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 노부히로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11 | 2014 | 2015 | 2017 | |||||||||||||||||||||||||||||||||||||||||||||||||||||||||||||||||||||||||||||||||||||||||||||||||||||||||||||||||||||||||||||||||||||||||||||||||||||||||||||
2018 | 2019 | 2020 |
2015 프리미어 12 {{{#c63 동메달}}} |
2015 |
2019 WBSC 프리미어 12 {{{#c7bc69 우승반지}}} |
2019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3루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미즈하라 시게루 도쿄쿄진군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요기 신지오 오사카 | 우노 미츠오 코쿠테츠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레온 리 야쿠르트 |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반스 로우 주니치 |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 잭 하웰 야쿠르트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레오 고메스 주니치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레오 고메스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 스즈키 켄 야쿠르트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모리노 마사히코 주니치 |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 엑토르 루나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나카타니 쥰지 한큐 |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 토니 로이(1) 니시테츠 | 모리모토 키요시 오릭스 | 쿠니사다 야스히로 난카이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시마타니 킨지 한큐 | 시마타니 킨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마츠나가 히로미 다이에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스즈키 켄 세이부 |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 호세 페르난데스 라쿠텐 | 그렉 라로카 오릭스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케이시 맥기 라쿠텐 | 긴지 라쿠텐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젤러스 휠러 라쿠텐 |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스즈키 다이치 라쿠텐 | 무네 유마 오릭스 | 무네 유마 오릭스 | 무네 유마 오릭스 |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1) 당해 득표수 1위는 난카이 호크스의 쿠니사다 야스히로였으나, 이때 쿠니사다가 2루수 부문에서도 득표수 1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당시 복수 포지션에서의 수상을 금지한 규정상 쿠니사다는 득표수가 더 많은 2루수 부문만 수상하고 대신 득표수 2위였던 토니 로이가 3루수 부문을 수상했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3루수 골든글러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클리트 보이어 타이요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클리트 보이어 타이요 | 시마타니 킨지 주니치 |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웨이드 로돈 히로시마 | 오카자키 카오루 요미우리 | 스미 후지오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신도 타츠야 요코하마 |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나카무라 노리히로 주니치 |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시마타니 킨지 한큐 | 하다 코이치 킨테츠 |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후루야 히데오 닛폰햄 |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 후루야 히데오 닛폰햄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마츠나가 히로미 다이에 | 바바 토시후미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 스즈키 다이치 라쿠텐 | 무네 유마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무네 유마 오릭스 | 무네 유마 오릭스 |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rowcolor=#fff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야스무라 카즈오 1980~1985 | 오치아이 히로미츠 1985~1987 | 이시게 히로미치 1987~1989 | 오카다 아키노부 1989~1992 | 오카자키 카오루 1992~1993 | |
<rowcolor=#ffffff>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츠지 하츠히코 1993~1995 | 이토 아키미츠 1995~1998 | 카와이 마사히로 1998~2001 | 타츠나미 카즈요시 2001~2005 | 코쿠보 히로키 2005~2009 | |
<rowcolor=#ffffff>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이바타 히로카즈 2009~2013 | 히가시데 아키히로 2013~2015 | 오오시마 요헤이 2015~2019 | 마츠다 노부히로 2019~2021 | 마루 요시히로 2021~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5번 | ||||
요시모토 료 (1999~2005) | → | 마쓰다 노부히로 (2006~2016) | → | 임시결번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3번 | ||||
마쓰나카 노부히코 (2000~2015) | → | 마쓰다 노부히로 (2017~2018) | → | 프레디 갈비스 (2022)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5번 | ||||
임시결번 | → | 마쓰다 노부히로 (2019~2022) | → | 야마카와 호타카 (2025~) |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23번 | ||||
그레고리 폴랑코 (2022) | → | 마츠다 노부히로 (2023) | → | 루그네드 오도어 (2024) |
| |
<colbgcolor=#1c262d><colcolor=#ffffff>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No. | |
마츠다 노부히로 松田宣浩 / Nobuhiro Matsuda | |
출생 | 1983년 5월 17일 ([age(1983-05-17)]세) |
시가현 쿠사츠시 | |
국적 |
|
학력 | 주쿄 고교 (기후) - 아지아대학 |
신체 | 180cm, 86kg, B형 |
포지션 | 3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2005년 대학생·사회인 드래프트 희망입단제[1] (소프트뱅크) |
소속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6~2022)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3) |
지도자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야수코치 (2025~) |
등장곡 | 콘도 마사히코 - ギンギラギンにさりげなく[2] B'z - ultra soul[3] 그 외 다수[4][5] |
응원가 | 응원단 자작곡[6] |
SNS |
1. 개요
|
선수 시절 특유의 홈런 세레머니였던 "아츠오(熱男)~!" 구호를 외치는 장면 |
일본의 前 야구 선수. 현역 시절 2010년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주전 3루수로 활약하며 7번의 일본시리즈 제패로 대표되는 팀의 최전성기에 기여했다.
