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8 23:12:06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알프레도 데스파이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8.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9.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0.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1.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17 2018 2019 202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홈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개
야마시타 미노루
한큐군 / 2개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4개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4개
타카하시 요시오
고라쿠엔 / 6개
버키 해리스
고라쿠엔 / 6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10개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츠루오카 카즈토
난카이군 / 10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9개
핫토리 츠구히로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이와모토 아키라
카토 쇼지
나고야군 / 4개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카나야마 지로
산교군 / 3개
오시타 히로시
세네터스 / 20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17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25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46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51개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2개
스기야마 사토시
나고야 / 27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7개
아오타 노보루
요쇼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 31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5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2개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9개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31개
모리 토오루
주니치 / 31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0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5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2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4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1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타부치 코이치
한신 / 43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0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48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3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5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6개
오오시마 야스노리
주니치 / 36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7개
우노 마사루
주니치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54개
랜디 바스
한신 / 47개
릭 란셀로티
히로시마 / 39개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33개
래리 패리시
야쿠르트 / 42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7개
잭 하웰
야쿠르트 / 38개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4개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38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9개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 39개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 38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4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4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39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50개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40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0개
터피 로즈
요미우리 / 45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5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43개
타이론 우즈
주니치 / 47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36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46개
토니 블랑코
주니치 / 39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49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60개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 / 37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8개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44개
알렉스 게레로
주니치 / 49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1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1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56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41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3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사토 테루아키
한신 / 4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43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26개
후카미 야스히로
니시테츠토큐 / 2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6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0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3개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25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3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29개
나카타 요시히로
한큐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5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1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5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8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4개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3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8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도이 마사히로
타이헤이요클럽 / 34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6개
레론 리
롯데 / 34개
바비 미첼
닛폰햄 / 36개
찰리 매뉴얼
킨테츠 / 37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48개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44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0개
부머 웰즈
한큐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2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0개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43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9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2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39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1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2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35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28개
트로이 닐
오릭스 / 32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7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3개
터피 로즈
킨테츠 / 40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39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5개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55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1개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4개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44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6개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2개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4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6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T-오카다
오릭스 / 3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27개
미첼 아브레우
닛폰햄 / 31개
나카무라 타케야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34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37개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39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35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7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32개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32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1개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26개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26개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26개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34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프란밀 레예스
닛폰햄 / 32개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타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3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4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7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1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8점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75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7점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5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0점
아오타 노보루
도쿄쿄진군 / 42점
노구치 아키라
세이테츠군 / 42점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5점
츠루오카 카즈토
그레이트링 / 95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71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0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42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161점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105점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9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98점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 91점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 91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7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6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78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92점
모리 토오루
주니치 / 87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76점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9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8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2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9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2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5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05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1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0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9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3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8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3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2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03점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95점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103점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102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134점
랜디 바스
한신 / 109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98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102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16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02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9점
래리 시츠
타이요 / 100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4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94점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107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106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09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12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0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153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8점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127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7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4점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113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147점
타이론 우즈
주니치 / 144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2점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5점
토니 블랑코
주니치 / 110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9점
아라이 타카히로
한신 / 93점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104점
토니 블랑코
DeNA / 136점
마우로 고메스
한신 / 109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105점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110점
호세 로페스
DeNA / 105점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131점
네프탈리 소토
DeNA / 108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97점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11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134점
마키 슈고
DeNA / 10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86점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사토 테루아키
한신 / 102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105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7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6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86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7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9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95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100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85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95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03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12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4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35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5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97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0점
조지 알트만
도쿄 오리온즈 / 100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1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2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1점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01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9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96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97점
카토 히데지
한큐 / 82점
레론 리
롯데 / 109점
바비 마르카노
한큐 / 94점
카토 히데지
한큐 / 104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129점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108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99점
미즈타니 지츠오
한큐 / 114점
부머 웰즈
한큐 / 130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46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16점
부머 웰즈
한큐 / 11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5점
부머 웰즈
한큐 / 124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106점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 106점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92점
짐 트라버
킨테츠 / 92점
부머 웰즈
다이에 / 97점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107점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111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80점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 80점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 80점
트로이 닐
오릭스 / 111점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114점
나이젤 윌슨
닛폰햄 / 124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01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10점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32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17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3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0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121점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100점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100점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108점
터피 로즈
오릭스 / 118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2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109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16점
이대호
오릭스 / 91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10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00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4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10점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103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27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3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나카타 쇼
닛폰햄 / 108점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 96점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90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87점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99점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프란밀 레예스
닛폰햄 / 90점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퍼시픽 리그
역대 지명타자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오타 타쿠지
타이헤이요 클럽
타카이 야스히로
한큐
도이 마사히로
크라운라이터
찰리 매뉴얼
킨테츠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토니 솔라이타
닛폰햄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레론 리
롯데
이시미네 카즈히코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카도타 히로미츠
오릭스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트로이 닐
오릭스
도밍고 마르티네스
세이부
나이젤 윌슨
닛폰햄
필 클라크
킨테츠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이젤 윌슨
닛폰햄
프랭크 볼릭
롯데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터피 로즈
오릭스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호세 페르난데스
세이부
윌리 모 페냐
소프트뱅크
미첼 아브레유
닛폰햄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이대호
소프트뱅크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프란밀 레이예스
닛폰햄
}}}}}}}}}

