 어렵기 때문. 한국에서도 이런 케이스로 작뱅이 있다.[5] 그나마 오래 쓴 곡은 2016년, 2018년, 2020~2021년에 사용한 비글크루의 熱男 ~too Match~ 정도다. 물론 연도를 보면 알겠지만 이 곡도 꾸준히 쓴 편은 아니지만.[6] 沸き立つスタンドの 期待に応えて燃えてやれ 振りぬくその腕に 闘志を注ぎ込め(열광하는 스탠드의 기대에 부응하여 불타올라라 휘두르는 그 팔에 투지를 가득 담아라)[7] 기후현의 사립고등학교로 아이치 지역의 강팀이자 고시엔대회 단골 출전교인 주쿄대부속 주쿄고교하고 항상 헷갈리는 학교이다. 보다시피 고시엔도 곧잘 출전하고 마쓰다같은 프로선수도 배출하는 등 남의 학교 이름이나 도용하는 핫바리학교는 아니건만 아이치현의 학교가 워낙 명성이 높아 짝퉁취급을 받는 중이다. 참고로 학교이름이 자주 바뀌는 것으로도 악명이 높은데 그 때마다 주쿄대-주쿄고교하고 비슷한 이름으로 개명을 하는 바람에 야구팬들을 더 헷갈리게 하고 있다. 2019년의 학교명은 주쿄"가쿠인"대학 부속 주쿄고교. 2019년 여름 고시엔에서 4강까지 진출했으며 본인도 오사카 원정온 김에 몸소 응원하러 달려와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8] 이는 팀내 1위였다.[9] 단 1위 나카무라 타케야와는 23개의 차이가 난다. 나카무라는 이 해 통일구의 저반발력 때문에 리그 전체적으로 장타가 급감한 와중에서도 홀로 예년 페이스로 홈런을 생산해 파리그 전체 홈런의 10분의 1을 혼자서 때려냈으며, 이는 치바 롯데 마린즈의 팀 홈런(46홈런)보다 많은 것이었다.[10] 13시즌 198안타와 0.341의 타율로 2관왕에 올랐다.[11] 다만 작년에 KBO에서 발생한 NC 다이노스 원정숙소 방역수칙 위반 사건만큼 사건이 크게 난 상황은 아니다.[12] 사실 교진 OB들은 대부분 친정 교진 감독이나 코치 자리를 원하고 있기 때문에, 구단이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 속마음과는 상관없이 예스맨이 될 수밖에 없다. 구단도 이렇게 OB들을 여론몰이에 잘 쓰며 상부상조하는 관계. 결론은 적당히 걸러듣자는 이야기.[13] 실제로 드래프트 지명 1, 2순위를 모두 야수로 지명한 건 1996년의 이구치 타다히토마쓰나카 노부히코의 국가대표 콤비를 지명한 게 가장 최근이었다.[14] 그렇게 지명된 대표적인 사례가 2016년에 딱 한 번 교류전 MVP 한 걸 제외하면 대수비, 대주자로만 나오다가 33살에 방출당해 은퇴한 키도코로 류마, 주전 유격수로 10년 넘게 활약 중인 이마미야 켄타이다.[15] 특히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연속으로 수상했다. 일본야구를 논할 때 항상 언급되지만 NPB의 골든글러브는 수비를 보고 주는 상이다. 포지션별 최고의 타자에게는 미국의 실버슬러거에 해당하는 베스트나인상이 따로 주어진다. 참고로 베스트나인의 경우에는 라이벌 팀의 3루에 나카무라 다케야 때문에 프로입단 14년차인 2018년에 딱 한번 수상한 게 전부다.[16] 아츠오는 2016년 팀의 시즌 슬로건이었는데, 이 슬로건에 맞춰 개발한 세리머니가 팬들의 반응이 좋아서 계속하게 되었다. 다음 해인 2017년에 팀의 슬로건이 바뀌자 바뀐 슬로건에 맞춰서 세레머니를 바꿔봤지만 임팩트가 이전만 못해서 다시 아츠오로 되돌리고 그 후로는 본인의 전매특허처럼 되었다.[17] 참고로 SASUKE는 매년 은퇴한 야구선수에게 1장의 출전권을 주고 있으나 다들 조기탈락을 해서 큰 의미는 없다. 그나마 40시즌에 출전한 이토이 요시오가 1st 스테이지 후반 드래곤 글라이더까지 간 것이 최고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