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efe01><tablebgcolor=#fefe01> | 한신 타이거스 2025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0 키나미 세이야 · 3 오오야마 유스케 · 4 쿠마가이 타카히로 · 8 사토 테루아키 25 와타나베 료 · 33 이토하라 켄토 · 38 오바타 류헤이 · 44 토이 레이지 · 45 사노 타이요 · 51 나카노 타쿠무 · 52 야마다 슈야 56 모모사키 아오이 · 62 우에다 카이 · 67 타카테라 노조무 · 94 하라구치 후미히토 · 95 라몬 에르난데스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한신 타이거스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사토 테루아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토 테루아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23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c7bc69 우승반지}}} |
2023 |
2023 Asia Professional Baseball Championship Best Nin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 ||||||||
| | | |||||||
| | }}}}}}}}} |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8번 | ||||
후쿠도메 코스케 (2013~2020) | → | 사토 테루아키 (2021~) | → | 현역 |
}}} ||
| |
한신 타이거스 No.8 | |
<colbgcolor=#000000> 사토 테루아키 佐藤輝明 / Teruaki Sato | |
출생 | 1999년 3월 13일 ([age(1999-03-13)]세) |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 |
국적 |
|
학력 | 니가와가쿠인고등학교 - 킨키대학 |
신체 | 187cm / 93kg |
포지션 | 3루수, 우익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 입단 | 2020년 드래프트 1순위 (한신) |
소속팀 | 한신 타이거스 (2021~) |
등장곡 | ELIONE - Keep Going[홀수타석] KICK THE CAN CREW - マルシェ[짝수타석] Niko Moon - Good Time[득점찬스] |
응원가 | 한신 타이거스 시절[가사(일본어)][가사(한국어)] |
연봉 | 2024 / ¥150,000,000 |
1. 개요
한신 타이거스 소속의 내야수. 한신의 연고지인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출신의 로컬보이이자 1990년대 이후 토종 거포가 희귀해진 한신 타선에서 준수한 장타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선수다.2. 선수경력
2.1. 프로 입단 전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는 그렇게 주목받던 선수가 아니었으나 고등학교 3학년 때 기량이 급상승해 괴물이라는 평가를 들을 정도로 단번에 평가가 올라갔다. 다만 고등학교 졸업 후엔 프로 지망이 아닌 대학 진학을 선택했다.이후 킨키대학에 진학해 1학년 추계리그부터 곧바로 팀의 주포 자리를 꿰찼고, 2학년 땐 이미 칸사이 학생리그를 지배하는 최강의 타자로 군림했으며 2018년에는 미일 대학 선수권대회에 출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활약으로 이미 2020년 드래프트 시작 전부터 야수 최대어로 평가받았으며 2020년 10월에 진행된 드래프트 회의에서 한신 타이거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오릭스 버팔로즈, 요미우리 자이언츠 4팀의 지명을 받고 추첨을 통해 한신이 교섭권을 획득했다. 지명 직후 영 좋지 않은 표정 때문에 팬들에게서 혹여나 지명을 거부할 수도 있냐는 우려가 나왔으나 결국 계약금 5000만엔, 연봉 1600만엔에 입단에 합의했다. 등번호는 지난 시즌까지 후쿠도메 코스케가 달았던 8번을 달게 되었다.
한신의 교섭권 획득이 확정된 직후의 표정. 훗날 본인이 해명하길, 사실 본인이 한신 팬이라 한신이 교섭권을 획득하자 안도감에 나온 표정이었다고 한다.
2.2. 2021년
스프링캠프 소집 이전 개인 트레이닝에서부터 양질의 타구를 양산하며 지역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스프링캠프에서부터 무시무시한 타격감을 과시하며 연습경기를 박살내는 중. 2월 9일 닛폰햄과의 연습시합에서 2번 좌익수로 출장해 가볍게 안타와 홈런을 뽑아내며 팬의 기대를 높였다. 이외에도 라쿠텐과의 연습경기에서 파울홈런이었지만 배트가 부러지면서도 100m 정도의 비거리를 기록하면서 본인의 파워를 보여주었다.
3월부터 시작된 시범경기에서도 좋은 타격감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 페이스대로라면 개막을 1군에서 맞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3월 27일 야쿠르트와의 경기에서 1회 초, 요미우리에서 트레이드 된 다구치 카즈토를 상대로 프로 데뷔 첫 번째 홈런을 뽑아냈으나, 이후로는 부진하며 9시합 31타수 4안타 2홈런 4타점 타율 .129에 머무르며 시즌 초반은 프로의 쓴맛을 제대로 보는 중이다.