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49번
야부타 야스히코
(2010~2013)
<colbgcolor=#cccccc,#323232><colcolor=#000>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2014)
천관위
(2015~2020)
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54번
후지야 슈헤이
(2011~2014)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2015~2016)
브랜든 레어드
(2019~20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54번
야나세 아키히로
(2012~2016)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2017~2022)
로베르토 오수나
(2023~)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25번
타나카 세이기
(2017~2022)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2023)
야마카와 호타카
(2024)
}}} ||
파일:230609 알프레도 데스파이네.jpg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로드리게스
Alfredo Despaigne Rodríguez
출생 1986년 6월 17일 ([age(1986-06-17)]세)
산티아고 데 쿠바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쿠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쿠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Instituto Superior de Cultura Fisica Manuel Fajardo ISCF[1]
신체 177cm / 106kg
포지션 외야수, 지명타자[2]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4년 치바 롯데 마린즈 입단[3]
소속팀 그란마 알라사네스[4] (2004~2015, 2016~현재)[5]
피라타스 데 캄페체[6] (2013~2014)
치바 롯데 마린즈 (2014~2016)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7~2023)[7]
응원가 롯데 시절: 셀리아 크루즈-MAGICA LUNA[8][9]
소프트뱅크 시절: 응원단 자작곡[10]

1. 개요2. 선수 경력
2.1. 그란마 알라사네스2.2. 캄페체 파이러츠2.3. 치바 롯데 마린즈2.4.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4.1. 2017 시즌2.4.2. 2018 시즌2.4.3. 2019 시즌2.4.4. 2020 시즌2.4.5. 2021 시즌2.4.6. 2022 시즌2.4.7. 2023 시즌
2.5. 이후2.6. 국가대표 경력
3. 플레이 스타일4. 통산 성적5. 관련 문서

1. 개요

쿠바 국적의 외야수.

쿠바의 대형 유망주 선수들 대부분이 망명하여 메이저리그에 도전하는데, 이 선수는 망명을 하지 않고 멕시칸 리그를 거쳐 NPB에서 뛰었다.

장타력이 뛰어난 거포로 고향 쿠바에서의 별명은 "종마중의 종마"다.

2. 선수 경력

2.1. 그란마 알라사네스

쿠바 프로야구 리그(세리에 나시오날)의 첫 시즌부터 2006-2007 시즌까지는 3할을 간신히 넘긴 타율에 홈런을 10~15개 정도 치는 그럭저럭 평범하게 잘하는 타자였다. 그러나 2007-2008 시즌에 타율 3할 6푼 4리에 24홈런, 78타점으로 점점 홈런타자의 면모를 보였고, 그 다음 시즌부터 3할 7푼 5리에 32홈런 97타점으로 홈런왕을 차지하며 쿠바 리그를 폭격하기 시작하였다.

그 다음 시즌인 2009-2010 시즌에서는 타율 4할 4리에 31홈런 97타점으로 리그를 아예 평정하는 모습을 보이며 쿠바 리그를 완전히 정복해버렸다. 2년 연속 홈런왕은 덤. 2010-2011 시즌에는 67경기밖에 못나왔는데도 27홈런 74타점, 3할 5푼 6리로 지난 2년간의 활약에 비해서는 조금 떨어지지만 대단한 성적을 냈다. 거기다가 2011-2012 시즌에서는 타율은 3할 2푼 6리로 떨어졌으나 36홈런 105타점으로 홈런왕은 물론 세리에 나시오날 역대 홈런 최고기록을 달성. 쿠바리그는 1년에 90경기밖에 치르지 않는다. 즉 90경기만에 36홈런을 친 것.