2. 경력
2.1. 프로 입단 전
프로 입단전에는 유격수로 뛰며 주쿄상고[7]에서 통산 60개의 홈런을 기록했다.아지아대학에 진학한 뒤에도 이구치 타다히토가 가지고 있던 토토 대학야구 리그 홈런 기록을 경신할 수 있을 만큼 홈런을 뻥뻥 날렸다. 하지만 3학년 때인 2004년에 동료 야구부원 5명이 열차에서 강제추행을 저지르는 대형사고를 치는 바람에 팀이 반년간 경기 출장 금지+2부 리그 강등 처분을 받게 되어 기록경신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4학년 때인 2005년에 팀의 주장을 맡아 춘계리그를 우승한 뒤 1부 리그로 복귀하는데 성공했으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희망입단 범위로 입단을 공식 표명했다.
2.2. 프로 입단 후
2006년 개막전에 7번타자 3루수로 선발출장 하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서는 고쿠보 히로키 이후 12년 만에 신인이 개막전에 선발 출장을 했다. 그러나 그해 신통치 않은 타격과 잦은 수비실책 등으로 인해 2군으로 내려갔고 1군으로는 승격되지 못했다. 이듬해까지 고쿠보에 밀려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지만, 9개의 홈런과[8] 3할 초중반의 타율을 기록하며 6월부터 1군에 등록! 8월에는 월간타율 3할을 기록하였다. 193타수에 7개의 홈런을 때려내며 장타력은 여전했다.2008시즌 주전 3루수로 시즌을 시작하며 큰 이탈 없이 타격면에서는 전년도에 비해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그리고 9월 29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 에서는 이와쿠마 히사시에게서 홈런을 때려냈는데 이것은 2008시즌 이와쿠마가 퍼시픽 리그 선수에게 허용한 첫 번째 홈런이었다.
하지만 2009시즌 개막전에서 귀루를 하는 과정에서 오른손에 부상을 입었고 팀에서 이탈하게 된다. 6월 초 복귀를 했지만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 사구를 맞으며 다시 한번 부상을 입고 그해에는 46경기 출전에 그쳐야만 했다.
2010시즌에는 이범호와 함께 주전 3루수 경쟁을 벌였다. 그 기간에 좌익수로 출전을 하기도 했다. 이해에는 다나카 마사히로에게서 프로데뷔 첫 끝내기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시즌 타율은 2할5푼5리에 그쳤지만 19개의 홈런과 71타점, 그리고 17개의 도루를 기록하며 데뷔 후 최고의 성적을 내며 팀의 리그우승에 기여했다.
그리고 2011시즌 드디어 폭발했다. 한경기도 빠짐없이 출전하며 전이닝을 소화. 개인최다인 25개의 홈런(리그 2위)[9]과 83타점 25도루 2할 8푼 2리의 타율을 기록. 전년도 자신의 기록을 갈아치우며 팀의 2년연속 리그우승에 기여했다. 하지만 포스트시즌에는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는데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10타수 1안타 1홈런으로 1할 일본시리즈에서는 1,2차전 4번타자로 출장했지만 안타 2개에 도루 1개에 그쳤고 이후 타순이 뒤로 밀리며 타점을 기록하긴 했지만 4번타순에는 들어가지 못했다. 이후 1할 6푼(28타석 25타수 2득점 4안타 2타점 3도루 1희생타 1볼넷 1사구 5삼진)을 기록하며 정규시즌의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다.