4월 7일 교진전에서는 데뷔 첫 멀티히트 경기를 만들어냈고, 4월 9일 DeNA전에서는 멀티히트와 더불어 장외홈런을 날려버리며 파워 하나만큼은 진퉁임을 과시했고 이후 14, 15일 히로시마 2연전에서는 이틀 연속 멀티히트와 홈런을 뽑아내며 조금씩 영점을 잡아가고 있다. 타율은 .214로 여전히 낮고 73타석에서 삼진이 절반 가까이인 30개, 볼넷은 단 2개로 엉망진창인 볼삼비지만 벌써 홈런도 5개로 샌즈와 함께 팀내 최다 홈런인 공갈포 그 자체.
5월 들어서는 영점이 잡히면서 타율을 .272, 득점권 타율을 3할 2푼까지 끌어올렸고 팀 내 최다인 10홈런을 기록하면서 프로에 나름대로 적응한 모습을 보여줬다. 등 담증세로 2군에 간 오오야마 유스케를 대신해 주전 3루수+4번 타자 자리를 꿰차고 야쿠르트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마다 테츠토와 홈런왕을 다투고 있으며 유력 신인왕 후보로 꼽히고 있다.[6]
10호 홈런을 친 이후 13경기 동안 홈런을 치지 못하는 등 장타 감각이 많이 떨어져있던 와중에, 5월 28일 세이부와의 교류전에서 한경기 3홈런을 때리는 괴력을 과시하였다. 센트럴 리그에서 신인이 한 경기 3홈런을 친 사례는 1958년의 나가시마 시게오 이후 무려 63년 만이다.6월 27일 기준 19홈런(세리그 3위), 47타점을 기록하며 한신의 선두 질주에 중요한 역할을 해주고는 있으나, 문제는 데뷔 시즌임을 감안해도 선구안이 너무 심각해서 사사구 17개, 삼진 96개라는 처참한 볼삼비를 보여주고 있다. 전반전도 채 안 끝난 시점에서 저렇듯 무지막지한 삼진을 적립한 덕분에 22홈런 37타점 131삼진을 넘어 랄프 브라이언트만이 기록한 단일시즌 200삼진에 도전할 기세를 보여주고 있다. 양대리그 삼진 1위는 덤.
결국 전반전 종료 시점에서 121삼진을 기록하며 1999년 후쿠도메 코스케[7]가 보유했던 신인 최다 피삼진 기록과 타이 기록을 수립했고, 8월 13일 히로시마전에서 신인 신기록인 122삼진을 기록했다.
후반기가 시작된 이후 8월 17일 요코하마와의 경기에서 21, 22호 홈런을 기록하며 키요하라 카즈히로가 가지고 있는 신인 최다 홈런을 경신할 가능성까지 언급되기 시작했고, 8월 19일 요코하마전에서 23호 홈런을 기록하며 타부치 코이치가 가지고 있던 구단 신인 단일시즌 홈런 기록까지 경신했다.
그런데 8월 21일 경기를 끝으로 59타석 연속 무안타로 센트럴 리그 타자 연속 무안타 신기록을 수립하는 끔찍한 부진에 빠지는 바람에 시즌 중반까지 유력한 신인왕 후보로 평가받던 것이 무색하게 신인왕 후보에서 탈락할 위기에 처하며 계속해서 지적받던 심각한 선구안이 결국 컨택까지 망가뜨리는 결과를 부르면서 화를 초래한 된 셈이 되고 말았다. 그나마 10월 5일 요코하마전에서 첫 타석 때 적시타를 치면서 연속 무안타 기록은 어찌저찌 종지부를 찍었다.
최종 성적은 126시합 455타석 425타수, 타율 .238/출루율 .284/장타율 .466/OPS .749 101안타 24홈런 64타점 28사사구 173삼진으로, 데뷔 시즌부터 주전을 꿰차면서 준수한 장타력을 보여줬지만 비율스탯에서 보듯 컨택이 부족한 모습에 선구안이 워낙 나빠서 59타석 연속 무안타에 신인 단일시즌 최다 피삼진 기록까지 갈아치우는 등 기복이 심한 롤러코스터 같은 데뷔 시즌을 보냈다.
12월 15일 신인왕 투표에서는 쿠리바야시 료지나 마키 슈고는 커녕 오쿠가와 야스노부조차 못 이기면서 8표로 4위를 차지했다. 쿠리바야시가 200표 넘는 득표로 여유있게 1위로 신인왕 수상을 확정했고, 마키는 70여표로 2위, 오쿠가와는 10여표로 3위를 차지했다. 그래도 신인으로썬 준수해서 마키, 오쿠카와, 이토 마사시, 나카노 타쿠무와 같이 신인 특별상을 받게 되었다. 덧붙여서 연봉도 300% 정도 올라가서 4천만엔 가량을 받게 되었다.