그렇게 쿠바리그를 초토화시키면서 메이저 리그 스카우트들도 눈독들였으나, 그는 망명을 거부하고[11] 쿠바에서만 뛰다 쿠바 정부가 일부 국가로의 해외 진출을 허용하면서 멕시칸 리그의 캄페체 파이러츠로 진출하게 된다.

2.2. 캄페체 파이러츠

2013년 첫 시즌에는 33경기 출전에 타율 3할 3푼 8리,8홈런, 24타점, OPS.928의 성적을 남겼다.

2014년 멕시칸 리그에서는 개막 이후 20경기에서 타율. 346,5홈런, 15타점, OPS 1.010의 성적을 남기고 있었지만, 5월 15일에 위조된 도미니카 공화국의 여권으로 선수 등록된 것이 발각 되는 바람에 출전 정지 처분을 받고 귀국했다. 데스파이네 본인은 본인이 위조 여권으로 선수 등록을 한 적 없다고 부인하였다.

2.3. 치바 롯데 마린즈

2014년 7월 치바 롯데 마린즈와 계약하여 일본에 들어왔다.[12] 메이저리그가 아닌 일본으로 간 이유는 쿠바 정부가 일본이나 멕시코, 타 중남미 등의 나라로만 진출을 허용하고 미국 진출을 금지했기 때문.

첫 해에 들어오자마자 채드 허프만을 1군 쿼터에서 밀어내면서 반 시즌만 뛰었는데도 12홈런 33타점의 성적을 보여줬다. 타율도 3할 1푼 1리로 좋았다.

2015 시즌에서는 18홈런 62타점 2할 5푼대 타율로 그럭저럭 괜찮은 활약을 하긴 했으나, 풀 시즌을 뛰면서 홈런을 20개도 못 치면서 홈런타자라고 영입한 타자치고는 기대치에 비해서는 조금 모자란 모습을 보였다. 중간에 팬 아메리칸 게임에 갔다 온 뒤로 갑자기 성적이 추락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2016년 시즌에서는 24홈런 92타점 타율 2할 8푼으로 맹타를 휘두르며 다시 4번 타자로의 위용을 보여 주는 데 성공하였다. 홈런 갯수가 쿠바 리그에 비해서는 많이 줄어들었지만, 워낙 투고타저인 일본 리그인지라 어쩔 수 없는 셈이다. 거기다가 ZOZO 마린 스타디움은 역풍이 많이 부는 곳이기 때문에 홈런이 잘 나오지 않았다. 30홈런 타자가 2005년 이승엽이후로 한 명도 없었다. 거기다가 동료 타자 야마이코 나바로가 시즌의 거의 절반밖에 나오지 못했고, 10홈런에 타율도 2할을 간신히 넘기는 졸전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13] 데스파이네는 4번 타자로 제 활약을 잘해줬다.

치바 롯데는 재계약을 하려 했으나, 몸값의 10~20%를 쿠바 정부가 떼어가는 정책 때문에 돈 한 푼이 더 급했던 데스파이네는 더 큰 돈을 제시하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떠나버렸다.[14]

2.4.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4.1. 2017 시즌

결국 2017년 2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3년 계약을 맺었다. 액수는 12억 엔이라는 말도 있고 15억 엔이라는 말도 있다. 한화로 환산하면 122억 원/153억 원이다.

5월 17일 현재 타율은 2할 4푼으로 그냥 그렇지만, 9홈런으로 11홈런을 친 브랜든 레어드에 이어 홈런 공동 2위다.[15]

6월 7일 기준 16홈런으로 홈런 1위를 찍었다!! 홈런이 나오기 어려운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구장을 벗어나니 홈런 갯수가 급상승하는 중.[16] 이 페이스 대로면 그의 일본리그 커리어하이인 24홈런은 너끈히 넘기고, 40홈런과 홈런왕도 노릴 법 하다.

8월 24일 기준 28홈런을 쳤다. 29홈런의 브랜든 레어드야나기타 유키에 이어 홈런 3위를 차지.

8월 28일 기준 1홈런을 더 치면서 브랜든 레어드야나기타 유키와 공동 홈런왕이 됐다.

9월 9일 현재 30홈런으로 퍼시픽리그 홈런 1위.

9월 21일 기준 타율 .263에 34홈런 100타점으로 홈런/타점 단독 1위이다.