더 좋은 모습을 기대하며 시작한 2012시즌에는 기대에 부응하듯 도루왕에 오를 듯한 페이스로 도루를 무차별적으로 성공 시켰지만 5월부터 홈런과 도루가 급감. 그래도 타율면에서는 수위타자를 향해 좋은 페이스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8월초 라쿠텐전에서 미마 마나부의 사구에 맞아 손바닥이 골절되어 전치 3개월을 받으며 이탈하고 말았다. 10월 5일 복귀 했으나 이미 규정타석도 미달되었고 아쉽게도 최고의 시즌이 될 수 있었던 해를 날리고 말았다.
2013시즌에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에 승선해 타율 0.333, 5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3위에 기여했다. 정규시즌에는 초반 2할3푼대에 머물며 부진했지만 교류전에서부터 부활하며 4번타자로 정착. 3번 우치카와 세이이치 5번 하세가와 유야[10]와 함께 막강 클린업을 형성했다. 본인 최다 90타점과 2년 만의 20홈런을 기록했지만 팀성적과는 무관했다.
2014시즌 5월 13일 롯데전에서 NPB통산 9만5천호 홈런을 쏘아올렸다. 7월초 연습도중 손가락에 공을맞는 부상을 당했지만 출전을 강행. 그러나 다음날에도 붓기가 빠지지 않아 병원에 가보니 손가락 골절로 6주 진단을 받았다. 그리고 승리하는 팀이 리그우승팀이 되는 최종전 대 오릭스전 10회말 1대1 상황에서 좌중간 끝내기 안타를 치며 우승을 결정지었다.
2015시즌 자신의 1000호 안타를 홈런으로 기록한다. 최종성적은 자신의 커리어하이를 기록했다. 짧아진 야후돔의 영향으로 처음으로 30홈런을 돌파했고(35홈런), 94타점으로 13년 이후 오랜만에 90타점을 넘겼다.
시즌 후에는 FA를 통해 메이저리그행을 추진했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가 오퍼를 했다고 일본언론에서 발표했으나 샌디에이고 지역언론에서 '마쓰다에 관심을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구체적 오퍼를 하지않았다'며 반박, 샌디에이고 오퍼설은 에이전트 피터 그린버그와 일본 언론의 마쓰다의 자존심을 생각한 자작극임이 드러났다. 결국 소프트뱅크 구단 회장 오 사다하루가 마쓰다의 자존심을 살려주기 위해 설득했다는 식으로 포장하여 소프트뱅크에 잔류를 결정했다.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일본 대표팀의 주전 3루수로 출전. 하위타선에서 .333, 1홈런, 7타점을 올리며 일본 대표팀의 4강 진출에 공헌했으나 미국과의 4강전에서 8회초 1사 2, 3루의 위기 이후 펼쳐진 만루작전에서 의도대로 유도된 땅볼타구를 펌블하면서 결승점을 내주고 말았다. 그리고 9회말 마지막 타석에서 어이없는 공에 배트를 내밀면서 3구삼진으로 경기가 종료되면서 일본 탈락의 원흉이 되었다.
이후 2019시즌까지는 그럭저럭 성적을 내며 버텼지만 2020시즌 들어서는 본격적인 노쇠화가 시작되며 타격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0.228에 13홈런을 기록했다.
2021시즌 초반엔 어느 정도 살아나는 듯 했으나 이내 타격감이 나빠지며 타율이 멘도사 라인에 머무르고 있다. 그런 와중에도 일발장타력은 아직 살아있어서 간간히 홈런은 치고 있다. 9월 29일 경기에서 개인 통산 300홈런을 달성했다. 최종 기록은 0.234에 14홈런으로 작년과 별반 다르지 않은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성적 하락으로 인해 연봉 삭감은 피할 수 없었는데, 기존의 4억 5천만엔에서 3억엔 감봉된 1억 5천만엔에 2022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던 도중 비시즌 1월에 코로나 양성판정이 나왔다. 그런데 같이 트레이닝했던 선수들까지 집단감염이 되는바람에 문제가 생겼다.[11]
정규시즌동안 43경기에 출전해 타율 .204 0홈런에 그치며 나이를 이겨내는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결국 시즌 종료 후 소프트뱅크 구단을 떠나는 것이 확정되었고 본인은 현역 연장을 희망하고 있으나 많은 나이와 크게 부진한 성적 때문에 데려갈 구단이 있을지는 의문.