2.3. 2022년
시범경기에서 .327에 2홈런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고 개막전 4번타자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5타수 3안타 1타점으로 타격감을 과시했으나 팀은 불펜의 대방화로 역전패. 이후 팀이 9연패의 수렁에 빠지고 다시 5연패를 기록하는 동안 18시합 .274 홈런 4개로 침체된 타선에서 거의 유일하게 사람 노릇을 하고 있었으나, 혼자만으로는 팀의 몰락을 막을 수가 없었다. 타율에 비해 출루율은 .299로 타율과 출루율이 거의 차이가 안 나는 점은 작년에 이어 아직 해결되지 못한 단점.15일 경기에서는 스가노를 상대로 시즌 4호 홈런을 역전 투런으로 뽑아내었고 이 타점이 그대로 결승타점이 되어 히어로 인터뷰를 가졌다.
이후로도 안정된 활약을 이어나갔고 교류전 마지막 날 오릭스전에서는 혼자서 6타점을 뽑아내며 팀을 캐리해 4위까지 올렸다. 2022 시즌 중반부턴 완전히 4번에 안착했고 타율 .271 13홈런에 출루율도 .331로 제법 눈야구도 되기 시작한 모양새. 8월 초에는 오오야마를 비롯한 주전선수들이 코로나에 감염되어 8연패를 하는등 하락세를 보였지만 8월 중순부터 주전타자들의 복귀와 더불어 기량이 올라 4번타자로써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최종적으로 143경기 전 경기 출전에 타율 .264/출루율 .328/장타율 .463/OPS .791 20홈런 84타점 11도루 55사사구 137삼진을 기록하며 전년도보다 더욱 괜찮아진 성적으로 2022시즌을 마무리했다. 팀내 유일하게 전 경기 출장했으며 죽음의 원정기에 팀내 다른 주전들이 돌아가며 코로나를 겪는 와중에도 유일하게 혼자만 걸리지 않으면서 전 경기 출전에 성공했다. 문제점으로 지목되었던 컨택과 선구안도 나아져서 8월에 잠시 2할 2푼대로 흔들린 것을 제외하면 매월마다 2할대 중후반의 안정적인 타율을 보여줬고 볼삼비도
2.4. 2023년
이강철호와의 평가전에서는 원태인에게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정우영에게 투런 홈런을 쳐냈다.시즌 전반기는 그야말로 2021년 후반기와 같이 죽을 쒔다. 5월 중순 홈런을 치며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지만 2할 2푼대를 전전하며 2군도 다녀오는 등, 극도의 부진을 겪었다. 다만 대체자로 콜업됐던 선수들도 그닥 잘 치진 못했고, 결정적으로 한신에선 사토테루와 오오야마 정도를 제외하면 장타를 칠만한 선수들이 없었기 때문에 계속해서 5-6번을 오가며 뛰어왔다.
하지만 후반기에는 대반전, 후반기 한정으로는 3할대 타율을 기록하더니 홈런도 양산하기 시작하며 단숨에 팀내 홈런, 타점 1위로 치고 올라왔다. 특히 9월 초, 히로시마와의 선두공방전 첫 번째 경기에선 한신 킬러였던 토코다 히로키에게 홈런을 쳐내며 공방전 3연승에 힘을 보탰고, 우승이 걸린 요미우리와의 3연전에서는 2차전에서 결승 만루홈런, 3차전에서는 승기를 잡는 투런 홈런을 날리는 등 한신 팬들이 테루에게 원했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팀의 우승에 절대적인 공헌을 했다. 2할 2푼대의 타율도 2할 5푼까지 치고 올라왔으며 OPS도 8할 이상으로 끌어올린 것은 덤.
결국 시즌 종료시 132경기 .263/ .339/ .498/ .837의 NPB의 투고타저를 고려했을 때의 준수한 슬래시라인과 24홈런(4위) 92타점(3위)을 기록하면서 훌륭히 반등했으며, 약점으로 언급된 선구안도 조금씩 개선되었다. 또한 NPB좌타신인의 데뷔 이후 연속 20홈런 기록을 3년으로 늘렸다.
그러나 일본시리즈에서부터 ABPC에 이르기까지 큰 경기에서 그리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는데, 이러한 모습을 앞으로의 경험을 통해 극복해 나가는 것이 과제가 되었다.