10월 7일 기준 35홈런 103타점으로 홈런/타점 여전히 단독 1위. 소프트뱅크는 7일 기준 두 경기가 남아있으며, 홈런 2위인 브랜든 레어드는 한 경기밖에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최정마냥 1경기 4홈런 이러지 않는 이상 홈런왕은 물건너갔으며, 같은 팀의 야나기타 유키는 시즌아웃된 상황. 하지만 아직은 알 수 없는 것이, 오릭스의 T-오카다는 3경기가 남아 있고 현재 30홈런이기 때문에 막판 몰아치기를 통해서 따라잡을 수가 있고, 라쿠텐의 젤러스 휠러는 현재 31홈런에 무려 5경기나 남아있기 때문에 경기마다 1홈런씩만 쳐도 홈런왕을 노릴 수가 있다. 데스파이네의 홈런왕이 아직 확정적이지는 않다.

하지만 결국 35홈런 103타점으로 홈런왕 자리를 지켜냈다. 명실상부한 커리어 시즌.[17]

시즌 성적은 타율 .262 출루율 .347 장타율 .513에 35홈런 103타점. 홈런 1위, 타점 1위, OPS 5위, 장타율 3위를 기록했다.

클라이막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1할대의 타율로 부진했지만 일본시리즈 1차전부터 2경기 연속 선취타점을 올렸다. 하지만 그 이외에는 정규시즌에서 보여준 기대만큼의 모습은 보이지 못했으며 결국 MVP는 데니스 사파테에게 돌아갔다.

시즌 후 퍼시픽리그 베스트나인 지명타자 부문을 수상했다.

2.4.2. 2018 시즌

개막전에서 3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으로 부진했다.

3월 31일 5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해서 4타수 무안타로 부진했다.

4월 1일 3타수 1안타로 무안타는 면했다.

4월 10일 무려 9경기만에 첫 홈런(솔로). 다음날 4월 11일 첫 타석에서 투런 홈런을 쳤다.

현재 41경기에서 타율 .201에 9홈런이다. 홈런은 10위 안에 들지만 타율은 2할 초반대를 간신히 넘긴 상태. 근데 볼넷은 또 잘 골라내고 있기 때문에 출루율이 3할 3푼이 넘는다. 타점도 6위로 나쁘지는 않다.

그래도 홈런을 펑펑 쳐내는 모습 덕에 올스타전에 지명타자로 선발되었다.

8워 7일 기준 타율 .227에 22홈런 54타점. 닛폰햄의 또다른 공갈포 브랜든 레어드가 생각나는 성적인데 올해 레어드는 타율이 2할 5푼대다. 거기다가 3루수인 레어드랑 교류전 때 잠깐 좌익수 보고 수비가 좋지 않기 때문에 평소에는 지명타자만 하고있다. 그래도 선구안은 49볼넷 74삼진으로 여전히 괜찮은 편.[18]

2.4.3. 2019 시즌

2017년을 넘는 커리어 하이를 찍으며 완벽하게 부활했다.

타출장 .259 .355 .520 36홈런 88타점 OPS .875으로 타율도 2할6푼 가까이로 다시 올라왔고, 4번 지명타자로 소프트뱅크의 우승을 이끌었다. 36홈런은 세이부 야마카와 호타카에 이은 홈런 2위. 특히 타율은 .259였지만 득점권타율이 3할이 넘어 해결사 본능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보여준 성적 자체는 2017년과 거의 비슷한데 올해가 세부수치에서 미세하게 더 높은 정도. 지명타자 부문 베스트나인을 수상했다.[19]

2019년 일본시리즈에서도 3차전 3타점의 활약을 비롯 맹타를 휘두르며 우수선수상을 수상. 일본 진출 이후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2.4.4. 2020 시즌

우여곡절 끝에 일본프로야구 시즌이 6월 개막했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일본에 입국을 못 하고 있다. 유리스벨 그라시알과 함께 도쿄올림픽 예선전 국가대표 차출로 쿠바에 갔다가[20] 코로나 사태가 터지며 쿠바가 일본을 여행제한국으로 지정, 자국에서 발이 묶여버렸다. 언제 올 수 있을지도 앞이 안 보이는 상황.

타 팀은 이렇게 코로나19 관련해서 못 뛰게 된 선수를 제한선수[21]로 묶어버렸는데, 호크스는 데스파이네와 그라시알 둘이 작년 둘이합쳐 홈런 60개를 넘게 친 팀의 주포인지라 아쉬워서 묶지도 못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데스파이네와의 포지션 중복으로 뻘영입이라는 이야기도 많았던 블라디미르 발렌틴이 4번 지명타자 자리를 차지하여 호크스의 발렌틴 영입은 얼떨결에 제대로 적중한 수가 되었다.