10월 3일 요미우리 쪽에서 마츠다 영입 검토 중이라고 기사는 나왔다.# 요미우리 OB들의 반응은 팀에 쓸 만한 우타자가 없어서 그런지 긍정적인 편.[12]
그리고 결국 11월 11일 요미우리 입단을 공식발표했다.
2023시즌은 놀랍게도 개막 로스터에 들었으나, 주로 대타요원으로 나와 .111 0홈런의 부진한 타율을 기록하고 8경기만에 2군으로 내려갔다. 2군에서도 2할 3푼대를 치고 있어서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는 거의 확정적이다.
2023년 9월 28일에 은퇴를 발표. 은퇴회견장에서 사카모토 하야토와 우치카와 세이이치가 깜짝 등장해 꽃다발을 건네주었다.
3. 플레이 스타일
야나기타 유키 이전에 10년간 호크스에서 보기 드물게 장타력 툴을 보고 2순위 안에 지명한 야수이다. 1990년대 후반 이후 호크스의 드래프트는 대체적으로 1, 2위는 투수를 지명하는 경우가 많아서 야수가 드래프트에서 2순위 안에 드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13] 지명을 한다고 해도 광활한 홈 구장의 사정을 고려하여 장타력보다는 교타자 위주로 지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14] 그만큼 마츠다의 장타력이 각별했다는 얘기.커리어 초기에는 부상으로 이탈하는 일이 연례행사였기 때문에 2014년까지 풀시즌을 뛴 적이 별로 없었다. 그러나 2015년 이후로는 특별한 부상 없이 연속 출장 기록을 이어가며 장타력을 유감 없이 발휘했고, 여기에 꾸준히 3루를 지키면서 안정된 수비를 보여준 덕에 팀이 최전성기를 구가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일본인 선수 중에서는 드물게 노피어 스윙을 구사하는 선수로, 타구 방향이 대부분 좌측으로 향하는 풀스윙어다. 그리고 1루까지 4초대 초반, 3루까지 11.59초를 기록할 정도로 발이 상당히 빠르고 멀리던지기 110미터를 기록할 정도의 강한 어깨, 넓은 수비범위 덕에 골든 글러브 8회 수상[15]에 빛났다. 다만 DELTA 사의 UZR 수치같은 세이버메트릭스적인 수비 평가는 30대 중반까지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30대 후반 이후로는 노쇠화로 하향곡선을 그렸다.
4. 이모저모
- 신인 시절 5번을 받은 후 11년 동안 계속 달고 있다가 2017년에 나가시마 시게오를 존경하는 의미에서 나가시마의 현역 시절 등번호였던 3번으로 바꿨고, 2019년에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는 의미로 다시 등번호를 5번으로 되돌렸다. 요미우리에서 보낸 현역 마지막 시즌인 2023년엔 3번이 나가시마의 영구결번, 5번은 나카지마 히로유키가 쓰고 있어서 23번을 달았다.
- 타격 중 파울을 치거나 헛스윙을 하면 한쪽 다리를 든 채 몸을 웅크리고 뛰어다닌다. 중계를 보다보면 상당히 재미있다.
- 쌍둥이 형 마츠다 노리아키와 같은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다만 노부히로와 달리 형은 고교 졸업 이후 토요타 자동차에 입사해 사회인야구에서 뛰다가 아킬레스건 부상 등의 이유로 프로엔 가지 못하고 은퇴했다.
- 2015년부터는 홈런을 치면 맨 위 두번째 사진처럼 주먹을 올리면서 '아츠오(熱男)~!'[16]라는 구호를 외치는 세레모니를 하고 있다. 팬들도 곧잘 따라하는 인기 제스쳐로, 2019년 일본시리즈 2차전에도 7회 말 선제 쓰리런을 때린 후 어김없이 아츠오 세레머니를 보여줬고 경기 후 수훈선수 인터뷰에서 100점 만점의 아츠오 콜이었다고 자화자찬했다. 그만큼 항상 화이팅 넘치며 리더십도 갖춘 덕아웃의 분위기 메이커라는 평가를 받는다.
- 눈을 상당히 자주 깜빡거리는데, 그냥 평범하게 깜빡이는 모양새가 아니라 눈을 질끈 감는 모습을 상당히 자주 보인다.