2.5. 2024년
올해도 시즌 초반에 제대로 죽을 쑤는데도 수상하리만큼 득점권에서만 강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선발 명단에서 좀처럼 제외되지 않아 오오야마와 함께 한신 팬들의 저혈압 예방에 일조하고 있다. 5월이 되기 전에 4실책이나 기록한 것은 덤.결국 4월 28일 야쿠르트전에서 이토하라에게 밀려 선발에서 제외당했고, 팀은 4-3으로 역전승했다. 그리고 5월 14일 토요하시에서 열린 주니치전 이후 2군행을 통보받았다.
6월 7일 세이부와의 교류전에서 1군에 복귀. 복귀전에서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이후 6월 18일까지 교류전에서 29타석 28타수 6안타 1볼넷 .214로 영 좋지 못했다.
하지만 교류전 종료 이후 6월 말까지 22타수 10안타를 쳐내며 부활했다. 특히 6월 말의 야쿠르트전에서는 3안타를 모두 2루타로 작렬시키는 활약이었다.
7월에 들어서자마자 7경기 중 3시합에서 멀티히트를 쳐내고, 그 중 한 번은 멀티홈런을 터뜨리기도 하는 등 완전히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고, 최근 들어서는 아예 4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면서 시즌 초 같이 삽 푸고 2군 갔다가 돌아온 오오야마와 함께 제대로 살아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종 성적은 120시합 121안타 16홈런 70타점 타율 .268, 출루율 .327, 장타율 .439 OPS .766을 기록했다.
2.6. 2025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도쿄 시리즈 평가전에서 블레이크 스넬을 상대로 쓰리런 홈런을 때려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3. 플레이 스타일
187cm, 94kg이라는 당당한 체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장타력이 일품이며 이외에도 50미터를 6초만에 주파하는 빠른 발, 멀리던지기 100미터의 좋은 어깨도 보유한 전반적인 신체능력이 좋은 선수이다. 가진 툴이 많고 우수한 신체스펙 때문에 붙은 수식어가 바로 팀 선배인 이토이 요시오와 비슷하다는 의미의 "이토이 2세".다만 선구안이 부족해(특히 인코스에 약한) 삼진이 많은 스타일이고 컨택에 대한 의문부호도 있어 이러한 약점을 한신의 코칭스탭들이 지도를 통해 극복시키거나 아니면 사토 스스로 극복할지는 두고봐야 알 듯. 프로에 입단해서는 예상대로 낮은 타율과 한방이 있는 공갈포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컨택이 안 좋다보니 병살타도 못 치고 오로지 홈런 아니면 삼진이다. 이런 타자들이 그렇듯이 정석대로 6번타자로 잘 쓰이는 중. 히로오카 타츠로는 야후재팬에 기고한 칼럼에서 중심을 아래로 두라는 조언을 남기기도 했다.
현 시점에선 삼진을 먹든 말든 자신이 확실하게 노리는 코스로 오면 공격적으로 휘두르고 보는 타격을 가져가고 있는데 이게 어느 정도 먹힌건지 1할대였던 타율도 2할 중반으로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수비는 3루와 외야를 주로 맡으며 상황에 따라 포수도 가능하다. 전반적인 수비기술이 준수하고 어깨가 좋아 빠른 송구를 보여준다. 프로에 와서는 2022년까지는 3루에 주전 오오야마 유스케가 있기에 주로 우익수로 출전하였고, 2023년엔 오오야마가 1루수로 고정되면서 사토 본인은 3루수로 고정 출전했다. 다만 2021년 4월 23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의 홈경기에서는 자기 바로 앞으로 굴러들어온 공을 뒤로 빠뜨려서 카미자토 카즈키에게 인사이드 파크 모텔을 허용한 적이 있었다. 것도 만루에서 허용한 것이여서 3-1이던 경기가 순식간에 7-1로 둔갑, 경기도 그대로 지고 말았고 요코하마에겐 10연패를 끊는 귀중한 승리를 선물했다.
충격과 공포의 초대형 실책 장면. 위에 나와있듯 수비 자체는 그럭저럭 괜찮지만 가끔씩 저런 큰 병크 하나 터트리는 편이다.[9]
2023년에는 3루수로 고정 출전중인데 뛰어난 신체 능력을 앞세워서 준수한 수비를 보여주고 있다. 송구의 정확성이 아쉬워 송구 실책을 종종 범하기는 하지만 본인 이전에 3루를 봤었던 오오야마 유스케가 1루수로 전향한 이후 안정적인 포구를 바탕으로 사토의 다이나믹한 송구 대부분을 커버하는 덕분에 사토의 3루 수비력은 세부스탯 상으로 상당히 우수하게 나오는 중. 여기에 공격에서도 오오야마의 핵우산 효과를 얻어 성적이 좋아진 건 덤.