결국 입국일정이 정해졌는데, 7월 19일 입국예정으로 2주 격리를 거치면 빨라야 8월에나 출장이 가능하다. 몸 만든다 뭐 한다 하다보면 사실상 시즌 절반 이상은 날려먹은 셈. 쿠바듀오가 없으니 소프트뱅크 타격지표가 땅에 떨어져 팀은 하위권을 전전하는 상황이었다가 투수진의 분발로 다시 파리그 1위로 치고 올라왔다.

8월 20일자로 그라시알과 함께 자가격리를 마치고 드디어 1군에 합류하였다.

오래 쉰 것이 영향이 컸는지, 저조한 성적을 보이던 중 오른쪽 정강이뼈 골절로 인해 정규시즌을 마쳤다. 25경기 .224 .320 .447 6홈런 12타점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후 정강이 골절을 치료하고 2군에서 컨디션 조절에 들어갔는데 그게 효과가 좋았는지 포스트시즌에서는 타격감이 올라와서, 우리가 아는 그 데스파이네로 돌아왔다. 클라이막스 시리즈에서는 2경기 8타수 4안타로 2차전 맹타상을 수상했고 2020년 일본시리즈에서는 비록 4경기내내 2안타밖에 치지 못했으나 그 2안타가 영양만점으로 2차전 5점차로 앞서던 상황에서 승리를 굳히는 만루홈런 포함, 일본시리즈 1경기 최다타점 타이기록인 1경기 6타점을 쳐냈다.

2.4.5. 2021 시즌

시즌 초반에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국대에 차출되어 도쿄 올림픽 예선을 위해 출국했다. 이때 한국에서 데스파이네가 망명했다는 오보가 나왔으나, 실제 망명한 것은 1군 경력이 없고, 2021년에 처음 일본팀에 입단한 어린 투수 1명이다.

6월 9일 일본에 재입국하여 자가격리를 거쳐 23일경 팀에 합류 예정이라고 한다. 국대 경기에서 가슴 근육을 다쳤기 때문에 복귀까지는 1개월가량을 예상하고 있다.

이후 쿠바 관변언론을 통해 올림픽 지역예선에서의 부진을 사죄하고, 올림픽 쿠바 선수단의 선전을 비는 메시지를 보낸 사실이 밝혀졌다.해당기사

이후 복귀해서 1군에서 출장중이지만 올해는 타율 낮은 똑딱이로 전락하며 커리어 로우를 또 갱신하고 있다. 많은 나이는 물론, 원래도 그냥저냥이었는데 거기서 더 나빠진 컨택, 최후의 희망인 장타마저도 줄어들게 되면서 올해가 일본 마지막 해가 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었다.

2.4.6. 2022 시즌

21시즌 후 언론에서 꼽은 유력한 방출후보로 꼽혔으나 그래도 여태까지 보여준 것이 있고, 21시즌은 가슴근육 부상과 대표팀 차출 및 자가격리 등으로 어수선했던 점을 감안해 재계약에는 성공했다. 올해 부활만 성공한다면 9년을 채워 외인 슬롯을 먹지 않게 되기에 검증된 거포를 외인 슬롯 소모없이 쓸 수 있기에 이를 감안한 점도 있다. 2년 계약으로 영입한 거포 프레디 갈비스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느냐가 관건.

시즌 시작 전에 발목을 삐어서 개막은 2군에서 시작하게 되었고, 5월 중순 치료를 마치고 드디어 1군에 콜업되었다. 타율 .273으로 똑딱질은 그럭저럭 잘 하는데 기대하는 홈런이 아직 없는 것이 흠.

시즌 89경기 타출장 .269/.338/.444 80안타 14홈런 40타점을 기록했다. 확실히 노쇠화가 와서 성적은 하락했지만 아직 못써먹을 성적은 아니고 무엇보다 외인슬롯을 더이상 차지하지 않기에 연봉을 삭감해서 재계약이 유력한 편이었으나 결국 재계약하지 않았다.

2.4.7. 2023 시즌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쿠바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해 4번 지명타자로 팀의 주포로서 활약해 쿠바를 4강으로 이끌었다.