전직 프로야구 선수이자 디테일한 선수 흉내내기로 유명한 다카모리 유키가 마츠다 노부히로의 눈깜빡임과 스윙 후 동작을 따라하는 영상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우완 투수 토가메 켄에게 불가사의할 정도로 상성이 좋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일명 '토가메의 보은(十亀の恩返し)'. 2020년까지 통산 상대성적이 무려 타율 .509(57타수 29안타, 14볼넷) 10홈런 OPS 1.711이라는 경이적인 성적을 찍었다. 이것도 노쇠화가 본격화된 2020년에 4타수 무안타로 틀어막힌 탓에 조금 깎인 것.
처음으로 상대한 2012년 이후로 매 시즌마다 제대로 호구를 잡은 수준이었는데, 하이라이트는 전 타석(6타수 6안타, 홈런과 2루타 각각 1개씩 기록) 안타에 OPS 2.667을 기록한 2015년과 14타수 7안타 5홈런 타율 .500에 5볼넷을 추가해 OPS 2.203을 기록한 2018년 시즌이 있다.
이 둘 사이의 상대전적이 너무나도 유명한 탓에 언론에서도 토가메를 '고객'으로 취급하는가 하면 퍼시픽리그 TV에서 둘 사이의 맞대결 장면을 소재로 활용하여 영상으로 뽑아내기도 했다. 그것도 모자라 1경기에서 토가메가 9명의 마츠다를 상대로 던졌을때의 결과를 산출하는 시뮬레이터까지 존재한다.링크 2022년에 마츠다가 방출되어 요미우리로 이적하고 토가메가 은퇴를 선언하면서 이 매치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일본프로야구에서도 오프시즌의 국제대회를 위한 국가대표 차출에 몸을 사리며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선수들이 꽤 있는데 비해 본인은 국대 차출에 적극적으로 응하고 있다. 2019 프리미어 12 국대차출 때도 자발적으로 주장을 맡으면서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자처했다. 국대선발 인터뷰에서 몸을 사리면서 자진사퇴하는 선수들을 의식한 듯 "이 좋은 기회에 나서지 않을 이유가 없다"면서 다른 스타급 선수들도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촉구하고 있다.
-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한국 공식 유튜브 채널의 첫 인사를 맡아 특유의 유쾌한 모습으로 시그니처 세레모니인 '아츠오'와 함께 한국어로 인사를 했다.
- 이대호의 은퇴식에서 직접 한국어로 말하는 영상편지를 보냈다.
- 대학 시절 선출 야구선수들 사이에서도 톱클래스를 자랑하는 아지아대학 야구부의 군기를 전혀 힘들어하지 않았다고 한다. 똥군기에 대한 적응력과 멘탈이 좋은 듯.
- 은퇴 후 SASUKE 41시즌 참가가 밝혀졌다.[17] 사스케 유명 선수들과 트레이닝도 하고 나름 열심히 했지만 역시 1st 스테이지에서 탈락. 그래도 4번째 장애물인 피쉬 본까지는 어떻게 가면서 참가에 의의를 둔 것 치고는 최선을 다한 게 보였다.