4. 기타
- 처음 드래프트 뽑힐때 좌석에 보면 얼굴이 폭삭 늙었지만 고등학교 3학년 부터 약간 노안이었다.
고2 그래도 귀여운 외모였지만 극역변으로 바뀐 외모은퇴해도 이 얼굴이듯 - 사쿠라자카46의 코이케 미나미와 중학교 시절 동급생이다. 중학교 1학년 때 옆 자리였던 적이 있는데, 코이케의 증언에 따르면, 본인이 낯을 많이 가리는 성격이라 평소에는 거의 대화가 없었고, 급식 시간에만 조금 얘기하는 정도였다고 한다. 그나마도 코이케가 말하는 내용이라는 게 자기 밥 반절만 먹어달라거나 우유 대신 먹어달라는 그런 얘기였다고. 선생님이나 다른 학생들은 모두 테루라고 부르는데, 코이케만 끝까지 사토군, 사토상 이었다고 한다.
- 한국 팬들한테 알려지게 된 계기가 2021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시범경기에서의 움짤 때문에 유명해젔다. 손짓을 했던 타자가 사토다. 견제한 투수는 이마이 타츠야.# 또한 한국에서는 사토 데리야끼로도 불리고 있다(...).
- KIA 타이거즈 선수인 이의리와 미국 드라이브라인 센터에서 만나 사진을 올렸다. 여담으로 둘이 2023 APBC에서 맞대결을 가진 적이 있는데, 결과는 3타수 2삼진으로 사토가 완전히 묶였다.
[홀수타석] [짝수타석] [득점찬스] [가사(일본어)] 突き進め さあ行こう 勝利に向かって 振り抜け 輝け 打て輝明(츠키스스메 사아 유코오 쇼오리니 무카앗테 후리누케 카가야케 우테 테루아키)[가사(한국어)] 힘차게 나아가라 자 가자 승리를 향하여 휘둘러라 빛나라 쳐라 테루아키[6] 사토 이외에 신인상 후보로 거론되는 선수는 DeNA의 마키 슈고, 히로시마의 쿠리바야시 료지, 같은 팀의 이토 마사시, 나카노 타쿠무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신인상은 사토가 가장 유력하다는게 중론. 마키 또한 대졸 최대어다운 성적을 내고 있긴 하지만 팀 성적 탓에 주목도가 떨어지고 비율스탯 외엔 사토보다 유의미하게 앞서는 타격지표가 마땅히 없다. 쿠리바야시는 무실점 기록이라는 임팩트가 있긴 하지만 마무리 투수라는 점과 마찬가지로 부진한 팀 성적 때문에 어느 정도 불리한 여건이다. 같은 팀의 이토는 훌륭한 성적을 내고 있긴 하나 피칭 스타일의 한계로 인해 보여지는 성적과는 달리 뚜렷한 임팩트를 보여주진 못하고 있다. 나카노의 경우 드래프트 순위가 6순위로 낮은 데다 특출난 장점이 없는 것처럼 보여서 신인왕 논외였으나, 막상 시즌이 끝나고 보니 도루 30개로 도루왕을 차지한 데다 유격수 수비력도 주전으로 쓸 수준이 되면서 리그 개인 실책 1위라는 사실은 무시하자 막판에 리그 신인왕 경쟁에 끼어들어온 케이스다.[7] 그래도 당해 후쿠도메의 볼삼비는 1:2.4(50볼넷 121삼진)로 볼삼비가 안 좋긴 해도 사토처럼 눈야구를 사실상 내다버린(...) 수준은 아니었고, 타율 .284/OPS .810 16홈런 52타점이라는 준수한 기록하며 신인 유격수라는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뛰어난 타격 생산성을 보여줬다.[8] 팀 도루 110개로 세리그 선두를 차지했다. 팀 내에서는 치카모토 코지(30), 나카노 타쿠무(23), 시마다 카이리(21)에 이은 4위.[9] 사실 사토의 실책 앞에 투수 바바 코스케의 2루송구 실책이 끼여 있었다. 이 실책 때는 2루수와 유격수가 비슷한 방향으로 자빠지면서 공을 놓치는 수비를 보여주며 고시엔을 찾은 홈팬들에게 절망을 안겨주었다.