호크스에서 새로 영입한 용병타자 둘과 2년 계약인 프레디 갈비스가 모두 부진하였고, FA 영입이 기정사실화되었던 야마카와 호타카마저 강간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면서 사실상 영입이 물 건너가[22] 거포 부족이 심화되자 WBC에서 건재한 모습을 보여준 데스파이네를 재영입한다는 썰이 나왔다.

결국 5월 31일 재영입이 확정되었다. 연봉은 작년보다 8400만엔이 깎인 1억 8600만엔+@인데 도중 영입이라서 실질적으로는 작년과 거의 같은 금액. 기존에 쓰던 등번호는 로베르토 오수나가 쓰는 중이어서 새로이 25번을 달게 되었다.

영입후 1개월간 2군에서 몸을 만든 후 7월에 1군으로 콜업되었으나 홈런이나 타점은 커녕 안타조차 제대로 치질 못하면서 팀의 득점만 깎아먹는 적폐가 되고 말았고, 최종적으로 타율 .071(42타수 3안타) 0홈런 0타점의 성적으로 팬들과의 마지막 추억만 망쳐버린 재영입이 되고 말았다. 과거의 영광을 믿고 데스파이네를 다시 데려왔으나 처참한 실패를 기록하여 2023시즌 소프트뱅크 외국인 타자 흉작의 대표적인 사례[23]가 되어버렸고, 결국 시즌 후 다시 방출되며 일본에서의 선수생활에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2.5. 이후

은퇴하지 않고 모국인 쿠바 리그에서 계속 뛰고 있다. 2023-24 시즌은 40경기 161타석에서 6홈런을 기록했으며 3할 타율에 출루율, 장타율은 모두 5할대로 그야말로 리그를 맹폭하였다. 볼넷이 삼진의 3배나 될 정도로 많았다.

2.6. 국가대표 경력

2007년 야구 월드컵,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09년 야구 월드컵에서 3년 연속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은메달을 수상하였고, 2009년, 2013년, 2017년 WBC2015 WBSC 프리미어 12에서도 항상 출전하였다. 특히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팀의 유일한 해외파 선수로서[24] 팀의 4번타자 에이스로 활약하였고 만루홈런도 치는 등 대활약했다.

2019 WBSC 프리미어 12에서도 팀의 4번 타자로 활약했다. NPB의 팀 동료이기도 한 그라시알과 함께 강력한 공격력을 담당하였다.

3. 플레이 스타일

키가 175cm으로 작은 편이지만 몸이 앞뒤로 매우 두꺼워서, 마치 강호동이나 마동석같은 장사 체형으로 키는 작지만 파워를 타고났다. 이 파워가 강점으로 이를 잘 살릴 수 있는 진퉁 슬러거 스타일의 타격을 한다. 극단적인 당겨치기를 선호하며, 어퍼스윙을 구사하며 갖다 맞추는 타격따위는 하지 않고 헛스윙을 보면 뼛골까지 시릴 정도로 무지막지한 힘이 실린 풀스윙만을 고수하는 정통 우타거포다.

NPB 통산 장타율이 5할에 이르는 파워와 함께 선구안도 갖췄다. 선구안은 볼삼비가 1:1.5로 상당히 준수한 편으로 타출갭이 1할 가까이 될 정도로 출루율이 좋으며 타점 생산력도 괜찮은 OPS히터 스타일. 단점은 이런 당겨치기 어퍼스윙하는 슬러거들이 흔히 그렇듯 컨택트. 하이 패스트볼에 약하며, 일본리그 통산 타율은 2할6푼 정도로 정교하지는 못하고 그냥 평범한 정도. 스윙 메커니즘상 정교할 수가 없는 타격이긴 한데, 그래도 이런 당겨치기 풀스윙 일변도의 스윙을 구사하며 2할 6푼이면 그래도 괜찮다. 선구안이 좋아 안 좋은 공은 참을 줄 알며 무엇보다 퍼올리는 듯한 어퍼스윙으로 일본 투수들이 결정구로 많이 쓰는 낮은 공에 강하다. 이 점이 타점 생산력의 비결로, 포크볼을 풀스윙으로 퍼올려 홈런을 만드는 타격이 일품으로 NPB 맞춤형 거포라고 볼 수도 있겠다.

수비는 교류전에서만 세우는 걸 보면 알 수 있듯이 백업급도 못 된다. 주력도 덩치답게 그다지 좋지는 않다. 리그 상위권의 타격을 지녔지만 발느린 지명타자라는 한계가 발목을 잡아 타격능력에 비해 WAR은 높지 않은 유형이다.