5.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AR |
2006 | 소 프 트 뱅 크 | 62 | 220 | 43 | 8 | 3 | 3 | 17 | 18 | 0 | 11 | 53 | .211 | .258 | .324 | .582 | -0.1 |
2007 | 74 | 221 | 49 | 13 | 2 | 7 | 28 | 22 | 3 | 17 | 35 | .254 | .321 | .451 | .772 | 1.9 | |
2008 | 142 | 595 | 154 | 33 | 10 | 17 | 68 | 63 | 12 | 28 | 115 | .279 | .322 | .468 | .790 | 2.9 | |
2009 | 46 | 175 | 45 | 13 | 2 | 8 | 21 | 24 | 1 | 7 | 32 | .281 | .315 | .538 | .853 | 1.2 | |
2010 | 113 | 458 | 108 | 20 | 3 | 19 | 61 | 71 | 17 | 14 | 90 | .255 | .284 | .450 | .734 | 1.6 | |
2011 | 144 | 582 | 148 | 31 | 7 | 25 | 77 | 83 | 27 | 41 | 128 | .282 | .344 | .510 | .854 | 9.6 | |
2012 | 95 | 390 | 108 | 28 | 7 | 9 | 41 | 56 | 16 | 27 | 63 | .300 | .349 | .492 | .841 | 5.6 | |
2013 | 144 | 626 | 163 | 26 | 5 | 20 | 86 | 90 | 13 | 27 | 124 | .279 | .314 | .443 | .757 | 4.2 | |
2014 | 101 | 423 | 118 | 20 | 3 | 18 | 54 | 56 | 12 | 24 | 80 | .301 | .341 | .505 | .846 | 3.7 | |
2015 | 143 | 603 | 152 | 22 | 2 | 35 | 91 | 94 | 8 | 60 | 135 | .287 | .357 | .533 | .890 | 6.6 | |
2016 | 143 | 609 | 142 | 23 | 5 | 27 | 79 | 85 | 6 | 48 | 141 | .259 | .325 | .467 | .795 | 3.9 | |
2017 | 143 | 577 | 140 | 19 | 6 | 24 | 64 | 76 | 5 | 43 | 128 | .264 | .319 | .458 | .777 | 3.2 | |
2018 | 143 | 580 | 128 | 21 | 3 | 32 | 72 | 82 | 3 | 56 | 113 | .248 | .324 | .485 | .809 | 4.1 | |
2019 | 143 | 576 | 139 | 25 | 2 | 30 | 64 | 76 | 5 | 33 | 115 | .260 | .305 | .483 | .788 | 1.6 | |
2020 | 116 | 431 | 90 | 16 | 3 | 13 | 36 | 46 | 1 | 32 | 76 | .228 | .285 | .382 | .667 | 0.7 | |
2021 | 115 | 390 | 83 | 13 | 3 | 14 | 30 | 47 | 5 | 27 | 67 | .234 | .289 | .407 | .696 | 0.3 | |
2022 | 43 | 106 | 20 | 2 | 1 | 0 | 2 | 7 | 1 | 6 | 20 | .204 | .255 | .245 | .500 | -0.7 | |
<rowcolor=#000000>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AR |
2023 | 요미 우리 | 12 | 17 | 1 | 0 | 0 | 0 | 0 | 0 | 0 | 0 | 5 | .063 | .063 | .063 | .125 | -0.5 |
NPB 통산 (18시즌) | 1922 | 7579 | 1832 | 333 | 67 | 301 | 891 | 991 | 135 | 501 | 1520 | .265 | .318 | .463 | .781 | 49.8 |