4. 통산 성적

시즌 소속
리그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04-05 CNS 83 339 100 17 5 10 58 41 4 12 61 .313 .342 .491 .833
05-06 86 381 112 22 3 15 66 72 3 25 35 .326 .378 .538 .916
06-07 89 389 108 20 3 16 60 66 7 44 26 .321 .410 .542 .952
07-08 88 389 117 33 5 24 75 78 14 53 46 .365 .476 .717 1.192
08-09 90 405 123 25 2 32 73 97 16 61 45 .375 .482 .756 1.238
09-10 87 376 128 37 0 31 79 97 7 40 34 .404 .489 .814 1.303
10-11 67 303 93 7 0 27 56 74 1 33 42 .356 .439 .694 1.132
11-12 95 447 112 19 0 36 87 105 4 91 47 .326 .479 .695 1.174
12-13 79 342 100 19 0 17 52 50 2 71 44 .382 .524 .649 1.172
13-14 59 253 59 8 1 12 35 41 0 55 26 .311 .474 .553 1.027
14-15 58 263 82 19 1 17 53 70 1 52 22 .406 .521 .762 1.283
Career 885 3906 1139 226 19 239 698 800 59 545 430 .352 .456 .655 1.111
파일:NPB 로고.svg 알프레도 데스파이네의 역대 NP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14 롯데 45 182 50 13 1 12 26 33 0 16 36 .311 .374 .627 1.001 1.7
2015 103 409 91 18 0 18 49 62 0 49 89 .258 .352 .462 .814 1.3
2016 134 560 139 27 0 24 81 92 0 64 89 .280 .361 .480 .841 2.3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17 소프트뱅크 136 545 125 15 0 35 66 103 3 59 119 .262 .347 .513 .859 1.9
2018 116 469 97 15 1 29 62 74 0 55 93 .238 .333 .494 .826 1.2
2019 130 519 116 9 0 36 61 88 0 63 119 .259 .355 .520 .875 2.2
2020 25 97 19 1 0 6 9 12 0 12 11 .224 .320 .447 .767 0
2021 80 308 69 13 1 10 27 41 0 44 64 .264 .373 .437 .810 1.2
2022 89 331 80 10 0 14 29 40 0 28 80 .269 .338 .444 .782 1.1
2023 20 49 3 0 0 0 0 0 0 7 13 .071 .204 .071 .275 -0.6
NPB 통산
(10시즌)
878 3479 789 121 3 184 410 545 3 397 713 .261 .349 .485 .834 12.3

5. 관련 문서



[1] 일본 위키백과 정보. 쿠바 최고의 명문 체육대학으로, 쿠바 국대는 대체로 여기 출신에서 뽑는다고 한다. 한국으로 치면 한체대같은 곳인듯. 로엘 산토스도 이 대학 출신.[2] 사실상 지명타자이다. 외야수로는 5시즌 동안 42경기에 나왔다. 외야수로는 교류전이나 일본시리즈 중 센트럴리그 홈 경기에서 출전하였는데 100% 좌익수로 뛰었고, 그마저도 평가는 좋지 않았다. 수비범위도 넓지 않고 수비력도 좋지는 않았다. 그래도 아예 못 써먹을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일본시리즈에서 수비 불안 때문에 히로시마 홈 경기에서 대타로만 나온 경험도 있었다.[3] 그전에도 AAA 리그인 멕시칸 리그에서 기간 한정으로 뛰었고, 해외 진출 제한이 풀리기 전에 쿠바 리그에서 오래 뛰어왔지만 공식 프로팀 입단은 2014년 치바 롯데 마린즈이다.[4] 쿠바 야구 리그 세리에 나시오날 소속 팀이다. 정식 이름은 알라사네스 데 그란마[5] 쿠바 국적이라서 NPB 비 시즌에는 쿠바 야구 리그에서 뛰어야 한다.[6] 멕시칸리그 소속 AAA 팀. 데스파이네의 경우는 그러나 망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기서 잘해도 메이저리그에 갈 수 없었다.[7] 2022 시즌 종료 이후 재계약하지 않았지만, 2023년 5월 31일에 재계약하면서 소프트뱅크와 계속 동행하게 되었다.[8] 라라라라라라 라라라라라라 라라라라라라 라라라라 라라라라라라 라라라라라라 라라라 바모 바모 바모 데스파~ 데스파 데스파 바모데스파~ 데스파 데스파 바모데스파~ 라라라라라라 라라라라라라 바모 바모 바모 데스파~[9] 이 노래는 라미고 몽키스 팀 응원가이기도 하다.[10] 果てしない弾道 空へ放ち 敵砕け勝利呼べ デスパイネ(끝없는 탄도 하늘로 날려라 적을 쳐부숴라 승리를 불러라 데스파이네)[11] 사실 망명하고 싶어도 할 수 없었다. 이 선수를 포함해서 메이저리그에서 관심을 많이 보이는 특급 선수들은 쿠바 정부에서 특별 감시를 붙이기 때문. 진짜 작정했으면 할 수도 있겠지만 이 선수는 수비가 전혀 안 되는 수준이라 메이저리그에 간다고 해도 물음표였을 것이다.[12] 율리에스키 구리엘도 같은 해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 계약했다.[13] 나바로는 한국에서는 20-20만 두 번이나 했고, 한 시즌 48홈런까지 쳤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성적이 좋지 않았다.[14] 이는 데스파이네 본인의 선택은 아니고, 쿠바 정부의 지시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두 팀 이상이 영입전에 달려들 시 외화 수입을 노리고 무조건 보장액이 더 큰 팀을 고르게 한다나.[15] 또다른 홈런 공동 2위는 나카무라 다케야. 2015 WBSC 프리미어 12 도쿄 대첩 당시 마지막에 나온 그 타자다.[16] 후쿠오카 돔의 홈런테라스 효과이다. 이대호도 2015 시즌에 이 효과를 톡톡히 봤다.[17] 주니치 드래곤즈알렉스 게레로 역시 35개, 양 리그 모두 쿠바 출신 타자가 홈런왕이 된 것이다.[18] 아사무라 히데토, 야나기타 유키보다 좋다. 그런데 이 둘이 공갈포 소리를 듣지는 않는다.[19] 라쿠텐의 자바리 블라쉬를 비교하기도 하는데, 충분히 데스파이네가 탈만했다. 비율은 블라쉬가 좋지만 출루율을 제외하면 2푼 이하의 미세한 차이였던 데다 데스파이네가 안타와 홈런 갯수는 더 많아서 지명타자 포지션에서 홈런 1위였고, 우승팀 프리미엄도 있으며, 무엇보다 데스파이네는 교류전에서만 수비하는 풀타임 지명타자였던 데 비해 블라쉬는 출장경기수 128시합 중 ⅓이 넘는 47경기가 외야라 풀타임 지명타자로 보기도 애매하다. 지명타자 베스트나인은 지명타자한테 주는 것이다.[20] 사실 예선이 취소되면서 일본으로 돌아갈 수도 있었는데 데스파이네와 그라시엘은 부상으로 인해 쿠바에서 재활하는 쪽을 선택했다. 별다른 부상이 없었던 리반 모이넬로는 쿠바로 가지 않고 바로 일본행을 택하며 2020 시즌도 정상적으로 참여.[21] KBO리그의 임의탈퇴와 비슷한 제도[22] 단 야마카와는 결국 무혐의 판결을 받아서 FA 시장에 나올 수 있었고, 친정팀 세이부는 돈도 없는데다 이미지까지 망가진 야마카와와의 재계약 의지를 거의 보이지 않아 거저먹듯 호크스에서 데려갔다.[23] 2023시즌 소프트뱅크는 주요 외국인 타자로 프레디 갈비스, 윌리안스 아스투디요, 코드니 호킨스와 도중 영입한 데스파이네까지 총 4명을 보유했으나 이들 모두 1할대 이하의 타율에 4명을 합쳐 단 1홈런에 그치며 타격 저하의 큰 원인이 되고 말았다. 참고로 그 1홈런을 친 것은 윌리안스 아스투디요.[24] 위의 각주에서 서술했듯이 해외 진출이 풀린 뒤에도 실력있는 선수들이 죄다 망명해서 그를 제외하면 모두 세리에 나시오날 소속 선수들이다. WBC 이후 라이델 마르티네즈, 로엘 산토스, 리반 모이넬로는 데스파이네를 따라서 NPB로 왔다. 이 중 산토스는 일본에서 아주 나쁜 성적은 아니었지만 용병으로 치기엔 낙제였기 때문에 1년만에 쿠바로 돌아갔고, 리반 모이넬로는 입단하자마자 주축 중간계투로 자리잡았으며, 육성형으로 큰 기대 없이 간 라이델 마르티네즈는 훗날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ERA 0점대 마무리로 활약하며 완전히 대박났다.[25] 2시즌이라고 해봐야 53경기뿐이라 사실상 1/3시즌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