[1] 1993년부터 2006년까지 NPB에 존재했던 역지명 관련 제도 중 2005과 2006년, 드래프트가 고교선수와 대학, 사회인 선수 드래프트로 나뉜 시점에 대학과 사회인 선수에 한하여 선수가 입단을 원하는 팀을 선택해 선수를 확정적으로 데려올 수 있던 제도였다. 굳이 비유를 하자면 KBO 신인 드래프트의 1차 지명 제도와 유사한 제도였다. 단 KBO 리그와는 다르게 연고지의 제약이 없었다는 점.[2] 2011년에 잠깐 썼다가 2015년부터 고정적으로 사용했다.[3] 2015년부터 고정적으로 사용. 원곡과 마찬가지로 후렴 부분의 Hey! 부분은 팬들이 육성으로 따라한다. 요미우리 시절에는 주로 이 곡을 사용했으며, 마츠다 본인에겐 최후의 등장곡이기도 하다.[4] 등장곡을 많이 쓰는데다가 엄청 자주 바꾼다. 등장곡만 40곡을 넘게 썼다. 또한 과거의 등장곡 중엔 한국 노래도 있다. 소녀시대의 gee나 싸이의 강남 스타일 등. 과장 좀 보태서 일본에서 그 해나 그 전해에 인기있는 노래라면 일단 등장곡으로 쓰고 보는 수준이다. 일단 긴기라긴니사리게나쿠랑 울트라 소울은 2015년 이후 은퇴 때까지 고정적으로 쓰고 있으니 서술하지만 다른 곡들은 일일이 서술하지 않는 것도 하도 자주 바꿔서 콕 집어 말하기 어렵기 때문. 한국에서도 이런 케이스로 작뱅이 있다.[5] 그나마 오래 쓴 곡은 2016년, 2018년, 2020~2021년에 사용한 비글크루의 熱男 ~too Match~ 정도다. 물론 연도를 보면 알겠지만 이 곡도 꾸준히 쓴 편은 아니지만.[6] 沸き立つスタンドの 期待に応えて燃えてやれ 振りぬくその腕に 闘志を注ぎ込め(열광하는 스탠드의 기대에 부응하여 불타올라라 휘두르는 그 팔에 투지를 가득 담아라)[7] 기후현의 사립고등학교로 아이치 지역의 강팀이자 고시엔대회 단골 출전교인 주쿄대부속 주쿄고교하고 항상 헷갈리는 학교이다. 보다시피 고시엔도 곧잘 출전하고 마쓰다같은 프로선수도 배출하는 등 남의 학교 이름이나 도용하는 핫바리학교는 아니건만 아이치현의 학교가 워낙 명성이 높아 짝퉁취급을 받는 중이다. 참고로 학교이름이 자주 바뀌는 것으로도 악명이 높은데 그 때마다 주쿄대-주쿄고교하고 비슷한 이름으로 개명을 하는 바람에 야구팬들을 더 헷갈리게 하고 있다. 2019년의 학교명은 주쿄"가쿠인"대학 부속 주쿄고교. 2019년 여름 고시엔에서 4강까지 진출했으며 본인도 오사카 원정온 김에 몸소 응원하러 달려와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8] 이는 팀내 1위였다.[9] 단 1위 나카무라 타케야와는 23개의 차이가 난다. 나카무라는 이 해 통일구의 저반발력 때문에 리그 전체적으로 장타가 급감한 와중에서도 홀로 예년 페이스로 홈런을 생산해 파리그 전체 홈런의 10분의 1을 혼자서 때려냈으며, 이는 치바 롯데 마린즈의 팀 홈런(46홈런)보다 많은 것이었다.[10] 13시즌 198안타와 0.341의 타율로 2관왕에 올랐다.[11] 다만 작년에 KBO에서 발생한 NC 다이노스 원정숙소 방역수칙 위반 사건만큼 사건이 크게 난 상황은 아니다.[12] 사실 교진 OB들은 대부분 친정 교진 감독이나 코치 자리를 원하고 있기 때문에, 구단이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 속마음과는 상관없이 예스맨이 될 수밖에 없다. 구단도 이렇게 OB들을 여론몰이에 잘 쓰며 상부상조하는 관계. 결론은 적당히 걸러듣자는 이야기.[13] 실제로 드래프트 지명 1, 2순위를 모두 야수로 지명한 건 1996년의 이구치 타다히토와 마쓰나카 노부히코의 국가대표 콤비를 지명한 게 가장 최근이었다.[14] 그렇게 지명된 대표적인 사례가 2016년에 딱 한 번 교류전 MVP 한 걸 제외하면 대수비, 대주자로만 나오다가 33살에 방출당해 은퇴한 키도코로 류마, 주전 유격수로 10년 넘게 활약 중인 이마미야 켄타이다.[15] 특히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연속으로 수상했다. 일본야구를 논할 때 항상 언급되지만 NPB의 골든글러브는 수비를 보고 주는 상이다. 포지션별 최고의 타자에게는 미국의 실버슬러거에 해당하는 베스트나인상이 따로 주어진다. 참고로 베스트나인의 경우에는 라이벌 팀의 3루에 나카무라 다케야 때문에 프로입단 14년차인 2018년에 딱 한번 수상한 게 전부다.[16] 아츠오는 2016년 팀의 시즌 슬로건이었는데, 이 슬로건에 맞춰 개발한 세리머니가 팬들의 반응이 좋아서 계속하게 되었다. 다음 해인 2017년에 팀의 슬로건이 바뀌자 바뀐 슬로건에 맞춰서 세레머니를 바꿔봤지만 임팩트가 이전만 못해서 다시 아츠오로 되돌리고 그 후로는 본인의 전매특허처럼 되었다.[17] 참고로 SASUKE는 매년 은퇴한 야구선수에게 1장의 출전권을 주고 있으나 다들 조기탈락을 해서 큰 의미는 없다. 그나마 40시즌에 출전한 이토이 요시오가 1st 스테이지 후반 드래곤 글라이더까지 간 것이 최고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